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토끼풀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끼풀속은 전 세계에 분포하는 300여 종의 식물 속으로, 1000년경 스페인에서 처음 재배되었다. 토끼풀은 윤작과 가축 사료로 활용되며, 질소 고정 능력을 통해 농업 생산성 향상에 기여했다. 꿀벌의 주요 밀원이기도 했으나, 구아노 수입과 하버-보슈 공정으로 인해 작물로서의 입지가 좁아지기도 했다. 21세기에는 수분 매개자 감소에 대한 대책과 질소 비료 가격 상승으로 인해 다시 주목받고 있다. 토끼풀은 사료 작물로 널리 재배되며, 야생 동물과 사람에게 식용으로도 사용된다. 또한 아일랜드의 상징으로, 네 잎 클로버는 행운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토끼풀족 - 자주개자리
    자주개자리(Medicago sativa)는 콩과에 속하는 다년생 사료 작물로,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며 가축 사료, 토양 비옥도 증진 등에 활용된다.
  • 토끼풀족 - 붉은토끼풀
    붉은토끼풀은 유럽, 서아시아, 북서아프리카 원산의 단명 다년생 식물로, 질소 고정 능력이 뛰어나 사료나 녹비 작물로 재배되며 식용, 아로마테라피 용도로도 사용되고 덴마크의 국화이자 버몬트 주의 주화이다.
  • 지피식물 - 인디고페라 틴토리아
    인디고페라 틴토리아는 열대 아프리카와 아시아에 분포하며 인디고 염료의 원료로 재배되는 1~2m 높이의 관목으로, 밝은 녹색 잎과 분홍색 또는 보라색 꽃이 피고, 짙은 청색을 내는 천연 염료를 제공하며, 토양 개량 피복 작물 및 역사적으로 중요한 염료 식물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 지피식물 - 인동덩굴
    인동덩굴은 동아시아에 분포하는 상록 또는 반상록 덩굴성 관목으로, 흰색에서 노란색으로 변하는 꽃이 피고 한국에서는 강인한 생명력 때문에 인동이라 불리지만, 유럽과 미국에서는 침입종으로 분류된다.
  • 질소 고정 작물 - 땅콩
    땅콩은 콩과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식물로, 지하에서 열매가 맺히는 독특한 특징을 가지며, 식용, 기름 생산, 사료, 산업적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영양가가 풍부하지만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 질소 고정 작물 -
    콩은 동북아시아가 원산지인 콩과의 한해살이 식물로, 고대 동아시아에서 중요한 식량 작물이었으며 다양한 가공식품의 원료로 사용되었고,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며 식품, 사료, 공업 원료 등으로 널리 활용되지만 유전자변형, 환경 문제,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 등에 대한 우려도 있다.
토끼풀속
속 정보
흰 토끼풀 (Trifolium repens)
흰 토끼풀 (Trifolium repens)
학명Trifolium
명명자L.
어원라틴어 "tres" (셋) + "folium" (잎)
높이약 30 cm
하위 분류
아속Chronosemium
Trifolium
Glycyrrhizum
Involucrarium
Lupinaster
Paramesus
Trichocephalum
Trifoliastrum
Trifolium
Vesicastrum
이명

2. 역사

토끼풀은 서기 1000년경 스페인에서 처음으로 재배되었다.[3] 유럽의 도시화 과정에서 토끼풀을 이용한 윤작은 식량으로 도시로 수출되는 고정 질소를 대체하는 데 필수적이 되었다.[3] 토끼풀 사용이 확산되면서 토양 질소 수치가 증가한 것은 1880년 유럽의 농업 생산량이 1750년 생산량의 약 275%에 달한 주요 이유 중 하나였다.[4] 사료와 새롭게 발명된 사일리지로 사용되는 토끼풀 밭은 농촌 풍경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고,[3] 토끼풀을 추가함으로써 가축 사료의 영양가가 높아졌다. 꿀 생산량도 급증했으며, 토끼풀은 20세기 중반까지 꿀벌의 주요 밀원(蜜源)으로 남았다. 토끼풀은 유럽 식민지 개척자들에 의해 작물로 전 세계로 옮겨졌고, 일부 토끼풀 종은 일부 지역에서 침입종이 되었다.[4]

