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크툴루의 부름 RPG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툴루의 부름''은 1981년 샌디 페터슨이 디자인하고 카오시움에서 출판한 테이블탑 롤플레잉 게임(TRPG)이다. 베이직 롤플레잉(BRP)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며, 1920년대 미국을 주 무대로 한다. 플레이어는 탐사자가 되어 세계를 위협하는 끔찍한 음모를 조사하며, 정신력(Sanity)이 감소하여 광기에 빠질 수 있다. 다양한 시대와 테마를 다루는 서플리먼트와 파생 작품들이 존재하며, 2014년 7판 규칙 개정을 거쳐 현재까지 널리 플레이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롤플레잉 게임 - 던전 & 드래곤
    《던전 & 드래곤》은 플레이어들이 주사위와 상상력을 사용하여 판타지 세계를 모험하는 롤플레잉 게임으로, 던전 마스터가 스토리를 진행하고 플레이어들은 캐릭터를 조종하여 퀘스트를 수행하며, 다면체 주사위와 캐릭터 성장 시스템을 통해 풍부한 게임 경험을 제공하며 롤플레잉 게임 장르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롤플레잉 게임 - 미스트오버
    미스트오버는 2019년 크래프톤에서 출시한 등각 던전 크롤러 롤플레잉 비디오 게임으로, 멸망 직전의 세계에서 괴물 침략을 막기 위해 영웅 파티를 관리하며, 로그라이크 요소와 턴제 전투, 실시간 탐험, 무작위 던전, 영구적인 죽음 시스템을 특징으로 한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크툴루의 부름 RPG
기본 정보
제목크툴루의 부름
원제Call of Cthulhu
부제H.P. 러브크래프트의 세계에서 즐기는 공포 롤플레잉
1981년 1판 박스 표지
1981년 1판 박스 표지 (진 데이 그림)
장르공포 소설
시스템베이직 롤플레잉 (다른 시스템으로의 각색도 가능)
ISBN978-1568824307
웹사이트크툴루의 부름 RPG
제작 정보
디자이너샌디 피터슨
퍼블리셔카오시움
출시일1981년

2. 역사

샌디 페터슨이 러브크래프트의 드림랜드를 배경으로 한 판타지 게임 룬퀘스트의 부록을 집필하는 과정에서 카오시움에 연락했고, 크툴루의 부름 집필을 맡게 되어 1981년에 출시되었다.[4] 페터슨은 시스템에 사소한 변경만 가한 채로 처음 네 개의 에디션을 감독했다. 그가 떠난 후, 개발은 린 윌리스에 의해 이어졌고, 윌리스는 다섯 번째와 여섯 번째 에디션의 공동 저자로 이름을 올렸다. 윌리스의 사망 후, 2013년에 마이크 메이슨이 《크툴루의 부름》 라인 편집자가 되어 폴 프리커와 함께 개발을 이어갔다. 그들은 이전 에디션보다 더 중요한 규칙 변경을 가했으며, 2014년에 7판을 출시하면서 절정에 달했다.[5]

판본출판형식비고
1판1981[6]박스 세트메인 규칙서 외에 16페이지 분량의 "기본 롤플레잉" 소책자 포함.[7]
2판1983박스 세트단일 규칙서 포함; 사소한 규칙 변경.[8]
3판1986박스 세트규칙을 별도의 "수사관의 책"과 "키퍼의 책" 소책자로 분리.[9]
4판1989소프트커버"크툴루 컴패니언" 및 "공포의 단편: 두 번째 크툴루 컴패니언" 부록의 내용 포함.[10]
5판1992소프트커버린 윌리스(Lynn Willis)가 공동 저자로 이름을 올린 첫 번째 버전.[11]
5.5판1998소프트커버5판을 재구성하고 업데이트한 버전으로, 새로운 표지 삽화 포함; "5.5판" 표시가 표제 페이지에 나타남.[11]
5.6판1999하드커버수정된 개정판 인쇄; "5.6판" 표시가 표제 페이지에 나타남.[11]
5.6.1판2001하드커버수정된 개정판 인쇄; "5.6.1판" 표시가 표제 페이지에 나타남.[11]
20주년 기념판2001가죽 장정 하드커버녹색 가죽으로 장정된 한정판으로, 새로운 "고대 서적" 레이아웃 적용.[12][13]
6판2004하드커버, 소프트커버 또는 전자 파일20주년 기념판과 동일한 레이아웃 및 내용.[14]
7판2014하드커버, 소프트커버 또는 전자 파일폴 프리커(Paul Fricker)와 마이크 메이슨(Mike Mason)에 의해 규칙이 대폭 개정됨. 새로운 표지 삽화 및 풀 컬러 레이아웃. 인쇄 버전은 2016년 봄에 출시.[15]



1997년에 수집 카드 게임 ''크툴루 신화''가 중단된 이후, ''CoC'' 서적 출시는 매우 불규칙적이었으며, 출판 간격이 1년까지 벌어지기도 했다. 카오시움은 수년간 파산 직전의 어려움을 겪다가 다시 상승세를 타기 시작했다.

2005년은 카오시움이 수년간 가장 바쁜 한 해를 보냈으며, 게임 관련 서적을 10권이나 출시했다. 또한, 외부에서 편집과 레이아웃을 제공받는 개별 작가의 짧은 서적인 "모노그래프"를 소비자에게 직접 마케팅하여 회사가 새로운 작품에 대한 시장 반응을 측정할 수 있도록 했다.

2005년 말부터는 스테판 게스베르의 ''크툴루 암흑 시대''가 추가되면서 신화의 공포를 접할 수 있는 시간과 장소의 범위가 확장되었으며, 이는 11세기 유럽을 배경으로 하는 게임 플레이의 틀을 제공했고, 마이클 지에신스키의 ''일본의 비밀''은 현대 일본에서, 데이비드 코니어스의 ''케냐의 비밀''은 전간기 아프리카에서 게임을 즐길 수 있게 했다.

