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수초 질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탈수초 질환은 중추 신경계 또는 말초 신경계의 수초가 손상되어 발생하는 질환으로, 염증 유무, 수초 파괴 원인에 따라 분류된다. 주요 질환으로는 다발성 경화증, 시신경 척수염, 길랭-바레 증후군 등이 있으며, 징후 및 증상은 시력 저하, 운동실조, 감각 이상 등 다양하게 나타난다. 진단은 MRI, 유발 전위 검사, 뇌척수액 분석 등을 통해 이루어지며, 치료는 증상 관리, 약물 치료, 생활 방식 변화 등을 포함한다. 예후는 질환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연구를 통해 새로운 치료법 개발이 진행 중이다. 탈수초 질환은 사람뿐만 아니라 다양한 동물에서도 발생하며, 발병률은 질환에 따라 차이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경계 질환 - 앨리스 증후군
앨리스 증후군은 시각, 촉각, 청각, 신체 이미지 인지 등 다양한 감각에 영향을 미치는 신경학적 질환으로, 사물이 왜곡되어 보이는 감각 인지와 자신의 신체에 대한 인식 왜곡을 특징으로 하며, 뇌의 혈류 이상, 감염성 질환, 편두통 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신경계 질환 - 신경통
신경통은 특정 말초 신경 영역에서 발생하는 통증을 통칭하며, 원인 불명의 특발성부터 대상 포진 후 신경통과 같은 증후성까지 다양한 형태로 발작성 통증을 반복적으로 보이는 질환으로, 통증 병력, 신체 검사 등으로 진단하고 약물, 물리, 외과적 치료를 시행한다.
탈수초 질환 | |
---|---|
일반 정보 | |
질병 분야 | 신경학 |
증상 | (정보 없음) |
합병증 | (정보 없음) |
발병 시기 | (정보 없음) |
지속 기간 | (정보 없음) |
유형 | |
유형 | (정보 없음) |
원인 | |
원인 | (정보 없음) |
위험 요소 | (정보 없음) |
진단 | |
진단 | (정보 없음) |
감별 진단 | (정보 없음) |
예방 | |
예방 | (정보 없음) |
치료 | |
치료 | (정보 없음) |
약물 | (정보 없음) |
예후 | |
예후 | (정보 없음) |
빈도 | |
빈도 | (정보 없음) |
사망 | |
사망 | (정보 없음) |
이미지 | |
![]() |
2. 종류
탈수초 질환은 크게 중추 신경계와 말초 신경계 질환으로 나뉜다.[33] 신경 주위를 둘러싼 수초는 중추신경계에서는 희소돌기아교세포가, 말초신경계에서는 슈반 세포가 형성한다. 수초는 신경 신호 전달 속도를 높이는 도약 전도에 중요하며, 손상될 경우 신경 전도 속도가 느려져 다양한 신경 증상이 나타난다. 또한, 수초는 신경에 영양을 공급하고 보호하므로, 손상 시 신경 세포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33]
탈수초 질환은 수초가 파괴되는 '수초 파괴성 탈수초화'와 수초가 비정상적인 '이상 수초 형성 백질 이영양증'으로 구분할 수 있다.
2. 1. 중추신경계 질환
중추 신경계의 탈수초 질환은 뇌와 척수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이다. 크게 수초 파괴성 질환과 수초 형성 부전 질환으로 나눌 수 있다.수초 파괴성 질환은 이미 형성된 수초가 파괴되는 질환으로, 다발성 경화증, 시신경 척수염(데빅병) 등이 대표적이다. 이 질환들은 시신경염 및 횡단성 척수염과 같은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많은 경우 원인을 알 수 없는 특발성으로 발생한다.
수초 형성 부전 질환은 수초 형성에 문제가 생기는 질환으로, 백질 이영양증 등이 여기에 속한다. 비타민 B12 결핍으로 인한 신경병증, 뇌교 중심부 수초용해증, 척수병증, 진행성 다발성 백질뇌병증 등이 포함된다.
