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안토니오 비발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안토니오 비발디는 1678년 이탈리아 베네치아에서 태어난 바로크 시대의 작곡가이자 바이올린 연주자이다. 그는 아버지에게 음악을 배우고, 23세에 사제 서품을 받았으나 건강 문제로 음악에 전념하게 되었다. 비발디는 베네치아의 피에타 고아원에서 활동하며 오케스트라를 이끌었고, 유럽 전역에 명성을 떨쳤다. 그는 다양한 오페라와 종교 음악을 작곡했으며, 특히 바이올린 협주곡 분야에서 독창적인 스타일을 확립했다. 그의 대표작으로는 '사계'를 비롯하여 '조화의 영감', '라 스트라바간차', '라 체트라' 등이 있다. 비발디는 당대에는 높은 평가를 받았지만, 사후 한동안 잊혀졌다가 20세기에 재조명되어 그의 작품들이 널리 연주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리아에 거주한 이탈리아인 - 주세페 사라가트
    이탈리아의 사회민주주의 정치인 주세페 사라가트는 이탈리아 민주사회당을 창당하고 외무장관을 지낸 후, 1964년 중도좌파 진영 최초로 이탈리아 대통령에 당선되어 1971년까지 재임했다.
  • 오스트리아에 거주한 이탈리아인 - 클라우디오 아바도
    클라우디오 아바도는 이탈리아 출신의 지휘자이며, 밀라노 음악가 집안에서 성장하여 1958년 데뷔 후 세계 유수의 악단을 지휘하고 젊은 음악가들을 육성했으며, 2014년 8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안토니오 비발디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비발디의 초상화
1723년경 비발디의 초상화 추정, 볼로냐 국제 음악 박물관 및 도서관 소장
본명안토니오 루치오 비발디
출생1678년 3월 4일
출생지베네치아
사망1741년 7월 28일
사망지
서명
직업
직업작곡가, 바이올린 연주자
장르바 로크 음악
악기바이올린
활동 시기1703년 - 1741년
기타 정보
종교로마 가톨릭(사제)
관련 기관오스페달레 델라 피에타
발음
영어 발음,

2. 생애

안토니오 비발디는 베네치아 산 마르코 대성당의 바이올린 연주자였던 아버지에게서 음악의 기초를 배웠고, 레그렌치에게 작곡을 배웠다. 15세에 신학교에 들어가 25세에 사제로 서품되었으나, 건강 문제로 음악에 전념했다.[38] 붉은 머리 때문에 '빨강 머리의 신부'라는 별명으로 불렸다.[39]

1703년부터 1740년까지 베네치아의 여자 고아원 겸 음악학교인 피에타 고아원에 근무했으며, 1716년에는 합주장이 되었다.[7] 이 학원의 오케스트라는 유럽에서도 명성을 떨쳤다. 그동안 오페라 상연을 위해 이탈리아 각지를 순회하거나 , 암스테르담으로 가기도 했다. 1741년 에서 빈궁 속에 객사하여 빈민묘지에 안치되었다.[21]

비발디는 사계를 비롯한 600곡이 넘는 협주곡, 50여 곡의 오페라(대부분 오페라 세리아), 73곡의 소나타, 심포니아, 오라토리오, 칸타타 등 다양한 작품을 남겼다.[23] 특히 빠르고-느리고-빠른 3악장의 리토르넬로 형식을 가진 독주 협주곡 형식을 확립했다.[2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바로크 붐과 함께 재발견되어 높은 평가를 받게 되었다.[26]

피에타 고아원의 소녀들을 위해 바이올린 외에도 첼로, 류트, 테오르보, 비올라 다 감바, 비올라 다모레, 만돌린, 오보에, 플루트, 피콜로, 샬뤼모, 바순, 트럼펫, 트롬본, 호른, 오르간 등 다양한 악기를 위한 협주곡을 작곡했다.[29]

1713년부터 오페라 작곡에 참여하여 1718년까지 10곡을 상연하며 인기를 얻었다.[50] 1717년부터 1720년까지 만토바 궁정 악장으로 봉직하며 3편의 오페라를 상연했다.[52] 1726년 다시 산탄젤로 극장의 작곡가 겸 흥행주가 되었고,[51] 1739년까지 극장 흥행에 종사했다.

1727년 작품 9 《라 체트라》를 카를 6세에게 헌정하고, 1728년 트리에스테에서 황제를 알현하여 많은 금품과 후원을 받았다. 1730년1731년 프라하에서 오페라를 상연했고, 1732년부터 1737년까지 이탈리아 각 도시에서 오페라 상연 및 흥행 활동을 했다.[56]

말년에 비발디는 재정난으로 으로 이주했으나, 카를 6세의 사망으로 후원을 받지 못하고 빈곤 속에 사망했다.[21]

2. 1. 초기 생애 (1678년 ~ 1703년)

안토니오 루치오 비발디는 1678년 3월 4일 베네치아에서 태어났다. 산 마르코 대성당의 바이올린 연주자였던 아버지 조반니 바티스타 비발디와 카밀라 칼리키오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출생 직후 조산사에게 응급 세례를 받았다. 두 달 후에는 산 조반니 인 브라골라 교회에서 정식 세례를 받았다.[32]

아버지 조반니 바티스타는 이발사외과의였지만, 뛰어난 바이올리니스트이기도 했다. 그는 산 마르코 대성당의 바이올리니스트이자 음악가 협회 창립 멤버였으며, 안토니오에게 바이올린을 가르쳤다. 비발디는 아버지와 함께 베네치아를 순회하며 연주했고, 어린 시절부터 아버지의 폭넓은 음악 동료들로부터 작곡 등을 배웠다.[33]

비발디는 1688년 10세에 신학교에 입학하여 1693년 15세에 머리를 깎고, 1703년 25세에 사제로 서품되었다.[38] 그는 붉은 머리였기 때문에 “'''적모의 사제'''” (Il Prete Rosso)라고 불렸다.[39]

1703년 사제 서품을 받은 해, 비발디는 첫 작품인 『트리오 소나타집』 작품 1을 출판했다.[22] 이 작품집은 아르칸젤로 코렐리의 작품 형식을 따른 3성부 소나타로, 당시 유행에 맞는 것이었다.