2011년 7월, 카오시움은 ''CoC'' 6판 30주년 기념판을 재출시할 것이라고 발표했다.[27] 320페이지 분량의 이 책은 앞표지와 등 부분에 금박이 찍힌 두꺼운 (3mm) 인조 가죽 하드커버를 특징으로 한다. 내지 페이지는 90gsm 무광 아트지에 검은색 잉크로 인쇄되었다. 제본은 실로 꿰매고, 사각 등 형태로 제작되었다. 카오시움은 이 수집가용 에디션을 단 한 번만 인쇄하여 판매했다.

2013년 5월 28일, ''크툴루의 부름'' 7판을 위한 크라우드 펀딩 캠페인이 킥스타터에서 시작되었으며, 목표액은 4만 달러였다. 같은 해 6월 29일에 종료되어 561,836달러를 모금했다.[28] 이 판은 이전 판보다 훨씬 더 많은 주요 개정을 포함했으며, 핵심 규칙을 플레이어 가이드와 키퍼 가이드의 두 권의 책으로 나누었다.[5][15] ''크툴루의 부름'' 7판의 킥스타터 배송 문제와 지연으로 인해 그레그 스태포드와 샌디 피터슨 (둘 다 1998년에 회사를 떠났음)이 2015년 6월에 카오시움에서 다시 활동적인 역할을 맡게 되었다.[29] 7판의 인쇄 버전은 2016년 9월에 출시되었다.[30]

또한, 로마 제국에서 플레이하는 데 필요한 추가 규칙을 담은 부록인 크툴루 시대별, 신화적 아이슬란드, 미래형 마이크로 배경 설정, 그리고 신화의 괴물들이 세상을 정복하거나 파괴하려는 종말 시대를 통해 사용 가능한 배경 설정이 확장되었다.

『크툴루의 부름』은 카오시움사의 부침에 영향을 받으면서, 40년 가까이 동사의 주력 상품 중 하나로 지속되었다. 1998년 이후의 트레이딩 카드 게임의 실패로 인한 위기를 ''20th Anniversary Edition''의 수익으로 커버하고, 2003년 이후의 경영난을 극복하는 데에도 일본에서의 동 작품의 히트가 기여했다.

각 판의 차이는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적으며, 버전 간의 컨버트는 다른 TRPG와 비교해도 용이한 편이다. 서플리먼트 류도 판을 넘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많다. 제7판에서의 주요 룰 변경은 "푸시 롤" 시스템 추가, 『던전스 & 드래곤스 제5판』의 보급에 영향을 받은 "보너스 다이스" 시스템 도입, 번거로웠던 "저항 표"의 철폐 등이다.

2. 1. 초기 역사 (1판~3판)

Call of Cthulhu영어의 초기에는 카오시움사에서 출판한 BRP(Basic Role-Playing) 시스템을 기반으로 1920년대 미국을 주 무대로 하였다. 샌디 페터슨이 집필을 맡아 1981년에 1판이 출시되었다.[4]

초기에는 ''던전 & 드래곤''과 달리, 플레이어 캐릭터들이 실종된 사람에 대한 조사에서 시작하여 세계를 파괴하려는 끔찍한 음모를 발견하도록 이끄는 '양파 껍질' 개념을 도입했다. 대부분의 조사자가 살아남거나 제정신을 유지하지 못할 것이라고 가정했으며, 규칙서에 설명된 끔찍한 것들을 처리하는 안전한 방법은 도망치는 것뿐이었다.

''요그 소토스의 그림자''[16], ''니알라토텝의 가면''[16] 등 기념비적인 캠페인 시나리오들이 출시되어 큰 인기를 얻었다. 특히 ''니알라토텝의 가면''은 비플레이어 캐릭터가 훼손한 성냥갑과 명함, 신문 스크랩 등의 '단서' 자료가 포함되어 몰입감을 높였다.

판본출판형식비고
1판1981[6]박스 세트메인 규칙서 외에 16페이지 분량의 "기본 롤플레잉" 소책자 포함.[7]
2판1983박스 세트단일 규칙서 포함; 사소한 규칙 변경.[8]
3판1986박스 세트규칙을 별도의 "수사관의 책"과 "키퍼의 책" 소책자로 분리.[9]


2. 2. 확장과 발전 (4판~6판)

Call of Cthulhu|콜 오브 크툴루영어 4판은 1989년에 소프트커버 형태로 출시되었으며, 이전 서플리먼트인 "크툴루 컴패니언"과 "공포의 단편: 두 번째 크툴루 컴패니언"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10] 5판은 1992년에 소프트커버로 출시되었으며, 린 윌리스(Lynn Willis)가 공동 저자로 이름을 올린 첫 번째 버전이다.[11] 5.5판은 1998년에 5판을 재구성하고 업데이트한 버전으로, 새로운 표지 삽화를 포함하며, 표제 페이지에 "5.5판"이라고 표시되어 있다.[11]

2004년에는 6판이 하드커버, 소프트커버, 전자 파일 형태로 출시되었다. 6판은 20주년 기념판과 동일한 레이아웃 및 내용을 가지고 있다.[14]

이러한 확장판들은 1890년대 (가스등 아래의 크툴루), 현대 (크툴루 나우) 등 다양한 시대적 배경을 다루는 서플리먼트와 함께 출시되어 게임의 폭을 넓혔다.

