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대 프랑스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대 프랑스어는 서로마 제국에서 사용되던 통속 라틴어에서 파생된 언어로, 8세기 후반 카롤링거 르네상스 시기에 라틴어의 발음 규범 변화와 로망스어 사용 대중의 이해 차이로 인해 새로운 철자법이 시도되었다. 갈리아어와 프랑크어의 영향을 받아 음운, 어휘, 통사론적 변화를 겪었으며, 8세기와 9세기에 기록된 라이헨나우 주석, 카셀 주석, 스트라스부르크 서약 등이 초기 기록으로 남아있다. 12세기에는 다양한 방언으로 분화되었으며, 일드프랑스 방언을 기반으로 하는 중세 프랑스어가 표준어로 자리 잡았다. 문법적으로는 명사의 격 변화, 형용사의 성과 수 일치, 동사의 복잡한 활용 등 특징을 보이며, 문학 작품으로는 샹송 드 제스트, 로망스, 서정시 등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프랑스어 - 카르미나 부라나
    《카르미나 부라나》는 다양한 언어로 쓰여진 중세 시가집으로, 칼 오르프에 의해 칸타타로 편곡되어 "오 포르투나"를 비롯한 음악으로 널리 알려졌으며, 독일 남부 등 중부 유럽 지역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 프랑스어 - 프랑코포니 경기 대회
    프랑코포니 경기 대회는 프랑코포니 기구 회원국들이 참여하는 격년 다국적 스포츠 및 문화 행사로, 다양한 종목을 통해 프랑스어 사용권 국가들의 교류를 증진하며 2027년에는 아르메니아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 프랑스어 - 프랑포네
  • 중세어 - 중세 프랑스어
    중세 프랑스어는 9세기부터 14세기까지 프랑스에서 사용되었으며, 11세기 잉글랜드 정복에 영향을 주고 현대 프랑스어의 기반을 형성했으며, 다양한 방언이 존재하다가 14세기 왕실 방언을 중심으로 표준화의 기틀을 마련했다.
  • 중세어 - 중세 아일랜드어
    중세 아일랜드어는 8세기부터 12세기까지 아일랜드에서 사용된 게일어의 과도기적 단계로, 정치·사회적 변화에 따라 복잡한 문법과 독특한 음운 체계를 지니며 시가 등의 문헌을 통해 현대 아일랜드어와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고대 프랑스어
언어 정보
이름고대 프랑스어
자국어 이름

발음

사용 지역
지역북부 프랑스
벨기에 일부 (왈로니아)
스코틀랜드
잉글랜드
아일랜드
예루살렘 왕국
안티오크 공국
에데사 백국
키프로스 왕국
시대
시대14세기 중반 중세 프랑스어로 진화
어족
어족인도유럽어족
어파이탈리아어파
어족 하위 분류라틴팔리스카어군
조상 언어라틴어
분파로망스어군
언어 하위 분류이탈리아서부어군
언어 하위 분류 2서부 로망스어군
언어 하위 분류 3갈로이베리아어
언어 하위 분류 4갈로로망스어군
언어 하위 분류 5갈로레티아어?
언어 하위 분류 6아르피탕어–오일어
언어 하위 분류 7오일어
조상 언어 2고대 라틴어
조상 언어 3통속 라틴어
조상 언어 4원시 로망스어
조상 언어 5고대 갈로로망스어
언어 코드
ISO 639-2fro
ISO 639-3fro
글롯로그oldf1239
글롯로그 참조 이름고대 프랑스어 (842-약 1400)

2. 역사

고대 프랑스어는 로망스어의 조상인 속 라틴어에서 비롯되었다.[5][6][7][8][9][10] 8세기 후반 카롤링거 르네상스 시기에는 라틴어 발음과 철자 개혁이 이루어졌으나, 이는 일반 대중과의 의사소통 단절을 야기했다.[11][12] 이에 따라 로망스어 표기법이 고안되기 시작했고, 스트라스부르크 서약과 ''성녀 에울랄리아의 서사시''가 초기 기록으로 남아있다.

속 라틴어는 갈리아어와 프랑크어의 영향을 받았다. 갈리아어는 어휘와 음운 변화에 영향을 주었는데, 예를 들어 라틴어 'equus'(말)는 갈리아어 'caballos'에서 유래한 'caballus'로 대체되었다.[13] 이는 현대 프랑스어 'cheval'을 비롯한 여러 로망스어 단어의 기원이 되었다. 또한, /ps/와 /pt/ 자음군이 /xs/와 /xt/로 변화하는 등의 음운 변화도 갈리아어의 영향으로 추정된다.[15]

프랑크어는 고대 프랑스어 발음, 어휘, 구문에 영향을 미쳤다. 게르만어 강세는 라틴어 멜로디 악센트를 대체하여 이중모음화, 장단 모음 구분, 무강세 음절 및 어말 모음 탈락을 야기했다.[26] 또한 [h]와 [w] 음소가 다시 도입되었으며, 현대 프랑스어 어휘의 상당 부분이 게르만어에서 유래했다.[28]

후기 중세 시대에 고대 프랑스어 방언들은 여러 개의 ''랑그 드와이유''(langues d'oïl)로 분화되었고, 중세 프랑스어일드프랑스 지역 방언이었다.[1]

2. 1. 속 라틴어로부터의 변천

플라우투스 시대(기원전 254~184년)부터 고전 라틴어서로마 제국에서 사용되던 통속 라틴어 사이의 음운 변화를 볼 수 있다. 통속 라틴어는 고전 라틴어와 음운론, 형태론에서 차이가 있었고 어휘에도 차이가 있었지만, 고전 라틴어가 일상 언어로서 '사멸'하고 제2언어로 학습해야 할 때까지(오랫동안 구어의 공식적인 형태로 여겨졌지만) 7세기까지는 상호 이해가 가능했다.[5] 통속 라틴어는 고대 프랑스어를 포함한 로망스어의 조상이다.[6][7][8][9][10]

