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브러햄 매슬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이브러햄 매슬로는 20세기 심리학자로, 인간의 잠재력과 자기 실현을 연구하며 인본주의 심리학의 발전에 기여했다. 그는 유대계 이민자 가정에서 태어나 뉴욕 시립 대학교와 위스콘신 대학교에서 심리학을 전공했으며, 브루클린 대학교와 브랜다이스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인본주의 심리학회를 설립했다. 매슬로는 욕구 단계설을 통해 인간의 욕구를 생리적 욕구에서 자아실현 욕구까지 5단계로 설명하며, 최고 경험과 고원 경험, B-가치 등 독창적인 개념을 제시했다. 그의 이론은 심리학뿐만 아니라 경영학, 교육학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으며, 긍정 심리학과 초개인 심리학의 발전에 기여했다. 하지만, 과학적 엄격성의 부족, 문화적 편견, 선택 편향 등의 비판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브랜다이스 대학교 - 앨런 프린스
앨런 프린스는 운율 음운론, 자율 분절 음운론 분야의 업적과 최적성 이론으로 유명한 미국의 언어학자이며 럿거스 대학교 언어학 교수와 존 사이먼 구겐하임 기념 재단 펠로우를 역임했다. - 브랜다이스 대학교 - 실라르드 레오
실라르드 레오는 헝가리 태생의 미국 물리학자이자 생물학자로서 핵 연쇄 반응을 구상하고 아인슈타인과 함께 핵무기 개발 필요성을 알리는 편지를 작성하여 맨해튼 계획에 기여했으며, 이후 핵무기 사용 반대 및 핵 확산 방지, 분자생물학 연구에 헌신했다. - 멘로파크 출신 - 셰릴 샌드버그
셰릴 샌드버그는 미국의 기술 경영자, 작가, 자선가로서, 페이스북(현 메타)의 COO를 역임하며 회사의 성장을 이끌었고, 여성의 직장 생활과 리더십에 대한 저서를 발표했지만, 페이스북 스캔들로 비판을 받기도 했다. - 멘로파크 출신 - 글렌 모리스
글렌 모리스는 미국의 육상 선수, 배우, 미식축구 선수로 활동했으며, 1936년 하계 올림픽 십종 경기에서 금메달을 획득하고 세계 신기록을 세웠으며, 영화 배우로도 활동하다가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다. - 코넬 대학교 - 베네딕트 앤더슨
베네딕트 앤더슨은 민족주의 연구에 큰 영향을 준 아일랜드계 영국인 학자이자 저술가로, 그의 저서 『상상된 공동체』에서 제시한 '상상된 공동체' 개념은 민족주의를 인쇄 자본주의와 연결하여 분석하며 널리 인용되고, 동남아시아 정치와 문화를 연구하며 반제국주의적 시각과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을 바탕으로 저술 활동을 했다. - 코넬 대학교 - 한스 베테
한스 베테는 독일계 미국인 이론 물리학자로, 항성 내부 핵융합 반응을 규명한 공로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으며, 핵무기 개발에 참여한 후 평화적인 원자력 이용을 옹호하며 현대 물리학 발전에 기여했다.
에이브러햄 매슬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이름 | 에이브러햄 해럴드 매슬로 |
출생일 | 1908년 4월 1일 |
출생지 | 미국 뉴욕주 뉴욕시 브루클린 |
사망일 | 1970년 6월 8일 |
사망지 | 미국 캘리포니아주 멘로파크 |
자녀 | 앤 매슬로 엘렌 매슬로 |
국적 | 미국 |
학문 분야 | |
분야 | 심리학 |
교육 기관 | 코넬 대학교 브루클린 칼리지 브랜다이스 대학교 컬럼비아 대학교 |
출신 학교 | 위스콘신 대학교 매디슨 |
박사 지도교수 | 해리 할로우 |
주요 업적 | 매슬로의 욕구 단계설 |
참고 | |
로마자 표기 | Abeuraham Maseullo |
2. 생애
매슬로는 20세기 초 포그롬을 피해 미국으로 이주한 유대계 러시아인 이민자(빈곤 가정)의 장남(아래로 6명의 남동생, 여동생)으로, 뉴욕 브루클린에서 태어났다. 고등학교 졸업 후 뉴욕 시립 대학교 시티 칼리지에 입학했다. 같은 대학에서 2년간 법학을 공부했다. 위스콘신 대학교로 전학하여 심리학을 배우고, 1930년 졸업했다. 같은 대학에서 1931년 심리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1934년에 심리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37년, 그는 뉴욕 시립 대학교 브루클린교에서 교수로 초빙되어 부임했다. 1951년에는 유대계 대학으로 유명한 브랜다이스 대학교로 옮겨, 1969년까지 재직했다. 1962년, 휴머니즘 심리학회를 설립했다. 1967년-1968년, 미국 심리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이후, 자신이 제창하는 인본주의 심리학의 기수로 활약하며, 자기 실현, 창의성, 가치, 미, 절정 경험, 윤리 등, 기존 심리학이 피했던, 보다 인간적인 것의 연구에 길을 열었다.
매슬로의 인격 이론은, 통칭 "자기 실현 이론 (욕구 단계 설)"이라고 불리며, 심리학뿐만 아니라, 경영학, 간호학 등 다른 분야에서도 언급된다.
1967년에 매슬로는 "올해의 휴머니스트"로 선정되었다. 1969년에는, 스타니슬라프 그로프와 함께 초개인 심리학회를 설립[95] 했다.
1970년 6월 8일, 심장 마비로 사망했다. 인본주의 심리학에 대응하는 철학·윤리학을 세운다는 그의 학술적인 시도는, 결국 미완의 상태로 남았다.