판본출판형식비고
4판1989소프트커버"크툴루 컴패니언" 및 "공포의 단편: 두 번째 크툴루 컴패니언" 부록의 내용 포함.[10]
5판1992소프트커버린 윌리스(Lynn Willis)가 공동 저자로 이름을 올린 첫 번째 버전.[11]
5.5판1998소프트커버5판을 재구성하고 업데이트한 버전으로, 새로운 표지 삽화 포함; "5.5판" 표시가 표제 페이지에 나타남.[11]
5.6판1999하드커버수정된 개정판 인쇄; "5.6판" 표시가 표제 페이지에 나타남.[11]
5.6.1판2001하드커버수정된 개정판 인쇄; "5.6.1판" 표시가 표제 페이지에 나타남.[11]
20주년 기념판2001가죽 장정 하드커버녹색 가죽으로 장정된 한정판으로, 새로운 "고대 서적" 레이아웃 적용.[12][13]
6판2004하드커버, 소프트커버 또는 전자 파일20주년 기념판과 동일한 레이아웃 및 내용.[14]



크툴루의 부름은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여러 국가에서 번역 출판되어 국제적인 인기를 얻었다. 특히 일본에서는 TRPG 시장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2. 3. 현대 (7판)

Call of Cthulhu|콜 오브 크툴루영어 7판은 폴 프리커와 마이크 메이슨에 의해 규칙이 대폭 개정되어, 이전 판들보다 더 중요한 규칙 변경이 이루어졌다. 2013년 5월 28일, 7판 개발을 위한 크라우드 펀딩 캠페인이 킥스타터에서 시작되어 목표액 4만 달러를 크게 초과하는 561,836달러를 모금하며 성공적으로 종료되었다.[28]

7판에서는 "푸시 롤" 시스템, "보너스 다이스" 시스템(『던전스 & 드래곤스 제5판』의 영향을 받음)이 추가되었고, "저항 표"가 철폐되는 등 플레이가 더 직관적이고 유연해졌다.[5] 핵심 규칙은 플레이어 가이드와 키퍼 가이드 두 권으로 나뉘었다.[15]

한국에서는 2019년 KADOKAWA 엔터브레인에서 '신 크툴루 신화 TRPG'라는 이름으로 7판이 출시되었다.[80] 2021년에는 KADOKAWA가 크툴루 신화 TRPG 공식 사이트를 개설하여[96]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2. 4. 한국에서의 수용과 발전

Call of Cthulhu|콜 오브 크툴루영어가 일본에 처음 소개된 것은 1986년, 호비 재팬을 통해서였다.[73] 당시 일본은 TRPG는 물론 RPG 자체에 대한 인지도도 매우 낮았던 시기였다. 그런 상황에서 "검과 마법의 판타지가 아닌 RPG"는 상당히 도전적인 시도였다.

크툴루 신화 자체의 낮은 인지도 때문에, 이 게임은 "20세기를 무대로 한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베이직 롤플레잉 시스템은 세계관에 얽매이지 않아 현대 일본을 배경으로도 플레이 가능하다는 점이 주목받았다.

1990년대에는 전기 액션물, 탐정물, 학원물 등 크툴루 신화와 직접 관련 없는 시나리오도 이 시스템으로 플레이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문헌 조사 규칙은 현대물과 잘 어울렸다.

이러한 수요에 맞춰 일본 독자적인 현대 일본 배경 서플리먼트가 제작되기도 했다. 또한, Call of Cthulhu|콜 오브 크툴루영어를 기반으로 한 학원 드라마 RPG인 방과후 괴기 클럽이 발매되기도 했다. 하지만 1990년대 후반부터 일본 TRPG 시장에 "현대물" 게임이 늘어나면서 이러한 경향은 일단락되었다.

21세기에 들어 Call of Cthulhu|콜 오브 크툴루영어 TRPG 일본어판은 신기원사와 엔터브레인에서 다시 전개되었다. TRPG 암흑기 회복 과정에서 룰북 가격과 무크 형태에 변화가 있었지만, 2008년경부터 니코니코 동화의 "유쿠리 실황"을 시작으로 TRPG 인기가 부활했다.[93] 온라인 세션의 보급, 기어와라! 냐루코 양|기어와라! 냐루코 양일본어으로 인한 크툴루 신화의 지명도 향상, H.P. 러브크래프트 저작의 꾸준한 출판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6판은 일본 내 누계 20만 부를 넘는 롱셀러가 되었다.[94] 2012년 이후 니코니코 동화에서 크툴루 신화 TRPG 리플레이 동영상 붐을 계기로 일본 TRPG 플레이어들 사이에서 가장 널리 보급된 시스템이 되었다.[95]

Call of Cthulhu|콜 오브 크툴루영어로 TRPG를 처음 접하는 층이 늘면서, 호러 요소를 제외하고 "현대물"을 즐기려는 경우에도 Call of Cthulhu|콜 오브 크툴루영어 TRPG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2019년 이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온라인 세션과 YouTube를 통한 TRPG 동영상 배포가 활발해졌다. 많은 유튜버와 VTuber들이 Call of Cthulhu|콜 오브 크툴루영어 신화 TRPG를 플레이하는 영상을 올렸다.

2021년, KADOKAWA는 Call of Cthulhu|콜 오브 크툴루영어 신화 TRPG 공식 사이트를 열고, 서적 및 시나리오 판매, 이벤트 공지, 온라인 툴용 소재 및 시나리오 무료 공개 등을 진행하고 있다.[96] 2023년에는 스마트폰 앱 "크툴루 신화 TRPG 룰북 PLUS"를 출시하여 유료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97] 또한, 공식 Discord 서버를 통해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있다.[98]

2024년에는 BOOTH 및 TALTO에서 전자 서적 시나리오 판매를 시작했다. 또한, 공식 사이트에서 셰어 월드 설정 "나나후쿠시 기담"을 공개하고, 유명인과의 콜라보 시나리오를 판매하고 있다. 2024년 3월, "아캄 멤버스"가 법인화되어 "주식회사 스튜디오 아캄"을 설립했다.[99]

2024년 6월, 2024년 KADOKAWA・니코니코 동화 사이버 공격으로 인해 KADOKAWA 그룹 전체가 피해를 입었다.[100] 니코니코 동화와 Call of Cthulhu|콜 오브 크툴루영어 신화 TRPG 공식 사이트 등 많은 사이트가 일시 폐쇄되었다. 니코니코 동화는 임시 사이트를 거쳐 2024년 8월 5일에 "돌아온 니코니코"로 부활했다.[102] Call of Cthulhu|콜 오브 크툴루영어 신화 TRPG 공식 사이트는 X, 공식 Discord, 노트 등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일본에서 Call of Cthulhu|콜 오브 크툴루영어 TRPG의 역사는 잡지 Role&Roll 창간과 함께 부활했다. 엔터브레인(현 KADOKAWA)에서 호비 재팬판과 마찬가지로 케이오시엄사의 Call of Cthulhu|콜 오브 크툴루영어 계보의 TRPG가 출판되고 있지만, "크툴루의 부름"은 호비 재팬의 상표이므로, 제품명에 사용되지 않는다.