8세기 후반 카롤링거 르네상스가 시작될 무렵, 로망스어 방언 원어민들은 라틴어를 말하고 읽을 때 로망스어 발음 규칙을 계속 사용했다. 당시 서유럽에서 가장 저명한 학자인 잉글랜드 집사 알쿠인이 샤를마뉴로부터 프랑스의 라틴어 저술 표준을 개선하라는 임무를 받았을 때, 그는 로망스어 원어민이 아니었기 때문에 라틴어 철자의 상당히 문자적인 해석에 기반한 발음을 규정했다. 예를 들어, 기존 시스템과의 급격한 차이로, '과수원'을 뜻하는 ⟨viridiarium⟩와 같은 단어는 */verdʒjær/ (나중에 'vergier'|고대 프랑스어fro로 표기됨)가 아닌 철자 그대로 소리 내어 읽어야 했다.[11]

이러한 급격한 변화는 라틴어 설교를 일반 로망스어 사용 대중에게 완전히 이해할 수 없게 만들었고, 몇 년 후 투르 제3종교회의에서 관리들은 사제들에게 구식 방식으로, rusticam romanam linguam|일반적인 로만[스]어la로 설교를 소리 내어 읽도록 지시했다.[12]

주어진 텍스트가 라틴어로 읽어야 할지 로망스어로 읽어야 할지 명확하게 나타내는 방법이 없었기 때문에, 프랑스에서는 로망스어에 대한 새로운 철자법을 고안하기 위한 여러 시도가 있었다. 가장 초기의 예로는 스트라스부르크 선서의 일부와 ''성녀 에울랄리아의 서사시''가 있다.

고전 라틴어플라우투스 시대(기원전 3세기 - 기원전 2세기)부터 음운 구조가 변하기 시작하여 점차 속라틴어(서로마 제국 공통의 구어)가 되었다. 속라틴어는 고전 라틴어와 음운 면에서 명확하게 달랐다. 속라틴어는 고대 프랑스어를 포함한 모든 로망스어의 조상이다.

2. 2. 비 라틴어의 영향

속어 라틴어는 로망스어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켈트어의 일종인 갈리아어와 게르만어의 일종인 프랑크어의 영향을 받았다.

2. 2. 1. 켈트어 (갈리아어)

일부 갈리아어 단어는 속어 라틴어에 영향을 미쳤고, 이를 통해 다른 로망스어에도 영향을 주었다. 예를 들어, 고전 라틴어 equus|에쿠스la는 속어 라틴어에서 갈리아어 caballos|카발로스xtg에서 유래한 caballus|카발루스la ('말, 노동마'라는 뜻)로 대체되었다. (ceffyl|케필cy 웨일스어, kefel|케펠br 브르타뉴어와 비교)[13] 이는 cheval|슈발프랑스어 현대 프랑스어, caval|카발oc (chaval|샤발oc) 오크어, cavall|카발ca 카탈루냐어, caballo|카바요es 스페인어, cavalo|카발루pt 포르투갈어, cavallo|카발로it 이탈리아어, cal|칼ro 루마니아어를 만들어냈고, 더 나아가 영어 ''cavalry''(기병)와 ''chivalry''(기사도) (둘 다 구 노르만어와 프랑시앵 등 [구] 프랑스어의 다른 형태를 통해 유입)를 만들어냈다.

현대 프랑스어에는 약 200개의 갈리아어 어원을 가진 단어가 남아 있는데, 예를 들어 chêne|셴프랑스어 ('참나무'라는 뜻)와 charrue|샤뤼프랑스어 ('쟁기'라는 뜻)가 있다.[14]

역사 음운론과 언어 접촉 연구에서 여러 음운 변화가 갈리아어 기층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여겨지지만, 논쟁의 여지가 있다. 이 중 하나는 라 그라프센크(서기 1세기)에서 발견된 도자기에 있는 갈리아어 금석문에 명확하게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확실하다고 여겨진다. 거기서 그리스어 단어 paropsid-es|파롭시데스el (라틴어로 쓰여짐)는 paraxsid-i|파락시디xtg로 나타난다.[15] /ps/와 /pt/ 자음군은 /xs/와 /xt/로 변화했는데, 예를 들어 capsa|캅사la 라틴어 > ''*kaxsa'' > ''caisse'' (cassa|카사it 이탈리아어와 다름) 또는 ''captīvus'' > ''*kaxtivus'' > chaitif|셰티프fro 구 프랑스어[15] (현대어 ''chétif''; cacht|카흐트ga 아일랜드어 '하인'과 비교; cattiv-ità|카티비타it 이탈리아어, cativo|카티부pt 포르투갈어, cautivo|카우티보es 스페인어와 다름)이다. 이러한 음운 변화는 구 프랑스어에서 라틴어 자음군 /kt/의 변화에서 후기 단계에 흔히 나타난다(factum|팍툼la 라틴어 > ''fait'', fatto|파토it 이탈리아어, feito|페이투pt 포르투갈어, hecho|에초es 스페인어와 다름; 또는 ''lactem''* > ''lait'', latte|라테it 이탈리아어, leite|레이트pt 포르투갈어, leche|레체es 스페인어와 다름). 이것은 /pt/와 /kt/가 먼저 구 프랑스어의 역사에서 /kt/로 합쳐진 다음 이 /kt/가 /xt/로 변화했음을 의미한다. 동시에 /ps/와 /ks/는 /ks/로 합쳐진 다음 /xs/로 변화했는데, 이는 갈리아어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켈트어족 갈리아어는 상당한 로마 문화 동화에도 불구하고 6세기까지 프랑스에서 살아남았던 것으로 여겨진다.[16] 라틴어와 공존하면서 갈리아어는 프랑스어로 발전한 속어 라틴어 방언의 형성에 기여했는데, 그 영향에는 외래어와 캘크 (oui|우이프랑스어 포함,[17] '예'를 뜻하는 단어),[20] 갈리아어의 영향을 받은 음운 변화,[18][19] 그리고 활용과 어순에 대한 영향이 포함된다.[20][21][22] 2003년의 계산 연구에 따르면 초기 성(gender) 변화는 갈리아어에 해당하는 단어의 성에 의해 유발되었을 수 있다고 한다.[23]