- 에드워드 호프만 저, 『인간이 될 권리』
- 로이 호세 데카르발류 저, 『인본주의 심리학의 창시자들』
2. 1. 출생과 성장
에이브러햄 매슬로는 1908년 뉴욕 브루클린에서 러시아 제국(현재 우크라이나 키이우)에서 이주한 유대계 러시아인 이민자 가정의 일곱 형제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101][4][5] 그의 부모는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했지만 자녀 교육에 대한 열정이 높았다.[103] 하지만, 흑인에 대한 편견을 가진 어머니와는 사이가 좋지 않았다.[9]어린 시절 매슬로는 수줍음 많고 소극적인 성격에 겁도 많았으며, 백인 중심의 학교에서 인종차별과 반유대주의를 경험하며 성장기에 어려움을 겪었다.[104][7] 그는 자신을 쫓아와 돌을 던지는 반유대주의 갱들과 마주치기도 했다.[7] 매슬로와 비슷한 배경을 가진 다른 젊은이들은 광범위한 교육과 경제적 정의를 기반으로 하는 이상적인 세계를 건설하려는 시도에서 이러한 인종차별과 민족적 편견을 극복하기 위해 고군분투했다.[8] 친구가 많지 않았던 그는 도서관에서 책을 읽으며 학창 시절을 보냈고, 독서와 학습에 대한 사랑을 키웠다.[104][9] 그는 브루클린 최고의 고등학교 중 하나인 보이스 고등학교에 다녔으며, 그의 가장 친한 친구는 사촌 윌 매슬로였다.[10][11] 여기서 그는 많은 학술 클럽의 임원으로 활동했으며 라틴 매거진의 편집자가 되었다. 그는 또한 1년 동안 학교의 물리학 논문인 ''프린키피아''를 편집했다.[12] 매슬로는 어린 시절 육체적인 힘이 진정한 남성을 정의하는 가장 중요한 특징이라고 믿었지만, 그의 수수한 외모와 순수한 모습, 그리고 학구적인 성격 때문에 이를 달성할 수 없었다.[13]
2. 2. 심리학 입문
매슬로는 아버지의 권유로 1925년 뉴욕 시립대학에 입학하여 법학을 공부했으나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1927년 코넬 대학교로 옮겼다.[105] 낮은 성적과 높은 학비 때문에 한 학기 만에 자퇴하고,[14] 이듬해 위스콘신 대학교로 다시 옮겨 심리학을 전공했다.[105] 1928년에는 당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이던 사촌 버사와 결혼했다.[15]위스콘신 대학교에서 매슬로는 영장류의 우점 행동과 인간 성행위를 연구하는 등 실험적 행동주의적 심리학 훈련을 받았다.[16][17] 이러한 초기 경험은 그에게 강한 실증주의적 사고방식을 심어주었다.[17] 헐시 케이슨 교수의 추천으로 "언어 자료의 학습, 기억 및 재생산"에 관한 석사 논문을 썼는데,[18] 1931년 여름에 논문을 완성하여 심리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19]
1930년에 학부를 졸업하고,[105] 대학원에서는 해리 할로, 에드워드 손다이크, 알프레드 아들러, 막스 베르트하이머 등 저명한 심리학자들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110] 1934년에 심리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105]
2. 3. 연구와 사회활동
졸업 후 매슬로는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손다이크와 함께 연구 활동을 하며 인간의 성에 대한 연구에 집중했다.[106] 이후 브루클린 대학교에서 강의하며 연구를 이어갔다.[106] 제2차 세계 대전 발발은 그에게 증오, 편견, 전쟁의 근원에 대해 고민하는 계기가 되었으며,[110] 인간의 고귀한 본성을 입증하고자 노력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1943년 '인간 동기의 이론' 논문을 통해 욕구 5단계설을 발표했다.[107]1951년, 매슬로는 신설된 브랜다이스 대학교의 초대 심리학과장으로 부임했다. 당시 심리학계는 행동주의와 정신분석학이 주류였으나, 매슬로는 칼 로저스와 함께 인본주의 심리학회를 창설하여[108] 인간의 잠재력과 성장을 강조하는 새로운 흐름을 만들었다. 그는 《초인간적 심리학 저널》을 창간하고, 에릭 프롬, 마가렛 미드, 루스 베네딕트 등 유럽 출신 지식인들과 교류하며 연구를 심화했다.[109] 특히 베네딕트는 매슬로에게 문화가 인간 본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을 갖게 했다.[110]
매슬로는 알프레드 아들러를 또 다른 멘토로 삼았으며,[20] 게슈탈트 심리학자 막스 베르트하이머와 루스 베네딕트를 존경하며 그들의 행동을 기록했고, 이는 정신 건강과 인간 잠재력 연구의 기초가 되었다.[21] 그는 욕구 위계, 메타동기, 자기 실현적인 사람, 절정 경험과 같은 개념을 제시하며 인본주의 심리학을 발전시켰다.[22] 1963년 인본주의 심리학 협회 회장 후보 지명을 거절했는데, 이는 리더 없이 지적 운동을 발전시켜야 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23]
1962년에는 스타니슬라프 그로프와 함께 초개인 심리학회를 설립했다.[95]
1967년 매슬로는 "올해의 휴머니스트"로 선정되었다.
2. 4. 말년과 사망
매슬로는 은퇴하기 전까지 자신의 이론을 다듬었다. 그는 인본주의 심리학을 제3의 심리학이라 명명하며, 심리학에서의 혁명적 변화를 이끌었다고 자평했다. 즉 지각과 사고에 있어서의 새로운 방식, 인간과 사회에 대한 새로운 이미지, 윤리와 가치에 대한 새로운 개념, 지향점에 있어서의 새로운 방향이라는 점에서 심리학에서의 혁명으로 인식한 것이다.[110] 아울러 인본주의 심리학을 인간의 욕구가 아닌 우주에 중심을 둔 제4의 심리학인 초인간적 심리학으로 이동하기 위한 준비 과정인 중간 단계로 간주했다.[110]1962년에는 캘리포니아 첨단기업 논리니어 시스템즈(Nonlinear Systems)에서 초빙 학자로 지내면서 자아실현 개념을 기업 환경에 적용하는 시도를 하였다.[101] 이때의 경험을 통하여 자신의 이론이 실험실이 아닌 현장에서 구현되고 있음을 확인하는 기회가 되었다. 그리고 순수 심리학이 일상생활의 심리학으로부터 배워야 할 것이 많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고, 이후 경영학 분야에 대한 저술과 경영학과의 접목을 꾸준히 시도하게 되었다.[110]
1967년에는 미국 휴머니스트 협회에서 '올해의 휴머니스트'로 선정되었으며,[101] 1969년에는, 스타니슬라프 그로프와 함께 초개인 심리학회를 설립[95] 했다. 1968년 미국 심리학회 회장직을 맡기도 하였다.[101] 은퇴 후 캘리포니아에서 만년을 보내다가 1970년 심장 마비로 사망했다.[111] 조깅을 하던 중 매슬로는 심각한 심근 경색을 겪고, 1970년 6월 8일, 62세의 나이로 캘리포니아 멘로 파크에서 사망했다.[24][25] 그는 마운트 오번 묘지에 묻혔다. 매슬로는 인본주의 흐름에 앞장선 인물로 평가되고 있다.[111] 인본주의 심리학에 대응하는 철학·윤리학을 세운다는 그의 학술적인 시도는, 결국 미완의 상태로 남았다.
3. 욕구 위계 이론
'''3.''' 애정·소속 욕구, '''4.''' 존경 욕구
'''5'''. 자아실현 욕구
=== 욕구 단계설 ===
에이브러햄 매슬로는 자아실현 개념을 통해 인간의 잠재력 발현 방법을 연구한 심리학자이다. 그는 인간을 전체적이고 역동적인 존재로 보았으며, 1943년 발표한 '인간 동기의 이론' 논문에서 욕구 단계설(욕구위계이론)을 제시했다.[109][112][102] 이 이론은 인간의 욕구가 타고난 것이며, 기본적인 욕구에서부터 상위 욕구까지 5단계로 구성된 피라미드 형태로 나타난다고 설명한다.[113][117]
매슬로는 하위 욕구가 충족되어야 상위 욕구가 나타나며, 이미 충족된 욕구는 더 이상 동기 부여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는다고 보았다.[114][101] 즉, 낮은 단계에서부터 충족도에 따라 높은 단계로 성장해가는 것이며, 낮은 단계의 욕구가 충족되지 않으면 높은 단계의 욕구는 행동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그러나 매슬로는 욕구 위계가 고정된 순서가 아니며, 예외가 있을 수 있음을 분명히 언급했다.[39] 그의 출판된 저작 중에는 계층 구조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내용은 없었으며, 욕구 계층을 묘사하는 피라미드 다이어그램은 심리학 교과서 출판사에서 삽화로 제작했을 것으로 추정된다.[39]
매슬로가 처음 제시한 욕구 5단계는 다음과 같다.