2. 2. 피에타 고아원 시절 (1703년 ~ 1740년)

1703년부터 1740년에 걸쳐 비발디는 베네치아의 여자 고아원 겸 음악학교인 피에타 고아원에 근무했다.[6] 1716년에는 피에타 고아원 밴드부의 합주장(合奏長)이 되었다.[7] 이 학원의 학생들로 구성된 오케스트라는 당시 유럽에서도 명성을 떨쳤다.

1703년 9월, 24세의 비발디는 피에타 자선원 부속 음악원(Ospedale della Pietà)에서 maestro di violino|바이올린 교사it가 되었다.[42] 1704년에는 viola all'inglese|비올라 알링글레제it 교사직도 겸임했다.[43] 1711년 9월, 비발디는 피에타 음악원에 만장일치로 복귀하였으며, 1713년에 프란체스코 가스파리니가 사직하자[47] 후임이 결정될 때까지 비발디에게 종교곡 작곡도 의뢰했다. 1716년 비발디는 ''maestro de' concerti''(음악 감독)로 승진하면서[7] 기관의 모든 음악 활동을 책임지게 되었고, 매달 두 개의 새로운 협주곡을 작곡해야 했다.[7]

비발디는 피에타에서 일하면서 대부분의 주요 작품을 작곡했다.[6] 그는 고아들을 위해 협주곡, 칸타타, 성악곡을 작곡했으며,[6] 독창 모테트와 독창자, 이중 합창, 오케스트라를 위한 대규모 합창곡 등 60곡이 넘는 다양한 성악곡을 작곡했다.[6]

1705년, 그의 작품 첫 번째 모음집(''Connor Cassara'')이 출판되었고,[6] 작품 1은 두 대의 바이올린과 통주 저음을 위한 12개의 소나타를 담은 전통적인 스타일의 모음집이다.[6] 1709년에는 바이올린과 통주 저음을 위한 12개의 소나타 모음집(작품 2)이 출판되었다.[6] 1711년에는 현악기를 위한 한 대, 두 대, 네 대의 바이올린을 위한 12개의 협주곡 모음집인 ''화성의 영감''(L'estro armonico, 작품 3)이 출판되었고,[6] 토스카나의 대공 페르디난도에게 헌정되었다.[6] 1714년에는 바이올린 독주와 현악기를 위한 협주곡 모음집인 ''변덕''(La stravaganza, 작품 4)이 출판되었고,[6] 비발디의 오랜 바이올린 제자였던 베네치아 귀족 베토르 돌핀에게 헌정되었다.[6]

2. 3. 오페라 작곡가로서의 활동 (1713년 ~ 1739년)

1713년 비발디는 첫 오페라 오토네 인 빌라(RV 729)를 비첸차의 가르제리 극장에서 초연하며 오페라 작곡가로서의 경력을 시작했다.[50] 1714년에는 베네치아의 산탄젤로 극장의 극장 경영자가 되어 자신의 두 번째 오페라 『오를란도 핀토 파조(RV 727)』를 공연했지만, 대중의 취향에 맞지 않아 몇 주 만에 막을 내렸다.[50]

1715년에는 7명의 작곡가가 참여한 ''네로네 파토 체사레''(RV 724, 현재는 소실)를 선보여 성공을 거두었다. 1716년에는 ''아르실다, 폰토의 여왕''(RV 700)을 공연할 계획이었지만, 국가 검열관에 의해 공연이 금지되었다가 이듬해 허가를 받아 큰 성공을 거두었다. 같은 해, 베네치아 공화국의 승리를 기념하는 오라토리오 ''유디타 트리움판스''(RV 644)를 작곡하여 그의 성악 작품 중 걸작으로 꼽히게 되었다.

1716년에 비발디는 ''다리우스의 대관식''(RV 719)과 ''라 코스탄차 트리온판테 델리 아모리 에 델리 오디''(RV 706)라는 두 편의 오페라를 더 작곡했다. 특히 ''라 코스탄차 트리온판테 델리 아모리 에 델리 오디''는 큰 인기를 얻어 2년 후 재편집되어 ''아르타바노 레 데이 파르티''(RV 701, 현재는 소실)라는 제목으로 재공연되었다.

비발디의 진보적인 오페라 스타일은 베네데토 마르첼로와 같은 보수적인 음악가들과 마찰을 일으켰다. 마르첼로는 팜플렛 ''일 테아트로 알라 모다''를 통해 비발디를 비난했다. 이 팜플렛은 비발디를 직접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표지 그림과 텍스트를 통해 비발디를 간접적으로 공격했다.

1717년부터 1720년까지 비발디는 만토바의 통치자 헤세-다름슈타트의 필립 공작 궁정의 ''마에스트로 디 카펠라''(Maestro di Cappella)로 봉직하며[52], ''티토 만리오''(RV 738)를 포함한 여러 오페라를 작곡했다. 1721년에는 밀라노에서 목가극 ''라 실비아''(RV 734)를 발표했고, 1722년에는 로마에서 자신의 오페라에 새로운 스타일을 선보였다.

비발디는 1737년 자신의 후원자에게 쓴 편지에서 "94편의 오페라"를 언급했지만, 현재까지 약 50편의 오페라만 발견되었다.[23] 비발디가 많은 오페라를 작곡했음에도 불구하고, 알레산드로 스카를라티 등 다른 작곡가들만큼의 명성을 얻지 못했는데, 이는 그가 주요 오페라 극장에서 오랫동안 공연을 유지하지 못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2. 4. 후기 생애와 죽음 (1740년 ~ 1741년)

당시 많은 작곡가들과 마찬가지로, 비발디는 말년에 재정적 어려움에 직면했다. 그의 작품은 베네치아에서 한때 누렸던 명성을 더 이상 유지하지 못했고, 변화하는 음악 취향으로 인해 곧 구식이 되었다. 이에 비발디는 으로의 이주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상당수의 악보를 헐값에 팔기로 결정했다.[21] 비발디가 베네치아를 떠난 이유는 불분명하지만, 카를 6세 황제와의 만남 이후 성공을 거둔 후 황실 궁정 작곡가직을 맡고자 했던 것으로 보인다. 빈으로 가는 길에 비발디는 안나 지로를 만나러 그라츠에 들렀을 가능성도 있다.[21]

비발디는 특히 카른트너토르극장 근처에 거주지를 마련하면서 오페라 공연을 위해 빈으로 이주했을 가능성이 높다. 빈에 도착한 직후 카를 6세가 사망하면서 작곡가는 황실의 후원이나 안정적인 수입원을 잃게 되었다.[21] 곧 비발디는 빈곤에 처했고,[21] 1741년 7월 27일 밤에서 28일 사이, 63세의 나이로[9] 빈의 말안장 제작자 과부 소유의 집에서 "내부 감염"으로 사망했다.

