맨위로가기

크산텐의 노르베르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산텐의 노르베르토는 12세기 인물로, 1120년 프레몽트레 수도회를 창설한 인물이다. 그는 젊은 시절 사고로 신앙심이 깊어져 금욕적인 삶을 살았으며, 타락한 성직자들을 비판하며 교회 개혁을 주장했다. 교황의 요청으로 수도회를 설립하고, 이후 마그데부르크 대주교를 역임하며 교회 개혁을 시도했다. 노르베르토는 1134년 사망했으며, 1582년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현재 프레몽트레 수도회는 교육, 사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미국에는 그가 설립한 세인트 노르베르트 칼리지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2세기 로마 가톨릭교도 - 몬머스의 제프리
    몬머스의 제프리는 아서 왕 전설을 널리 알리는 데 기여한 중세 작가이자 성직자이며, 《브리타니아 열왕사》, 《멀린의 예언》, 《멀린의 생애》 등의 작품을 남겼다.
  • 12세기 기독교 성직자 - 몬머스의 제프리
    몬머스의 제프리는 아서 왕 전설을 널리 알리는 데 기여한 중세 작가이자 성직자이며, 《브리타니아 열왕사》, 《멀린의 예언》, 《멀린의 생애》 등의 작품을 남겼다.
  • 12세기 기독교 성직자 - 라야먼
    라야먼은 12세기 말 또는 13세기 초에 활동한 영국의 사제이자 시인으로, 아서 왕 전설에 영향을 미쳤으며, 《브루트》라는 중세 영어 시를 통해 영국의 신화적 역사를 다루었다.
  • 네덜란드의 로마 가톨릭 성인 - 윌리브로드
    윌리브로드는 7세기 후반에서 8세기 초반에 활동하며 프리슬란트 지역에서 기독교를 전파하고 위트레흐트의 초대 주교가 된 잉글랜드 출신의 선교사이자 성인으로, 위트레흐트 대성당 건립과 에히터나흐 수도원 창설 등 선교 활동의 기반을 마련했으며 가톨릭교회에서 11월 7일에 기념하고 헌팅턴병과 경련성 질환의 수호 성인으로 공경받는다.
  • 네덜란드의 로마 가톨릭 성인 - 베드로 가니시오
    베드로 가니시오는 종교 개혁 시기 가톨릭 신앙을 옹호하고 독일 가톨릭 재건에 헌신하여 '독일의 두 번째 사도'로 불리는 예수회 사제이자 신학자로서, 가톨릭 교리서 집필과 헌신으로 복자 선포 후 성인이자 교회 학자로 선언되었다.
크산텐의 노르베르토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크산텐의 노르베르토
원어 이름Norbert von Xanten
존칭성인
직함주교 및 고해 사제
성 미카엘 수도원과 함께 있는 크산텐의 성 노르베르토
성 미카엘 수도원과 함께 있는 크산텐의 성 노르베르토
출생1075년경
출생지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 겐네프
사망1134년 6월 6일
사망지독일 작센-안할트 주 마그데부르크
축일6월 6일
숭배가톨릭 교회
시성1582년 7월 28일
시성 장소로마
시성자교황 그레고리오 13세
상징물성체 현시대; 두 개의 광선이 있는 십자가
수호보헤미아 왕국(현재 체코), 안전한 출산을 위한 기원, 마그데부르크
수도회프레몽트레회 O. Praem
생애
국적신성 로마 제국
활동12세기

2. 생애와 활동

노르베르토는 쾰른 선제후령 베젤 인근 라인 왼쪽 기슭에 있는 크산텐에서 태어나 자랐으며, 교육도 받았다. 그의 아버지는 제넵 백작 헤르베르트이며, 로렌 가문 출신으로 독일 황실과 친척 관계였다. 모친은 기즈의 헤드비지스이다.[16] 노르베르토는 가문의 영향력으로 크산텐에 있는 본당으로부터 재정적 지원을 받아 교회에서 일하게 되었다. 그의 유일한 업무는 교회에서 성무일도를 노래로 바치는 것뿐이었다.