2. 2. 2. 프랑크어

5세기부터 갈리아에 정착하여 530년대까지 미래의 고대 프랑스어 사용 지역을 정복한 프랑크족이 사용하던 고대 프랑크어고대 후기 로마 갈리아에서 사용되던 속어 라틴어의 발음, 어휘, 구문에 영향을 미쳤다. 'français'라는 이름 자체도 프랑크족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고대 프랑크어는 고대 프랑스어의 발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는데, 이는 다른 로망스어보다 더 오래된 고대 프랑스어 문서가 존재하는 이유를 부분적으로 설명한다. (예: 스트라스부르크 서약, 성 에울라리아의 서사시)[24] 이는 고전 라틴어와 그 진화된 형태 사이에 더 이전에 발생한 격차의 결과이며, 이 격차는 서서히 줄어들다가 결국 두 언어 간의 상호 이해력을 단절시켰다. 고대 저지 프랑코니아어의 영향 또한 북부 프랑스의 여러 지역이 한동안 라틴어와 게르만어의 이중 언어 사용 지역으로 남아 있었기 때문에, 오일어(''langue d'oïl'')와 오크어(''langue d'oc'')의 차이에 대한 책임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25] 그리고 이 지역들은 고대 프랑스어로 쓰인 최초의 문서가 작성된 곳과 정확히 일치한다.

이 게르만어는 여기서 사용되는 속어 라틴어를 형성하여 다른 미래 로망스어와 비교하여 매우 독특한 정체성을 부여했다. 가장 먼저 눈에 띄는 영향은 라틴어의 멜로디 악센트를 게르만어의 강세로 대체한 것이다.[26] 그 결과 이중모음화, 장단 모음의 구분, 무강세 음절과 어말 모음의 탈락이 발생했다.

또한, 속어 라틴어에서 오래전에 사라진 두 개의 음소 [h]와 [w]가 다시 도입되었다.

밀드레드 포프는 현대 프랑스어 어휘의 15%가 여전히 게르만어 출처에서 유래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중세 프랑스어가 라틴어와 이탈리아어에서 많이 차용했기 때문에 고대 프랑스어에서는 이 비율이 더 높았다.[28]

2. 3. 초기 기록

프랑스어의 전신인 갈로-로망스어로 쓰여진 것으로 여겨지는 가장 오래된 문서는 8세기와 9세기의 라이헨나우 주석과 카셀 주석 이후, 842년 샤를 2세 왕이 체결한 조약 및 헌장인 스트라스부르크 서약이다.[1]

고대 프랑스어로 된 두 번째로 오래된 문서는 에울랄리아 서사시이며, 일관된 철자로 인해 고대 프랑스어 발음의 언어적 재구성에 중요하다.[1]

2. 4. 중세 프랑스어로의 변천

후기 중세 시대에 고대 프랑스어 방언들은 여러 개의 독립적인 ''랑그 드와이유''(langues d'oïl)로 갈라졌는데, 그중 중세 프랑스어일드프랑스 지역의 방언이었다.[1] 근세 시대 동안 프랑스어는 남부의 ''랑그 독''(langue d'oc) 사용 지역을 포함하여 왕국 전역의 공식 언어로 자리 잡았다.[1] 17세기에서 18세기에 걸쳐, 특히 ''청색 서적''(잡지나 대여 서적의 효시)의 대중 문학 발전과 함께 표준화된 고전 프랑스어가 지역 방언과 함께 프랑스 전역에 퍼져나갔다.[1]

3. 분포 범위와 방언

1180년 프랑스 지도, 봉건 제도의 전성기. 프랑스 왕실 영토는 연한 파란색, 프랑스 왕의 봉신 영토는 녹색, 앙주 영토는 빨간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동쪽의 신성 로마 제국은 흰색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그 서쪽 변두리에는 상부르고뉴와 로렌을 포함한 고대 프랑스 지역도 포함되어 있다.


고대 프랑스어는 오일어에 속하며, 오크어와 대비되었다.

3. 1. 주요 방언

현대적 용어로 고대 프랑스어의 언어 사용 지역은 프랑스 왕국의 북부 지역(앙주와 노르망디 포함), 상부르고뉴 및 로렌 공국에 해당했다. 고대 프랑스어는 잉글랜드와 아일랜드로도 퍼져 나갔고, 십자군 원정 기간 동안 시칠리아 왕국과 안티오크 공국, 그리고 레반트예루살렘 왕국에서도 사용되었다.[3]

갈로-로망스어군 방언 연속체의 일부인 langues d'oïlfro은 당시 "프로방스어"라고도 불렸던 langues d'ocfro와 대조되었으며, 고대 프랑스어 지역의 남서쪽에 인접해 있었고, 남동쪽의 갈로-이탈리아어군과도 대조되었다. 프랑코-프로방스어는 상부르고뉴에서 발전하여 프랑스어와 프로방스어의 특징을 공유했으며, langue d'oïlfro에서 분기하기 시작한 것은 9세기 초일 수 있으며, 12세기에는 별개의 갈로-로망스어 변종으로 증명되었다.[4]

고대 프랑스어의 방언 또는 변종은 다음과 같다.

  • 부르고뉴어: 부르고뉴에서 사용되었으며, 당시 수도는 디종이었다.
  • 피카르어: 피카르디와 로망 플랑드르에서 사용되었으며, , 아미앵, 아라스가 주요 도시 중 일부였다. 피카르어는 노트르담 드 파리의 동쪽 문에서 시작되었을 정도로 영향력이 컸다고 한다. 또한 올드 더치와 미들 더치의 영향이 강했던 불로뉴쉬르메르 지역으로 북쪽으로 퍼져 나갔다.
  • 구 노르망어: 노르망디에서 사용되었으며, 주요 도시는 루앙이었다. 잉글랜드의 노르망디 정복은 많은 노르망어를 사용하는 귀족들을 영국으로 데려왔다. 영어의 더 오래된 노르망어(때로는 "프랑스어"라고 함) 단어 대부분은 그 영향을 반영하며, 이는 앙주와 가스코뉴, 그리고 다른 대륙 영토에 대한 앙글로-노르망 통치와 마찬가지로 앙글로-노르망 영역으로의 도입 통로가 되었다. 앙글로-노르망어는 영국 해협 양쪽에서 공유되는 문화를 반영하는 언어였다. 궁극적으로 이 언어는 쇠퇴하여 사라졌고, 변호사들이 사용하는 은어인 법률 프랑스어가 되었으며, 잉글랜드 법률에서 잉글랜드 찰스 2세 치세까지 사용되었다. 그러나 노르망어 변종은 노르망디와 채널 제도에서 지역 언어로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제르시아어, 게르네시아어, 세르크시아어, 오르그냐어
  • 왈롱어: 나뮈르 주변, 현재 왈로니아, 벨기에에서 사용된다.
  • 갈로어: 브르타뉴 공국에서 사용된다.
  • 로렌어: 로렌 공국에서 사용된다.