엔터브레인(현 KADOKAWA)은 2019년 12월에 『크툴루 신화 TRPG』 6판에서 7판으로 판을 변경하고, 타이틀을 『신 크툴루 신화 TRPG』로 변경했다. 공식적인 『크툴루 신화 TRPG』에 대한 지원은 종료되었으며, 6판 이전의 시나리오는 『클래식』으로 정의하고 있다. KADOKAWA는 2021년에 크툴루 신화 TRPG의 공식 사이트를 개설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3. 게임 시스템

황색의 왕의 일러스트. 얼 가이어(Earl Geier)가 ''치명적인 실험(Fatal Experiments)'' 어드벤처 북을 위해 제작했다. 왕좌 뒤에 장식된 황색 표시는 ''크툴루의 부름'' 시나리오 ''말해줘, 황색 표시를 본 적이 있니?(Tell Me, Have You Seen the Yellow Sign?)''를 위해 케빈 A. 로스(Kevin A. Ross)가 디자인했다.


''크툴루의 부름(CoC)''은 베이직 롤 플레잉(Basic Role-Playing)(BRP) 시스템을 사용한다. 이 시스템은 룬퀘스트를 위해 처음 개발되었고, 다른 카오시움(Chaosium) 게임에도 사용되었다. 캐릭터는 기술을 사용하여 성공하면 기술이 향상되지만, 생명점(hit points)을 얻거나 더 강해지지는 않는다. 이 게임은 레벨을 사용하지 않는다.

''크툴루의 부름''은 백분율 주사위(1부터 100까지의 결과)를 사용하여 성공 또는 실패를 결정한다. 플레이어의 능력치는 특정 행동에 대한 성공 확률과 연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예술 기술이 75인 예술가는 그림을 그릴 때 75 미만의 숫자를 굴리면 성공한다. 기술 수준의 1/5 이하(예시에서는 1–15)를 굴리면 "특별 성공" (전투 기술의 경우 "관통")이 되며, 키퍼(Keeper)가 추가 보너스를 부여한다.

플레이어는 탐정, 범죄자, 학자, 예술가, 참전 용사 등 평범한 사람들이 수수께끼의 영역으로 끌려 들어가는 역할을 맡는다. 캐릭터가 세상의 진정한 공포와 인류의 무의미함에 대해 더 많이 알게 됨에 따라, 정신력(SAN)은 불가피하게 감소한다. 끔찍한 존재를 만나는 것은 일반적으로 SAN 점수의 손실을 유발하며, 신비로운 지식과 마법을 얻기 위해서도 정신력을 잃을 수 있다. ''크툴루의 부름''은 플레이어 캐릭터가 끔찍한 상황에서 죽거나 정신 병원에 갇히는 것이 매우 흔한 게임으로, 플레이어의 궁극적인 승리가 보장되지는 않는다.

1987년, 카오시움은 현재를 배경으로 한 ''크툴루의 부름''을 플레이하기 위한 규칙, 보충 자료 및 시나리오를 모은 부록인 ''크툴루 나우''(Cthulhu Now)를 발행했다. 이는 매우 인기 있는 대체 배경이 되었다.

2001년, 위저즈 오브 더 코스트(Wizards of the Coast)는 d20 시스템을 위한 독립형 버전의 ''크툴루의 부름''(Call of Cthulhu)을 출시했다. 이는 ''D&D''(Dungeons & Dragons) 플레이어 기반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규칙을 만들었으며, ''던전 & 드래곤'' 캐릭터를 ''크툴루의 부름''에서 사용하거나 크툴루 신화를 ''던전 & 드래곤'' 게임에 도입할 수 있게 했다. 그러나 이 버전은 현재 지원되지 않는다.[36]

캐릭터는 캐릭터 클래스가 아닌 "기능(스킬)" 포인트 배분과 "직업" 템플릿 적용을 통해 커스터마이징된다.

3. 1. 게임 진행

이 게임에서는 게임 마스터 대신, 플레이어 중 키퍼(Keeper)라고 불리는 역할의 인물이 게임을 진행한다. 키퍼는 'The Keeper of Arcane Lore'의 약자로, 한국어로 번역하면 "신비의 수호자" 또는 "고대 지식의 수호자"와 같은 의미이다.[3] 일본어판 룰북 및 관련 제품에서는 플레이어 캐릭터(PC)를 '''탐사자(Investigator)'''라고 부르는데, 이는 일본어판 고유의 호칭이며, 원어판에서는 "Investigator"로, 조사관이나 연구자를 의미한다.[3]

3. 2. 특징적인 규칙

베이직 롤 플레잉(Basic Role-Playing)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며, 행위 판정의 성패는 D100 퍼센테이지 롤에 의한 하방 롤(낮은 눈을 굴리는 것으로 좋은 결과를 얻음)로 판정한다.

특징적인 규칙으로 "정신력" 개념이 있다. 영어 Sanity에서 유래한 "SAN 수치"라고도 불리지만, 이는 오용이다.[82]

정신력은 Power(정신력)라는 능력치에서 산출되는 "정신력 포인트(Sanity Point)"로 나타낸다. 이는 의지력이나 감정적인 충격에 대한 내성을 나타내는 수치이다.[83] 충격적인 사건을 겪으면, "정신력 롤"이라는 행위 판정을 실시한다. 성공하면 정신력 포인트 감소가 없거나 실패했을 때보다 감소량이 적지만, 실패하면 많이 감소한다. 정신력 포인트가 많이 감소하면 플레이어 캐릭터는 광기에 빠져 기이한 행동을 할 가능성이 있는데, 이를 "발광"이라고 한다.[84]

광기는 "일시적 광기"와 "부정의 광기"로 나뉜다. 한 번의 롤에서 5포인트 이상의 정신력을 잃고, 아이디어 롤에 성공했을 경우(현상을 정확하게 파악했을 경우) "일시적 광기"에 빠진다. 이는 수 초에서 수일(최단 1D10 전투 라운드, 최장 1D10일) 동안 지속되는 패닉 상태이지만, 1게임 중에 총 정신력의 20%를 잃었을 경우에는 "부정의 광기"에 빠진다. 이 경우 정신 병원에 입원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정신을 되찾을 수 있으며, 정신을 되찾더라도 후유증이 남는다. 정신력이 0이 된 탐사자는 영구적인 광기에 빠져, 기본적으로 게임에서 탈락한다(회복 여부는 키퍼의 재량).

