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큰부리도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큰부리도요는 시베리아와 만주 내륙의 습지에서 번식하며, 동남아시아와 오스트레일리아 북부 등 남쪽으로 이동하는 철새이다. 검은색 다리와 긴 일자형 부리를 가지며, 부리의 길이는 긴부리도요에 비해 짧은 편이다. 얕은 물이나 진흙에서 곤충, 연체동물, 갑각류 등을 먹으며, 비번식기에는 해안가, 논, 습지, 하구, 갯벌 등에서 서식한다. 울음소리는 "체체", "켕"과 같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긴부리도요속 - 짧은부리도요
    짧은부리도요는 북아메리카 북부에서 번식하고 남아메리카 북부에서 월동하는 철새로, 긴 부리, 붉은색 배, 줄무늬 꼬리를 가지며 곤충, 연체동물, 갑각류 등을 먹고 습지, 갯벌 등에 서식한다.
  • 1848년 기재된 새 - 곤줄박이
    곤줄박이는 몸길이 12~14cm의 작은 새로, 검은 머리, 흰색 뺨, 밤색 배가 특징이며 한국, 일본, 중국 동북부, 러시아 등지에 분포하는 참새목 박새과의 조류이고 곤충류와 땅콩 등을 먹으며 산림과 주택가에서 관찰되고 과거 일본에서 재주를 부리게 하기도 했으며 현재 IUCN에 의해 관심 필요 등급으로 지정되어 있고 일부 아종은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 1848년 기재된 새 - 박새 (새)
    박새는 동아시아와 러시아 극동 지역에 분포하는 작은 새이며, 곤충류를 주로 먹고 다양한 환경에서 흔하게 관찰되며, 나무 구멍이나 인공 새집을 둥지로 사용하고, 천적에 따라 다른 울음소리로 의사소통을 한다.
  • 몽골의 새 - 멧새
    멧새는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며, 수컷은 적갈색 바탕에 줄무늬가 있고 암컷은 색이 옅으며, 건조하고 개방된 서식지에서 덤불 속이나 땅에 둥지를 짓고 잡식성으로 생활하며 IUCN 최소관심종으로 분류된다.
  • 몽골의 새 - 수리부엉이
    수리부엉이는 유라시아 대륙에 널리 분포하는 대형 맹금류로, 다양한 깃털 색깔, 주황색 눈, 곧게 선 귀깃이 특징이며, 서식지 파괴, 먹이 오염 등으로 위협받고 있어 한국에서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및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큰부리도요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겨울 깃털의 모습
겨울 깃털의 모습
학명Limnodromus semipalmatus
명명자Blyth, 1848
이명Macrorhamphus semipalmatus Blyth, 1848
영어 이름Asiatic Dowitcher
일본어 이름シベリアオオハシシギ (Shiberiaōhashishigi)
보존 상태
IUCNNT
IUCN 기준IUCN3.1
IUCN 참고참고

2. 분포

큰부리도요는 시베리아만주 내륙의 풀로 덮인 습지에서 번식한다. 구체적으로는 러시아오비강 유역, 바이칼 호 주변, 중국 동북부 등이 번식지로 알려져 있다. 겨울에는 남쪽으로 이동하여 인도 동부, 동남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북부 등에서 월동한다.

번식기와 월동기 모두 주로 해안 지역에서 발견되지만, 정확한 번식지와 월동지에 대한 상세한 정보는 아직 부족하며, 분포는 다소 국지적인 경향을 보인다.

일본에서는 드문 나그네새로서, 봄과 가을의 이동 시기에 소수가 찾아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대부분 1마리씩 관찰된다. 대한민국에서도 드물게 관찰되는 나그네새로 추정된다.

3. 형태

전장은 약 35cm이다. 성체는 검은색 다리와 길고 곧은 검은색 부리를 가진다.[1][2] 부리는 긴부리도요에 비해 약간 짧은 편이다.[1][2]

번식깃 상태일 때는 몸 윗면은 갈색이고 아랫면은 불그스름한 색을 띤다.[1][2] 꼬리에는 검은색과 흰색 줄무늬가 있다.[1][2] 겨울깃은 전반적으로 회색을 띤다.[1][2]

3. 1. 유사 종과의 구별

큰부리도요는 서식 범위가 겹치지 않는 미국의 도요새와는 혼동될 가능성이 낮으며, 아시아에 서식하는 종이 훨씬 크다. 가장 유사한 종은 작은 넓적부리도요인데, 작은 넓적부리도요 특유의 "재봉틀"처럼 부리를 빠르게 움직이는 먹이 활동 방식과 꽥꽥거리는 울음소리로 구별할 수 있다.

작은 넓적부리도요의 전장은 약 35cm이며, 체색 등은 큰부리도요와 매우 흡사하다.

  • 하계 깃털 (수컷 성조): 얼굴부터 가슴까지 적갈색이며, 머리에서 등까지 검은 세로 얼룩이 있다. 아랫배에서 아래꼬리덮깃까지는 흰색 바탕에 흑갈색 반점이 있다.
  • 하계 깃털 (암컷 성조): 수컷에 비해 깃털 색이 옅다.
  • 동계 깃털 (성조): 수컷과 암컷 모두 머리 윗부분과 몸 윗면은 회갈색이며, 눈썹선은 흰색이다. 몸 아랫면은 흰색이며, 목과 가슴에 회갈색 반점이 있다.
  • 부리: 검은색으로 길게 뻗어 있다.
  • 다리: 검은색이며, 큰부리도요보다 길다.

4. 생태

큰부리도요 (1995년 촬영)


큰부리도요의 번식지는 시베리아만주 내륙의 풀로 덮인 습지이다. 번식 후에는 동남아시아오스트레일리아 북부 등 남쪽으로 이동하여 월동하지만, 정확한 번식지와 월동지는 자세히 알려져 있지 않다. 번식기와 월동기 모두 주로 해안 지역에서 서식하며, 비번식기에는 해안가의 , 습지, 하구, 갯벌 등에서도 발견된다.

주로 얕은 물이나 젖은 진흙을 부리로 탐색하며 먹이를 찾는다. 물속에 부리를 꽂아 넣는 방식으로 곤충, 연체동물, 갑각류, 해양 연충류 등을 잡아먹으며, 일부 식물성 먹이도 섭취한다.

성체는 다리가 어둡고 길며, 곧고 어두운 색의 부리를 가지고 있다. 이 부리는 장부리도요의 부리보다 약간 짧다. 몸통 깃털은 번식기에는 윗면이 갈색, 아랫면이 붉은색을 띠며, 꼬리에는 검은색과 흰색 줄무늬가 있다. 겨울깃은 전반적으로 회색을 띤다.

4. 1. 울음소리

울음소리는 "체체", "켕" 소리를 내며, 비번식기에는 거의 울지 않는다.

참조

[1] 간행물 Limnodromus semipalmatus 2016
[2] 간행물 Limnodromus semipalmatus https://www.iucnredl[...] 2013-11-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