일드프랑스 방언을 기반으로 하는 고전 프랑스어가 아닌 고대 프랑스어 방언에서 유래한 현대 언어로는 앙주어, 베리숑어, 부르기뉴-모르방디어, 샹파뉴어, 프랑슈콩테어, 갈로어, 로렌어, 노르망어, 피카르어, 푸아투뱅어, 생통주아어, 왈롱어가 있다.

4. 문법

부사, 전치사, 접속사, 감탄사는 일반적으로 형태가 변하지 않는다. 반면 대명사는 보통 굴절된다.

4. 1. 명사

고대 프랑스어는 스페인어이탈리아어보다 오랫동안 주격과 사격의 두 가지 문법적 격을 유지했다. 적어도 남성 성에서는 정관사와 명사 자체 모두에 격의 차이가 표시되었다.

예를 들어, '이웃'을 뜻하는 남성 명사 ''li veisins''[37]는 다음과 같이 활용되었다.

고전 라틴어에서 고대 프랑스어로의 남성 명사 어미 변화
라틴어초기 원시 갈로-로망스어고대 프랑스어
단수주격ille vīcīnus*[li βeˈdzʲinos]li veisins
사격
(라틴어 목적격)
illum vīcīnum*[lo βeˈdzʲino]le veisin
복수주격illī vīcīnī*[li βeˈdzʲini]li veisin
사격
(라틴어 목적격)
illōs vīcīnōs*[los βeˈdzʲinos]les veisins



후기 고대 프랑스어에서는 이러한 격 구분이 사라졌다. 다른 로망스어들과 마찬가지로, 대개 사격 형태가 살아남아 현대 프랑스어 형태가 되었다. 예를 들어 '아이'를 뜻하는 ''l'enfant''는 옛 사격(라틴어 목적격 ''īnf'''a'''ntem'')을 나타낸다. 고대 프랑스어 주격은 ''li enfes'' (īnfāns|인판스la)였다.

주격과 사격 형태 사이에 상당한 차이가 있는 몇몇 경우(주격과 다른 격 사이에 강세 이동이 있는 라틴어 명사에서 유래)에는 주격 형태가 살아남거나 두 형태 모두 다른 의미로 살아남기도 했다.


  • 고대 프랑스어 ''li sire'', ''le sieur'' (s'''e'''iior|세이오르la, ''seii'''ō'''rem'')와 ''le seignor'' (주격 ''sendre'')는 모두 후대 프랑스어 어휘 (''sire'', ''sieur'', ''seigneur'')에서 봉건 영주를 가리키는 다른 방식으로 살아남았다.
  • sœur|쇠르프랑스어 "자매"는 주격 형태이다 (suer|쉬에르fro < 라틴어 주격 ''s'''o'''ror''). 고대 프랑스어 사격 형태 ''seror'' (sor'''ō'''rem|소로렘la)는 더 이상 남아 있지 않다.
  • prêtre|프레트르프랑스어 "사제"는 주격 형태이다 (prestre|프레스트르fro < ''pr'''e'''sbyter''). 고대 프랑스어 사격 형태 prevoire|프레부아르fro, 후기에는 provoire|프로부아르fro ( < ''presb'''y'''terem'')는 파리의 거리 이름 ''Rue des Prouvaires''에만 남아 있다.
  • on|옹프랑스어 "누군가"는 고대 프랑스어 주격 hom|옴fro "남자"를 계승한다 ( < ''h'''o'''mō''). homme|옴므프랑스어 "남자"는 사격 형태를 계승한다 (home|오므fro < ''h'''o'''minem'').


형태 사이의 유일한 차이가 주격의 '-s' 어미인 몇몇 경우에는 '-s'가 보존되었다. 예를 들어, "아들"을 의미하는 fils|피스프랑스어 ( < 라틴어 주격 ''f'''ī'''lius'')가 있다.

스페인어와 이탈리아어와 마찬가지로 중성은 사라졌고, 대부분의 옛 중성 명사는 남성이 되었다. '-a'로 끝나는 일부 라틴어 중성 복수 명사는 여성 단수로 재분석되었다. gaudium|가우디움la은 복수형 ''gaudia''로 더 널리 사용되었는데, 속어 라틴어에서 단수로 받아들여졌고, 궁극적으로 la joie|라 주아프랑스어, "기쁨"(여성 단수)으로 이어졌다.

명사의 어형 변화는 다음과 같다.

1류 (여성)2류 (남성)
1류 일반1a류2류 일반2a류
의미여자도시이웃하인아버지
단수주격la famela riensla citezli veisinsli sergenzli pere
사격la rienla citéle veisinle sergentle pere
복수주격les famesles riensles citezli veisinli sergentli pere
사격les veisinsles sergenzles peres



3류 (양성)
3a류3b류3c류3d류
의미가수남작수녀자매아이사제영주백작
단수주격li chantereli berla nonela suerli enfesli prestreli sireli cuens
사격le chanteorle baronla nonainla seror'lenfant''le prevoirele sieurle conte
복수주격li chanteorli baronles nonesles serorsli enfantli prevoireli sieurli conte
사격les chanteorsles baronsles nonainsles enfanzles prevoiresles sieursles contes



1류는 라틴어 제1어형에서 유래한다. 1a류는 대부분 제3어형의 라틴어 여성 명사에서 유래한다. 2류는 라틴어 제2어형에서 유래한다. 2a류는 일반적으로 '-er'로 끝나는 제2어형 명사와 제3어형 남성 명사에서 유래한다.

3류 명사는 다른 어떤 형태에도 나타나지 않는 별개의 어간을 단수 주격에 보인다.