- 1단계: 생리적 욕구 (음식, 물, 수면, 성, 항상성, 배설)
- 2단계: 안전 욕구 (안전, 질서, 안정)
- 3단계: 사랑과 소속감 욕구 (가족, 친구 등)
- 4단계: 존경 욕구 (지위, 성공)
- 5단계: 자아실현 욕구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
처음 네 단계는 "결핍 욕구" 또는 "D-욕구"로, 이들 욕구 중 하나가 충분하지 않으면 이를 얻으려는 욕구가 생기며, 이를 얻는 것은 만족감을 가져다 준다.[4]
매슬로는 기본적인 욕구가 충족되기 위해서는 언론의 자유, 자신을 표현할 자유, 새로운 정보를 탐색할 자유[45] 등 특정 조건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러한 자유에 대한 어떠한 방해도 기본 욕구의 충족을 방해할 수 있다.
훗날 매슬로는 욕구 단계를 7단계로 확장하여, 최상위 욕구를 자아실현과 영적 초월의 욕구로 보았다.[115][116] 6단계는 인지적 욕구, 7단계는 심미적 욕구이다.
매슬로의 계층은 학생 상담 및 학생 유지[46]를 위해 고등 교육에서 사용될 뿐만 아니라 학생 개발의 핵심 개념으로 사용된다.[47] 최근에는 인터넷 밈의 대상이 되어, Wi-Fi가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욕구 중 하나라는 유머가 나오기도 했다.
=== 자아실현 ===
에이브러햄 매슬로는 최고 수준의 욕구로 자아실현을 강조하며, 삶의 궁극적인 목표는 개인의 잠재력을 실현하는 것이라고 했다.[123][117] 자아실현은 모든 하위 단계의 욕구가 충족되어야만 도달할 수 있는 마지막 단계로, 자기 발전을 이루고 잠재력을 극대화하는 단계이다.[117] 매슬로는 자아실현 개념을 널리 알렸으며, 자신의 운명이나 사명을 피하려는 인간의 성향을 '요나 컴플렉스'라는 용어로 설명했다.[101]
매슬로는 자아실현을 하는 사람은 협동적인 사회적 관심을 발현하여 다른 사람들과 의미 있는 관계를 맺는다고 보았다.[118][119] 그는 자아실현의 필수 요소로 외부 현실과의 의미 있는 연결을 강조했다. 반면, 이기적이고 경쟁적인 성취를 추구하는 사람은 적대적인 감정과 제한된 관계를 맺는다고 보았다.[118][119] 매슬로는 ''자기 실현''을 자신의 재능과 관심사를 최대한 활용하는 것, 즉 "자신이 될 수 있는 모든 것이 되는" 욕구로 정의했다.[48]
매슬로는 토머스 제퍼슨, 에이브러햄 링컨, 엘리너 루스벨트 등 자신이 연구한 자아실현적 개인들이 유사한 성격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발견했다.[51] 이들은 "현실 중심적"이고 "문제 중심적"이었으며, 혼자 있는 것을 편안하게 생각하고 건강한 개인적 관계를 맺었다.[53] 또한, 자신 밖의 문제에 집중하고, 진실과 거짓을 명확하게 인식하며, 자발적이고 창의적이며, 사회적 관습에 얽매이지 않는 경향이 있었다.
매슬로는 자아실현적 개인들이 현실에 대한 더 나은 통찰력을 가지고, 자신과 타인, 세상을 깊이 받아들이며, "잠재력과 내적 자원"에 대한 개별적인 발전에 있어서 매우 독립적이고 사적인 성향을 보인다고 설명했다.[54]
매슬로에 따르면, 자기 실현적 사람들은 진실, 선, 아름다움, 완전함, 정의, 질서, 단순성, 풍요로움, 노력 없음, 유희성, 자급자족 등의 자질을 공유한다.[55]
매슬로는 알베르트 아인슈타인과 헨리 데이비드 소로를 포함한 역사적 인물들에 대한 사례 연구를 바탕으로 자신의 이론을 세웠다.[56] 그는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저술과 업적을 자기 실현적 인간의 특징을 보여주는 예로 사용했다.[59] 루스 베네딕트와 막스 베르트하이머의 연구 역시 매슬로의 자기 실현 모델에 큰 영향을 미쳤다.[60] 그러나 이러한 전기적 분석 방법은 연구자의 주관에 크게 의존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61]
=== 절정 경험과 고원 경험 ===
에이브러햄 매슬로는 욕구 충족의 일상적인 범위를 넘어선 특별한 경험의 순간을 "최고 경험"이라고 불렀다. 이러한 최고 경험은 사랑, 이해, 행복, 또는 황홀경의 심오한 순간으로, 이 기간 동안 사람은 더 완전하고, 살아있고, 자급자족하며, 동시에 세상의 일부가 된 듯한 느낌을 받고, 진실, 정의, 조화, 선 등에 대해 더 잘 인식하게 된다. 자아실현을 하는 사람들은 최고 경험을 할 가능성이 더 높다.[33]
후기 저술에서 매슬로는 강렬한 최고 경험 외에 더 오래 지속되는 고요한 존재 인지를 허용하는 "고원 경험"이라는 개념을 제시했다.[34][35] 매슬로는 인도 과학자이자 요가 수행자인 U. A. 아스라니(U. A. Asrani)에게서 이 용어를 빌려왔다.[36] 그는 최고 경험에서 고원 경험으로의 전환은 자연적인 노화 과정과 관련이 있으며, 이 과정에서 개인은 삶에서 실제로 중요한 것과 중요하지 않은 것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를 겪는다고 설명했다.[35]
=== B-가치 ===
매슬로는 절정 경험에 대한 연구에서 평가적인 "결핍 인지"(또는 "D-인지")와는 반대로 전체적이고 수용적인 사고 방식을 "존재 인지"(또는 "B-인지")라고 명명했으며, "존재 가치"(B-가치)라고 부르는 가치를 확인했다.[37] B-가치는 다음과 같다:
- 진실: 정직, 현실, 단순성, 풍요로움, 당위성, 아름다움, 순수하고 깨끗하며 불순물이 없는, 완전성, 본질성[37]
- 선: 옳음, 바람직함, 당위성, 정의, 자비, 정직[37]
- 아름다움: 옳음, 형태, 생동감, 단순성, 풍요로움, 완전성, 완벽, 완성, 독특함, 정직[37]
- 전체성: 통일성, 통합, 하나 됨의 경향, 상호 연결성, 단순성, 조직, 구조, 이분법 초월, 질서[37]
- 생동감: 과정, 비-죽음, 자발성, 자기 조절, 완전한 기능[37]
- 독특성: 특이성, 개별성, 비-비교성, 참신함[37]
- 완벽: 필요성, 적절함, 적합성, 필연성, 적절성, 정의, 완전성, "당위성"[37]
- 완성: 종료, 종결, 정의, "끝났다", 성취, ''피니스''와 ''텔로스'', 운명, 숙명[37]
- 정의: 공정성, 질서 정연함, 합법성, "당위성"[37]
- 단순성: 정직, 본질성, 추상적, 본질적, 골격 구조[37]
- 풍요로움: 차별화, 복잡성, 복잡함[37]
- 노력 없음: 용이함, 긴장, 노력 또는 어려움의 부족, 우아함, 완벽하고 아름다운 기능[37]
- 유희성: 재미, 기쁨, 즐거움, 유쾌함, 유머, 활력, 노력 없음[37]
- 자급자족: 자율성, 독립성, 스스로 존재하기 위해 다른 것을 필요로 하지 않음, 자기 결정, 환경 초월, 분리, 자신의 법칙에 따라 삶[37]
3. 1. 욕구 단계설
에이브러햄 매슬로는 자아실현 개념을 통해 인간의 잠재력 발현 방법을 연구한 심리학자이다. 그는 인간을 전체적이고 역동적인 존재로 보았으며, 1943년 발표한 '인간 동기의 이론' 논문에서 욕구 단계설(욕구위계이론)을 제시했다.[109][112][102] 이 이론은 인간의 욕구가 타고난 것이며, 기본적인 욕구에서부터 상위 욕구까지 5단계로 구성된 피라미드 형태로 나타난다고 설명한다.[113][117]매슬로는 하위 욕구가 충족되어야 상위 욕구가 나타나며, 이미 충족된 욕구는 더 이상 동기 부여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는다고 보았다.[114][101] 즉, 낮은 단계에서부터 충족도에 따라 높은 단계로 성장해가는 것이며, 낮은 단계의 욕구가 충족되지 않으면 높은 단계의 욕구는 행동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그러나 매슬로는 욕구 위계가 고정된 순서가 아니며, 예외가 있을 수 있음을 분명히 언급했다.[39] 그의 출판된 저작 중에는 계층 구조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내용은 없었으며, 욕구 계층을 묘사하는 피라미드 다이어그램은 심리학 교과서 출판사에서 삽화로 제작했을 것으로 추정된다.[39]
매슬로가 처음 제시한 욕구 5단계는 다음과 같다.
