짧은부리도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짧은부리도요는 도요과의 조류로, 1789년 요한 프리드리히 괼린에 의해 학명이 명명되었다. 3개의 아종(L. g. caurinus, L. g. hendersoni, L. g. griseus)이 있으며, 성체의 윗부분은 어두운 갈색, 아랫부분은 불그스름한 형태를 띤다. 북아메리카의 수렁, 감조습지 등에서 번식하며, 겨울에는 미국 남부와 브라질까지 이동한다. 얕은 물이나 진흙에서 곤충, 연체동물 등을 먹으며, 울음소리는 "튜 튜 튜"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긴부리도요속 - 큰부리도요
큰부리도요는 길고 굽은 부리와 검은 다리가 특징인 19~21cm 크기의 도요새로, 시베리아와 알래스카에서 번식하고 동남아시아에서 월동하며, 한국에서는 멸종 위기에 놓인 나그네새로 드물게 관찰된다. - 1789년 기재된 새 - 바위비둘기
바위비둘기는 전 세계에 분포하는 비둘기과의 새로, 야생에서는 바위 절벽에 살지만 도시 환경에도 적응하여 살아가며, 인간과의 공생 관계 속에서 질병 매개 및 환경 오염의 문제점을 야기하기도 한다. - 1789년 기재된 새 - 뜸부기
뜸부기는 뜸부기과에 속하는 새로, 옆으로 납작한 몸, 긴 발가락, 짧은 꼬리를 가졌으며, 수컷은 붉은색 이마판과 뿔을 가진 것이 특징이고, 아시아 지역 습지에서 서식하며 곤충, 연체동물, 씨앗 등을 먹는 잡식성 새로 6~9월에 번식한다. - 캐나다의 새 - 갈매기
갈매기는 도요목 갈매기과에 속하는 바닷새의 총칭으로, 전 세계 연안과 하구 등에서 서식하며 잡식성으로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고, 한국에서는 겨울철새이자 여러 지역의 상징 새이기도 하다. - 캐나다의 새 - 대백로
대백로는 전 세계 온대 및 열대 지역에 분포하는 왜가리과에 속하는 흰색 대형 조류로, 번식기에는 장식깃과 검은 부리를 가지며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고 집단 번식을 하는 습성이 있고, 과거 남획으로 개체수가 감소했으나 보호 조치로 회복되었지만 서식지 파괴로 지속적인 보호가 필요하다.
짧은부리도요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강 (새) |
목 | 도요목 |
과 | 도요과 |
속 | 오오하시시기속 |
종 | 미국오오하시시기 |
일반 정보 | |
학명 | Limnodromus griseus |
명명자 | 요한 프리드리히 그멜린, 1789년 |
이명 | Scolopax grisea Gmelin, 1789 |
영어 이름 | Short-billed Dowitcher |
일본어 이름 | アメリカオオハシシギ (Amerikaōhashishigi) |
한국어 이름 | 짧은부리도요 |
보존 상태 | |
IUCN Red List | VU (취약) |
상태 참조 | https://www.iucnredlist.org/details/22693344/0 |
분포 | |
![]() |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 https://archive.org/details/sibleyguidetobir00sibl_0/page/483 Paulson, Dennis R. (1993). Shorebirds of the Pacific Northwest.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https://archive.org/details/fieldguidetoadva00kauf |
참고 사이트 | https://en.wiktionary.org/wiki/dowitcher#English |
2. 분류