희소돌기아교세포는 중추신경계에서 수초를 형성하는 세포로, 이 수초가 손상되면 신경 전도 속도가 느려지고 다양한 신경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수초는 신경에 영양을 공급하고 보호하는 역할도 하므로, 수초 손상은 신경 세포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33]
2. 1. 1. 다발성 경화증 (MS)
다발성 경화증은 중추신경계에 염증이 생기고 수초(myelin sheath)가 파괴되는 만성 질환이다. 재발과 완화를 반복하며 다양한 신경학적 증상을 유발한다. 한국에서는 비교적 드물지만, 최근 발병률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다발성 경화증의 전형적인 형태는 다음과 같다.[1]- 시신경 척수염 (데빅병)
- 특발성 염증성 탈수초 질환
2. 1. 2. 시신경 척수염 (데빅병)
시신경 척수염(데빅병)은 시신경과 척수에 주로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다발성 경화증과 유사하지만, 더 심각한 시력 저하와 마비를 유발할 수 있다. 한국에서는 다발성 경화증보다 더 흔하게 발생한다.탈수초성 염증이 시신경 또는 척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시신경염 및 횡단성 척수염과 같은 증상과 관련이 있다.
2. 1. 3. 기타 중추신경계 탈수초 질환
- 급성 파종성 뇌척수염(ADEM)
- 동심원 경화증(발로병)
- 염증성 광범위 경화증(쉴더병)
- 감염성
- ** 아급성 경화성 범뇌염(SSPE)
- ** 진행성 다발 백질뇌병증(PML)
- 중독・대사성
- ** 저산소성 뇌병증
- ** 교 중심 수초 붕괴증
- ** 비타민 B12 결핍증
- 혈관성
- ** 빈스반거병
2. 2. 말초신경계 질환

말초신경계의 탈수초성 질환은 뇌와 척수에서 뻗어 나와 신체의 각 부분으로 연결되는 신경에 영향을 미친다. 말초 신경계의 탈수초성 질환은 다음과 같다.[33]
- 길랭-바레 증후군
- 피셔 증후군
- 만성 염증성 탈수초성 다발 신경병증
- 항-MAG 말초 신경병증
- 샤르코-마리-투스병과 그에 대응하는 질환인 압박 마비에 취약한 유전성 신경병증
- 구리 결핍 관련 질환 (말초 신경병증, 척수병증, 드물게 시신경병증)
- 진행성 염증성 신경병증
유수 신경 주위에는 수초라고 불리는 것이 둘러싸고 있다. 이것을 형성하는 세포는 중추 신경에서는 희소돌기아교세포, 말초 신경에서는 슈반 세포이다. 이 수초가 있기 때문에 유수 신경에서는 도약 전도를 할 수 있으므로, 이것이 손상되면 신경 전도 속도가 느려지고, 다양한 신경 증상이 유발된다. 수초를 형성하는 신경교세포는 신경에 영양을 공급하거나 보호하는 역할도 하므로, 수초가 손상되면 신경 세포에 손상을 줄 수 있다.
2. 2. 1. 길랭-바레 증후군 (GBS)
길랭-바레 증후군은 급성으로 발생하는 말초신경의 염증성 질환이다. 빠르게 진행되는 근력 약화와 감각 이상을 유발한다. 한국에서도 비교적 흔하게 발생하며,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대부분 회복된다.