- 1단계: 생리적 욕구 (음식, 물, 수면, 성, 항상성, 배설)
- 2단계: 안전 욕구 (안전, 질서, 안정)
- 3단계: 사랑과 소속감 욕구 (가족, 친구 등)
- 4단계: 존경 욕구 (지위, 성공)
- 5단계: 자아실현 욕구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
처음 네 단계는 "결핍 욕구" 또는 "D-욕구"로, 이들 욕구 중 하나가 충분하지 않으면 이를 얻으려는 욕구가 생기며, 이를 얻는 것은 만족감을 가져다 준다.[4]
매슬로는 기본적인 욕구가 충족되기 위해서는 언론의 자유, 자신을 표현할 자유, 새로운 정보를 탐색할 자유[45] 등 특정 조건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러한 자유에 대한 어떠한 방해도 기본 욕구의 충족을 방해할 수 있다.
훗날 매슬로는 욕구 단계를 7단계로 확장하여, 최상위 욕구를 자아실현과 영적 초월의 욕구로 보았다.[115][116] 6단계는 인지적 욕구, 7단계는 심미적 욕구이다.
매슬로의 계층은 학생 상담 및 학생 유지[46]를 위해 고등 교육에서 사용될 뿐만 아니라 학생 개발의 핵심 개념으로 사용된다.[47] 최근에는 인터넷 밈의 대상이 되어, Wi-Fi가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욕구 중 하나라는 유머가 나오기도 했다.
3. 2. 자아실현
에이브러햄 매슬로는 최고 수준의 욕구로 자아실현을 강조하며, 삶의 궁극적인 목표는 개인의 잠재력을 실현하는 것이라고 했다.[123][117] 자아실현은 모든 하위 단계의 욕구가 충족되어야만 도달할 수 있는 마지막 단계로, 자기 발전을 이루고 잠재력을 극대화하는 단계이다.[117] 매슬로는 자아실현 개념을 널리 알렸으며, 자신의 운명이나 사명을 피하려는 인간의 성향을 '요나 컴플렉스'라는 용어로 설명했다.[101]매슬로는 자아실현을 하는 사람은 협동적인 사회적 관심을 발현하여 다른 사람들과 의미 있는 관계를 맺는다고 보았다.[118][119] 그는 자아실현의 필수 요소로 외부 현실과의 의미 있는 연결을 강조했다. 반면, 이기적이고 경쟁적인 성취를 추구하는 사람은 적대적인 감정과 제한된 관계를 맺는다고 보았다.[118][119] 매슬로는 ''자기 실현''을 자신의 재능과 관심사를 최대한 활용하는 것, 즉 "자신이 될 수 있는 모든 것이 되는" 욕구로 정의했다.[48]
매슬로는 토머스 제퍼슨, 에이브러햄 링컨, 엘리너 루스벨트 등 자신이 연구한 자아실현적 개인들이 유사한 성격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발견했다.[51] 이들은 "현실 중심적"이고 "문제 중심적"이었으며, 혼자 있는 것을 편안하게 생각하고 건강한 개인적 관계를 맺었다.[53] 또한, 자신 밖의 문제에 집중하고, 진실과 거짓을 명확하게 인식하며, 자발적이고 창의적이며, 사회적 관습에 얽매이지 않는 경향이 있었다.
매슬로는 자아실현적 개인들이 현실에 대한 더 나은 통찰력을 가지고, 자신과 타인, 세상을 깊이 받아들이며, "잠재력과 내적 자원"에 대한 개별적인 발전에 있어서 매우 독립적이고 사적인 성향을 보인다고 설명했다.[54]
매슬로에 따르면, 자기 실현적 사람들은 진실, 선, 아름다움, 완전함, 정의, 질서, 단순성, 풍요로움, 노력 없음, 유희성, 자급자족 등의 자질을 공유한다.[55]
매슬로는 알베르트 아인슈타인과 헨리 데이비드 소로를 포함한 역사적 인물들에 대한 사례 연구를 바탕으로 자신의 이론을 세웠다.[56] 그는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저술과 업적을 자기 실현적 인간의 특징을 보여주는 예로 사용했다.[59] 루스 베네딕트와 막스 베르트하이머의 연구 역시 매슬로의 자기 실현 모델에 큰 영향을 미쳤다.[60] 그러나 이러한 전기적 분석 방법은 연구자의 주관에 크게 의존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61]
3. 3. 절정 경험과 고원 경험
에이브러햄 매슬로는 욕구 충족의 일상적인 범위를 넘어선 특별한 경험의 순간을 "최고 경험"이라고 불렀다. 이러한 최고 경험은 사랑, 이해, 행복, 또는 황홀경의 심오한 순간으로, 이 기간 동안 사람은 더 완전하고, 살아있고, 자급자족하며, 동시에 세상의 일부가 된 듯한 느낌을 받고, 진실, 정의, 조화, 선 등에 대해 더 잘 인식하게 된다. 자아실현을 하는 사람들은 최고 경험을 할 가능성이 더 높다.[33]후기 저술에서 매슬로는 강렬한 최고 경험 외에 더 오래 지속되는 고요한 존재 인지를 허용하는 "고원 경험"이라는 개념을 제시했다.[34][35] 매슬로는 인도 과학자이자 요가 수행자인 U. A. 아스라니(U. A. Asrani)에게서 이 용어를 빌려왔다.[36] 그는 최고 경험에서 고원 경험으로의 전환은 자연적인 노화 과정과 관련이 있으며, 이 과정에서 개인은 삶에서 실제로 중요한 것과 중요하지 않은 것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를 겪는다고 설명했다.[35]
3. 4. B-가치
매슬로는 절정 경험에 대한 연구에서 평가적인 "결핍 인지"(또는 "D-인지")와는 반대로 전체적이고 수용적인 사고 방식을 "존재 인지"(또는 "B-인지")라고 명명했으며, "존재 가치"(B-가치)라고 부르는 가치를 확인했다.[37] B-가치는 다음과 같다:- 진실: 정직, 현실, 단순성, 풍요로움, 당위성, 아름다움, 순수하고 깨끗하며 불순물이 없는, 완전성, 본질성[37]
- 선: 옳음, 바람직함, 당위성, 정의, 자비, 정직[37]
- 아름다움: 옳음, 형태, 생동감, 단순성, 풍요로움, 완전성, 완벽, 완성, 독특함, 정직[37]
- 전체성: 통일성, 통합, 하나 됨의 경향, 상호 연결성, 단순성, 조직, 구조, 이분법 초월, 질서[37]
- 생동감: 과정, 비-죽음, 자발성, 자기 조절, 완전한 기능[37]
- 독특성: 특이성, 개별성, 비-비교성, 참신함[37]
- 완벽: 필요성, 적절함, 적합성, 필연성, 적절성, 정의, 완전성, "당위성"[37]
- 완성: 종료, 종결, 정의, "끝났다", 성취, ''피니스''와 ''텔로스'', 운명, 숙명[37]
- 정의: 공정성, 질서 정연함, 합법성, "당위성"[37]
- 단순성: 정직, 본질성, 추상적, 본질적, 골격 구조[37]
- 풍요로움: 차별화, 복잡성, 복잡함[37]
- 노력 없음: 용이함, 긴장, 노력 또는 어려움의 부족, 우아함, 완벽하고 아름다운 기능[37]
- 유희성: 재미, 기쁨, 즐거움, 유쾌함, 유머, 활력, 노력 없음[37]
- 자급자족: 자율성, 독립성, 스스로 존재하기 위해 다른 것을 필요로 하지 않음, 자기 결정, 환경 초월, 분리, 자신의 법칙에 따라 삶[37]
4. 인본주의 심리학
에이브러햄 매슬로는 그 이전의 대부분의 심리학자들이 비정상적인 것과 병든 것에 관심을 가졌던 것과 달리, 사람들이 더 높은 욕구와 궁극적으로 자기 실현을 다루기 전에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해야 한다고 보았다.[26] 그는 긍정적인 정신 건강이 무엇으로 구성되는지 알고 싶어했다. 인본주의 심리학은 사람들이 성장과 치유를 위한 내적 자원을 가지고 있으며, 치료는 개인이 이를 달성하는 데 방해가 되는 요소를 제거하도록 돕는다는 아이디어에 기반한 여러 치료법을 낳았다. 이 중 가장 유명한 것은 칼 로저스가 개발한 내담자 중심 치료였다.