하지만 노르베르토는 사제로 서품받는 것을 계속 회피하였으며, 1113년에는 캉브레의 교구장 주교 서임을 제의받았으나 역시 거절하였다. 하루는 말을 타고 인근의 브레덴으로 갔는데, 갑자기 태풍이 불면서 번개가 그가 탄 말의 발에 내리쳤다. 이에 놀란 말이 날뛰자 노르베르토는 말에서 굴러 떨어져 거의 한 시간 동안 의식을 잃은 채 누워 있었다.[16] 거의 죽을 뻔한 사고를 겪은 이후 그의 신앙심은 훨씬 깊어졌다. 그는 궁정 사제로 초빙하려는 하인리히 5세 황제의 요청을 거절하고 참회의 삶을 살고자 크산텐으로 돌아가서 그곳 수도원의 아빠스 코노의 지도를 받았다. 1115년 코노가 아빠스직에서 물러나자 노르베르토는 퓌어스텐베르크에 수도원을 설립하고서 자신의 재산 일부와 함께 코노와 그의 베네딕토회 후계자들에게 양도하였다. 당시 노르베르토의 나이는 35세였다. 그 후 노르베르토는 사제 서품을 받았다. 노르베르토는 특히 성체와 성모 마리아에 대한 신심이 지극하였다.

한편 그는 금욕주의를 매우 극단적으로 실천했기 때문에, 그로 인하여 그의 첫 제자 세 명이 견디지 못하고 죽고 말았다. 또한, 그는 크산텐의 의전사제단을 쇄신하고자 시도했지만 실패로 돌아갔다. 1118년 프리츨라르에서 열린 교회회의에서 노르베르토의 쇄신안을 거부했기 때문이다. 이에 노르베르토는 자신의 성직록을 반납하고 전재산을 매각하여 얻은 대금을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그는 교황 젤라시오 2세를 알현하여 순회 사제가 되는 것을 허락받았다. 그리하여 노르베르토는 오늘날의 독일 서부와 벨기에, 프랑스 북부에 해당하는 지역을 두로 돌아다니면서 사람들을 상대로 설교하였으며 많은 기적을 행하였다. 그는 방문하는 곳마다 타락한 성직자들을 보게 되었는데, 이들은 고독함에 빠진 상태에서 종종 부적절한 내연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교회에 대한 애정이 식어 교회가 자신들을 전혀 돌보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있었다.[17]

파리에서, 그는 성 빅토르의 신조를 직접 볼 수 있었을 것이다. 성 빅토르는 윌리엄의 금욕주의를 받아들였던 성인이다. 클레르보와 시토에서, 그는 수도사들 세계에 있었던 시토 수도회의 개혁을 볼 수 있었을 것이다. 노르베르토는 파리에서 샹파뉴의 기욤의 금욕주의를 수용한 성 빅토르 의전사제단을 직접 목격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클레르보와 시토에서 그는 시토회의 수도원 개혁도 목격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상당한 중압집권을 가진 국제 수도원 연맹을 창설시킨 시토회의 뛰어난 행정체제를 배우게 되었다. 특히 시토회의 《사랑의 장》에 적힌 개혁 목록은 노르베르토 자신의 향후 활동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17]

2. 1. 초기 생애

노르베르토는 쾰른 선제후령 베젤 인근 라인 왼쪽 기슭에 있는 크산텐에서 태어나 교육받았다.[16] 그의 아버지는 제넵 백작 헤르베르트이며, 로렌 가문 출신으로 독일 황실과 친척 관계였다.[16] 어머니는 기즈의 헤드비지스이다.[16] 가문의 영향으로 크산텐에 있는 본당으로부터 재정적 지원을 받아 교회에서 일했으나, 사제 서품은 계속 회피하였다.[16] 1113년 캉브레 교구장 주교 서임을 제의받았으나 거절하였다.[16]

말을 타고 브레덴으로 가던 중 갑작스러운 태풍과 번개로 인해 말에서 떨어져 거의 죽을 뻔한 사고를 겪은 후, 그의 신앙심은 깊어졌다.[16] 그는 참회의 삶을 살고자 크산텐으로 돌아갔다.[2]

2. 2. 회심

1113년, 노르베르토는 말을 타고 가던 중 번개를 맞아 낙마하는 사고를 겪었다.[16] 거의 죽을 뻔한 이 사고 이후 그의 신앙심은 훨씬 깊어졌다.[16][2] 그는 하인리히 5세 황제가 제안한 궁정 사제 초빙을 거절하고 참회의 삶을 살고자 크산텐으로 돌아가 수도원 아빠스 코노의 지도를 받았다.[16]