2. 2. 2. 만성 염증성 탈수초성 다발 신경병증 (CIDP)
길랭-바레 증후군과 유사하지만, 만성적으로 진행되는 질환이다. 증상이 서서히 나타나고 재발과 완화를 반복한다.2. 2. 3. 기타 말초신경계 탈수초 질환
- 길랭-바레 증후군과 그 만성 형태인 만성 염증성 탈수초성 다발 신경병증
- 항-MAG 말초 신경병증
- 샤르코-마리-투스병과 그에 대응하는 질환인 압박 마비에 취약한 유전성 신경병증
- 구리 결핍 관련 질환 (말초 신경병증, 척수병증, 드물게 시신경병증)
- 진행성 염증성 신경병증
3. 징후 및 증상
탈수초 질환에서 나타나는 징후와 증상은 각 질환마다 다르다. 이러한 증상과 징후는 탈수초 질환이 있는 사람에게 나타날 수 있다.[9]
증상 |
---|
흐릿한 복시 |
운동실조 |
간대성 근경련 |
구음장애 |
피로 |
어색함 |
손 마비 |
반신불완전마비 |
생식기 마취 |
협응 불능 |
감각이상 |
눈 마비 (뇌신경 마비) |
근육 협응력 저하 |
쇠약(근육) |
감각 상실 |
시력 저하 |
불안정한 보행 |
경직성 부분마비 |
요실금 |
청력 문제 |
언어 문제 |
유수 신경 주위에는 수초라고 불리는 것이 둘러싸고 있다. 수초를 형성하는 세포는 중추 신경에서는 희소돌기아교세포, 말초 신경에서는 슈반 세포이다. 수초가 있으면 유수 신경에서 도약 전도를 할 수 있으므로, 수초가 손상되면 신경 전도 속도가 느려지고 다양한 신경 증상이 유발된다. 수초를 형성하는 신경교세포는 신경에 영양을 공급하거나 보호하는 역할도 하므로, 수초가 손상되면 신경 세포에 손상을 줄 수 있다.[33]
4. 진단
탈수초 질환의 진단에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방법이 사용된다.
- 비슷한 증상을 보이는 다른 질환을 배제한다.[13]
- 자기 공명 영상(MRI)은 방사선학에서 신체 내부 구조를 자세히 보기 위해 사용되는 의료 영상 기술이다. MRI는 신체 내부 원자핵을 영상화하기 위해 핵자기 공명(NMR)의 성질을 이용한다. MRI는 양성자 밀도 변화를 평가하므로 신뢰할 수 있다. 뇌 수분 함량 변화로 인해 "반점"이 나타날 수 있다.[13]
- 유발 전위는 뇌파도(EEG), 근전도(EMG) 등 전기생리학적 기록 방법을 통해 감지된 자극 제시 후 신경계에서 기록된 전기적 전위이다.[13]
- 뇌척수액 분석(CSF)은 중추 신경계 감염 진단에 매우 유용할 수 있다. CSF 배양 검사에서 감염을 일으킨 미생물이 검출될 수 있다.[13]
- 자기 공명 분광법(MRS)은 뇌 종양, 뇌졸중, 발작 장애, 알츠하이머병, 우울증 및 뇌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 질병의 대사 변화를 연구하는 데 사용되는 비침습적 분석 기술이다. 또한 근육과 같은 다른 장기의 대사를 연구하는 데에도 사용되었다.[13]
- 의학적 진단은 임상의가 정확한 진단을 내리기 위해 사용하는 징후, 증상 및 검사 결과의 특정 조합을 의미한다.[13]
- 유체 감쇠 반전 회복(FLAIR)은 펄스 시퀀스를 사용하여 뇌척수액을 억제하고 병변을 더 명확하게 보여주며, 다발성 경화증 평가 등에 사용된다.