인본주의 심리학의 기본 원리는 다음과 같다.
- 현재 기능이 가장 중요하며, 과거보다 현재를 강조한다.
- 정신 건강을 위해 개인의 행동에 대한 책임을 강조한다.
- 개인의 본질적인 가치를 존중한다.
- 개인적인 성장과 이해를 삶의 궁극적인 목표로 삼는다.[26]
인본주의 심리학은 자유 의지를 믿는 사람들에게 적합하며, 생물학적 결정론에 대한 프로이트의 이론과 대조된다.[26] 매슬로의 욕구 위계는 재무, 경제, 역사, 범죄학 등 다른 주제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경험적 타당성이 부족하고 심각한 정신 질환을 돕거나 진단하는 데 실패할 수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26] 인본주의 심리학자들은 모든 사람이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 실현하고 "자기 실현"의 수준에 도달하려는 강한 욕구를 가지고 있다고 믿는다. 1960년대에 정점에 달한 이 운동은 인간의 긍정적인 잠재력을 강조했다.[27] 매슬로는 자신의 연구를 프로이트의 연구를 보완하는 것으로 보았다.[28]
매슬로는 인간이 상황에 맹목적으로 반응하는 것이 아니라 더 큰 것을 성취하려고 노력한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정신적으로 건강한 개인을 연구했다. 그는 자기 실현적인 사람들에게 초점을 맞추었으며, 이들은 최적의 심리적 건강과 기능을 나타낸다.[30]
매슬로는 절정 경험을 통해 사람이 자신과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룬다고 보았다. 자기 실현적인 사람들은 하루 종일 많은 절정 경험을 할 수 있지만, 다른 사람들은 그러한 경험을 덜 빈번하게 한다.[31] 그는 LSD 및 실로시빈과 같은 환각제가 적절한 상황에서 절정 경험을 만들어낼 수 있다고 믿었다.[32]
5. 초개인 심리학
1960년대에 에이브러햄 매슬로는 스타니슬라프 그로프, 빅터 프랭클 등과 함께 초개인 심리학 학파를 창립했다.[63] 그는 인본주의 심리학이 인간 경험의 모든 측면을 설명할 수 없다고 결론 내리고, 자아실현을 넘어선 경험인 "절정 경험"을 포함하는 초개인 심리학을 "심리학의 네 번째 힘"이라고 불렀다.[63] 초개인 심리학은 실존, 신비적, 황홀경적, 영적 상태와 관련된 발견의 경험적, 과학적 연구에 관심을 가졌다.[63] 매슬로는 초개인 심리학이 인간에게 중요하며, "초개인적인 면이 없다면 우리는 병들고, 폭력적이며, 허무주의적이 되거나 절망적이고 무관심해진다"고 썼다.[63] 그는 인간이 자연주의적인 의미에서 연결되지만 종교적인 의미에서는 연결되지 않는 자신보다 더 큰 무언가를 필요로 한다고 믿었다. 매슬로는 무신론자였고[65] 종교적 경험을 실증주의 틀 내에 두지 않으면 유효한 것으로 받아들이기 어려웠다.[66]
1969년 《초개인 심리학 저널》이 창간되었으며,[69] 초개인 심리학은 비서구 심리학, 철학, 종교에 대한 인식을 장려하고, 강렬한 명상 등을 통해 "고차원의 의식 상태"에 대한 이해를 증진했다.[69]
6. 긍정 심리학
에이브러햄 매슬로는 자신의 연구를 긍정 심리학이라고 불렀다.[70] 1968년 이후 그의 연구는 노스라트 페제시키안이 설립한 정신 건강 및 정신신체 치료에 사용되는 초문화적, 인본주의적 기반의 정신역동적 심리치료 방법인 긍정 심리치료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71] 1999년 이후 매슬로의 연구는 마틴 셀리그만과 같은 긍정 심리학 운동 지도자들 사이에서 관심과 영향력이 부활했다.[72][73] 긍정 심리학은 비관적인 측면보다는 긍정적인 측면과 잘 되는 방식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다.[74]
7. 과학 심리학
1966년 에이브러햄 매슬로는 과학 심리학 분야의 선구적인 저서인 《과학 심리학: 정찰》을 출판했는데, 이 책은 '과학 심리학'이라는 제목을 실제로 사용한 최초의 저서였다. 이 책에서 매슬로는 '성격적으로 상대적인' 과학 모형을 제안했는데, 그는 이 모형을 "역사적, 철학적, 사회학적, 심리학적으로 순진한" 실증주의적 거부, 즉 과학이 "시간, 장소 및 지역 문화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보지 않으려는 것에 대한 열렬한 반대라고 특징지었다.[75]
매슬로는 이 책이 토머스 쿤의 《과학 혁명의 구조》(1962)에서 큰 영감을 받았다고 인정했으며, "안전" 과학과 "성장" 과학의 구분을 제시하였다. 이는 쿤의 유명한 "정상" 과학과 "혁명적" 과학의 구분에 대한 심리학적 해석을 제공한다.[76][77] 쿤의 《구조》 이후 매슬로는 "정상" 과학과 "혁명적" 과학에 대한 쿤의 범주에 대한 심리학적 해석을 제공했을 뿐만 아니라, 쿤의 《구조》 초판이 나오기 16년 전, 현재는 잘 알려지지 않은 1946년 논문 "과학에서의 수단 중심 대 문제 중심"을 철학 저널에 발표하여 과학의 놀랍도록 유사한 이분법적 구조를 제시했다.[76][77]
8. 매슬로의 망치
에이브러햄 매슬로는 1966년에 출판된 그의 저서 《과학 심리학》에서 "매슬로의 망치"라는 개념을 제시했다.[78] 이는 "망치밖에 없다면 모든 것이 못으로 보인다"라는 문구로 표현된다.[78] 이는 도구를 사용하는 방식이 문제 해결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 편향을 의미한다.
