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브롱 만 해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키브롱 만 해전은 1759년 11월 20일에 벌어진 영국과 프랑스 간의 해전으로, 7년 전쟁의 주요 전투 중 하나이다. 프랑스는 영국 본토 침공을 위해 키브롱 만에 병력을 집결시켰으나, 영국 해군의 봉쇄로 인해 출격에 어려움을 겪었다. 프랑스 함대는 브레스트를 출항하여 키브롱 만으로 향했으나, 에드워드 호크 제독이 이끄는 영국 함대와 교전하여 패배했다. 이 해전에서 영국이 승리하면서 프랑스의 영국 침공 계획이 좌절되었고, 프랑스 해군은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 키브롱 만 해전은 영국이 해상 패권을 장악하고 북아메리카와 인도 등지에서 프랑스를 상대로 우위를 점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으며, 특히 누벨프랑스의 운명을 결정지었다고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59년 분쟁 - 민덴 전투
민덴 전투는 1759년 7년 전쟁 중 브라운슈바이크 공 페르디난트의 연합군이 프랑스군을 격파한 전투로, 프랑스는 하노버 점령에 실패하고 영국군은 승리했지만 지휘관의 명령 불복종으로 비판받았으며, 영국 군대 전통에 깊이 새겨져 민덴 데이로 기념된다. - 1759년 분쟁 - 막센 전투
막센 전투는 7년 전쟁 중 막센 인근에서 프로이센 군단이 오스트리아군에 포위되어 큰 피해를 입고 항복한 전투로, 프로이센 전력에 타격을 주고 프리드리히 2세를 격노하게 만들었다. - 프랑스가 참가한 해전 - 트라팔가르 해전
트라팔가르 해전은 1805년 영국 해군이 프랑스-스페인 연합 함대를 상대로 혁신적인 전술을 사용하여 승리함으로써 영국의 해상 지배권을 확립하고 나폴레옹의 영국 침공을 막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해전이다. - 프랑스가 참가한 해전 - 슬로이스 해전
슬로이스 해전은 1340년 잉글랜드가 프랑스를 상대로 승리하여 도버 해협 제해권을 장악하고 프랑스 침공의 발판을 마련한 백년 전쟁의 주요 해전이다. - 영국이 참가한 해전 - 트라팔가르 해전
트라팔가르 해전은 1805년 영국 해군이 프랑스-스페인 연합 함대를 상대로 혁신적인 전술을 사용하여 승리함으로써 영국의 해상 지배권을 확립하고 나폴레옹의 영국 침공을 막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해전이다. - 영국이 참가한 해전 - 코펜하겐 해전
코펜하겐 해전은 1801년 영국 해군이 덴마크-노르웨이 함대를 공격한 전투로, 넬슨 부제독의 지휘 아래 영국 함대가 덴마크 함대를 격파하고 휴전 협정을 맺었으며, 덴마크는 해상 제국으로서의 지위를 잃었다.
키브롱 만 해전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전투명 | 키브롱 만 해전 |
다른 이름 | 영어: Battle of Quiberon Bay 프랑스어: Bataille des Cardinaux (카르디노 해전) |
일부 | 7년 전쟁 |
날짜 | 1759년 11월 20일 |
장소 | 키브롱 만, 비스케이만, 프랑스 |
결과 | 영국의 승리 |
추가 결과 | 프랑스의 영국 침공 계획 좌절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그레이트브리튼 왕국 |
교전국 2 | 프랑스 왕국 |
지휘관 | |
지휘관 1 | 에드워드 호크 경 |
지휘관 2 | 콩플랑 백작 |
병력 규모 | |
영국 | 전열함 24척 프리깃함 5척 승무원 약 14,000명 |
프랑스 | 전열함 21척 프리깃함 6척 승무원 약 10,000명 |