탈수초화 여부는 병리학적 개념이므로 T2 강조 영상에서 고신호를 보이는 병변 부위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5. 치료
치료법은 환자별로 다르며, 질환과 함께 나타나는 증상과 질환의 진행에 따라 달라진다. 증상 관리나 탈수초화 속도를 늦추기를 통해 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다. 치료에는 약물, 생활 방식 변화(예: 금연, 휴식 증가, 식단 변화), 상담, 이완 요법, 신체 운동, 환자 교육,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뇌 심부 시상 자극술(진전 완화) 등이 포함될 수 있다.[13]
6. 예후
예후는 질병 자체에 따라 다르다. 다발성 경화증(MS)과 같은 일부 질환은 질병의 아형, 연령, 성별, 초기 증상, 환자가 경험하는 장애 정도 등 환자의 다양한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14] MS 환자의 기대 수명은 영향을 받지 않은 사람보다 5~10년 더 낮다.[15] MS는 알려지지 않은 환경적 유발 요인에 노출된 후 유전적으로 취약한 개인에게서 발생하는 중추 신경계(CNS)의 염증성 탈수초성 질환이다. MS의 기저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자가 항원, 특히 미엘린 단백질에 대한 면역 반응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강력하게 의심된다.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가설은 T 세포 수용체와 미엘린 항원 간의 상호 작용이 미엘린-올리고덴드로사이트 복합체에 대한 면역 공격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활성 T 세포와 미엘린 항원 간의 이러한 상호 작용은 파괴적인 염증 반응을 유발하고, T 세포 및 B 세포의 지속적인 증식과 대식세포 활성화를 촉진하여 염증 매개체의 분비를 지속시킨다.[16] 교뇌 중심성 수초 융해증과 같은 다른 질환은 환자의 약 3분의 1이 회복되고 나머지 3분의 2는 다양한 정도의 장애를 경험한다.[17] 횡단성 척수염과 같은 일부 경우, 환자는 질환 발생 후 2~12주 이내에 회복을 시작할 수 있다.
7. 연구 동향
탈수초 질환에 대한 연구는 이러한 질환이 작용하는 메커니즘을 발견하여 이 질환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을 위한 치료법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예를 들어, 단백질체학은 탈수초 질환의 병태생리에 기여하는 여러 단백질을 밝혀냈다.[20]
COX-2는 탈수초화의 동물 모델에서 희소돌기아교세포의 죽음과 관련이 있다.[21] 미엘린 잔해의 존재는 억제성 미엘린 성분의 존재로 인해 손상성 염증뿐만 아니라 불량한 재생과 관련이 있다.[22][23]
N-카데린은 활성 재수초화 영역에서 발현되며 재수초화에 도움이 되는 국소 환경을 조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24] N-카데린 작용제는 확인되었으며 신경돌기 성장과 세포 이동을 자극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이는 손상 또는 질병 후 축삭 성장 및 재수초화를 촉진하는 핵심 요소이다.[25]
면역 조절 약물인 핑골리모드는 중추 신경계에 대한 면역 매개 손상을 줄여 다발성 경화증 환자의 추가 손상을 예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약물은 질병 진행에서 대식세포의 역할에 작용한다.[26][27]
갑상선 호르몬 수치를 조절하는 것은 다발성 경화증 환자에서 재수초화를 촉진하고 돌이킬 수 없는 손상을 예방하는 실행 가능한 전략이 될 수 있다.[28] 또한 비강 내 아포트랜스페린(aTf) 투여가 미엘린을 보호하고 재수초화를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29] 마지막으로, 신경 줄기 세포를 활성화하는 전기 자극은 탈수초화 영역을 복구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30]
8. 다른 동물에서의 탈수초 질환
탈수초 질환은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동물에게서 발견된다. 이러한 동물에는 생쥐, 돼지, 소, 햄스터, 쥐, 양, 샴 새끼 고양이, 그리고 여러 개 품종(차우차우, 스프링거 스파니엘, 달마시안, 사모예드, 골든 리트리버, 러처, 버니즈 마운틴 독, 비즐라, 바이마라너, 오스트레일리안 실키 테리어, 믹스견 포함)이 있다.[31][32]
9. 역학
탈수초 질환의 발병률은 질환에 따라 다르다. 척수매독과 같은 일부 질환은 주로 남성에게 나타나며 중년기에 시작된다. 하지만 시신경염은 30세에서 35세 사이의 여성에게서 더 자주 발생한다.[18] 다발성 경화증과 같은 다른 질환은 국가 및 인구에 따라 유병률이 다르다.[19] 이 질환은 소아와 성인 모두에게 나타날 수 있다.[15]
참조
[1]
DorlandsDict
demyelinating disease
three/000030717
[2]
논문
Organophosphate-induced delayed polyneuropathy
2005
[3]
논문
Effect of chronic antipsychotic exposure on astrocyte and oligodendrocyte numbers in macaque monkeys
2008-04
[4]
논문
Vitamin-responsive epileptic encephalopathies in children
2013
[5]
논문
A Tale of Treatable Infantile Neuroregression and Diagnostic Dilemma with Glutaric Aciduria Type I
2017
[6]
논문
Demyelinating disease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7]
논문
Leukodystrophy and the concept of dysmyelination
1961-03
[8]
웹사이트
Demyelination
http://www.mult-scle[...]