이처럼 정신과 광기가 규칙으로 상세히 표현된 이유는, 러브크래프트 소설 대부분에서 우주적 공포를 마주한 피해자가 광인이 되는 모습으로 그려지기 때문이다.

4. 세계관

''크툴루의 부름''은 H. P. 러브크래프트의 "문학에서의 초자연적 공포" 에세이에서 "인류의 가장 오래되고 강력한 감정은 공포이며, 가장 강력한 종류의 공포는 미지에 대한 공포이다."라는 관찰에 기반한 우리 세계의 더 어두운 버전을 배경으로 한다.[67] 게임 마스터는 아케인 로어의 관리자("키퍼")라고 불리며, 플레이어 캐릭터는 미지의 탐구자("탐사자")라고 불린다.

주로 "광란의 20년대"라고 불리는 1920년대 미국을 무대로 하지만, 그 외의 시대와 장소를 배경으로 게임을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5판 이후의 기본 규칙서에서는 "1890년대", 1920년대, "현대"의 3가지 시대를 지원하며, 시나리오의 시대 설정에 맞춰 탐사자를 만들도록 되어 있다.

4. 1. 크툴루 신화

H. P. 러브크래프트의 소설에서 비롯된 설정으로, 인간은 이해할 수 없는 고대의 존재들과 그들에 얽힌 공포스러운 이야기를 다룬다. 크툴루, 니알라토텝, 요그 소토스 등이 주요 신화적 존재로 등장한다.[67]

4. 2. 현실과의 차이점

크툴루의 부름 RPG의 세계는 현실 세계를 기반으로 하지만,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을 보인다. 이러한 차이점은 주로 H. P. 러브크래프트의 크툴루 신화에 기반을 두고 있다.

  • 가상의 장소: 아캄, 인스머스와 같이 러브크래프트 소설에 등장하는 가상의 도시들이 게임의 배경으로 등장한다.[67]
  • 가상의 서적: 네크로노미콘 등 러브크래프트 작품에 등장하는 가상의 서적들이 게임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67]
  • 신화적 존재: 크툴루 신화에 등장하는 신화적 존재들과 그 추종자들이 현실 세계에 숨어 존재하며, 탐사자(플레이어 캐릭터)는 이들과 맞서 싸우거나, 때로는 협력해야 한다.[67]

5. 관련 작품 및 확장

카오시움은 크툴루의 부름 브랜드와 설정을 사용하여 다른 출판사들이 부록, 비디오, 카드 및 보드 게임을 제작할 수 있도록 라이선스를 부여했다.[31] 페이건 출판사의 델타 그린, 판타지 플라이트 게임즈의 아캄 호러와 같이 일부 게임들은 ''크툴루의 부름''에서 완전히 벗어나기도 했다. 이 외에도 인포그램즈, 미스캐토닉 리버 프레스, 시어터 오브 더 마인드 엔터프라이즈, 트라이어드 엔터테인먼트, 게임즈 워크숍,[31] RAFM 컴퍼니, 굿맨 게임즈, 그레네디어 모델스 및 Yog-Sothoth.com 등이 라이선스를 받았다.

호비 재팬은 『크툴루의 부름』이라는 제목을 상표 등록하여 1993년에 등록받았다.[67] 호비 재팬이 케이오시움 TRPG 작품의 번역권을 포기한 후에도 이 상표를 계속 보유했기 때문에, 아크라이트는 번역권을 획득한[68] 후 제목을 변경하고 재전개를 하게 되었다.[69]

호비 재팬은 상표 유지를 위해 "크툴루의 부름"이라는 이름을 사용한 카드 게임이나 보드 게임을 정기적으로 발매했으며, 2022년에는 "''Sandy Petersen's Cthulhu Mythos''" TRPG 서플리먼트를 번역 출판하며 『'''샌디 피터슨의 암흑 신화 체계 크툴루의 부름 TRPG'''』[70]라는 제목을 사용했다. 이로 인해 현재 일본 TRPG계에서는 원제 "''Call of Cthulhu''" = 현 일본어판 『크툴루 신화』, 원제 "''Cthulhu Mythos''" = 현 일본어판 『크툴루의 부름』이 되는 전도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d20 시스템을 사용한 스핀오프 작품인 『'''콜 오브 크툴루 d20'''』은 신기원사에서 번역되었다. "크툴루 신화 RPG"는 2020년에 개인에 의해, "크툴루 신화 TRPG"는 2022년에 KADOKAWA에 의해 상표 등록되었다.

세계관은 서플리먼트를 통해 고대 로마[85], 중세 유럽(『크툴루 다크 에이지』), 전국 시대 일본(『비에이산 염상』), 혁명기 프랑스,[86] 서부극 시대,[87] 빅토리아 시대 영국(『크툴루 바이 가스라이트』), 군국주의 일본(『크툴루와 제국』), 근미래,[88] 사이버펑크[89]까지 확장되었다.