짧은부리도요는 세 아종으로 나뉜다.[8]
2. 1. 학명 및 명명
짧은부리도요는 1789년 독일의 박물학자 요한 프리드리히 괼린이 칼 폰 린네의 ''자연의 체계'' 수정·증보판에서 종 설명을 공식적으로 작성하면서 처음 알려졌다. 괼린은 이 종을 꺅도요속에 넣고 이명 ''꺅도요속 grisea''를 부여했다.[2] 그는 1785년 영국의 조류학자 존 레덤과 웨일스 박물학자 토머스 페넌트가 설명한 뉴욕 해안의 "갈색 꺅도요"를 바탕으로 자신의 설명을 작성했다.[3][4] 짧은부리도요는 현재 프린츠 막시밀리안 츠 비트-노이비트가 1833년에 도입한 ''Limnodromus'' 속에 속한다.[5] 속명은 "늪"을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 ''limnē''와 "-경주자" 또는 "-주자"를 뜻하는 ''-dromos''를 합친 것이다. 종명 ''griseus''는 "회색"을 뜻하는 중세 라틴어이다.[6] 영어 이름 "dowitcher"는 이로쿼이족에서 유래되었으며 1841년에 처음 기록되었다.[7]다음은 인정되는 세 아종이다:[8]
아종 | 번식지 | 월동지 |
---|---|---|
L. g. caurinus 피텔카, 1950 | 알래스카 만과 알래스카 중남부 내륙, 유콘 남서부 및 브리티시컬럼비아 북서부 산지(캐나다 북서부) | 미국 중부 ~ 페루 |
L. g. hendersoni 로완, 1932 | 앨버타 중북부 ~ 매니토바 서부(캐나다 중부) | 미국 남동부 ~ 파나마 |
L. g. griseus (괼린, JF, 1789) | 허드슨만 남서부 및 제임스만 ~ 래브라도 서부(캐나다 중동부) | 미국 남부 ~ 브라질 |
2. 2. 아종
아종 | 학명 | 번식지 | 월동지 |
---|---|---|---|
L. g. griseus | (괼린, JF, 1789) | 허드슨 만 남서부 및 제임스 만 ~ 래브라도 서부(캐나다 중동부) | 미국 남부 ~ 브라질 |
L. g. hendersoni | 로완, 1932 | 앨버타 중북부 ~ 매니토바 서부(캐나다 중부) | 미국 남동부 ~ 파나마 |
L. g. caurinus | 피텔카, 1950 | 알래스카 만과 알래스카 중남부 내륙, 유콘 남서부 및 브리티시컬럼비아 북서부 산지(캐나다 북서부) | 미국 중부 ~ 페루 |
- ''L. g. griseus''는 흰 배와 가로줄무늬 옆구리를 가졌다.[16]
- ''L. g. hendersoni''는 빨간 배와 점박이 옆구리를 가졌다.[16]
- ''L. g. caurinus''는 흰 배, 가로줄무늬 옆구리, 촘촘한 점박이 가슴을 가졌다.[16]
3. 형태
짧은부리도요는 몸길이 23cm에서 32cm, 날개 길이 46cm에서 56cm, 체질량 73g에서 155g이다.[16] 겨울 깃털은 보통 회색이며, 긴부리도요에 비해 울음소리가 더 부드럽다. 아종으로는 ''L. g. griseus'' (흰색 배와 줄무늬가 있는 옆구리), ''L. g. hendersoni'' (붉은색 배와 반점이 있는 옆구리), ''L. g. caurinus'' (흰색 배에 짙은 줄무늬가 있는 옆구리와 조밀한 반점이 있는 가슴)가 있다.
3. 1. 성조
성체의 윗부분은 어두운 갈색이며, 아랫부분은 불그스름하다. 꼬리에는 검은색, 흰색 무늬가 있다. 다리는 노르스름하다.[16] 몸 길이는 23cm에서 32cm이고, 날개 길이는 46cm에서 56cm이며, 체질량은 73g에서 155g이다.[16] 울음 소리는 긴부리도요에 비해 더 부드럽다.아종은 다음과 같다.
- ''L. g. griseus''는 흰색 배와 줄무늬가 있는 옆구리를 가지고 있다.
- ''L. g. hendersoni''는 붉은색 배와 반점이 있는 옆구리를 가지고 있다.
- ''L. g. caurinus''는 흰색 배에 짙은 줄무늬가 있는 옆구리와 조밀한 반점이 있는 가슴을 가지고 있다.