7월 28일, 비발디의 장례식이 성 스테판 대성당에서 거행되었다.[10] 널리 알려진 전설과는 달리, 당시 대성당 합창단에 있던 젊은 요제프 하이든은 그 매장과 아무런 관련이 없었는데, 그때는 아무런 음악도 연주되지 않았기 때문이다.[9] 장례식에는 여섯 명의 운구자와 여섯 명의 합창단 소년(''Kuttenbuben'')이 참석했으며, 비용은 19 플로린과 45 크라이처였다. 최저 등급인 ''Kleingeläut''(작은 종소리)만 2 플로린과 36 크라이처의 비용으로 제공되었다.[10]

비발디는 공공 병원 기금이 소유한 묘지 – 부르거슈피탈-고테스아커 묘지에 있는, 현재 빈 공과대학교 부지의 일부인 지역에 있는 바로크 양식 교회인 성 카를스 교회 옆에 있는 소박한 무덤에 매장되었다.[11] 이 묘지는 1807년까지 존재했다. 그가 빈에서 살았던 집은 파괴되었고, 자허 호텔이 부지의 일부에 세워졌다. 두 장소 모두에 추모 명판이 설치되었고, 빈의 무지크마일레에 비발디 "별"과 루즈벨트 광장에 기념비가 있다.

3. 주요 작품

비발디는 오페라, 교회 음악 등 다양한 기악곡을 작곡했는데, 그 중에서도 바이올린을 위한 협주곡이 유명하다. 그의 작품은 리듬이 활발하고 노래하듯 아름다운 선율이 특징이며, 독일 음악가들에게도 큰 영향을 주었다. 바흐는 비발디의 작품을 건반악기 연주용으로 편곡하기도 했다.

비발디는 토렐리(1658년~1709년)와 알비노니(1671년~1750년)에 의해 개발된 독주 콘체르토 양식을 확립한 작곡가로 알려져 있다. 그는 복수의 독주악기를 위한 콘체르토도 많이 썼는데, 대개 빠르게-느리게-빠르게의 3악장으로 구성되었으며 전합주와 독주가 교대하는 리토르넬로 형식을 취했다.

그는 약 500곡의 기악작품과, 약 40곡의 오페라 외에 모테토, 오라토리오, 칸타타 등을 작곡했다. 작곡은 처음에는 베네치아암스테르담에서 출판되었으나 대부분은 원고 형태 외에는 남아 있지 않다.[6]

비발디는 특히 빠르고-느리고-빠른 3악장을 가지고, 주로 제1악장에서 전체 연주에 의한 반복과 독주 악기에 의한 기교적인 에피소드가 교체되는 리토르넬로 형식을 가진 독주 협주곡의 형식을 확립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주세페 토렐리 등은 비발디 이전에 독주 협주곡을 썼지만,[24] 비발디의 작품은 국제적으로 유명해져 많은 독일의 작곡가가 비발디의 형식으로 협주곡을 쓰게 되었다.[25]

비발디는 고도로 대위법적인 푸가 등의 음악도 쓸 수 있었지만, 보다 직관적이고 투명한 음악을 주로 썼다.[27]

비발디는 베네치아파의 바이올리니스트로서도 18세기 전반의 이탈리아 바이올린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운지법이나 활쓰기에 새로운 면을 열었다.[28]

협주곡의 독주에 사용된 악기의 종류와 조합의 다채로움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대량의 바이올린을 위한 협주곡뿐만 아니라, 첼로, 류트, 테오르보, 비올라 다 감바, 비올라 다모레, 만돌린, 오보에, 플루트, 피콜로, 샬뤼모(클라리넷의 전신), 바순/파곳, 트럼펫, 트롬본, 호른, 오르간 등 동시대의 작곡가로서는 월등히 다양하다.[29] 이것은 피에타 수녀원의 운영위원회가 《합주하는 소녀들》에게 희귀한 악기를 연주시켜 연주회의 희소성을 높이기 위해 비발디에게 요구한 것이기도 하지만,[30] 비발디는 오보에나 바순 같은 관악기, 첼로, 오르간 같은 반주용 악기에도 바이올린이 거의 독점하고 있던 독주 악기의 지위를 부여하여 피에타의 소녀들에게 연주시켰다.[31]

비발디의 작품들은 주요 작곡가에게 어울리는 목록작성 작업을 불러일으켰다. 비발디 연주 정확도와 다양성을 높이려는 학술적 연구는 또한 기존 목록을 불완전하게 만든 새로운 발견을 지원했다.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통되고 있는 작품들은 여러 다른 시스템에 따라 번호가 매겨질 수 있다.

단순한 연속적인 완전판(CE) 번호는 작품들이 그룹화된 개별 작품(작품 번호)을 반영하지 않았기 때문에 안토니오 파나(Antonio Fanna)가 지정한 번호가 종종 CE 번호와 함께 사용되었다. 결합된 완전판(CE)/파나 번호 매기기는 피에로 산티(Piero Santi)가 이끄는 밀라노 학술원(Gli Accademici di Milano)과 같이 20세기 중반 비발디 부흥을 이끈 이탈리아 그룹의 작품에서 특히 일반적이였다. 예를 들어, B 단조 바순 협주곡 "라 노테(La Notte)", RV 501은 CE 12, F. VIII, 1이 되었다.

비발디 작품의 의미 있는 그룹화를 위해 파나 번호를 완전판 번호에 겹쳐야 하는 어색함에도 불구하고, 더 많은 악보의 (재)발견으로 기존 목록이 쓸모없게 되면서 이러한 번호는 기존의 팽셰를 번호를 대체했다.