『델타 그린』은 미국의 Pagan Publishing사에서 발매되었으며, 민간전승, UFO 음모론 등을 다루며, 미국 정부 비밀 조직 요원이 되어 신화 생물과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다. 2018년에는 독립된 롤플레잉 게임으로 새롭게 판매되었으며, 베이직 롤플레잉 시스템을 채용하여 ''크툴루의 부름''과 데이터를 상호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91]

2022년에는 카오시움사에서 『런던 경시청 특수범죄과』 TRPG가 발매되었다. 이 게임은 스코틀랜드 야드 런던 특수범죄과의 형사경찰관이 되어 초자연 현상과 관련된 사건을 해결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베이직 롤플레잉 시스템을 사용한다.[92]

5. 1. 서플리먼트

Call of Cthulhu영어의 서플리먼트는 다양한 시대와 지역, 테마를 다루며 게임의 세계관을 확장한다.

  • '''지역별 서플리먼트'''
  • 호주: 호주를 배경으로 한 《테러 오스트랄리스》가 1987년에 출판되었고, 2018년에 개정 및 업데이트되어 재발행되었다.[18][19][20][21][22][23]
  • 할렘 르네상스: 할렘 르네상스를 배경으로 하는 《Harlem Unbound》 2판이 2020년에 발매되었다.

  • '''테마별 서플리먼트'''
  • 러브크래프트의 드림랜드: 《드림랜드》는 러브크래프트의 드림랜드에서 플레이하는 데 필요한 추가 규칙, 대형 지도, 시나리오 소책자를 포함한다.[16]

5. 2. 파생 작품

카드 게임으로는 카오시움 사가 1990년대 중반에 제작, 판매한 ''Mythos''가 있다. 이 게임은 빠른 게임 플레이와 독특한 메커니즘으로 호평을 받았으나, 시장에서 큰 존재감을 얻지 못했다. ''크툴루의 부름: 카드 게임''은 판타지 플라이트 게임즈에서 제작한 두 번째 수집형 카드 게임이다.

비디오 게임으로는 인포그램즈에서 개발, 출시한 어드벤처 게임 ''섀도우 오브 더 코멧''(1993)과 그 후속작 ''프리즈너 오브 아이스''(1995)가 있다. ''섀도우 오브 더 코멧''은 H. P. 러브크래프트크툴루 신화를 기반으로 하며, ''던위치 호러''와 ''인스머스 그림자''의 요소를 사용했다. ''프리즈너 오브 아이스''는 광기의 산맥을 따르고 있다. Headfirst Productions에서 제작하고 Bethesda Softworks에서 2005/2006년에 PC 및 Xbox용으로 출시한 ''크툴루의 부름: 어둠 속의 심연''은 인스머스의 그림자로부터의 탈출 캠페인을 기반으로 한 1인칭 슈팅 어드벤처 게임이다.[38] 2012년 1월 30일에는 레드 와스프 디자인에서 개발한 모바일 비디오 게임 ''크툴루의 부름: 더 웨이스티드 랜드''가 출시되었다.[41] 2018년에는 생존 공포 롤플레잉 비디오 게임 ''크툴루의 부름 (비디오 게임)''이 출시되었다. 이 게임은 반(半)오픈 월드 환경을 특징으로 하며, H. P. 러브크래프트의 단편 소설 "크툴루의 부름"에서 영감을 받았다.

소설로는 드래곤 노벨스 레이블로 발매된 우치야마 세이지로의 ''크툴루 신화 TRPG 소설 내 정신력이 너무 낮아''(2019)가 있다.

만화로는 ''크툴루 신화 TRPG 리플레이 룰루이에 앤티크''(2017), ''크툴루 신화 TRPG 4컷 만화 유루루이에!''(2017), ''크툴루 신화 TRPG 리플레이 룰루이에 하이스쿨''(2017) 등이 있다.

드라마 CD로는 『크툴루 신화 TRPG 리플레이 룰루이에 트래블러즈』(2013)에 부속된 드라마 CD가 있다.

5. 3. 라이선스 작품

카오시움은 크툴루의 부름 브랜드와 설정을 사용하여 다른 출판사들이 부록, 비디오, 카드 및 보드 게임을 제작할 수 있도록 라이선스를 부여했다.[31] 페이건 출판사의 델타 그린, 판타지 플라이트 게임즈의 아캄 호러와 같이 일부 게임들은 ''크툴루의 부름''에서 완전히 벗어나기도 했다.

펠그레인 프레스는 검슈 시스템을 사용한 ''크툴루의 부름의 흔적''을 출판했고,[32] 리얼리티 블러는 세이비지 월드 시스템용 보충 자료인 ''크툴루의 영역''을 출판했다.[35]

페이건 출판사는 1990년대를 배경으로 하는 ''델타 그린''을 출판했으며, 이후 아크 드림 출판사는 ''크툴루의 부름'' 메커니즘을 일부 사용하여 ''델타 그린''을 독립형 게임으로 출시했다.

이 외에도 로마 시대,[85] 중세 유럽, 전국 시대 일본(『비에이산 염상』), 혁명기 프랑스,[86] 서부극 시대,[87] 빅토리아 시대 영국(『크툴루 바이 가스라이트』), 군국주의 일본(『크툴루와 제국』), 근미래,[88] 사이버펑크[89] 등 다양한 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서플리먼트가 존재한다.

미국의 Pagan Publishing사에서 발매된 『델타 그린』은 민간전승, UFO 음모론 등을 다루며, 미국 정부 비밀 조직의 요원이 되어 신화 생물과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다. 델타 그린은 2018년에 독립된 롤플레잉 게임으로 새롭게 판매되었으며, 베이직 롤플레잉 시스템을 채용하여 ''크툴루의 부름''과 데이터를 상호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91]

2022년에는 카오시움사에서 『런던 경시청 특수범죄과』 TRPG가 발매되었다. 이 게임은 스코틀랜드 야드 런던 특수범죄과의 형사경찰관이 되어 초자연 현상과 관련된 사건을 해결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베이직 롤플레잉 시스템을 사용한다.[92]