구아노의 수입[4]과 20세기에 하버-보슈 공정의 개발로 인해 토끼풀은 작물로서 입지가 크게 좁아졌고, 수분 매개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3] 1990년대와 2010년대에는 공업적으로 고정된 질소의 가격이 급격히 상승하여 약 두 배가 되었고, 토끼풀을 포함하는 사료 혼합물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졌다. 질소 고정 과정은 에너지 집약적이므로 가격은 에너지 가격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21세기에는 전 세계적인 수분 매개자 감소에 대항하기 위한 대책으로서 토끼풀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4]

이슬 방울이 맺힌 토끼풀


자리바르 호수 근처의 토끼풀의 다채로운 꽃이란


작은 호프 트레포일


올빼미 머리 클로버


흰 토끼풀

2. 1. 재배 역사

토끼풀은 서기 1000년경 스페인에서 처음으로 재배되었다.[3] 유럽의 도시화 과정에서 토끼풀을 이용한 윤작은 식량으로 도시로 수출되는 고정 질소를 대체하는 데 필수적이 되었다.[3] 토끼풀 사용이 확산되면서 토양 질소 수치가 증가한 것은 1880년 유럽의 농업 생산량이 1750년 생산량의 약 275%에 달한 주요 이유 중 하나였다.[4] 사료와 새롭게 발명된 사일리지로 사용되는 토끼풀 밭은 농촌 풍경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고,[3] 토끼풀을 추가함으로써 가축 사료의 영양가가 높아졌다. 꿀 생산량도 급증했으며, 토끼풀은 20세기 중반까지 꿀벌의 주요 밀원(蜜源)으로 남았다. 토끼풀은 유럽 식민지 개척자들에 의해 작물로 전 세계로 옮겨졌고, 일부 토끼풀 종은 일부 지역에서 침입종이 되었다.[4]

구아노의 수입[4]과 20세기에 하버-보슈 공정의 개발로 인해 토끼풀은 작물로서 입지가 크게 좁아졌고, 수분 매개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3] 1990년대와 2010년대에는 공업적으로 고정된 질소의 가격이 급격히 상승하여 약 두 배가 되었고, 토끼풀을 포함하는 사료 혼합물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졌다. 질소 고정 과정은 에너지 집약적이므로 가격은 에너지 가격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21세기에는 전 세계적인 수분 매개자 감소에 대항하기 위한 대책으로서 토끼풀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4]

2. 2. 한국 전래

3. 생태

3. 1. 종류

토끼풀속에는 300여 종이 있으며,:539 전 세계적으로 분포한다. 주요 종은 다음과 같다:



일본에는 샤지쿠소가 자생하며, 토끼풀을 비롯한 여러 종이 목초, 원예, 녹비 등으로 도입되어 귀화식물이 되었다.

토끼풀속은 약 260종으로 구성되며, 다음과 같은 아속 및 절로 분류된다.


  • ''Chronosemium'' 아속: 지중해 주변 20종
  • ''Trifolium'' 아속
  • ''Glycyrrhizum'' 절: 알프스-코카서스 산맥 2종
  • ''Paramesus'' 절: 지중해 주변 2종
  • ''Lupinaster'' 절: 동유럽부터 동아시아 3종 (예: 달구지풀)
  • ''Trichocephalum'' 절: 지중해 주변 9종
  • ''Trifolium'' 절: 지중해 주변 73종 (남아프리카 1종)
  • ''Vesicastrum'' 절: 지중해 주변, 아프리카 대륙 54종
  • ''Trifoliastrum'' 절: 지중해 주변 20종
  • ''Involucrarium'' 절: 신대륙 72종

3. 2. 형태

3. 3. 생리

4. 활용

토끼풀은 곰, 사냥감, 새와 같은 야생 동물에게 먹이로 제공된다. 토끼풀은 인간이 섭취할 수 있지만,[8] 임산부는 붉은 토끼풀을 피해야 한다.[9] 이 식물은 전통적인 아메리카 원주민의 음식으로,[10] 뿌리를 생으로 먹거나 말리거나 훈제하여 먹는다. 꽃에서 나온 씨앗은 빵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11] 꽃으로 차를 만들 수도 있다.[11]
농업적 활용여러 종의 토끼풀은 사료 작물로 광범위하게 재배된다.[13] 가장 널리 재배되는 토끼풀은 흰토끼풀(Trifolium repens)과 붉은토끼풀(Trifolium pratense)이다.[13] 토끼풀은 단독으로 또는 라이그래스와 혼합하여 파종하여 오랫동안 사일리지의 주요 작물을 형성해왔다.[13]