이 목록 작성 작업은 이탈리아 안토니오 비발디 연구소(Istituto Italiano Antonio Vivaldi)에서 이끌었으며, 잔 프란체스코 말리피에로(Gian Francesco Malipiero)는 출판된 악보(에디치오니 G. 리코르디(Edizioni G. Ricordi))의 감독이자 편집자였다. 그의 작업은 베네치아 사업가이자 연구소 설립자인 안토니오 파나의 작업을 기반으로 했으며, 따라서 오늘날 주류인 학술적 목록으로 이어지는 다리를 형성했다.

비발디의 작품은 오늘날 덴마크 음악학자 페터 리옴(Peter Ryom)이 주로 1970년대에 발표한 작품에서 지정한 RV 번호로 식별된다.

파리의 비발디 거리 (Allée Vivaldi), 안토니오 비발디의 이름을 따서 명명됨

3. 1. 기악곡

비발디는 오페라, 교회 음악 등 다양한 기악곡을 작곡했는데, 그 중에서도 바이올린을 위한 협주곡이 유명하다. 그의 작품은 리듬이 활발하고 노래하듯 아름다운 선율이 특징이며, 독일 음악가들에게도 큰 영향을 주었다. 바흐는 비발디의 작품을 건반악기 연주용으로 편곡하기도 했다.

비발디는 토렐리(1658년~1709년)와 알비노니(1671년~1750년)에 의해 개발된 독주 콘체르토 양식을 확립한 작곡가로 알려져 있다. 그는 복수의 독주악기를 위한 콘체르토도 많이 썼는데, 대개 빠르게-느리게-빠르게의 3악장으로 구성되었으며 전합주와 독주가 교대하는 리토르넬로 형식을 취했다.

주요 작품으로는 신포니아 23곡, 합주 협주곡 <조화의 영감>, 바이올린과 관현악을 위한 <사계> 등이 있다. 특히 <사계>는 표제 음악의 표본으로 불린다. 그는 약 500곡의 기악작품을 작곡했다. 작곡은 처음에는 베네치아암스테르담에서 출판되었으나 대부분은 원고 형태 외에는 남아 있지 않다.[6]

비발디의 작품은 20세기에 음악학자 페터 뢰옴(Peter Ryom)이 만든 목록인 "뢰옴-베르자이크니스(Ryom-Verzeichnis)" 또는 "안토니오 비발디 작품 목록(Répertoire des oeuvres d'Antonio Vivaldi)"에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RV 번호로 식별된다.

1723년 작품인 '''사계(Le quattro stagioni)'''는 그의 가장 유명한 작품이다. 12개의 협주곡 중 처음 네 곡은 '''화성과 발명의 대결(Il cimento dell'armonia e dell'inventione)'''("화성과 발명의 대결")이라는 제목으로, 각 계절의 분위기와 장면을 묘사한다. 이 작품은 19세기 이전의 뛰어난 표제음악의 예로 여겨진다.[12] 비발디의 다른 주목할 만한 12개의 바이올린 협주곡 세트로는 '''기이함(La stravaganza)''', '''조화로운 영감(L'estro armonico)''' 및 '''리라(La cetra)'''가 있다.

비발디는 500곡이 넘는 협주곡을 작곡했다. 이 중 약 350곡은 독주 악기와 현악기를 위한 곡이며, 그중 230곡은 바이올린을 위한 곡이다. 나머지는 바순, 첼로, 오보에, 플루트, 비올라 다모레, 리코더, 류트 또는 만돌린을 위한 곡이다. 약 40곡은 두 개의 악기와 현악기를 위한 곡이며, 약 30곡은 세 개 이상의 악기와 현악기를 위한 곡이다.

다른 작품으로는 심포니, 약 90개의 소나타 및 실내악이 있다.

플루트를 위한 소나타 몇 곡은 '''파스토르 피도(Il Pastor Fido)'''로 출판되었는데, 비발디의 작품으로 잘못 알려져 있지만, 사실 니콜라 셰드빌(Nicolas Chédeville)이 작곡한 것이다.

비발디의 협주곡과 소나타 중 일부는 생전에 출판되었다.

  • 작품 1: 12개의 트리오 소나타 (1703년 출판)
  • 작품 2: 12개의 바이올린 소나타 (1709년)
  • 작품 3: 12개의 협주곡 『'''화성의 영감'''』(1711년)
  • 작품 4: 12개의 바이올린 협주곡 『'''라 스트라바간차'''』(1712년-1714년경)
  • 작품 5: 6개의 소나타 (1716년)
  • 작품 6: 6개의 바이올린 협주곡 (1719년경)
  • 작품 7: 12개의 협주곡 (1719년-1720년경)
  • 작품 8: 12개의 협주곡 『'''화성과 창의의 시도'''』(『사계』 포함) (1724년경)
  • 작품 9: 12개의 바이올린 협주곡 『'''라 체트라'''』(1727년)
  • 작품 10: 6개의 플루트 협주곡 (1729년-1730년경)
  • 작품 11: 6개의 협주곡 작품 11 (1729년)
  • 작품 12: 6개의 협주곡 작품 12 (1729년)
  • 작품 번호 없음: 6개의 첼로 소나타 (1740년)


위 작품들의 초판은 1, 2를 제외하고 암스테르담의 르 세느 출판사에서 출판되었으며, 비발디가 베네치아에만 머물지 않고 유럽에서도 명성을 얻었음을 알 수 있다. 작품 1, 2, 3, 4, 8, 9는 모두 헌정문이 붙어 왕족 귀족에게 헌정되었지만, 헌정문이 없는 작품 중 비발디의 편곡 지시가 있는 10을 제외한 5, 6, 7, 11, 12 중 일부는 출판사가 비발디의 동의 없이 출판했을 가능성이 높다. 1730년경을 기점으로 여러 제약이 많은 출판 악보 대신 필사 악보의 유포를 선호하게 되었다. 그 때문에 원숙기 작품에는 작품 번호가 없는 것이 압도적으로 많다. 1737년에 출판된 작품 13 『충실한 양치기』는 진작으로 여겨졌으나, 후대의 연구에서 니콜라 셰드빌이 비발디의 이름을 빌려 출판한 것임이 1998년에 밝혀졌다.[72] 또한, 1740년경에 출판된 6곡의 첼로 소나타 "작품 14"는 진작으로 확인되었지만, 작품 번호는 판셸르가 임시로 붙인 것이 고착된 것이며, 최근의 고악기 연주 음반의 제목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또 현재는 작품 7은 출판사가 12곡 세트로 출판하기 위해 늘린 것이 절반 이상 포함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화성과 창의의 시도'''(Il cimento dell'armonia e dell'invenzione) 작품 8은 1725년에 출판된 12곡의 바이올린 협주곡집이며, '''사계'''(Le quattro stagioni (The Four Seasons))는 이 작품 8 중 1번부터 4번까지를 가리킨다.