참조

[1] 서적 Hobby Games: The 100 Best Green Ronin Publishing
[2] 웹사이트 Game Info: Call of Cthulhu http://index.rpg.net[...] Skotos Tech, Inc. 2015-03-29
[3] 웹사이트 The Prehistory of Call of Cthulhu http://grognardia.bl[...] 2023-02-22
[4] 간행물 Open Box: Call of Cthulhu Games Workshop 1982-08
[5] 웹사이트 Inside Call of Cthulhu 7th Edition http://theunspeakabl[...] The Unspeakable Oath 2013-01-25
[6] 웹사이트 "Call of Cthulhu'' 20th Anniversary Edition" http://www.caliverbo[...] 2015-09-02
[7] 웹사이트 Call of Cthulhu (1st Edition) https://rpggeek.com/[...] 2015-09-01
[8] 웹사이트 Call of Cthulhu (2nd Edition) https://rpggeek.com/[...] 2015-09-01
[9] 웹사이트 Call of Cthulhu (3rd Edition) https://rpggeek.com/[...] 2015-09-01
[10] 웹사이트 Call of Cthulhu (4th Edition) https://rpggeek.com/[...] 2015-09-01
[11] 웹사이트 Call of Cthulhu (5th Edition) https://rpggeek.com/[...] 2015-09-01
[12] 웹사이트 20th Anniversary Edition Call Of Cthulhu RPG http://www.chaosium.[...] Chaosium 2015-09-12
[13] 웹사이트 Call of Cthulhu (6th Edition/20th Anniversary releases) https://rpggeek.com/[...] 2015-09-01
[14] 웹사이트 Call of Cthulhu (6th Edition) https://rpggeek.com/[...] 2015-09-01
[15] 웹사이트 Call of Cthulhu (7th Edition) https://rpggeek.com/[...] 2015-09-01
[16] 간행물 Open Box: Dungeon Modules Games Workshop 1985-11
[17] 간행물 Open Box: Dungeon Modules Games Workshop 1983-11
[18] 서적 Terror Australis: Cthulhu down under: background and adventures https://trove.nla.go[...] Chaosium 2020-05-08
[19] 웹사이트 Review of Terror Australis https://www.rpg.net/[...] 2020-05-08
[20] 웹사이트 Review of Terror Australis https://www.rpg.net/[...] 2020-05-08
[21] 서적 Terror Australis: Call of Cthulhu in the land down under Chaosium 2018
[22] 서적 Terror Australis: Call of Cthulhu in the Land Down Under https://trove.nla.go[...] Chaosium 2020-05-08
[23] 서적 Terror Australis: Call of Cthulhu in the land down under https://trove.nla.go[...] Chaosium 2020-05-08
[24] 웹사이트 Tabletop RPG Harlem Unbound 2E includes a crash course on addressing race in games https://www.dicebrea[...] 2024-09-03
[25] 웹사이트 "'All our RPGs start with the people': Chris Spivey on Harlem Unbound, Haunted West and what comes next" https://www.dicebrea[...] 2024-09-03
[26] 웹사이트 Previous Award Winners https://www.igdnonli[...] 2024-09-03
[27] 뉴스 Taking Preorders: Call of Cthulhu 30th Anniversary Edition http://www.chaosium.[...] 2011-07-16
[28] 웹사이트 Call of Cthulhu 7th Edition Kickstarter https://www.kickstar[...] Chaosium 2018-07-13
[29] 웹사이트 Call of Cthulhu 7th Edition https://www.kickstar[...] 2015-06-11
[30] 웹사이트 The Print Version of the 7th Edition of Call of Cthulhu is Now Available – Black Gate https://www.blackgat[...] 2016-09-23
[31] 문서 Games Workshop was active with Chaosium from 1983 to 1987, mostly publishing the BRP games in hardback bookform but producing some material, notably ''[[Green and Pleasant Land]]'' (1987) by [[Marc Gascoigne]], [[Bryan Ansell]] and others
[32] 웹사이트 The Trail of Cthulhu http://pelgranepress[...] 2007-08-17
[33] 간행물 In-Depth RPG Review: Trail of Cthulhu https://www.wired.co[...] 2020-11-16
[34] 웹사이트 Shadows of Cthulhu is now on sale! http://www.rpgobject[...] 2008-09-16
[35] 웹사이트 Realms of Cthulhu http://realityblurs.[...] 2010-01-30
[36] 웹사이트 Wizards' d20 Cthulhu Forum to Close http://www.yog-sotho[...] Yog-Sothoth.com 2003-11-18
[37] 웹사이트 Play Call of Cthulhu and RuneQuest with Ardent Roleplay Augmented Reality https://www.chaosium[...] 2020-05-08
[38] 웹사이트 Call of Cthulhu: Dark Corners of the Earth Interview http://uk.ign.com/ar[...] 2000-02-08
[39] 웹사이트 Call of Cthulhu Coming to Mobile http://www.chaosium.[...]
[40] 뉴스 Call of Cthulhu The Wasted Land http://redwaspdesign[...] 2011-05
[41] 웹사이트 Call of Cthulhu The Wasted Land Launches http://redwaspdesign[...] 2012-01-30
[42] 웹사이트 Apple Store: Cthulhu Chronicles https://itunes.apple[...]
[43] 웹사이트 MetaArcade: Cthulhu Chronicles https://www.metaarca[...]
[44] 웹사이트 MetaArcade launches Cthulhu Chronicles horror game on iOS https://venturebeat.[...] 2018-07-10
[45] 간행물 Featured Review: Call of Cthulhu Steve Jackson Games 1982-03
[46] 간행물 Call of Cthulhu Diverse Talents, Incorporated 1987-10