전장 약 28cm. 성조 하계 깃털은 얼굴에서 배까지 귤갈색이며, 옅은 눈썹선과 흑갈색의 눈선이 있다. 가슴에서 옆구리에 걸쳐 검은 원형 반점과 가로 줄무늬가 있다. 성조 동계 깃털은 머리 위와 몸의 윗면이 짙은 회갈색이며, 눈썹선은 흰색이다. 몸의 아랫면은 희끄무레하다. 부리는 검고 길게 뻗어 있지만, 큰뒷부리도요에 비하면 짧다. 암수 동일하다.
3. 2. 울음소리
긴부리도요에 비해 울음소리가 더 부드러우며, 특히 식별이 어려운 성체의 깃털을 식별하는 데 유용하다.[16] 울음소리는 매우 빠르게 "튜 튜 튜"와 같다.4. 분포 및 서식지
짧은부리도요는 철새로서 북아메리카 북부에서 번식하고, 미국 남부와 브라질 남부에서 월동한다. 이동 중에는 긴부리도요보다 해안가에서 더 자주 발견된다. 유럽 서부에서는 매우 드물게 길잃은새(vagrant)로 발견되기도 한다.[9] 비번식기에는 해안가의 논, 습지, 갯벌 등에 서식한다.
4. 1. 번식지
짧은부리도요의 번식지는 북아메리카의 수렁, 감조습지, 갯벌, 교목한계 남쪽의 산림개간지 등이다. ''L. g. griseus''는 퀘벡주 북부, ''L. g. hendersoni''는 캐나다 중심부의 북부, ''L. g. caurinus''는 알래스카 남부와 유콘 준주 북부에서 주로 번식한다.짧은부리도요는 보통 물과 가까운 땅에 둥지를 튼다. 둥지는 풀이나 이끼가 약간 움푹 들어간 형태이며, 얇은 풀과 가지, 잎들이 그 속에 들어 있다. 세 개일 때도 있지만, 보통 네 개의 갈색 알을 낳는다. 성별에 관계 없이 부부가 함께 21일 간 알을 품는다.
솜털로 뒤덮인 새끼 새들은 부화 후에 곧 둥지를 떠난다. 부모의 역할이 정확히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새끼 새를 돌보기 위해 암컷은 수컷을 떠나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새끼 새들은 그들의 먹이를 스스로 찾는 것으로 추정된다.
4. 2. 월동지
짧은부리도요는 철새로서 미국 남부, 브라질까지 남쪽으로 이동한다. 이동 기간 동안 긴부리도요에 비해 더 해안 쪽에서 지내는 것으로 추정된다. 매우 드물게 유럽 서부에서 길잃은새(vagrant)로 발견되기도 한다.[9] 알래스카 남부, 캐나다 중부에서 번식하며, 겨울에는 북아메리카 남부, 중앙아메리카, 남아메리카 북부의 해안 지역으로 이동하여 월동한다.일본에서는 미조로서, 1982년 9월 가나가와현에서 처음 기록되었고, 그 후, 시즈오카현·도쿠시마현에서 기록이 있다.
4. 3. 한국에서의 관찰
는 대한민국에서 관찰된 기록이 없다.5. 생태
짧은부리도요는 얕은 물이나 젖은 진흙 속을 탐사하며 먹이를 찾는다. 주로 곤충, 연체동물, 갑각류 및 해양 연충류를 먹지만, 일부 식물성 물질도 섭취한다. 비번식기에는 해안가의 논이나 습지, 갯벌에 서식한다. 울음소리는 매우 빠르게 "튜 튜 튜"하고 낸다.