'''조화의 영감'''(L'estro armonico) 작품 3은 1~4대의 바이올린(부분적으로 첼로도 추가됨)을 위한 12곡으로 구성된 협주곡집으로, 1711년 암스테르담의 로제(Roger)에서 출판되었다.[71] 소위 리토르넬로 형식에 따른 빠른 악장을 가진, 빠름-느림-빠름의 3악장 형식의 독주 협주곡 양식을 확립한 획기적인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부분적으로는 코렐리 이후의 합주 협주곡 스타일도 포함하고 있다(예를 들어 7번, 11번 등). 후에 J.S. 바흐가 이 곡집 중 3번, 9번, 12번을 건반주 독주용(BWV 978, 972, 976)으로, 8번, 11번을 오르간 독주용(BWV 593, 596)으로, 10번을 4대의 건반주와 현악 합주를 위해(BWV 1065) 편곡했다.

  • 바이올린 협주곡

RV 번호조성제목비고
RV.180다장조'기쁨'
RV.199다단조'의심'
RV.208라장조'그로소 모굴'
RV.212a라장조'1712년 파도바의 성 안토니오의 성스러운 혀의 축일을 위하여'
RV.230라장조J.S. 바흐가 BWV.972로 편곡
RV.234라장조'불안'
바이올린 협주곡 RV.242라단조'피젠델씨를 위하여'
RV.253변라장조'바다의 폭풍'
RV.256변라장조'은둔처'
RV.269미장조'봄'
RV.270미장조'평화: 지극히 거룩한 크리스마스를 위하여'
RV.271미장조'연인'
RV.277미단조'애정'
RV.286솔장조'성 로렌초 축일을 위하여'
RV.293솔장조'가을'
RV.294솔장조'은둔처'
RV.297솔단조'겨울'
RV.313라장조'트롬바 마리나풍 바이올린으로'
RV.315라단조'여름'
RV.317라단조
RV.335a가장조'나이팅게일'
RV.363변시장조'포스트호른 (우편배달부의 나팔)'
RV.366변시장조'칼보넬리'
RV.761다단조'아마토 베네'
RV.762미장조'안나 마리아를 위하여'
RV.763가장조'옥타비나'


  • 플루트 협주곡

RV 번호조성제목비고
RV.428D장조'오색딱따구리'작품 10-3
RV.433F장조'바다의 폭풍'작품 10-1
RV.434F장조작품 10-5
RV.435G장조작품 10-4
RV.437G장조작품 10-6
RV.439G단조'밤'작품 10-2
RV.442G장조
RV.533C장조2대의 플루트(트라베르소)를 위한 협주곡


  • 기타 협주곡

RV 번호조성제목비고
RV.90다장조‘오색 휘파람새’여러 버전이 남아 있다.
RV.93다장조류트 협주곡이라고도 함
RV.95다장조‘양치기 소녀’
RV.104가단조‘밤’
RV.151G장조현악을 위한 협주곡 '알라 루스티카(전원풍)'
RV.163B♭장조현악을 위한 협주곡 '콘카(법라개)'
RV.169D단조심포니아 '성스러운 무덤에(성묘의 곁에)'
RV.532마장조만돌린 2대를 위한 협주곡
RV.534다장조오보에 2대를 위한 협주곡
RV.537다장조트럼펫 2대를 위한 협주곡
RV.544으뜸조바이올린과 첼로를 위한 협주곡 ‘프로테우스, 즉 거꾸로 된 세계’
RV.552가장조‘독주 바이올린과 멀리서 들리는 메아리용 바이올린을 위한 협주곡’
RV.559다장조클라리넷 2대와 오보에 2대를 위한 협주곡바로크 음악사상 최초의 클라리넷 협주곡
RV.560다장조클라리넷 2대와 오보에 2대를 위한 협주곡
RV.562다장조바이올린, 오보에 2대와 호른 2대를 위한 협주곡 ‘성 로렌초 축제를 위하여’
RV.576가단조바이올린, 리코더 2대, 오보에 3대와 파곳을 위한 협주곡 ‘작센 선제후를 위하여’
RV.577가단조바이올린, 오보에 2대, 리코더 2대와 파곳을 위한 협주곡 ‘드레스덴 오케스트라를 위하여’
RV.579변다장조바이올린, 오보에, 샤르모와 비올라 다 감바 3대를 위한 협주곡 ‘장송 협주곡’
P.36C장조오보에, 바이올린, 오르간, 현악과 하프시코드를 위한 협주곡
P.276F장조바이올린, 오르간, 현악과 하프시코드를 위한 협주곡
P.311D단조바이올린, 오르간, 현악과 하프시코드를 위한 협주곡
P.226A장조오블리가토 플루트 4개, 바이올린 4개, 현악과 오르간 2개를 위한 협주곡 “두 개의 합창”


3. 2. 오페라

비발디는 18세기 초 베네치아에서 오페라 작곡가로 활동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 그의 첫 오페라 오토네 인 빌라(RV 729)는 1713년 비첸차에서 초연되었고,[50] 이후 베네치아의 산탄젤로 극장의 극장 경영자가 되어 『미친 체하는 오를란도』(RV 727) 등의 작품을 선보였다. 1718년까지 10편의 오페라를 상연하여[50] 인기를 얻었다.