[47] 간행물 Open Box Games Workshop 1982-08
[48] 간행물 Open Box Games Workshop 1986-08
[49] 간행물 The Dragon's Augury TSR 1982-05
[50] 간행물 Roleplaying Review TSR 1987-08
[51] 간행물 Roleplaying Reviews TSR 1988-10
[52] 간행물 Roleplaying Reviews TSR 1990-06
[53] 간행물 Roleplaying Reviews II TSR 1992-10
[54] 서적 The Complete Guide to Role-Playing Games St. Martin’s Press 1990
[55] 잡지 Challenge Reviews 1993
[56] 간행물 Arcane Presents the Top 50 Roleplaying Games 1996 Future plc 1996-12-25
[57] 웹사이트 Art of the Genre: The Top 10 Role-Playing Games of All-Time – Black Gate https://www.blackgat[...] 2013-06-10
[58] 웹사이트 The Orr Report Q3 2021 https://blog.roll20.[...] 2021-11-11
[59] 웹사이트 The Orr Group Industry Report Q1 2021 https://blog.roll20.[...] Roll20 2021-04-15
[60] 웹사이트 The many-tentacled reach of Call of Cthulhu, among Korea and Japan's most popular RPGs https://www.polygon.[...] polygon.com 2023-02-08
[61] 웹사이트 Horror RPG Call of Cthulhu is bigger than D&D in Japan https://www.dicebrea[...] dicebreaker.com 2021-02-09
[62] 서적 Monsters, Aliens, and Holes in the Ground MIT Press 2023
[63] 웹사이트 Chaosium Awards http://www.chaosium.[...] Chaosium 2022-02-08
[64] 웹사이트 Origins Award Winners (1995) http://www.originsga[...] Academy of Adventure Gaming Arts & Design 2007-11-01
[65] 웹사이트 The ENnie Awards -- 2002 Awards http://www.ennie-awa[...] 2022-04-27
[66] 웹사이트 2024 Winners & Nominees – ENNIE Awards https://ennie-awards[...] 2024-08-26
[67] 문서 登録2594408 (商願平03-070727)、登録2603493 (商願平03-070728)
[68] Twitter Chaosium_Inc
[69] 문서 なお、「クトゥルフ神話TRPG」(第6版)のルールブック奥付に、「Call of Cthulhuはホビージャパンの登録商標である」という記載が見られるが、日本の特許情報データベースにそのような記録はない。
[70] 문서 玩具流通商品、ISBNなし
[71] 웹사이트 "''Call of Cthulhu'' 20th Anniversary Edition" http://www.caliverbo[...] 2015-09-02
[72] 웹사이트 Call of Cthulhu (1st Edition) https://rpggeek.com/[...] 2015-09-01
[73] 웹사이트 Call of Cthulhu (2nd Edition) https://rpggeek.com/[...] 2015-09-01
[74] 웹사이트 Call of Cthulhu (3rd Edition) https://rpggeek.com/[...] 2015-09-01
[75] 웹사이트 Call of Cthulhu (4th Edition) https://rpggeek.com/[...] 2015-09-01
[76] 웹사이트 Call of Cthulhu (5th Edition) https://rpggeek.com/[...] 2015-09-01
[77] 웹사이트 20th Anniversary Edition Call Of Cthulhu RPG http://www.chaosium.[...] Chaosium 2015-09-12
[78] 웹사이트 Call of Cthulhu (6th Edition/20th Anniversary releases) https://rpggeek.com/[...] 2015-09-01
[79] 웹사이트 Call of Cthulhu (6th Edition) https://rpggeek.com/[...] 2015-09-01
[80] 웹사이트 Call of Cthulhu (7th Edition) https://rpggeek.com/[...] 2015-09-01
[81] 웹사이트 Advanced Designers & Dragons #3: Chaosium - Recent History: 1997-Present https://www.rpg.net/[...] RPGnet 2016-08-17
[82] 문서 このゲームにおけるSAN値、正確には「能力値SAN」とは、POW×5で算出される値であり、正気度とは別の能力値である。第5版20ページには「(正気度を解説している)その章では'''能力値のSANと正気度、最大正気度の違いを説明しています'''」とさえある。
[83] 문서 第5版20ページの解説から抜粋すると「正気度99の人物は、意志の力が大変強い人物ということを示しています」。また「自然の出来事でも失うことがあります」と記されており、実際に、通常の死体を見た場合でも失われる正気度は死体の損壊度ごとに列記してあり、超自然現象に限らない。
[84] 문서 第5版ルールブックには「狂気に陥る」としかない。
[85] 문서 "Cthulhu Invictus", 未訳
[86] 문서 "Cthulhu Reign of Terror", 未訳
[87] 문서 "Cthulhu Down Darker Trails", 未訳
[88] 문서 "End of the World", 未訳
[89] 문서 "Punktown ", 未訳
[90] 문서 "Cthulhu Dark"が代表的
[91] 웹사이트 Delta Green https://www.delta-gr[...] 2024-07-04
[92] 웹사이트 Rivers of London - Basic Roleplaying https://www.chaosium[...] 2024-07-04
[93] 뉴스 ASCII.jp:ニコ動のTRPG動画4万本を大調査! ネットでアナログゲームが復活!- https://ascii.jp/ele[...]
[94] 뉴스 第7版発売時プレスリリース https://www.4gamer.n[...]
[95] 웹사이트 まさかのブーム!? ニコニコ動画で盛り上がるTRPG動画 https://ddnavi.com/n[...] 2024-07-04
[96] 웹사이트 クトゥルフ神話TRPGの公式サイトがオープン。ルールブックや遊ぶ環境などのアンケートも実施 https://www.famitsu.[...] 2024-07-04
[97] 웹사이트 "「クトゥルフ神話TRPG ルールブックPLUS」のAndroid版がリリース。紙書籍の所持者向けに1か月無料クーポンを配布" https://www.4gamer.n[...] 2024-07-04
[98] 웹사이트 クトゥルフ神話TRPGの公式Discordサーバーがプレオープン。セッション募集や探索者、おすすめシナリオを紹介できるコミュニティ機能などを実装 https://www.famitsu.[...] 2024-07-04
[99] 웹사이트 スタジオ・アーカムが「クトゥルフ神話TRPG」シリーズの翻訳を行う翻訳者を募集中 https://www.roleplay[...] 2024-10-16
[100] 웹사이트 【追記】ニコニコサービスが利用できない状況について https://blog.nicovid[...] 2024-10-16
[101] 웹사이트 KADOKAWAグループの複数ウェブサイトにおける障害の発生について https://prtimes.jp/m[...] 2024-10-16
[102] 웹사이트 8月5日15時、ニコニコが再開新バージョン名は「帰ってきたニコニコ」 https://web.archive.[...] 2024-1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