토끼풀은 자유롭게 자라 반복적인 예초 후에도 다시 싹이 트며, 풍부한 작물을 생산한다.[13] 가축에게 맛이 좋고 영양가가 높으며, 뿌리혹 내 공생 박테리아를 사용하여 질소 고정을 하여 합성 비료의 필요성을 줄인다.[13] 또한 다양한 토양과 기후에서 자라며, 목초지나 녹비에 적합하다.[13]

많은 지역, 특히 산성 토양에서는 곤충 해충, 질병, 영양 불균형의 조합으로 인해 토끼풀의 수명이 짧아지는데, 이를 "토끼풀 병"이라고 한다.[13] 윤작을 통해 토끼풀이 8년 미만의 간격으로 다시 나타나지 않도록 관리하면, 원래의 활력 대부분을 유지하며 자란다.[13]

토끼풀은 호박벌에 의해 가장 효율적으로 수분되는데, 호박벌의 개체수는 농업 집약화의 결과로 감소했다.[5] 꿀벌도 토끼풀을 수분할 수 있으며,[6] 농부들은 꿀벌의 활동 증가로 인해 씨앗이 더 많이 퍼져서 얻는 이점을 누린다.[6] 양봉가들은 토끼풀의 개화로부터 이익을 얻는데, 토끼풀은 꿀벌의 주요 꿀 공급원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6]

''Trifolium repens''(흰토끼풀 또는 네덜란드 토끼풀), ''Trifolium hybridum''(알시케 또는 스웨덴 토끼풀), ''Trifolium medium''(초원 또는 지그재그 토끼풀)등 다양한 종이 존재한다.[13] ''Trifolium medium''는 ''T. pratense''와 교배하여 여러해살이 작물 식물을 생산할 가능성이 있다.[7]

다른 종으로는 ''Trifolium arvense''(산토끼풀), ''Trifolium fragiferum''(딸기 토끼풀), ''Trifolium campestre''(홉 토끼풀), ''Trifolium dubium''(작은 노란색 꽃이 짙은 갈색으로 변함) 등이 있다.[13]

4. 1. 농업적 활용

여러 종의 토끼풀은 사료 작물로 광범위하게 재배된다.[13] 가장 널리 재배되는 토끼풀은 흰토끼풀(Trifolium repens)과 붉은토끼풀(Trifolium pratense)이다.[13] 토끼풀은 단독으로 또는 라이그래스와 혼합하여 파종하여 오랫동안 사일리지의 주요 작물을 형성해왔다.[13]

토끼풀은 자유롭게 자라 반복적인 예초 후에도 다시 싹이 트며, 풍부한 작물을 생산한다.[13] 가축에게 맛이 좋고 영양가가 높으며, 뿌리혹 내 공생 박테리아를 사용하여 질소 고정을 하여 합성 비료의 필요성을 줄인다.[13] 또한 다양한 토양과 기후에서 자라며, 목초지나 녹비에 적합하다.[13]

많은 지역, 특히 산성 토양에서는 곤충 해충, 질병, 영양 불균형의 조합으로 인해 토끼풀의 수명이 짧아지는데, 이를 "토끼풀 병"이라고 한다.[13] 윤작을 통해 토끼풀이 8년 미만의 간격으로 다시 나타나지 않도록 관리하면, 원래의 활력 대부분을 유지하며 자란다.[13]

토끼풀은 호박벌에 의해 가장 효율적으로 수분되는데, 호박벌의 개체수는 농업 집약화의 결과로 감소했다.[5] 꿀벌도 토끼풀을 수분할 수 있으며,[6] 농부들은 꿀벌의 활동 증가로 인해 씨앗이 더 많이 퍼져서 얻는 이점을 누린다.[6] 양봉가들은 토끼풀의 개화로부터 이익을 얻는데, 토끼풀은 꿀벌의 주요 꿀 공급원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6]

''Trifolium repens''(흰토끼풀 또는 네덜란드 토끼풀), ''Trifolium hybridum''(알시케 또는 스웨덴 토끼풀), ''Trifolium medium''(초원 또는 지그재그 토끼풀)등 다양한 종이 존재한다.[13] ''Trifolium medium''는 ''T. pratense''와 교배하여 여러해살이 작물 식물을 생산할 가능성이 있다.[7]