1715년에는 7명의 작곡가가 참여한 ''네로네 파토 체사레''(RV 724, 현재는 소실)를 선보였고, 1716년에는 ''아르실다, 폰토의 여왕''(RV 700)과 ''다리우스의 대관식''(RV 719) 등 두 편의 오페라를 더 작곡했다.

그의 진보적인 오페라 스타일은 베네데토 마르첼로와 같은 보수적인 음악가들과 마찰을 빚기도 했다. 마르첼로는 팜플렛 ''일 테아트로 알라 모다''를 통해 비발디를 비판했다.

''일 테아트로 알라 모다'' 프런티스피스


1737년 비발디는 자신의 "94편의 오페라"를 언급했지만, 현재까지 약 50편만이 발견되었다.[60] 비발디는 많은 오페라를 작곡했지만, 알레산드로 스카를라티, 요한 아돌프 하세 등과 같은 다른 작곡가들만큼의 명성을 얻지는 못했다.[60]

비발디의 주요 오페라 작품은 다음과 같다.

  • 야만족의 왕 홀로페르네스를 토벌한 유딧의 승리 RV.644
  • 이집트 전쟁터의 아르미다 RV.699
  • 바야제트 RV.703
  • 정숙한 요정(충실한 님프) RV.714
  • 다리오의 대관식 RV.719
  • 모테주마 RV.723
  • 광기를 가장한 오를란도 RV.727
  • 별궁의 오토 대제 RV.729
  • 테우초네 RV.736
  • 유스티누스 RV 717

3. 3. 종교 음악

비발디는 오페라 외에도 글로리아 RV 589, 니시 도미누스 RV 608, 마니피카트 RV 610, 스타바트 마터 RV 621과 같은 많은 성악곡을 작곡했다.[12] 글로리아 RV 589는 비발디의 인기 있는 성악곡 중 하나이다.[12] 그 외에도 심포니, 약 90개의 소나타, 실내악 등을 작곡했다.[12]

다음은 비발디의 주요 종교 음악 작품 목록이다. 더 자세한 목록은 「비발디의 작품 목록」을 참조하라.

  • 글로리아 다장조 RV.588
  • 글로리아 다장조 RV.589
  • 살베 레지나(「만복의 어머니」) 가단조 RV.616
  • 스타바토 마테르(「어머니는 슬픔에 잠기시고」) 내림가단조 RV.621
  • 모테트 「참된 평화는 이 세상에 없다」(RV 630)
  • 칸타타 「황금빛 비처럼」(RV 686)

4. 음악적 특징과 영향

비발디는 조반니 레그렌치(Giovanni Legrenzi)와 아르칸젤로 코렐리(Arcangelo Corelli)에게서 영향을 받았다.[13] 독일 학자 발터 콜네더(Walter Kolneder)는 비발디의 초기 종교 작품 ''라에타투스 숨(Laetatus sum)''(RV Anh 31)에서 레그렌치의 스타일을 발견했다.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Johann Sebastian Bach)는 비발디의 협주곡과 아리아에 깊은 영향을 받아, ''요한 수난곡(St John Passion)'', ''마태 수난곡(St Matthew Passion)'', 칸타타 등에서 그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 바흐는 비발디의 협주곡 중 6곡을 독주 건반악기용으로, 3곡을 오르간용으로 편곡했다. 또한 바이올린 4개, 비올라 2개, 첼로, 바소 콘티누오를 위한 협주곡(RV 580)을 바탕으로 하프시코드 4대, 현악기, 바소 콘티누오를 위한 협주곡(BWV 1065) 1곡을 편곡했다.

20세기 초, 프리츠 크라이슬러(Fritz Kreisler)의 C장조 협주곡 (비발디풍)은 비발디의 명성을 되살리는 데 기여했다. 이는 프랑스 학자 마르크 팽셰를(Marc Pincherle)이 비발디 작품 전체를 학문적으로 연구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많은 비발디 악보가 재발견되어 토리노 국립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었다. 마리오 린날디(Mario Rinaldi), 알프레도 카셀라(Alfredo Casella), 에즈라 파운드(Ezra Pound) 등은 비발디에 대한 관심을 새롭게 불러일으켰다.

1939년 알프레도 카셀라는 재발견된 글로리아(RV 589)와 《올림피아데》(l'Olimpiade)를 부활 공연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비발디 작품은 큰 성공을 거두었고, "원래 악기"를 사용하는 역사적으로 문맥화된 연주는 그의 명성을 더욱 높였다.

최근 호주 학자 재니스 스톡기그트(Janice Stockigt)는 두 편의 시편 편곡(시편 127편, 니시 도미누스 (Nisi Dominus) RV 803(8개 악장), 시편 110편, 딕싯 도미누스 (Dixit Dominus) RV 807(11개 악장))을 확인했다. 비발디 학자 마이클 탈보트(Michael Talbot)는 RV 807을 "...1920년대 이후 나온 비발디의 최고 비오페라 작품"이라고 묘사했다.[15]

이 무지치1955년사계』를 처음 녹음, 2500만 장 이상 판매했다.[67]

소행성(4330) Vivaldi와 웹 브라우저 Vivaldi는 비발디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69][70]

안토니오 비발디 (프랑수아 모렐롱 드 라 카브(François Morellon de La Cave)의 판화, 미셸 샤를르 르 센(Michel-Charles Le Cène) 편집 비발디 작품집 Op. 8, 1725년)


오스트리아 빈 루즈벨트 광장 비발디 기념비

4. 1. 음악적 특징

비발디는 작곡가이자 바이올린 비르투오소로서 당대에 높은 평가를 받았다. 그의 음악은 생동감 넘치는 신선한 곡조와 독주 협주곡 스타일의 확립으로 유럽 전역에 널리 알려졌다.[49] 동시대 독일의 음악가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도 비발디의 악보를 필사하여 연구했을 정도였다.[49] 루이-클로드 다캉은 아르칸젤로 코렐리에 필적하는 작품으로 비발디의 사계를 꼽기도 했다.[49]

비발디의 주요 작품으로는 사계를 포함하는 화성과 창의의 시도(작품 8), 조화의 영감(작품 3) 등이 있다. 특히 조화의 영감리토르넬로 형식에 따른 빠름-느림-빠름의 3악장 형식의 독주 협주곡 양식을 확립한 획기적인 작품으로 평가받는다.[71]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는 이 곡집의 일부를 건반 악기 독주용으로 편곡하기도 했다.