2. 3. 초기 사제 활동

노르베르토는 쾰른 선제후령 베젤 인근 크산텐에서 태어나 교육받았다. 아버지 헤르베르트는 제넵 백작이며 독일 황실과 친척 관계였고, 어머니는 기즈의 헤드비지스이다.[16] 가문의 영향으로 크산텐 본당의 재정 지원을 받으며 교회에서 일했지만, 사제 서품은 계속 회피했다.[16] 1113년 캉브레 교구장 주교 서임도 거절했다.[16] 브레덴으로 가던 중 벼락 사고를 겪고 신앙심이 깊어져, 하인리히 5세의 궁정 사제 초빙을 거절하고 참회하며 아빠스 코노의 지도를 받았다.[16] 1115년 코노가 아빠스직에서 물러나자 퓌어스텐베르크에 수도원을 설립하고 재산 일부를 베네딕토회 후계자들에게 양도했다.[16]

그 후 사제 서품을 받은 노르베르토는 성체와 성모 마리아에 대한 깊은 신심을 가졌다.[16] 금욕주의를 극단적으로 실천하여 초기 제자 세 명이 사망하기도 했다.[16][3] 크산텐 의전사제단 쇄신을 시도했으나, 1118년 프리츨라르 교회회의에서 거부당했다.[16][3] 성직록 반납 후 전 재산을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고, 교황 젤라시오 2세에게 순회 사제 허락을 받았다.[16][4] 독일 서부, 벨기에, 프랑스 북부 등지를 순회하며 설교하고 많은 기적을 행하였다.[16][4]

타락한 성직자들의 문제를 인식하고 교회 개혁의 필요성을 절감했다.[17][4] 파리에서 샹파뉴의 기욤의 금욕주의를 수용한 성 빅토르 의전사제단과 시토회의 수도원 개혁을 목격하고, 시토회의 행정체제를 배우게 되었다.[17][4]

3. 프레몽트레회 의전수도회

1119년 10월 랭스 교회회의에서 교황 갈리스토 2세는 노르베르토에게 프랑스 라옹 교구에 수도회를 설립할 것을 요청하였다.[16] 1120년 예수 성탄 대축일에 노르베르토는 프레몽트레회 의전수도회를 창설하였다.[16] 라옹 교구장 주교에게 하사받은 프레몽트레 숲 속 계곡을 거주지로 선택하였다.

노르베르토는 아우구스티노 수도규칙을 수도 생활의 규칙으로 선택하고, 시토회의 관습도 일부 채택하였다.[6] 초기에는 세례자 요한 경당 인근에 나무와 진흙으로 오두막을 짓고 살았으나,[7] 이후 많은 수의 서원자가 들어오게 되면서 큰 성당과 수도원을 건립하였다.[18] 쾰른에서 꿈을 통해 성녀 우르술라와 그녀의 동료들, 성 제레온 등 순교자들의 유해가 매장된 장소를 알게되어 성유해를 얻었다고 전해진다.[18]

그의 첫 제자 13명에는 포세스의 복자 위그, 성 에버모드, 니벨레스의 안토니오, 라온의 랄프 등이 있었다.[16] 1125년 교황 호노리오 2세가 프레몽트레회의 규칙서를 인가하였다.[18]

노르베르토는 독일, 프랑스, 벨기에, 트란실바니아 등지에서 지지자를 얻어 각지에 수도원 분원을 세웠다.[9] 샹파뉴의 테오발드 2세 백작은 프레몽트레회 입회를 희망했지만, 노르베르토는 평신도로 남아 결혼할 것을 권고하며 수도회 규칙과 하얀색 수도복을 수여하였다. 그리하여 1122년 프레몽트레회 제3회가 생기게 되었다.[9]

노르베르토는 프랑스, 벨기에, 독일 전역을 순회하며 설교하였고, 앤트워프에서 탄켈름의 성체성사 이단 사상에 맞서 승리하여 '앤트워프의 사도'라는 별명을 얻었다.[9]

3. 1. 수도회 창설

1119년 10월 랭스 교회회의에서 교황 갈리스토 2세는 노르베르토에게 프랑스 라옹 교구에 수도회를 설립할 것을 요청하였다.[16] 1120년 예수 성탄 대축일에 노르베르토는 프레몽트레회 의전수도회를 창설하였다.[16] 라옹 교구장 주교에게 하사받은 프레몽트레 숲 속 계곡을 거주지로 선택하였다.