  • 3a류 명사는 라틴어에서 ''-'''ā'''tor'', ''-āt'''ō'''rem''으로 끝나는 행위자 명사이며, 강세 이동을 유지한다.
  • 3b류 명사 또한 '-ō'에서 '-'''ō'''nem'으로 강세 이동이 있었다.
  • 3c류 명사는 고대 프랑스어의 창작물이며 명확한 라틴어 원형이 없다.
  • 3d류 명사는 강세 이동이나 자음 변화가 있는 다양한 다른 제3어형 라틴어 명사를 나타낸다.


남성 명사의 정규적인 여성 형태는 남성 어간이 이미 '-e'로 끝나지 않는 한 남성 어간에 '-e'를 추가하여 형성된다. 예를 들어, "목자"를 의미하는 bergier|베르기에fro는 "목녀"를 의미하는 bergiere|베르기에르fro가 된다 (berger|베르제프랑스어와 bergère|베르제르프랑스어).

4. 2. 형용사

고대 프랑스어의 형용사는 수식하는 명사의 , , 에 일치한다. 예를 들어, ''femes riches'' ("부유한 여자들")에서 형용사 ''riche''는 여성 복수형인 ''riches''가 된다(주격과 사격은 형태가 같다).

형용사는 어형 변화에 따라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50]

  • 제1변화 형용사: 라틴어의 제1, 제2변화 형용사에 해당한다.
  • 제2변화 형용사: 라틴어의 제3변화 형용사에 해당한다.
  • 제3변화 형용사: 주로 라틴어 형용사 비교급 중 단수 주격이 -ior, 단수 대격이 -iōrem으로 끝나는 것들로 이루어진다.

제1변화 형용사는 여성 단수형(주격과 사격 공통)에서 어미가 -e로 끝난다. 남성 단수 주격형의 차이를 기준으로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 제1변화 형용사 a: 남성 단수 주격형 어미가 -s이다.


: ''bon'' "좋은" (라틴어: ''bonus'', 현대 프랑스어: ''bon'')

남성여성중성
단수복수단수복수단수
주격bonsbonbonebonesbon
사격bonbons


  • 제1변화 형용사 b: 남성 단수 주격형 어미가 여성형과 마찬가지로 -e이다. 라틴어 제2변화 형용사와 제3변화 형용사 중 단수 주격형 어미가 -er인 것을 포함한다.


: ''aspre'' "거친" (라틴어: ''asper'', 현대 프랑스어: ''âpre'')

남성여성중성
단수복수단수복수단수
주격aspreaspreaspreaspresaspre
사격aspres


제2변화 형용사는 여성 단수형 어미가 -e가 아니다.

: ''granz'' "큰, 위대한" (라틴어: ''grandis'', 현대 프랑스어: ''grand'')

남성여성중성
단수복수단수복수단수
주격granzgrantgranz/grantgranzgrant
사격grantgranzgrant



제2변화 형용사의 중요한 하위 그룹으로, 현재분사 어미가 -ant가 되는 것이 있다.
제3변화 형용사는 활용형에 따라 어간도 변화한다. 이는 라틴어에서 imparisyllabic 활용(주격형보다 속격형이 음절이 더 많은 활용)을 하는 단어에서 어휘 강세 위치가 격에 따라 이동하는 것과, 중성형에서 남성형, 여성형과 다른 활용형을 취하는 것에서 유래한다.

: ''mieudre'' (영어의 better) (라틴어: ''melior'', 현대 프랑스어: ''meilleur'')

남성여성중성
단수복수단수복수단수
주격mieudre(s)meillormieudremeillorsmieuz
사격meillormeillorsmeillor



고대 프랑스어 후기에는 제2변화 형용사와 제3변화 형용사가 제1변화 형용사에 통합되어 갔고, 이 변화는 중세 프랑스어 시대에 완료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대부분의 로망스어에서는 두 개 이상 있는 형용사의 활용형이 현대 프랑스어에서는 하나밖에 없다.

4. 3. 동사

현재 시제원형의미라틴어 어원3인칭 단수
현재 시제원형
/ 다른 형태의미자유lavārelevelaver"씻다"parere >
*parīrepertparir"출산하다"자유 + 비음amāreaimeamer"사랑하다"manēremaintmaneir, manoir"남다"구개음화 + 자유*accapāreachieveachever"달성하다"colspan=4|구개음화 + + 구개음화*concacāreconchieconcheer"쫓아내다"iacēregistgesir"눕다"구개음화 + 막힌*accapitāreachateacheter"사다"cadere >
*cadērechietcheoir"떨어지다"중간 강세 + 구개음화?*tripaliāretravailletraveillier"괴롭히다, 고통받게 하다"colspan=4|자유levārelievelever"들어올리다"sedēresietseeir, seoir"앉다; 어울리다, 적합하다"자유 + 비음colspan=4|tremere >
*cremerecrientcreindre (var. cremir, -oir)"두려워하다"+ 구개음화pretiāreprisepreiser"가치를 매기다"exīreisteissir"나가다"중간 강세 + 이중 자음appellāreapeleapeler"부르다"colspan=4|자유adhaerāre >
*adēsāreadoiseadeser"닿다"colspan=4|자유 + 비음mināremeinemener"이끌다"colspan=4|구개음화 + 자유colspan=4|colspan=4|중간 강세 + 구개음화–charroiecharrier"수레로 나르다"colspan=4|자유*tropāretruevetruver"발명하다, 발견하다"morī >
*morīremuertmourir"죽다"+ 구개음화*appodiāreapuieapoiier"기대다"colspan=4|자유dēmōrārīdemeuredemo(u)rer"머무르다"cōnsuere >
*cōserequeustco(u)sdre"꿰매다"중간 강세 막힌*corruptiārecouroucecourecier"화내다"colspan=4|중간 강세 막힌 + 비음calumniārīchalongechalengier"도전하다"colspan=4|



현대 프랑스어에서 ''-er'' 동사류는 체계적으로 levelled(발음 정의 참조)되었습니다. 일반적으로 무강세 형태가 우세하지만, 현대어의 ''aimer''/''nous aimons''과 같은 예외가 있다. 남아있는 변화는 무강세 가 강세 와 교체되는 ''acheter''/''j'achète''와 ''jeter''/''je jette''와 같은 동사, 그리고 무강세 가 강세 와 교체되는 ''adhérer/j'adhère''와 같은 (대부분 외래어인) 동사에 있다. 많은 ''-er''이 아닌 동사들은 폐기되었고, 남은 동사들 중 많은 수가 수평화되었지만, ''je tiens'', ''nous tenons''; ''je dois'', ''nous devons'' 및 ''je meurs'', ''nous mourons''과 같은 현재 불규칙 동사로 알려진 동사들에서 몇 가지 변화가 남아 있다.