18세기 말부터 19세기 말까지 비발디는 이탈리아에서 잊혔으나, 프랑스에서는 사계가 인기를 유지했다. 19세기 말 요한 니콜라우스 포르켈 등에 의해 바흐가 재평가되면서 비발디의 작품도 재조명받기 시작했다.[65] 20세기에 들어 아르놀트 셰링과 마르크 팡셰를이 비발디 기악곡의 역사적 의미를 발견하고, 알프레도 카젤라와 잔 프란체스코 말리피에로 등의 노력으로 미발견 작품들이 정리, 교정되면서 비발디는 완전히 부활했다.[66]

그러나 비발디의 작품이 출판 악보 외에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던 시대에는 "비발디는 모두 똑같다"는 악평을 받기도 했다. 루이지 달라피콜라는 "600곡의 협주곡을 작곡한 것이 아니라, 1곡을 600번 작곡한 것"이라고 비판했고, 이고르 스트라빈스키도 비슷한 의견을 냈다. 하지만 마이클 톨보트는 이러한 비판이 오히려 비발디의 독창성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비발디의 작품 번호가 붙은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작품 번호작품명출판 연도비고
작품 112개의 트리오 소나타1703년
작품 212개의 바이올린 소나타1709년
작품 3조화의 영감1711년1~4대의 바이올린을 위한 12곡의 협주곡
작품 4라 스트라바간차1712년-1714년경12개의 바이올린 협주곡
작품 56개의 소나타1716년
작품 66개의 바이올린 협주곡1719년경
작품 712개의 협주곡1719년-1720년경
작품 8화성과 창의의 시도1724년경사계 포함 12개의 바이올린 협주곡
작품 9라 체트라1727년12개의 바이올린 협주곡
작품 106개의 플루트 협주곡1729년-1730년경
작품 116개의 협주곡 작품 111729년
작품 126개의 협주곡 작품 121729년
작품 번호 없음6개의 첼로 소나타1740년



1730년경부터 비발디는 필사 악보를 선호하여 원숙기 작품에는 작품 번호가 없는 것이 많다. 1737년 출판된 작품 13 충실한 양치기는 니콜라 셰드빌이 비발디의 이름을 도용한 것으로 밝혀졌다.[72]

4. 2. 영향

비발디는 조반니 레그렌치(Giovanni Legrenzi)와 아르칸젤로 코렐리(Arcangelo Corelli)의 영향을 받았다.[13] 특히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Johann Sebastian Bach)는 비발디의 협주곡과 아리아에 깊은 영향을 받아, 그의 ''요한 수난곡(St John Passion)'', ''마태 수난곡(St Matthew Passion)'', 칸타타 등에서 그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 바흐는 비발디의 협주곡 중 6곡을 독주 건반악기를 위해 편곡했고, 3곡을 오르간을 위해, 그리고 바이올린 4개, 비올라 2개, 첼로, 바소 콘티누오를 위한 협주곡(RV 580)을 바탕으로 하프시코드 4대, 현악기, 바소 콘티누오를 위한 협주곡(BWV 1065) 1곡을 편곡했다.

20세기 초, 프리츠 크라이슬러(Fritz Kreisler)의 C장조 협주곡 (비발디풍)은 비발디의 명성을 되살리는 데 기여했다. 이 곡은 프랑스 학자 마르크 팽셰를(Marc Pincherle)이 비발디 작품 전체에 대한 학문적 연구를 시작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많은 비발디 악보들이 재발견되었고, 토리노 국립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었다. 이는 마리오 린날디(Mario Rinaldi), 알프레도 카셀라(Alfredo Casella), 에즈라 파운드(Ezra Pound) 등 많은 사람들에게 비발디에 대한 관심을 새롭게 불러일으켰다.

1939년에는 알프레도 카셀라에 의해 재발견된 글로리아(RV 589)와 《올림피아데》(l'Olimpiade)가 부활 공연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비발디의 작품들은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원래 악기"를 사용하는 역사적으로 문맥화된 연주는 그의 명성을 더욱 높였다.

최근에는 호주 학자 재니스 스톡기그트(Janice Stockigt)에 의해 두 편의 시편 편곡(시편 127편, 니시 도미누스 (Nisi Dominus) RV 803(8개의 악장); 시편 110편, 딕싯 도미누스 (Dixit Dominus) RV 807(11개의 악장))이 확인되었다. 비발디 학자 마이클 탈보트(Michael Talbot)는 RV 807을 "...1920년대 이후로 세상에 나온 비발디의 최고의 비오페라 작품"이라고 묘사했다.[15]

이 무지치1955년에 『사계』를 처음으로 녹음했고, 이 레코드는 지금까지 2500만 장 이상 판매되었다.[67]

소행성(4330) Vivaldi와 웹 브라우저 Vivaldi는 비발디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69][70]

5. 대한민국에서의 비발디

2009년 1월 8일 대한민국에서 그의 생애를 영화화한 《안토니오 비발디-베니스의 왕자》가 개봉되었다. 스테파노 디오니시가 안토니오 비발디 역을 맡아 열연하였다.