노르베르토는 아우구스티노 수도규칙을 수도 생활의 규칙으로 선택하고, 시토회의 관습도 일부 채택하였다.[6] 초기에는 세례자 요한 경당 인근에 나무와 진흙으로 오두막을 짓고 살았으나,[7] 이후 많은 수의 서원자가 들어오게 되면서 큰 성당과 수도원을 건립하였다.[18] 쾰른에서 꿈을 통해 성녀 우르술라와 그녀의 동료들, 성 제레온 등 순교자들의 유해가 매장된 장소를 알게되어 성유해를 얻었다고 전해진다.[18]

그의 첫 제자 13명에는 포세스의 복자 위그, 성 에버모드, 니벨레스의 안토니오, 라온의 랄프 등이 있었다.[16] 1125년 교황 호노리오 2세가 프레몽트레회의 규칙서를 인가하였다.[18]

노르베르토는 독일, 프랑스, 벨기에, 트란실바니아 등지에서 지지자를 얻어 각지에 수도원 분원을 세웠다.[9] 샹파뉴의 테오발드 2세 백작은 프레몽트레회 입회를 희망했지만, 노르베르토는 평신도로 남아 결혼할 것을 권고하며 수도회 규칙과 하얀색 수도복을 수여하였다. 그리하여 1122년 프레몽트레회 제3회가 생기게 되었다.[9]

3. 2. 수도회 확장

노르베르토는 독일, 프랑스, 벨기에, 트란실바니아 등지에서 지지자를 얻어 여러 곳에 수도원 분원을 세웠다.[16][9] 플로르프, 비비에르, 생조스, 아르덴, 퀴시, 라옹, 리에주, 앤트워프, 카펜베르크, 그로스바다인(오늘날의 오라데아) 등지에 수도원이 세워졌다.[16][9] 샹파뉴의 테오발드 2세 백작은 프레몽트레회 입회를 희망했으나, 노르베르토는 평신도로 남아 신앙생활을 할 것을 권고하며, 몇 가지 규칙을 세우고 수도회의 하얀색 수도복을 테오발드 백작에게 수여하였다. 그리하여 1122년 프레몽트레회 제3회가 설립되었다.[16][9]

노르베르토는 프랑스, 벨기에, 독일 전역을 순회하며 설교하였고, 앤트워프에서 탄켈름의 성체성사 이단 사상에 맞서 승리하여 '앤트워프의 사도'라는 별명을 얻었다.[16][9]

4. 마그데부르크 대주교

1126년 교황 호노리오 2세에 의해 마그데부르크 대교구령 대주교로 서임되었다.[5] 노르베르토는 마그데부르크에서 프레몽트레에서 제정한 교리를 실천했으며, 주교령의 느슨한 규율을 개혁하기 시작하면서 여러 차례 암살 시도를 받았다.[10] 그는 서임권 투쟁 동안 세속 권력에 대항하여 교회의 권리를 보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1] 교황 분열에서 노르베르토는 교황 인노첸시오 2세를 지지하고 대립 교황 아나클레투스 2세에 저항했다. 노르베르토는 말년에 로타르 2세의 재상 및 고문으로 활동하며, 그를 설득하여 1133년 로마로 군대를 이끌고 가서 인노첸시오 2세를 교황으로 복귀시켰다.[12]

4. 1. 대교구 개혁

교황 호노리우스 2세는 1126년 노르베르토를 마그데부르크 대주교로 임명했고, 노르베르토는 프레몽트레에서 제정한 교리를 실천했다.[5] 대주교로 임명된후 노르베르토는 주교령의 느슨한 규율을 개혁하기 시작하면서 여러 차례 암살 시도를 받았다.[10] 또한 서임권 투쟁 동안 세속 권력에 대항하여 교회의 권리를 보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1]

4. 2. 교회 분열 시기 활동

1126년, 교황 호노리우스 2세는 노르베르토를 마그데부르크 대주교로 임명했고, 그곳에서 그는 프레몽트레에서 제정한 교리를 실천했다.[5] 그는 주교령의 느슨한 규율을 개혁하기 시작하면서 여러 차례 암살 시도를 받았다.[10] 그는 서임권 투쟁 동안 세속 권력에 대항하여 교회의 권리를 보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1]

교회 분열에서 노르베르토는 교황 인노첸시오 2세를 지지하고 대립 교황 아나클레투스 2세에 저항했다. 노르베르토는 로타르 2세의 재상 및 고문으로 활동하며, 그를 설득하여 1133년 로마로 군대를 이끌고 가서 인노첸시오 2세를 교황으로 복귀시켰다.[12]