피해 규모 | |
영국 | 전열함 2척 난파 사상자 약 300명 |
프랑스 | 전열함 3척 파괴 전열함 3척 나포 사상자 약 1,700명 포로 약 1,300명 |
2. 배경
18세기 중반, 영국과 프랑스는 북아메리카와 인도 등 세계 각지에서 식민지 쟁탈전을 벌였다. 1756년 발발한 7년 전쟁은 이러한 갈등의 정점이었으며, 영국은 해상 봉쇄를 통해 프랑스의 해상 무역과 식민지 보급을 차단하고자 했다.[9] 1759년, 프랑스는 영국 본토 침공을 계획하고 브레스트에 함대를 집결시켰으나, 영국 해군은 브레스트 항구를 봉쇄하여 프랑스 함대의 출격을 저지했다.[10]
1759년 11월 19일 밤, 프랑스 함대는 키브롱 만 도착을 위해 속도를 줄였다. 벨릴에서 약 32.19km 떨어진 지점에서 콩플랑은 더프의 전대를 발견하고 추격했다. 더프는 전대를 분산시켰고, 프랑스 함대는 이를 추격하다가 서쪽에서 접근하는 영국 함대를 발견했다.[12] 11월 20일 오전 8시 30분, HMS 마그나님(HMS Magnanime)은 프랑스 함대를 발견했고, 호크는 전열을 형성하라는 신호를 보냈다.[12]
프랑스 함대는 이 해전에서 괴멸적인 타격을 입고 전쟁이 끝날 때까지 재건되지 못했다. 알프레드 T. 마한은 "1759년 11월 20일의 전투는 7년 전쟁의 트라팔가이었다. (중략) 그리고 영국 해군은 프랑스와 스페인 식민지에 어떤 제약도 없이 공격을 가할 수 있게 되었다."라고 언급했다.[20] 이 해전으로 인해 프랑스는 크레디트 크런치(금융의 극단적인 핍박 상황)를 겪었고 정부는 빚을 갚기 힘들게 되었다.[20]
에드워드 호크 경이 이끄는 영국 함대는 기함 로얄 조지를 필두로, 전열함 23척, 50문 함 1척, 프리깃 5척 등으로 구성되었다.[1] 찰스 하디 경의 기함은 유니온이었다.[2]
1759년 8월, 라고스 해전에서 프랑스 지중해 함대가 영국 함대에 대패하면서 프랑스의 침공 계획은 큰 차질을 빚게 되었다. 프랑스의 수아죌 공작은 스코틀랜드 침공 계획을 계속 추진하고자 했고, 브레스트 함대에 봉쇄 돌파를 명령했다.[11] 11월 초, 강풍으로 인해 영국 봉쇄 함대가 일시적으로 철수하자, 프랑스 함대는 브레스트를 출항하여 키브롱 만으로 향했다.
3. 전투 경과
콩플랑은 강한 서남서풍을 받으며 영국 함대와 교전하는 대신, 모래톱과 암초가 많은 키브롱 만으로 들어가 방어 대형을 형성하고자 했다.[13] 오전 9시경, 호크는 악천후에도 불구하고 프랑스 함대를 추격하라는 신호를 보냈다.[14] 오후 2시 30분, 콩플랑이 키브롱 반도 끝의 레 카르디노(Les Cardinaux) 암초를 지날 때 첫 포성이 울려 퍼졌다.[15] 프랑스 함대 전위와 중앙은 만 안으로 진입했지만, 후위는 영국 함대에 따라잡히기 시작했다.
오후 4시경, HMS 레졸루션(HMS Resolution)이 포미더블(Formidable)을 나포했다.[16] HMS 토베이(HMS Torbay)는 테제(Thésée)를 침몰시키고, 쉬페르브(Superbe)를 침몰시켰다. 에로(Héros)는 좌초 전 항복했다.[16] 풍향이 남서로 바뀌면서 콩플랑의 함대는 혼란에 빠졌고, 콩플랑은 다시 바다로 나가려 했다. HMS 로얄 조지(HMS Royal George)가 콩플랑의 기함 솔레이유 로얄(Soleil Royal)에 접근했으나, 앵트레피드(Intrépide)의 방해를 받았다.[17] 솔레이유 로얄은 크로아직(Croisic) 근처에 닻을 내렸다. 오후 5시, 호크는 닻을 내리라는 신호를 보냈다.[17]
밤 동안 프랑스 전함 8척은 로슈포르(Rochefort)로 탈출했다.[18] 프랑스 전함 7척과 프리깃함은 빌렌(Villaine) 강 어귀에 있었는데, 프랑스 함대는 조류와 북서풍을 이용해 탈출하기 위해 대포와 장비를 버렸다.[18] 쥐스트(Juste)는 루아르 강으로 이동하다 난파되었고, HMS 레졸루션은 모래톱에 좌초되었다.