다른 종으로는 ''Trifolium arvense''(산토끼풀), ''Trifolium fragiferum''(딸기 토끼풀), ''Trifolium campestre''(홉 토끼풀), ''Trifolium dubium''(작은 노란색 꽃이 짙은 갈색으로 변함) 등이 있다.[13]

4. 2. 밀원

4. 3. 식용 및 약용

토끼풀은 곰, 사냥감, 새와 같은 야생 동물에게 먹이로 제공된다. 토끼풀은 사람이 섭취할 수 있지만,[8] 임산부는 붉은 토끼풀을 피해야 한다.[9] 이 식물은 전통적인 아메리카 원주민의 음식으로,[10] 뿌리를 생으로 먹거나 말리거나 훈제하여 먹는다. 꽃에서 나온 씨앗은 빵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11] 꽃으로 차를 만들 수도 있다.[11]

5. 문화

토끼풀의 세 잎은 삼위일체의 상징으로 중세 시대 교회 창문 등의 도안으로 쓰였으며, 전설에 따르면 아일랜드의 성인인 성 파트리치오가 토끼풀의 세 잎이 한 줄기에 달린 것을 두고 성부·성자·성령이 셋이면서 하나라는 삼위일체를 설명했다고 한다.

토끼풀은 아일랜드의 나라꽃이기도 하며, 잎이 네 장 달린 토끼풀은 행운의 상징으로 네잎 클로버라고도 한다. 샤무록은 성 파트리치오가 삼위일체를 상징하기 위해 사용했다는 전통적인 아일랜드 상징으로 클로버와 일반적으로 연관되어 있지만, 때로는 잎이 3개인 괭이밥속(''Oxalis'')의 다양한 종과 관련되기도 한다.[12]

클로버는 보통 3개의 작은 잎 대신 4개의 작은 잎을 갖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네잎 클로버는 다른 희귀한 것들과 마찬가지로 행운의 상징으로 여겨진다.[13] 클로버는 5개, 6개 이상의 작은 잎을 가질 수도 있지만, 이런 경우는 더 드물다. 클로버의 바깥쪽 잎 구조는 물리적인 방향이 다양하다.

가장 많은 잎 수 기록은 2023년 8월 2일 일본의 와타나베 요시하루가 세운 63개이다.[14] 이전 기록 보유자인 오바라 시게오는 2002년에 18개 잎 클로버를 발견했고,[15] 2008년에는 21개 잎 클로버를,[16] 2009년에는 56개 잎 클로버를 발견했다.[17] 이 또한 일본에서 발견되었다.

흔한 관용구는 "to be (or to live) in clover"로, 걱정 없이 편안하고 풍족하게 사는 것을 의미한다.[18]

외과 수술에서 [치질 절제술 후 상처의 모양과 관련하여] 흔히 사용되는 말은 "클로버처럼 보이면 문제는 끝난 것이고, 달리아처럼 보이면 확실히 실패한 것이다."이다.

클로버 잎 인터체인지는 공중에서 보면 (네 잎) 클로버 잎과 닮아서 이름이 붙여졌다.[19]

흔히 클로버는 세 잎, 즉 세 갈래 겹잎이 기본이지만, 드물게 네 잎이 나타나며, 이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가 전해진다. 이에 대해서는 네잎 클로버 항목을 참조하십시오. 또한 더욱 드물지만 네 잎 이상의 것도 생기는 경우가 있으며, 그것에 대해서도 해당 항목을 참조하십시오.


  • 그린샤
  • 스바루 EN형 엔진(통칭 CLOVER4)
  • 텍사스 클로버 홀드
  • 클로버형(도로의 분기점이나 인터체인지의 형태 종류)
  • 장애인 마크(클로버 마크라고도 불리지만, 잎의 형태는 괭이밥이다)
  • 클로버 매듭
  • 야사카 그룹

5. 1. 상징

토끼풀의 세 잎은 삼위일체의 상징으로 중세 시대 교회 창문 등의 도안으로 쓰였으며, 전설에 따르면 아일랜드의 성인인 성 파트리치오가 토끼풀의 세 잎이 한 줄기에 달린 것을 두고 성부·성자·성령이 셋이면서 하나라는 삼위일체를 설명했다고 한다.