참조

[1] 서적 Longman Pronunciation Dictionary Longman
[2] 서적 Cambridge English Pronouncing Dictiona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웹사이트 Vivaldi, Antonio http://www.lexico.co[...] Oxford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The Italian composer Vivaldi was also a Catholic priest https://aleteia.org/[...] 2018-11-09
[5] 웹사이트 New Discoveries of Vivaldi https://scaramucciae[...] 2023-10-27
[6] 웹사이트 Antonio Vivaldi https://wiener-urtex[...]
[7] 웹사이트 Famous Composers https://sonatica.fm 1961-01-01
[8] 백과사전 Oxford University Press 2002-01-01
[9] 웹사이트 Haydn Singing at Vivaldi's Exequies: An Ineradicable Myth http://michaelorenz.[...] 2014-06-09
[10] 서적 Vivaldi Panther Books 1979-01-01
[11] 웹사이트 Die Karlskirche Wien https://www.konzert-[...]
[12] 서적 Musically Speaking – The Great Works Collection: Vivaldi CVP, Inc.
[13] 백과사전
[14] 서적 Antonio Vivaldi biography Madacy Entertainment Group Inc
[15] 서적 Vivaldi: Dixit Dominus Deutsche Grammophon
[16] 뉴스 Lost Vivaldi Opera Finally Gets Its Music and Words Together https://www.nytimes.[...] 2005-06-13
[17] 뉴스 Vivaldi's ''Motezuma'' Has Dusseldorf Premiere After Court Win https://www.bloomber[...] Bloomberg News 2005-09-22
[18] 뉴스 Vivaldi's 'Motezuma,' lost, found, restored, re-imagined https://www.latimes.[...] Los Angeles Times 2009-03-22
[19] 웹사이트 Angel and the Red Priest by Sean Riley http://www.abc.net.a[...]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Radio National 2011-06-15
[20] 영화 Antonio Vivaldi, un prince à Venise
[21] 웹사이트 Vivaldi in Venice https://www.nytimes.[...] www.nytimes.com
[22] 서적 大作曲家の世界1 バッハ/ヴィヴァルディ/ヘンデル P86
[23] 웹사이트 Vivaldi composed 94 operas… https://www.classicf[...] www.classicfm.com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新訂 標準音楽辞典 アーテ P160 https://www.worldcat[...] Ongaku no Tomosha 1991-01-01
[29] 서적 音楽史ほんとうの話 音楽之友社
[30] 서적 大作曲家の世界:ファブリ・カラー版 1 バロックの巨匠 バッハ/ヴィヴァルディ/ヘンデル p80 音楽之友社 1990-01-01
[31] 서적 反音楽史 さらばベートーベン 新潮社
[32] 서적 大作曲家の知られざる横顔 丸善ライブラリー
[33] 서적 大作曲家の知られざる横顔 丸善ライブラリー
[34] 논문 Giovanni Battista Vivaldi copies music by Telemann: New light on the genesis of Antonio Vivaldi’s chamber concertos.
[35] 서적 大作曲家の知られざる横顔 丸善ライブラリー
[36] 서적 The Vivaldi Compendium Boydell Press
[37] 서적 Antonio Vivaldi. The Red Priest of Venice. Amadeus Press
[38] 서적 大作曲家の知られざる横顔 丸善ライブラリー
[39] 서적 大作曲家の知られざる横顔 丸善ライブラリー
[40] 서적 大作曲家の知られざる横顔 丸善ライブラリー 1993-07-20
[41] 서적 作曲家名曲ライブラリー21 ヴィヴァルディ 音楽之友社
[42] 서적 大作曲家の知られざる横顔 丸善ライブラリー 1993-07-20
[43] 서적 作曲家別名曲解説ライブラリー21 ヴィヴァルディ 音楽之友社
[44] 서적 大作曲家の世界:ファブリ・カラー版 1 バロックの巨匠 バッハ/ヴィヴァルディ/ヘンデル 音楽之友社
[45] 서적 ラルース世界音楽事典 福武書店 1989-11
[46] 서적
[47] 서적 作曲家別名曲解説ライブラリー21 ヴィヴァルディ 音楽之友社
[48] 서적 ヴィヴァルディ
[49] 서적 大作曲家の知られざる横顔 丸善ライブラリー
[50] 서적 作曲家別名曲解説ライブラリー21 ヴィヴァルディ 音楽之友社 1995-04-30
[51] 서적
[52] 서적 作曲家別名曲解説ライブラリー21 ヴィヴァルディ 音楽之友社 1995-04-30
[53] 서적 作曲家別名曲解説ライブラリー21 ヴィヴァルディ 音楽之友社 1995-04-30
[54] 서적 作曲家別名曲解説ライブラリー21 ヴィヴァルディ 音楽之友社 1995-04-30
[55] 서적
[56] 서적 作曲家別名曲解説ライブラリー21 ヴィヴァルディ 音楽之友社 1995-04-30
[57] 서적 作曲家別名曲解説ライブラリー21 ヴィヴァルディ 音楽之友社 1995-04-30
[58] 서적 BBCミュージック・ガイド1 ヴィヴァルディ(上) 東芝EMI音楽出版
[59] 서적 大作曲家の世界:ファブリ・カラー版 1 バロックの巨匠 バッハ/ヴィヴァルディ/ヘンデル 音楽之友社
[60] 서적 ヴェネーツィアと芸術家たち 文藝春秋 2005-08-20
[61] 서적 ヴィヴァルディ
[62] 서적 大作曲家の知られざる横顔 丸善ライブラリー
[63] 웹사이트 www.bri.ucla.edu http://www.bri.ucla.[...] The Red Priest of Venice: did Vivaldi suffer from a primary muscular disorder ? 1999-09-14
[64] 서적 大作曲家の知られざる横顔 丸善ライブラリー 1993-07-20
[65] 서적 大作曲家の知られざる横顔 丸善ライブラリー 1993-07-20
[66] 웹사이트 Karl Münchinger, Stuttgart Chamber Orchestra https://www.discogs.[...] www.discogs.com
[67] 웹사이트 ヴィヴァルディ×ピアソラ -ふたつの四季- イ・ムジチ合奏団 https://www.nagano-a[...] 長野市美術館
[68] 웹사이트 The Vivaldi Edition recording project offers the public more than one hundred hours of listening pleasure beyond The Four Seasons and provides an opportunity to discover a treasure trove of superb works, in itself a compelling adventure. http://vivaldieditio[...] vivaldiedition.eu
[69] 웹사이트 (4330) Vivaldi = 1972 TN8 = 1982 UJ3 = 1987 BH3 https://minorplanetc[...] MPC
[70] 웹사이트 Vivaldi: testamos o navegador de internet que tem personalização completa https://www.tecmundo[...]
[71] 서적 作曲家別名曲解説ライブラリー21 ヴィヴァルディ 音楽之友社 1995-04-30
[72] 논문 Talbot (1993)
[73] 웹사이트 彼の作曲かどうかで意見が分かれている作品 https://www.universa[...] www.universal-music.co.jp 2020-11-2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