솔레이유 로얄은 크로아직 포대로 탈출하려 했지만 HMS 에섹스(HMS Essex)의 추격으로 에로 옆에 좌초되었다.[18] 22일, 콩플랑은 솔레이유 로얄을 불태웠고, 호크는 빌렌 강에 자리 잡은 적함에 화공을 가했지만 효과가 없었다.[19]
4. 전투의 영향
1760년 프랑스는 해상 보급의 문제로 생트-푸아 전투에서 승리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여세를 이어가지 못했다. 따라서 키브롱 만 해전은 누벨 프랑스(현 캐나다의 일부)의 운명을 결정지은 전투로 여겨진다.
호크 제독은 이 해전의 승리로 1776년에 귀족 작위를 받았다. 해군 역사가 니콜라스 트레이시는 이 해전을 "항해 시대의 가장 극적인 해전"이라고 묘사했으며,[20] 해군 이론가이자 역사가인 앨프레드 세이어 메이한은 "1759년 11월 20일의 해전은 이 전쟁의 트라팔가 해전이었고... 영국 함대는 이제 프랑스, 그리고 나중에는 스페인의 식민지에 전례 없이 더 큰 규모로 대항할 수 있게 되었다"라고 주장했다.[20]
프랑스는 금융가들이 영국이 이제 프랑스 무역을 마음대로 공격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면서 신용 경색을 겪었고, 프랑스 정부는 채무 불이행을 강요받았다. 이 해전은 1759년 영국 승리 일련의 전투 중 하나였으며, 이 해는 ''경이로운 해''로 알려지게 되었다.
5. 전투 서열
함급 함명 대포 (문) 함장 비고 전열함 로얄 조지 100 존 캠벨 에드워드 호크 제독 기함 전열함 유니온 90 토마스 에반스 찰스 하디 제독 기함 전열함 듀크 80 사무엘 그레이브스 전열함 나무르 90 매튜 버클 전열함 히어로 74 조지 에지컴 워스파이트 74 존 벤틀리 경 허큘리스 74 윌리엄 포테스큐 토베이 74 오거스터스 케펠 마그나님 74 호 자작 레졸루션 74 헨리 스페이크 르 푸르 여울에서 난파[4] 전열함 마즈 70 제임스 영 스위프트슈어 70 토마스 스탠호프 경 도싯셔 70 피터 데니스 버포드 70 제임스 갬비어 치체스터 70 윌리엄 솔트렌 윌렛 템플 70 워싱턴 셜리 전열함 에섹스 64 루시우스 오브라이언 르 푸르 여울에서 난파[5] 리벤지 64 존 스토르 전열함 몬터규 60 조슈아 롤리 킹스톤 60 토마스 셜리 인트레피드 60 저비스 메이플스던 던카크 60 로버트 딕비 디파이언스 60 패트릭 베어드 50문 함 채텀 50 존 록하트 프리깃 미네르바 32 알렉산더 후드 프리깃 비너스 36 토머스 해리슨 프리깃 사파이어 32 존 스트라찬 벤전스 28 가말리엘 나이팅게일 프리깃 코벤트리 28 프란시스 벌슬렘
콩플랑 후작이 이끄는 프랑스 함대는 기함 솔레이유 로얄을 포함하여 전열함 21척, 프리깃, 코르벳 등으로 구성되었다.함선명 대포 (문) 함장 비고 제1전대 솔레이유 로얄(Soleil Royal) 80 B. de Chasac 콩플랑 후작 기함 - 좌초 후 불탐[8] 오리앙(Orient) 80 N. 드 라 필리에르(de la Filière) 게브리당 뷔데 드 쉬발리에 기함 - 로슈포르 탈출[8] 글로류 (Glorieux) 74 빌라르 드 라 브로스(Villars de la Brosse) 빌렌 탈출[8] 로뷔스트 (Robuste) 74 프라니에르 드 비엔느(Fragnier de Vienne) 빌렌 탈출[8] 도팽 로얄(Dauphin Royal) 70 Chevalier d'Uturbie Fragosse 로슈포르 탈출[8] 드라곤 (Dragon) 64 바소르 드 라 투쉐(Vassor de la Touche) 빌렌 탈출[8] 솔리테르 (Solitaire) 64 드 랑글 자작(Vicomte de Langle) 로슈포르 탈출[8] 제2전대 토낭(Tonnant) 80 생 빅토레(St Victoret) 쉬발리에 드 보프르몽 기함 – 로슈포르 탈출[8] 앵트레피드 (Intrépide) 74 Chastologer 로슈포르 탈출[8] 테제 (Thésée) 74 케르생 드 (Kersaint de Coetnempren) 하층 포문 침수로 침몰[8] 노섬벌랜드 (Northumberland) 70 Belingant de Kerbabut 로슈포르 탈출[8] 쉬페르브 (Superbe) 70 Montalais "로얄 조지"에 의해 침몰[8] 에베이에 (Eveillé) 64 Prévalais 드 라 로쉐(de la Roche) 빌렌 탈출[8] 브리앙 (Brillant) 64 Keremar Boischateau 빌렌 탈출[8] 제3전대 포미더블(Formidable) 80 생 앙드레(Saint André) 드 생 앙드레 뒤 베르제 기함. - "레졸루션"에 포획[8] 마니피크 (Magnifique) 74 Bigot de Morogues 로슈포르 탈출[8] 에로(Héros) 74 상자 자작(Vicomte de Sanzay) 항복, 다음날 악천후로 좌초, 불탐[8] 쥐스트 (Juste) 70 프랑수아 드 생 (François de Saint Aloüarn) 루아르에서 난파[8] 앙플렉시블 (Inflexible) 64 탕크레드(Tancrede) 빌렌 입항, 소실[8] 스핑크스 (Sphinx) 64 Goyon [8] 비자르 (Bizarre) 64 Prince de Montbazon 로슈포르 탈출[8] 프리깃과 코르벳 함 에베 (Hébé) 40 브레스트 귀환[8] 베스타르(Vestale) 빌렌 탈출[8] 에그레트 (Aigrette) 빌렌 탈출[8] 칼립소 (Calypso) 빌렌 탈출[8] 프란스 누아 (Prince Noir)/
느와르 (Noire)빌렌 탈출[8] 기타 벤젼스 (Vengeance) ? [8]
5. 1. 영국 함대
영국 함대는 에드워드 호크 경이 이끌었으며, 기함은 100문 함선 로얄 조지였다.[1] 찰스 하디 경의 기함은 90문 함선 유니온이었다.[2]
함급 | 함명 | 대포 (문) | 함장 | 승조원 | 비고 |
---|---|---|---|---|---|
전열함 | 로얄 조지 | 100 | 존 캠벨 | 880 | 에드워드 호크 제독 기함 |
전열함 | 유니온 | 90 | 토마스 에반스 | 770 | 찰스 하디 제독 기함 |
전열함 | 듀크 | 80 | 사무엘 그레이브스 | 800 | |
전열함 | 나무르 | 90 | 매튜 버클 | 780 | |
전열함 | 히어로 | 74 | 조지 에지컴 | 600 | |
워스파이트 | 74 | 존 벤틀리 경 | 600 | ||
허큘리스 | 74 | 윌리엄 포테스큐 | 600 | ||
토베이 | 74 | 오거스터스 케펠 | 600 | ||
마그나님 | 74 | 호 자작 | 600 | ||
레졸루션 | 74 | 헨리 스페이크 | 600 | 르 푸르 여울에서 난파[4] | |
전열함 | 마즈 | 70 | 제임스 영 | 520 | |
스위프트슈어 | 70 | 토마스 스탠호프 경 | 520 | ||
도싯셔 | 70 | 피터 데니스 | 520 | ||
버포드 | 70 | 제임스 갬비어 | 520 | ||
치체스터 | 70 | 윌리엄 솔트렌 윌렛 | 520 | ||
템플 | 70 | 워싱턴 셜리 | 520 | ||
전열함 | 에섹스 | 64 | 루시우스 오브라이언 | 480 | 르 푸르 여울에서 난파[5] |
리벤지 | 64 | 존 스토르 | 480 | ||
전열함 | 몬터규 | 60 | 조슈아 롤리 | 400 | |
킹스톤 | 60 | 토마스 셜리 | 400 | ||
인트레피드 | 60 | 저비스 메이플스던 | 400 | ||
던카크 | 60 | 로버트 딕비 | 420 | ||
디파이언스 | 60 | 패트릭 베어드 | 420 | ||
50문 함 | 채텀 | 50 | 존 록하트 | 350 | |
프리깃 | 미네르바 | 32 | 알렉산더 후드 | 220 | |
프리깃 | 비너스 | 36 | 토머스 해리슨 | 240 | |
프리깃 | 사파이어 | 32 | 존 스트라찬 | 220 | |
벤전스 | 28 | 가말리엘 나이팅게일 | 200 | ||
프리깃 | 코벤트리 | 28 | 프란시스 벌슬렘 | 200 |
5. 2. 프랑스 함대
(Soleil Royal)(Dauphin Royal)
느와르 (Noi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