9. 영향과 평가
에이브러햄 매슬로의 동기 이론과 자아실현 개념은 현대 사회심리학자뿐만 아니라 경영학, 교육학, 간호학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122] 독일인의 국민성에 관한 연구는 테오도어 아도르노 등에 의한 권위주의적 퍼서낼리티 연구에 영향을 주었으며, 로널드 잉글하트는 욕구 단계설을 응용하여 탈물질주의를 제창했다.[120] 또한 프레더릭 허즈버그 등의 성장이론의 기반이 되었다.[121]
매슬로의 욕구 단계설은 인간의 보편적인 동기를 설명하고 있어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지지를 받고 있으며, 경영학에서는 인사 및 마케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122] 그러나 각 단계 구분이 모호하고, 과학적 검증이 어렵고, 실증적인 뒷받침이 부족하며, 예외가 많다는 비판도 받고 있다.[123] 예를 들어, 특정 행위의 동기는 여러 욕구를 차례대로 만족시키는 대신 이들을 동시에 만족시키려는 경우도 있다.[123]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슬로의 욕구 단계설은 동기 이론의 기초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받고 있으며,[123] 최근에는 앨더퍼의 ERG 이론, 진화론과 생물학, 심리학 등을 결합한 새로운 욕구 피라미드 이론 등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이론들이 등장하고 있다.[124]
매슬로의 아이디어는 과학적 엄격성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아왔다.[66] 크리스티나 호프 솜머스와 샐리 세이텔은 경험적 증거 부족으로 인해 매슬로의 아이디어가 유행을 벗어나 학계에서 진지하게 받아들여지지 않는다고 주장했다.[84] 또한, 욕구 계층은 문화적 편견, 주로 서구적 가치와 이념을 반영한다는 비판을 받아왔으며, 많은 문화 심리학자들은 이 개념이 각 문화와 사회에 상대적이며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없다고 보았다.[86]
그러나 일리노이 대학교 연구원 에드 디너와 루이스 테이는 5년(2005-2010) 동안 전 세계 123개국 60,865명의 참가자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통해 매슬로의 아이디어를 시험했는데, 문화적 차이와 관계없이 보편적인 인간의 욕구가 있다는 점에서 매슬로가 본질적으로 옳았다고 주장했다.[87] 이들은 사람들이 다른 욕구보다 기본적인 욕구와 안전 욕구를 먼저 충족하는 경향이 있고, 다른 "상위 욕구"도 일정한 순서로 충족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지만, 이러한 욕구가 충족되는 순서가 주관적인 웰빙(SWB)에 강하게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연구자들은 "다른 욕구의 충족 여부와 관계없이 여러 욕구를 동시에 해결함으로써 '행복'을 얻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87]
하지만 매슬로는 이러한 발견에 놀라지 않았을 것이다. 그는 욕구 계층이 엄격하게 고정된 순서가 아니라고 강조했다.[88] 매슬로는 "우리가 함께 일했던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러한 기본적인 욕구를 대략적으로 나타난 순서대로 가지고 있는 것처럼 보였다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예외도 많이 있었다."라고 말했다.[88]
매슬로는 또한 서로 다른 인간의 욕구와 행동의 관계는 실제로 여러 욕구에 의해 동시에 동기 부여를 받는 경우가 많으며, 일대일 대응 관계가 아니라고 보았다.[88] 매슬로의 자기 실현 인간에 대한 개념은 1993년에 장 피아제의 발달 이론과 결합되어 개시 과정에 적용되었다.[89] 그러나 자기 실현 이론은 널리 오해받고 있으며 빈번한 조사를 받고 있다.[90]
매슬로는 그의 이론에 너무 많은 예외를 언급했다는 비판을 받았으며, 이러한 예외를 설명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다.[91] 그는 죽기 직전에, 결핍 욕구를 충족했지만 여전히 자기 실현을 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있다는 문제를 해결하려고 했다.[91]
만년에 매슬로는 "기본적인 욕구가 충족되면 왜 더 많은 사람들이 자기 실현을 하지 못하는가? 악의 문제를 어떻게 인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가?"와 같은 질문에 관심을 가졌다.[70]
1961년 봄, 매슬로와 토니 수티치는 인본주의 심리학 저널을 창간했으며, 1971년까지 마일스 비치가 편집장을 맡았다.[92] 매슬로는 1963년 인본주의 심리학 협회 창립 회의에 참석하여 신임 회장직 제안을 거절했다. 그는 새로운 단체가 지도자 없이 지적 운동을 발전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92] 1967년, 매슬로는 미국 인본주의 협회로부터 올해의 인본주의자로 선정되었다.[93]
10. 비판
매슬로는 과학적 엄격성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비판을 받아왔다.[66] 미국의 경험주의자들은 그의 이론이 과학적으로 너무 유연하다고 비판했다.[96] 2006년, 크리스티나 호프 솜머스와 샐리 세이텔은 경험적 증거 부족을 근거로 매슬로의 아이디어가 유행에 뒤떨어졌으며 "더 이상 학계 심리학계에서 진지하게 받아들여지지 않는다"고 주장했다.[84][97] 긍정 심리학은 비관적인 관점보다는 긍정적인 관점의 탐구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한다.[85][98]
욕구 계층 이론은 주로 서구적 가치와 이념을 반영하여 문화적 편견을 가지고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많은 문화 심리학자들은 이 개념이 각 문화와 사회에 따라 상대적이어서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없다고 지적한다.[86][99] 그러나 일리노이 대학교 연구원 에드 디너와 루이스 테이는 2005년부터 2010년까지 전 세계 123개국 60,865명의 참가자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통해 매슬로의 아이디어를 시험했다.[87] 그 결과, 문화적 차이와 관계없이 보편적인 인간의 욕구가 존재한다는 점에서 매슬로가 본질적으로 옳았다고 주장했다. 다만, 연구자들은 욕구 충족 순서에서 매슬로가 설명한 순서와 약간의 차이점을 발견했다. 특히, 사람들은 다른 욕구보다 기본적인 욕구와 안전 욕구를 먼저 충족하는 경향이 있고, 다른 "상위 욕구"도 일정한 순서로 충족되는 경향이 있지만, 이러한 욕구가 충족되는 순서가 주관적인 웰빙(SWB)에 강하게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연구 저자들에 따르면, 인간은 다른 욕구의 충족 여부와 관계없이 여러 욕구를 동시에 해결함으로써 '행복'을 얻을 수 있다.[87]
그러나 매슬로는 욕구 계층이 엄격하게 고정된 순서가 아니라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는 지금까지 이 계층이 고정된 순서인 것처럼 말했지만, 실제로는 우리가 암시했을 수 있는 것만큼 그렇게 엄격하지 않다. 우리가 함께 일했던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러한 기본적인 욕구를 대략적으로 나타난 순서대로 가지고 있는 것처럼 보였다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예외도 많이 있었다."라고 말했다.[88] 또한 매슬로는 서로 다른 인간의 욕구와 행동의 관계는 실제로 여러 욕구에 의해 동시에 동기 부여를 받는 경우가 많으며, 일대일 대응 관계가 아니라고 보았다.[88]
매슬로는 자신의 이론에 너무 많은 예외를 언급했지만, 이에 대해 충분히 설명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았다.[91] 그는 죽기 직전에 결핍 욕구를 충족했지만 여전히 자기 실현을 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있다는 문제를 해결하려고 했지만, 그의 이론 내에서 이러한 모순을 해결하지 못했다.[91]
데이비드 마이어스는 매슬로가 자신의 가치관에 부합하는 인물들을 연구 대상으로 선택함으로써 선택 편향이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만약 그가 나폴레옹, 알렉산드로스 대왕, 존 D. 록펠러와 같은 다른 역사적 영웅들을 연구했다면, 자기 실현에 대한 그의 묘사는 상당히 달라졌을 것이다.[51] 매슬로의 자기 실현 개념은 1993년 장 피아제의 발달 이론과 결합되어 개시 과정에 적용되었다.[89][100]
11. 저작 목록
- 《이상심리학 원리 Principles of Abnormal Psychology》(1941)
- 《인간의 동기와 성격 Motivation and Personality》(1954)
- 《존재의 심리학 Towards a Psychology of Being》(1968)
- 《최상의 인간 본성 The Farther Reaches of Human Nature》(1971)
- 인간 동기 이론/A theory of human motivation.영어 (1943)
- ''동기와 성격''(1판: 1954, 2판: 1970, 3판 1987)
- ''종교, 가치, 그리고 절정 경험'', 오하이오 주립 대학교 출판부, 1964.