토끼풀은 아일랜드의 나라꽃이기도 하며, 잎이 네 장 달린 토끼풀은 행운의 상징으로 네잎클로버라고도 한다. 샤무록은 성 파트리치오가 삼위일체를 상징하기 위해 사용했다는 전통적인 아일랜드 상징으로 클로버와 일반적으로 연관되어 있지만, 때로는 잎이 3개인 괭이밥속(''Oxalis'')의 다양한 종과 관련되기도 한다.[12]

클로버는 보통 3개의 작은 잎 대신 4개의 작은 잎을 갖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네잎 클로버는 다른 희귀한 것들과 마찬가지로 행운의 상징으로 여겨진다.[13] 클로버는 5개, 6개 이상의 작은 잎을 가질 수도 있지만, 이런 경우는 더 드물다.

가장 많은 잎 수 기록은 2023년 8월 2일 일본의 와타나베 요시하루가 세운 63개이다.[14] 이전 기록 보유자인 오바라 시게오는 2002년에 18개 잎 클로버를 발견했고,[15] 2008년에는 21개 잎 클로버를,[16] 2009년에는 56개 잎 클로버를 발견했다.[17] 이 또한 일본에서 발견되었다.

흔한 관용구는 "to be (or to live) in clover"로, 걱정 없이 편안하고 풍족하게 사는 것을 의미한다.[18]

외과 수술에서 [치질 절제술 후 상처의 모양과 관련하여] 흔히 사용되는 말은 "클로버처럼 보이면 문제는 끝난 것이고, 달리아처럼 보이면 확실히 실패한 것이다."이다.

클로버 잎 인터체인지는 공중에서 보면 (네 잎) 클로버 잎과 닮아서 이름이 붙여졌다.[19]

5. 2. 문학

참조

[1] 웹사이트 Species Nomenclature in GRIN http://www.ars-grin.[...] 2010-08-04
[2] Plants of the World Online Trifolium Tourn. ex L. https://powo.science[...] 2023-09-22
[3] 논문 A Plant that Changed the World: The rise and fall of clover 1000-2000 2003-01
[4] 논문 Clover in agriculture: combined benefits for bees, environment, and farmer 2022-06
[5] 뉴스 Bumbles make beeline for gardens, study suggests https://www.bbc.co.u[...] 2010-11-27
[6] 서적 Beekeeping in the United States https://books.google[...]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22-03-11
[7] 논문 Breeding potential of the backcross progenies of a hybrid between ''Trifolium medium'' × ''T. pratense'' to ''T. pratense''
[8] 서적 Field guide to edible wild plants https://archive.org/[...] Harrisburg, Pa.] Stackpole Books 1974
[9] 웹사이트 3 Edible Weeds https://gardencultur[...] 2016-02-19
[10] 웹사이트 Indigenous tribes utilized clover and the plant inspired a local city's name https://www.pressdem[...] 2024-04-30
[11] 서적 Field Guide to Edible Wild Plants https://archive.org/[...] Stackpole Books
[12] 웹사이트 Shamrock (Oxalis) 2017-02-28
[13] 간행물 Clover
[14] 웹사이트 Most leaves on a clover https://www.guinness[...] Guinness World Records 2024-08-08
[15] 웹사이트 Clover - Most Leaves http://www.guinnessw[...] Guinness World Records 2016-12-22
[16] 웹사이트 21-leaf Clover Sets Record https://www.neatoram[...] 2024-08-08
[17] 웹사이트 Most Leaves on a Clover http://www.guinnessw[...] Guinness World Records 2011-04-23
[18] 웹사이트 Cambridge Dictionary https://dictionary.c[...] 2021-06-26
[19] 서적 Travel by Road and Rail Schoolhouse Press
[20] 서적 The genus Trifolium Israel Academy of Sciences and Humanities 1984
[21] 논문 Molecular phylogenetics of the clover genus (Trifolium—Leguminosae)
[22] 논문 Genetic characterization of selected Trifolium species as revealed by nuclear DNA content and ITS rDNA region analysis
[23] 논문 Molecular phylogeny of Old WorldTrifolium (Fabaceae), based on plastid and nuclear markers 2000-09-01
[24] 웹사이트 Detox and Cleansing http://naturalon.com[...] 2014-12-24
[25] 문서 ただし一般的には、「クローバー」はシャジクソウ属の一種であるシロツメクサを指すことが多い。
[26] 논문 Molecular phylogenetics of the clover genus (Trifolium—Leguminosae)
[27] 웹사이트 侵入生物データベース > 日本の外来種全種リスト > マメ科植物 https://www.nies.go.[...] 2015-04-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