일부 동사는 길이가 다른 어간 간의 더 불규칙적인 변화를 보였는데, 긴 강세 어간이 짧은 무강세 어간과 교체되었다. 이것은 무강세 중간 강세 모음의 소실에서 비롯된 정규적인 발전으로, 강세를 받을 때는 남아있었다.



''je desjun'', ''disner''의 변화는 특히 복잡하다.

colspan=2" |원형1인칭 단수 현재 시제
라틴어disiēiūnārestyle="border-left:0" |disiēiūnōstyle="border-left:0" |
서부 로망스어

두 어간 모두 현대 프랑스어에서 완전한 동사가 되었다. "점심을 먹다"라는 뜻의 ''déjeuner''와 "저녁 식사를 하다"라는 뜻의 ''dîner''이다. 게다가, ''déjeuner''는 ''je desjun'' (< ''*disi(ēi)ūnō'', 무강세 ''-ēi-''의 완전한 소실)에서 직접 유래하지 않는다. 대신, ''je desjeün'' (< ''*disiē(i)ūnō'', ''-i-''만 소실, 아마도 "금식하다"라는 뜻의 ''jeûner'' < jeünerfro < ''je jeün'' "나는 금식한다" < ''iē(i)ūnō'': ''iē-''는 중간 강세가 아닌 어두이므로 모음 ''-ē-''가 사라지지 않음)의 대안 형태를 기반으로 한 desjeünerfro에서 유래한다.

고대 프랑스어 동사의 활용 예시는 다음과 같다:
1. ''durer'' (지속하다)

rowspan=3|
직설법가정법조건법명령법
현재과거 단순미완료미래현재미완료현재현재
'je'durduraiduroiedureraidurdurassedureroie
'tu'duresdurasduroisdurerasdursdurassesdureroisdure
'il'dureduraduroitdureradurtdurastdureroit
'nos'duronsduramesduriiens/-ïonsdureronsduronsdurissons/-issiensdureriions/-ïonsdurons
'vos'durezdurastesduriiezdureroiz/-ezdurezdurissoiz/-issez/-issiezdureriiez/-ïezdurez
'ils'durentdurerentduroientdurerontdurentdurassentdureroient



비인칭 형태:


  • 원형: ''durer''
  • 현재분사: ''durant''
  • 과거분사: ''duré''
  • 보조동사: ''avoir''

2. ''fenir'' (끝내다)

rowspan=3|
직설법가정법조건법명령법
현재과거 단순미완료미래현재미완료현재현재
'je'fenisfenifenissoiefeniraifenissefenissefeniroie
'tu'fenisfenisfenissoiesfenirasfenissesfenissesfeniroisfenis
'il'fenistfeni(t)fenissoitfenirafenisse(t)fenistfeniroit
'nos'fenissonsfenimesfenissiiensfenironsfenissonsfenissons/-iensfeniriiensfenissons
'vos'fenissezfenistesfenissiiezfeniroiz/-ezfenissezfenissoiz/-ez/-iezfeniriiezfenissez
'ils'fenissentfenirentfenissoientfenirontfenissentfenissentfeniroient



비인칭 형태:


  • 부정사: ''fenir''
  • 현재분사: ''fenissant''
  • 과거분사: ''feni(t)''
  • 보조동사: ''avoir''

3. ''corre'' (달리다)

rowspan=3|
직설법가정법조건법명령법
현재과거 단순미완료미래현재미완료현재현재
'je'corcoruicoroiecorraicorecorussecorroie
'tu'corscoruscoroiescorrascorescorussescorroiescor
'il'cortcoru(t)coroitcorracore(t)corustcorroit
'nos'coronscorumescoriienscorronscoronscorussons/-ienscorriienscorons
'vos'corezcorustescoriiezcorroiz/-ezcorezcorussoiz/-ez/-iezcorriiezcorez
'ils'corentcorurentcoroientcorrontcorentcorussentcorroient



비인칭 형태:


  • 원형: ''corre''
  • 현재분사: ''corant''
  • 과거분사: ''coru(t)''
  • 보조동사: ''estre''

5. 음운

고대 프랑스어의 음운은 고대 프랑스어 시대를 거치면서 계속 변화했지만, 12세기 후반의 음운 체계는 다량의 시가 남아 있어 일단의 표준으로 삼을 수 있다. 이 시대의 문자 표기는 후대와 비교하여 표음적이며, 표기된 자음은 원칙적으로 모두 발음되었다. 다만, 파열음 이외의 자음 앞의 s와 접속사 et의 t는 발음되지 않았고, 어말의 e는 로 발음되었다.[32]

5. 1. 자음

고대 프랑스어의 자음 체계는 다음과 같다.



몇 가지 주목할 만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모든 폐쇄음(파열음, 파찰음, 마찰음)은 어말에서 무성음으로 변했다.
  • 파찰음 , , , 는 중세 프랑스어 시기에 마찰음 , , , )으로 변화했다.[32]
  • 는 'e' 또는 'i' 앞에서는 'c', 다른 모음 앞에서는 'ç', 단어 끝에서는 'z'로 표기되었다. (예: '''c'''ent "백", chan'''ç'''on "노래", pri'''z''' "값")
  • 는 'z'로 표기되었으며, 단어 중간에만 나타났다. (예: do'''z'''e "열두")
  • (l mouillé)는 현대 프랑스어에서 이 되었다. (예: conse'''il''' "조언", trava'''ill'''ier "일하다")
  • 는 단어 중간뿐만 아니라 단어 끝에도 나타났다. (예: poi'''ng''' "주먹") 단어 끝의 는 나중에 사라지고, 비모음을 남겼다.
  • 는 게르만어 차용어나 게르만어의 영향을 받은 단어에서만 발견되었다. (예: ''haut'' "높은", ''hurler'' "울부짖다") 그 후 자음으로서 사라졌지만, 연음을 막는 소위 '유성 h'로 음운전환되었다. 고유 라틴어 단어에서는 가 초기 단계에서 사라졌다. (예: 라틴어 ''homō''에서 온 ''om'', ''uem'')[33]