- ''유프시히안 경영'', 1965; ''매슬로우의 경영론''으로 재출판, 1998
- ''과학의 심리학: 정찰'', 하퍼 & 로우, 1966; 채플힐: 모리스 바셋, 2002.
- ''존재의 심리학을 향하여'', (1판, 1962; 2판, 1968; 3판, 1999)
- ''인간 본성의 더 먼 경지'', 1971
- ''미래 비전: 에이브러햄 매슬로우의 미출판 논문'' E. L. 호프만 (편집) 1996
- ''성격과 성장: 교실의 인본주의 심리학자'', 안나 마리아, FL: 모리스 바셋, 2019.
- 『완전한 인간 영혼이 지향하는 것』 우에다 키치이치 역, 세이신 서방 1964
- 『자기 실현의 경영 경영의 심리적 측면』 하라 토시히로 역, 산업능률단기대학 출판부 1967
- 『가능성의 심리학』 하야사카 타이지로 역, 카와시마 서점 1971
- 『인간성의 심리학 동기 부여와 페르소나리티』 코구치 타다히코 감수, 산업능률단기대학 출판부 1971
- 『창조적 인간 종교・가치・지고・경험』 사토 사부로, 사토 마사히로 역, 세이신 서방 1972
- 『인간성의 최고 가치』 우에다 키치이치 역, 세이신 서방 1973
- 『완전한 경영』 카나이 토시히로 감수, 오오카와 슈지 역, 일본경제신문사 2001
참조
[1]
뉴스
Dr. Abraham Maslow, Founder Of Humanistic Psychology, Die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70-06-10
[2]
문서
Hoffmann (1988)
[3]
논문
The 100 most eminent psychologists of the 20th century
http://www.apa.org/m[...]
2015-06-09
[4]
웹사이트
Abraham Maslow
http://webspace.ship[...]
Webspace.ship.edu
2012-10-21
[5]
서적
Dreaming To Some Purpose
https://books.google[...]
Arrow Books
2024-07-23
[6]
웹사이트
Maslow, Abraham H.
http://www.encyclope[...]
2016-04-03
[7]
문서
Hoffmann (1988)
[8]
간행물
Journal of Humanistic Psychology
2008-10
[9]
문서
Hoffmann (1988)
[10]
문서
Hoffmann (1988)
[11]
서적
The Journals of A.H. Maslow Vol. 1
Brooks/Cole Publishing Co.
[12]
문서
Hoffmann (1988)
[13]
논문
'Giving up maleness': Abraham Maslow, masculinity, and the boundaries of psychology.
2001
[14]
문서
Hoffmann (1988)
[15]
문서
Hoffmann (1988)
[16]
문서
Hoffmann (1988)
[17]
논문
Abraham Maslow: A Biographer's Reflection
[18]
문서
Hoffmann (1988)
[19]
문서
Hoffmann (1988)
[20]
문서
Berger (1983)
[21]
논문
Abraham Maslow: a biographer's reflections
[22]
문서
Thoreau: Walden and other writings
New York: Bantam Books
[23]
논문
Maslow's leadership legacy
[24]
웹사이트
Psychology History
http://www.muskingum[...]
2015-12-20
[25]
뉴스
Dr. Abraham Maslow, Founder Of Humanistic Psychology, Die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70-06-10
[26]
웹사이트
Humanistic Psychology
http://www.abraham-m[...]
2012-08-21
[27]
문서
Psychology
[28]
문서
Toward a psychology of being
[29]
논문
The Personal Meaning of Social Values in the Work of Abraham Maslow
2012-06-30
[30]
논문
The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self-actualization in the writings of abraham Maslow
1982-01
[31]
문서
Berger (1983)
[32]
서적
Religions, Values, and Peak Experiences
Ohio State University Press
[33]
서적
Psychology Second Edition
[34]
논문
The plateau experience: A. H. Maslow and others
https://www.academia[...]
2018-10-05
[35]
논문
The plateau experience: an exploration of its origins, characteristics, and potential
https://www.atpweb.o[...]
2022-11-13
[36]
서적
p. 50
2015
[37]
서적
The Farther Reaches of Human Nature
Arkana
[38]
웹사이트
Maslow's Hierarchy of Needs
http://www.abraham-m[...]
2011-09-18
[39]
논문
A theory of human motivation
[40]
문서
Business Volume 1
[41]
서적
Interview with Dr. Abraham Maslow
Wyndham Hall Press
[42]
논문
A Theory of Metamotivation: The Biological Rooting of the Value-Life
[43]
서적
Psychology: The Science of Behaviour
Pearson Education Canada
[44]
서적
The Developing Person through the Life Span
1983
[45]
문서
A Theory of Human Motivation
[46]
간행물
Maslow's Hierarchy and Student Retention
1989
[47]
웹사이트
Restructuring for Caring & Effective Education
http://www.normemma.[...]
Paul Brookes
1992
[48]
뉴스
Testing Maslow's Hierarchy of Needs: National Quality-of-Life Across Time
1999
[49]
논문
Maslow's Other Child
[50]
논문
Abraham Maslow and Heinz Kohut: A Comparison
[51]
서적
Social psychology
McGraw-Hill
[52]
서적
The Journals of A.H. Maslow Vol. 1
Brooks/Cole Publishing Co.
[53]
웹사이트
Abraham Maslow
http://webspace.ship[...]
2009-10-08
[54]
논문
Abraham Maslow, humanistic psychology, and organization leadership: a Jungian perspective
[55]
웹사이트
Metaneeds and metapathologies
http://webspace.ship[...]
2010-04-12
[56]
서적
Memory
Allyn and Bacon Canada
1999-2000
[57]
문서
Goble (1970)
[58]
논문
Creative Transcendence: Memoir Writing for Transformation and Empowerment
https://www.atpweb.o[...]
2022-11-13
[59]
웹사이트
Maslow's Hierarchy of Needs
http://www.simplypsy[...]