5. 1. 둥지
짧은부리도요는 보통 물과 가까운 땅에 둥지를 튼다. 둥지는 풀이나 이끼가 약간 움푹 들어간 형태이며, 얇은 풀과 가지, 잎들이 그 속에 들어 있다. 보통 네 개의 갈색 알을 낳지만, 세 개일 때도 있다.[1] 암컷과 수컷 모두 21일 동안 알을 품는다.[1]솜털로 뒤덮인 새끼 새들은 부화 후 곧 둥지를 떠난다.[1] 부모의 역할이 정확히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새끼를 돌보기 위해 암컷은 수컷을 떠나는 것으로 추정된다.[1] 또한, 새끼들은 스스로 먹이를 찾는 것으로 추정된다.[1]
5. 2. 산란
짧은부리도요는 보통 물과 가까운 땅에 둥지를 튼다. 둥지는 풀이나 이끼가 약간 움푹 들어간 형태이며, 얇은 풀과 가지, 잎들이 그 속에 들어 있다. 보통 네 개의 갈색 알을 낳지만, 세 개일 때도 있다.[1] 암컷과 수컷 모두 21일 동안 알을 품는다.[1]솜털로 뒤덮인 새끼 새들은 부화 후 곧 둥지를 떠난다.[1] 부모의 역할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암컷은 떠나고 수컷이 새끼를 돌보는 것으로 추정된다.[1] 또한, 새끼 새들은 스스로 먹이를 찾는 것으로 추정된다.[1]
5. 3. 부화 및 육추
짧은부리도요는 보통 물과 가까운 땅에 둥지를 튼다. 둥지는 풀이나 이끼가 약간 움푹 들어간 형태이며, 얇은 풀과 가지, 잎들이 그 속에 들어 있다. 보통 네 개의 갈색 알을 낳지만, 세 개일 때도 있다. 성별에 관계 없이 부부가 함께 21일 간 알을 품는다.[1]솜털로 뒤덮인 새끼 새들은 부화 후에 곧 둥지를 떠난다. 부모의 역할이 정확히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새끼를 돌보기 위해 암컷은 수컷을 떠나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새끼들은 스스로 먹이를 찾는 것으로 추정된다.[1]
5. 4. 먹이
이들은 얕은 물이나 진흙에서 먹잇감을 캐낸다. 주로 곤충, 연체동물, 갑각류, 해양 연충류 등을 먹으며 몇 가지 식물도 먹는다. 비번식기에는 해안가의 논, 습지, 갯벌에 서식한다.6. 보전 상태
해당 문서는 넘겨주기 문서이므로 작성할 내용이 없습니다.
6. 1. 보전 노력 (한국의 관점)
- #넘겨주기
참조
[1]
간행물
"''Limnodromus griseus''"
2021-11-12
[2]
서적
Systema naturae per regna tria naturae :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https://www.biodiver[...]
Georg. Emanuel. Beer
[3]
서적
A General Synopsis of Birds
https://www.biodiver[...]
Printed for Leigh and Sotheby
[4]
서적
Arctic Zoology
https://www.biodiver[...]
Printed by Henry Hughs
[5]
서적
Beiträge zur Naturgeschichte von Brasilien
https://www.biodiver[...]
Im Verlage des Landes-Industrie-Comptoirs
1832
[6]
서적
The Helm Dictionary of Scientific Bird Names
Christopher Helm
[7]
OED
Dowitcher
[8]
웹사이트
Sandpipers, snipes, coursers
https://www.worldbir[...]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22-11-06
[9]
문서
室伏友三・中村一恵「日本新記録のアメリカオオハシシギについて」『Strix』2巻、日本野鳥の会、1983年、104-106頁
[10]
간행물
"''Limnodromus griseus''"
https://www.iucnredl[...]
2013-11-26
[11]
OED
Dowitcher
[12]
문서
American Ornithologist' Union. Check-list of North American Birds. American Ornithologists' Union. 1998.
[13]
서적
The Sibley Guide to Birds
https://archive.org/[...]
Knopf
2000
[14]
서적
Shorebirds of the Pacific Northwest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5]
서적
Kaufman Field Guide to Advanced Birding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Harcourt
[16]
문서
"CRC Handbook of Avian Body Masses by John B. Dunning Jr. (Editor). CRC Press (1992), ISBN 978-0-8493-4258-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