5. 2. 모음

고대 프랑스어의 모음 체계는 시기에 따라 변화를 겪었지만, 12세기 후반의 음운 체계는 다량의 시가 남아 있어 표준으로 삼을 수 있다. 이 시기에는 비음 모음이 독립적인 음소가 아니라 비음 자음 앞의 변이음으로 존재했다. 비음 자음은 현대 프랑스어와 달리 완전히 발음되었다. 예를 들어 'bon'(좋은)은 [bõn]으로, 'bone'(좋은, 여성형)은 [bõnə]로 발음되었다.[32]

《롤랑의 노래》 첫 번째 라이스의 재구성된 발음(1050년경)을 통해 당시 모음 체계를 엿볼 수 있다.[35]

본문전사번역
샤를 왕, 우리의 위대한 황제는,
7년 동안 스페인에 머물렀다.
그가 바다까지 높은 땅을 정복했으니,
그 앞에 남아 있는 성은 없다.
허물어뜨릴 성벽이나 도시도 남아 있지 않다.
산 위에 있는 사라고사를 제외하고는.
마르실리 왕이 그곳을 지배한다. 그는 신을 사랑하지 않고,
마호메트를 섬기며 아폴론을 숭배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해악이 그에게 미치는 것을 막을 수 없다.[36]



5. 2. 1. 단모음

고대 프랑스어의 단모음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고대 프랑스어 단모음
 전설 모음중설 모음후설 모음
좁은 모음구강 모음 
비모음
반좁은 모음구강 모음rowspan=2| 
비모음
반넓은 모음 
넓은 모음구강 모음colspan=3|
비모음colspan=3|


  • 는 과거에 존재했지만 로 좁혀졌다. 원래 서부 로망스어의 는 현재 프랑스와 이탈리아 북부 대부분 지역에서 로 전면화되었다.
  • 는 나중에 가 단모음화될 때와 특정 위치에서 가 좁혀질 때 (원래 또는 다음에 오는 경우, 하지만 다음에는 아님. 후자는 나중에 이 됨) 다시 나타났다.
  • 는 적어도 일부 방언에서는 로 좁혀졌을 수 있다. 이는 중세 영어로 > 로 차용되었기 때문이다 (라틴어 ''computāre'' > conter|fro > 영어 ''count''; 라틴어 ''rotundum'' > ront|fro > 영어 ''round''; 라틴어 ''bonitātem'' > bonté|fro > 영어 ''bounty''). 어쨌든, 그러한 변화의 흔적은 후기 프랑스어 단계에서, 좁은 비모음 가 로 개방될 때 지워졌다.
  • 는 무강세 3인칭 복수 동사 어미 '-ent'에 존재했을 수 있지만, 이미 로 변했을 수도 있다. 이는 중세 프랑스어 시대 이전에 발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5. 2. 2. 이중 모음 및 삼중 모음

강세는 항상 중앙 모음에 놓인다
구개 모음beaus아름다운
dieu
jueu유대인



몇 가지 주의할 점은 다음과 같다.

6. 문학

1100년경, 12세기 르네상스라 불리는 운동이 일어나 다양한 문화적 산물을 가져왔다. 14세기 중반이 되면 고대 프랑스어는 중세 프랑스어가 되었고, 15세기 프랑스 문학을 준비했다.

현존하는 프랑스어 최고(最古)의 텍스트는 9세기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10세기 이전의 텍스트는 거의 남아 있지 않다. 고대 프랑스어로 쓰인 초기 작품은 성인전(聖人傳)이며, 9세기 후반의 『성녀 유랄리의 속창(續唱)』이 그 최초의 것으로 여겨진다.

13세기 초, 시인 장 보델은 중세 프랑스에 유통되던 이야기를 주제별로 세 종류로 분류했다.



프랑스 것은 무훈시라는 장르에 포함된다. 무훈시는 대부분 서사시이며, 몇 줄을 1단위로 하는 시련(詩聯) laisse를 이어서 구성되고, 1행은 10음절로 모음 압운(押韻)을 밟는다. 100편 이상의 무훈시가 300편 정도의 사본으로 전해진다.[29] 무훈시 중 가장 오래되고 가장 유명한 것이 『롤랑의 노래』(11세기 후반)이다.

무훈시는 또한, 동시대 시인 베르트랑 드 바르쉬르오브의 분류 이래, 전통적으로 3가지로 나뉘어 왔다.

베르트랑이 언급하지 않았지만, 제4의 분류도 설정될 수 있다.

보델의 분류에 따른 "로마 것"과 "브르타뉴 것"은 기사도 이야기와 관련이 있다. 기사도 이야기는 1150년부터 1220년까지 운문으로 쓰인 것이 약 100편 남아 있지만,[30] 1200년경부터는 점차 산문으로 쓰이는 것이 일반화되었고, 원래 시로 쓰인 이야기도 적지 않게 산문으로 고쳐 쓰였다.[31] 그렇지만 14세기 말까지 새로운 이야기시도 계속 쓰이고 있다. 이 장르의 백미는 13세기의 『장미 이야기』이며, 종래의 모험 활극과는 상당히 다른 취향을 보이고 있다.

중세 프랑스의 서정시는 남부 프랑스 오크어권의 시와 문화에 크게 빚지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남부 프랑스의 시는 이베리아의 이슬람 세계의 시문 전통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다. 오크어 시인은 트루바두르라고 불렸고, 북부 프랑스의 서정시인은 트루베르라고 불렸다.