2008-01
[9]
웹사이트
Symptoms of Demyelinating Disorders - Right Diagnosis
Right Diagnosis
2012-02-01
[10]
논문
Prolonged myelination in human neocortical evolution
2012-10
[11]
논문
Prefrontal white matter volume is disproportionately larger in humans than in other primates
2005-02
[12]
논문
Multiple sclerosis is primarily a neurodegenerative disease
2013-10
[13]
서적
Advances in Neurology Volume 98: Multiple Sclerosis and Demyelinating Diseases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4]
논문
Natural history of multiple sclerosis
1994
[15]
논문
Multiple sclerosis
2008-10
[16]
논문
Blood-brain barrier disruption in multiple sclerosis
2003-12
[17]
논문
Osmotic demyelination syndrome
2005-10
[18]
논문
Optic neuritis: a population-based study in Olmsted County, Minnesota
1995-02
[19]
논문
The prevalence of multiple sclerosis in the world: an update
2001-04
[20]
논문
Extraction and proteomic analysis of proteins from normal and multiple sclerosis postmortem brain
2005-02
[21]
논문
The cyclooxygenase-2 pathway via the PGE₂ EP2 receptor contributes to oligodendrocytes apoptosis in cuprizone-induced demyelination
2012-05
[22]
논문
Myelin debris regulates inflammatory responses in an experimental demyelination animal model and multiple sclerosis lesions
2012-10
[23]
논문
Myelin recovery in multiple sclerosis: the challenge of remyelination
2013-08
[24]
논문
Re-expression of N-cadherin in remyelinating lesions of experimental inflammatory demyelination
2012-09
[25]
논문
Stimulation of N-cadherin-dependent neurite outgrowth by small molecule peptide mimetic agonists of the N-cadherin HAV motif
2010-05
[26]
논문
Development of oral agent in the treatment of multiple sclerosis: how the first available oral therapy, fingolimod will change therapeutic paradigm approach
2012
[27]
논문
Growth factor treatment of demyelinating disease: at last, a leap into the light
2002-11
[28]
논문
Cuprizone-induced demyelination in the rat cerebral cortex and thyroid hormone effects on cortical remyelination
2012-05
[29]
논문
Intranasal administration of aTf protects and repairs the neonatal white matter after a cerebral hypoxic-ischemic event
2012-10
[30]
논문
Electromagnetic field stimulation potentiates endogenous myelin repair by recruiting subventricular neural stem cells in an experimental model of white matter demyelination
2012-09
[31]
웹사이트
Merck Veterinary Manual – Demyelinating Disorders: Introduction
http://www.merckvetm[...]
2012-10-30
[32]
서적
The Infectious Etiology of Chronic Diseases: Defining the Relationship, Enhancing the Research, and Mitigating the Effects: Workshop Summary.
https://www.ncbi.nlm[...]
NIH
[33]
웹사이트
脱髄性疾患の多発性硬化症(MS)とは?発症原因となる「脱髄」とは? - 医者がまとめるMEDLEY(メドレー)病気辞典
http://medley.life/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