5. 공경



크산텐의 노르베르토는 1134년 6월 6일 마그데부르크에서 선종하였다.[19][13] 마그데부르크 주교좌 성당 의전사제단과 성 마리아 대수도원 의전사제단은 서로 유해 소유권을 주장하며 분쟁을 벌였고, 로타르 3세에게 중재를 요청하였다. 로타르 3세는 프레몽트레회 대수도원에 안치하라고 명령했다.[19][13]

1524년 마르틴 루터가 마그데부르크에서 설교하면서, 도시는 프로테스탄트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되었다.[19][13] 프라하의 스트라호프 수도원은 수세기에 걸쳐 성인의 유해를 가져가려는 시도를 하였으나 번번이 실패하였다. 페르디난트 2세의 지원으로 프로테스탄트군을 수차례 격파한 끝에 1627년 5월 2일, 스트라호프 수도원장은 유해를 양도받아 프라하로 이장하였고, 오늘날까지 유리 전면 무덤에 자동 아이콘으로 전시되어 있다.[19][13]

노르베르토는 1582년 교황 그레고리오 13세에 의해 성인으로 시성되었다.[19][14] 바티칸 성 베드로 광장 주랑에는 성 노르베르토 성상이 있다.[14]

6. 유산

프레몽트레 수도회(또는 노르베르투스회) 수도사들은 유럽, 미국, 캐나다, 영국, 남아메리카, 자이르, 남아프리카 공화국, 인도, 호주 등지에서 활동하고 있다. 이들은 교육, 본당 사목, 대학교 채플린, 청소년 사역 등에 참여하고 있다. 위스콘신 주 디페어에 있는 세인트 노르베르트 칼리지는 노르베르투스회가 설립한 최초의 고등 교육 기관이다. 세인트 노르베르트 칼리지는 노르베르투스 연구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Norbert von Xanten – Ökumenisches Heiligenlexikon http://www.heiligenl[...]
[2] 서적 Lives of the Saints for Every Day of the Year Catholic Book Publishing Co. 1977
[3] 웹사이트 "The priest whose asceticism killed three disciples", ''Catholic Herald'', 9 June 2011 http://www.catholich[...] 2015-02-26
[4] 웹사이트 "Saint Norbert of Xanten", Norbertines of Saint Norbert Abbey, De Pere, Wisconsin http://www.norbertin[...]
[5] 웹사이트 "Norbert of Xanten", St. Norbert College, De Pere, Wisconsin http://www.snc.edu/l[...] 2013-06-16
[6] 웹사이트 "About St. Norbert of Xanten", Center for Norbertine Studies, St. Norbert College, De Pere, Wisconsin https://www.snc.edu/[...] 2014-05-05
[7] 서적 History of the Life and Institute of St. Ignatius de Loyola: Founder of the Society of Jesus https://archive.org/[...] E. Dunigan
[8] 서적 History of Saint Norbert https://books.google[...] 2021-12-20
[9] 웹사이트 St. Norbert." The Catholic Encyclopedia. Vol. 11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2013-06-16
[10] 서적 Man on Fire: The Life and Spirit of Norbert of Xanten St. Norbert College Press in association with the Center for Norbertine Studies 2019-05-11
[11] 서적 History of Saint Norbert https://books.google[...] 2021-12-20
[12] 서적 History of Saint Norbert https://books.google[...] 2021-12-20
[13] 웹사이트 "Saint Norbert the fondator", Abbaye de Notre-Dame de Leffe http://www.abbaye-de[...]
[14] 웹사이트 The 140 Saints of the Colonnade: 140, St. Norbert http://stpetersbasil[...] 2021-12-20
[15] 웹사이트 About the Center https://www.snc.edu/[...] 2019-05-23
[16] 웹인용 "Norbert of Xanten", St. Norbert College, De Pere, Wisconsin http://www.snc.edu/l[...] 2013-08-22
[17] 웹인용 "Saint Norbert of Xanten", Norbertines of Saint Norbert Abbey, De Pere, Wisconsin http://www.norbertin[...] 2013-08-22
[18] 서적 History of the Life and Institute of St. Ignatius de Loyola: Founder of the Society of Jesus E. Dunigan
[19] 웹사이트 "Saint Norbert the fondator", Abbaye de Notre-Dame de Leffe http://www.abbaye-d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