13세기에는 프랑스의 시는 트루바두르의 시와 내용상으로도 형식상으로도 분명히 다른 방향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중세의 서정시는 악절(樂節)을 붙여 악기와 함께 노래하는 것이 보통이었지만, 이 시기에 시와 함께 고대와는 다른 새로운 음악도 탄생하고 있었고, 그러한 새로운 시와 곡의 경향은 예를 들어 『포벨의 로망』에서 볼 수 있다. 상하 2권(상권 1310년, 하권 1314년)으로 구성된 『포벨 이야기』는 교회의 악습을 풍자한 것으로, 모테트, 레, 론도 등의 새로운 형식으로 쓰인 수많은 시로 구성된다(작사·작곡자는 대부분 불명이지만, 필리프 드 비트리 작품이 몇 가지 있다. 비트리는 새로운 음악을 아르스 노바(ars nova|아르스 노바la, 신기법)라고 부르며 기존 음악과 구별하기 시작한 인물로 생각되고 있다). 중세 프랑스의 아르스 노바의 시인이자 작곡가로는 기욤 드 마쇼가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중세 세속극의 기원이 어디에 있는가에 대한 논의는 아직 결론을 보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로마의 희비극에서 비롯된 민중극이 9세기까지 맥맥이 이어져 왔다는 견해는 정확하지 않은 것 같고, 일요일에 교회에서 행해졌던, 성경의 소재를 낭송을 곁들여 연기하는 대화 형식의 극이 기원이라는 것이 현재의 정설이다. 교회에서의 그러한 신비극은 처음에는 수도원에서(대부분 성직자들 사이에서), 그 다음에는 참사회 회의장에서(세속의 권력자 등을 포함하여), 그리고 마지막으로 야외에서 열리게 되었고, 라틴어였던 극의 언어도 현지어가 되었다. 12세기에는 성 니콜라스(산타클로스의 모델과는 다른 학자의 수호 성인)나 성 스테파누스를 주제로 한 라틴어 종교극에 프랑스어로 쓴 후렴구가 보이는데, 이것은 이 장르에서 가장 오래된 프랑스어로 볼 수 있다. 프랑스어로 쓰인 초기 비극으로 1150년경의 『아담의 놀이』 ''Le Jeu d'Adam'' 이 있다. 『아담극』은 1행 8음절의 카플레트로, 라틴어로 된 무대 연출의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라틴어를 할 줄 아는 성직자가 평신도를 위해 쓴 것으로 추측된다.

고대 프랑스어의 우화는 많이 남아 있다. 우화는 많은 작품이 저자 불명이며, 대표적인 존재라고 할 수 있는 것은 하나의 장르를 구축하고 있는 트릭스터르나르 여우일 것이다. 또한 마리 드 프랑스가 이솝을 본뜬 『우화시』 ''Ysopet''을 저술했다. 우화와 관련된 장르로 더욱 저속한 파블리오가 있으며, 간통이나 성직자의 타락 등을 주제로 하고 있다. 파브리아는 초서르네상스기의 단편에 중요한 원천이 되었다.

고대 프랑스어로 등장한 가장 초기의 수사학논리학 작품 중에는 1282년 안티오크의 요한이 번역한 ''헤레니우스를 위한 수사학''과 보에티우스의 ''De topicis differentiis''가 있다.

이탈리아 북부에서는 저자들이 고대 프랑스어와 베네치아어 또는 롬바르디아어를 섞어 만든 프랑코-이탈리아어를 개발하여 13세기와 14세기에 문학 작품에 사용했다.

참조

[1] 웹사이트 Oil https://glottolog.or[...] Max Planck Institute for Evolutionary Anthropology 2022-05-24
[2] 서적 The French Language Toda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0
[3] 논문 1978
[4] 서적 La langue des rois au Moyen Âge: Le français en France et en Angleterre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2004
[5] 서적 Vulgar Latin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1997
[6] 웹사이트 Brill Online Dictionaries https://web.archive.[...] Iedo.brillonline.nl
[7] 웹사이트 Romance languages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8] 서적 Encyclopedia of Indo-European Culture – Google Boeken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9] 웹사이트 Definition of Italic https://web.archive.[...] Oxford Dictionaries
[10] 웹사이트 Definition of Romance https://web.archive.[...] Oxford Dictionaries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Dictionnaire de la langue gauloise Errance 2003
[14] 서적
[15] 서적 La Langue gauloise Errance 1994
[16] 서적 Histoire de la langue française Ellipses Edition Marketing S.A.
[17] 서적 Studies in the History of Celtic Pronouns and Particles
[18] 간행물 Sur le substrat gaulois dans la Romania
[19] 서적 Vers les sources des langues romanes: Un itinéraire linguistique à travers la Romania Acco
[20] 서적 Dictionnaire Français-Gaulois La Différence
[21] 논문 Insular Celtic as a Language Area
[22] 서적 The Regional Diversification of Latin 200 BC – AD 600 https://archive.org/[...] 2007
[23] 논문 Development of Gender Classifications: Modeling the Historical Change from Latin to French
[24] 서적 La naissance du français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25] 서적
[26] 서적
[27] 웹사이트 Etymology of ''frambuesa'' (Spanish) http://buscon.rae.es[...] Buscon.rae.es 2013-06-16
[28] 서적 From Latin to Modern French with Especial Consideration of Anglo-Norman: Phonology and Morphology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23-03-15
[29] 서적 La Chanson de Roland Livre de Poche
[30] 서적 Littérature française Larousse
[31] 서적 Littérature française. Tome 1: Des origines à la fin du XVIIIe siècle Larousse
[32] 서적
[33] 서적 Tables synoptiques de phonologie de l'ancien français https://archive.org/[...] Oxford Clarendon Press
[34] 서적
[35] 서적
[36] 학술지 Old French Phonemes and Orthography https://www.jstor.or[...]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The French Language Today https://books.google[...] Routledge
[40] 기타
[41] 언어 파리 주변 방언
[42] 언어 프랑스 르네상스 시대 프랑스어
[43] 서적 Medieval Boundaries: Rethinking Difference in Old French Literatur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06
[44] 설명 링구아 프랑카
[45] 참고문헌 Pope (1934)
[46] 서적 Vulgata 성서 라틴어 어휘집
[47] 서적 고대 고지 독일어 회화집
[48] 서적 Tables synoptiques de phonologie de l'ancien français https://archive.org/[...] Oxford Clarendon Press
[49] 참고문헌 Zink (1999), p. 132
[50] 참고문헌 Moignet (1988, p. 26–31), Zink (1992, p. 39–48), de La Chaussée (1977, p. 39–4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