Simplypsychology.org
2020-01-24
[60]
논문
A Brief Analysis of Abraham Maslow's Original Writing of Self-Actualizing People: A Study of Psychological Health
https://eric.ed.gov/[...]
2021-05-05
[61]
논문
Happiness Is the Right Metric to Measure Good Societal Functioning
2016-06
[62]
서적
Notes Toward a Psychology of Being
https://books.google[...]
Western Behavioral Sciences Institute
2023-03-21
[63]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ories of Personality
https://books.google[...]
Prentice Hall/Pearson
[64]
서적
Toward a Psychology of Being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13
[65]
서적
The God Gene: How Faith Is Hardwired into Our Genes
https://books.google[...]
Knopf Doubleday Publishing Group
[66]
서적
The Right to Be Human: A Biography of Abraham Maslow
https://books.google[...]
Four Worlds Press
[67]
웹사이트
Abraham Maslow and Spirituality {{!}} Awaken
http://www.awaken.co[...]
2019-03-15
[68]
웹사이트
Abraham Maslow on Religion, Values of Self-actualisers, and Peak Experiences – The Gold Scales
http://oaks.nvg.org/[...]
2019-03-15
[69]
뉴스
M is for Abraham Maslow: A Founder of Humanistic Psychology
http://www.thepositi[...]
2016-12-13
[70]
논문
Two Thoughts on Abraham Maslow
2008-10
[71]
서적
Positive Psychotherapie
Fischer
1977
[71]
서적
Positive Psychotherapy
Springer
1987
[72]
서적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A Handbook and Classific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73]
서적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A Handbook and Classification
https://books.googl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2-10-21
[74]
서적
Stumbling on happiness
Random House
2006
[75]
서적
The Psychology of Science: A Reconnaissance
Gateway Editions
[76]
논문
Kuhn Meets Maslow: The Psychology Behind Scientific Revolutions
2017
[77]
논문
Problem-centering vs. means-centering in science
1946
[78]
서적
The Psychology of Science
https://books.google[...]
Maurice Bassett
2015-12-20
[79]
웹사이트
Abraham Maslow was a Eugenicist
https://dr-s.medium.[...]
[80]
웹사이트
"(2004-10-28) Locke Maslow Eugenics"
http://webseitz.flux[...]
2015-12-11
[81]
웹사이트
Abraham Maslow, empirical spirituality and the crisis of values
https://www.philosop[...]
2024-10-30
[82]
웹사이트
'More evolved than you': evolutionary spirituality as a frame for psychedelic experience
https://www.ecstatic[...]
2024-10-30
[83]
논문
'More evolved than you': Evolutionary spirituality as a cultural frame for psychedelic experiences
2023
[84]
서적
Sommers & Satel (2006)
https://books.google[...]
2023-10-17
[85]
간행물
Positive psychology
[86]
웹사이트
Hierarchy of Needs
2012-09-12
[87]
논문
Needs and subjective well-being around the world
2011
[88]
서적
Motivation and Personality
[89]
논문
A new approach to cognitive development: ontogenesis and the process of initiation
https://www.academia[...]
Springer Verlag
2015-12-20
[90]
논문
Criticism and Polemics Surrounding the Self-Actualization Construct: An Evaluation
1991-03-01
[91]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ories of Personality
Pearson Prentice Hall
[92]
논문
Abraham Maslow: A Brief Reminiscence
[93]
웹사이트
Humanists of the Year
http://americanhuman[...]
2013-11-14
[94]
문서
[95]
서적
トランスパーソナル心理学
青土社
2000
[96]
서적
The right to be human: a biography of Abraham Maslow
McGraw-Hill
1999
[97]
문서
[98]
간행물
Positive psychology
2009
[99]
문서
[100]
논문
A new approach to cognitive development: ontogenesis and the process of initiation
1993
[101]
웹사이트
'[네이버 지식백과] 에이브러햄 매슬로우 [Abraham H. Maslow]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https://terms.naver.[...]
[102]
웹사이트
'[네이버 지식백과] 욕구 단계 이론 [hierarchy of needs theory] (심리학용어사전, 2014. 4.)'
https://terms.naver.[...]
[103]
웹사이트
'[네이버 지식백과] 위대한 심리학자 매슬로의 탄생 (사회과학 명저 재발견 2, 김명언)'
https://terms.naver.[...]
[104]
웹사이트
'[네이버 지식백과] 위대한 심리학자 매슬로의 탄생 (사회과학 명저 재발견 2, 김명언)'
https://terms.naver.[...]
[105]
웹사이트
'[네이버 지식백과] 매슬로 [Abraham Harold Maslow] (상담학 사전, 2016. 01. 15., 김춘경, 이수연, 이윤주, 정종진, 최웅용)'
https://terms.naver.[...]
[106]
네이버 지식백과
매슬로 [Abraham Harold Maslow]
https://terms.naver.[...]
상담학 사전, 김춘경, 이수연, 이윤주, 정종진, 최웅용
2016-01-15
[107]
네이버 지식백과
욕구 단계 이론 [hierarchy of needs theory]
https://terms.naver.[...]
심리학용어사전
2014-04
[108]
네이버 지식백과
에이브러햄 매슬로우 [Abraham H. Maslow]
https://terms.naver.[...]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109]
네이버 지식백과
매슬로 [Abraham Harold Maslow]
https://terms.naver.[...]
상담학 사전, 김춘경, 이수연, 이윤주, 정종진, 최웅용
2016-01-15
[110]
네이버 지식백과
위대한 심리학자 매슬로의 탄생
https://terms.naver.[...]
사회과학 명저 재발견 2, 김명언
[111]
네이버 지식백과
매슬로 [Abraham Harold Maslow]
https://terms.naver.[...]
상담학 사전, 김춘경, 이수연, 이윤주, 정종진, 최웅용
2016-01-15
[112]
네이버 지식백과
인간의 가장 본능적인 욕구는 무엇일까? - 매슬로우의 인간 욕구 5단계 이론
https://terms.naver.[...]
시장의 흐름이 보이는 경제 법칙 101, 김민주
2011-02-28
[113]
네이버 지식백과
매슬로의욕구5단계설
https://terms.naver.[...]
매일경제, 매경닷컴
[114]
네이버 지식백과
매슬로의 동기부여론(욕구 단계설)
https://terms.naver.[...]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115]
서적
몰입, 인생을 바꾸는 자기혁명
랜덤하우스코리아
2009
[116]
서적
현대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01
[117]
서적
현대심리학 이해
학지사
2010
[118]
논문
A Theory of Human Motivation A. H. Maslow (1943) Originally Published in Psychological Review, 50, 370-396.
http://psychclassics[...]
[119]
서적
Motivation and Personality
1954
[120]
네이버 지식백과
에이브러햄 해롤드 매슬로 [Abraham Harold Maslow]
21세기 정치학대사전, 정치학대사전편찬위원회
[121]
네이버 지식백과
욕구단계 이론 [欲求段階理論, need step theory]
https://terms.naver.[...]
이해하기 쉽게 쓴 행정학용어사전, 하동석, 유종해
2010-03-25
[122]
서적
현대심리학 이해
학지사
2010
[123]
네이버 지식백과
인간의 가장 본능적인 욕구는 무엇일까? - 매슬로우의 인간 욕구 5단계 이론
https://terms.naver.[...]
시장의 흐름이 보이는 경제 법칙 101, 김민주
2011-02-28
[124]
네이버 지식백과
욕구 단계 이론 [hierarchy of needs theory]
https://terms.naver.[...]
심리학용어사전
2014-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