틸란드시아 우스네오이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틸란드시아 우스네오이데스(Tillandsia usneoides)는 가는 줄기에 얇고 곱슬곱슬한 잎이 빽빽하게 달려 아래로 늘어지는 착생식물로, 스페인 이끼라고도 불린다. 공기 중의 수분과 영양분을 흡수하며, 미국 남동부에서 아르헨티나에 이르는 넓은 지역에 분포한다. 다양한 동물들의 서식처가 되며, 특히 쥐뱀과 특정 깡충거미의 서식지이다. 틸란드시아는 대기 오염에 민감하여 환경 지표로 활용될 수 있으며, 건물 단열, 공예, 냉각기 제작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대한민국에서는 공기 정화 식물로 각광받고 있으며, 추위에 강해 실내외에서 재배가 가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62년 기재된 식물 - 나팔꽃
나팔꽃은 중앙 아메리카와 멕시코가 원산지인 덩굴성 덩굴식물로, 깔때기 모양의 화려한 꽃과 아침에 피었다가 오후에 시드는 특성을 지니며, 관상용으로 널리 재배되고 한국에서는 약용으로 전래되었으나 현재는 관상용으로 재배된다. - 1762년 기재된 식물 - 피카리아
피카리아는 유럽, 북아프리카, 코카서스 원산의 여러해살이 풀로, 얼룩무늬 잎과 노란색 꽃이 특징이며, 덩이줄기를 통해 번식하고, 과거 약용 및 식용으로 쓰였으나 독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북미에서는 침입종으로 분류되지만 원예 품종으로도 재배되며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기도 했다. - 착생식물 - 틸란드시아속
틸란드시아속은 파인애플과에 속하는 약 650여 종의 착생 식물로, 트리콤을 통해 수분과 양분을 흡수하며 흙 없이 생존하는 특징을 지니고 열대 및 아열대 아메리카 지역에 분포하며 인테리어 및 공기 정화 효과로 사랑받고 일부 종은 CITES에 의해 보호받는다. - 착생식물 - 인도고무나무
인도고무나무는 뽕나무과 무화과나무속의 상록 교목으로, 30~40m까지 자라며 두껍고 광택이 나는 잎을 가지고, 네팔에서 인도네시아에 걸쳐 자생하며 관상용으로 재배되고, 과거 천연 고무 원료로 쓰였으나 현재는 관상용, 인도 메갈라야 지역에서는 뿌리로 살아있는 다리를 만든다. - 틸란드시아속 - 틸란드시아 레쿠르비폴리아
틸란드시아 레쿠르비폴리아는 잎의 색상, 질감, 형태가 다른 다양한 재배 품종('모히토', '그린', '실버', '스타더스트', '파이어볼' 등)을 가진 식물로, 지속적인 교배와 변이를 통해 새로운 품종이 개발되고 있다. - 틸란드시아속 - 틸란드시아 두라티이
틸란드시아 두라티이는 파인애플과에 속하는 착생 식물로, 다양한 재배 품종이 존재하며 실내 재배가 용이하고 관상용으로 인기가 높은 공중 식물이다.
틸란드시아 우스네오이데스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Tillandsia usneoides |
명명자 | (L.) L., 1762 |
이명 | Renealmia usneoides L. Dendropogon usneoides (L.) Raf. Strepsia usneoides (L.) Nutt. ex Steud. Tillandsia trichoides Kunth Tillandsia filiformis Lodd. ex Schult. & Schult.f. Tillandsia crinita Willd. ex Beer |
속 | 하아나나스속 Tillandsia |
아속 | Tillandsia subg. Diaphoranthema |
일반 명칭 | 스페인 이끼 긴 이끼 검은 이끼 회색 수염 늙은이의 수염 |
보존 상태 | 관심 필요 (LC) |
분류 | |
계 | 식물계 Plantae |
문 | 속씨식물문 angiosperms |
강 | 외떡잎식물강 monocots |
목 | 벼목 Poales |
과 | 파인애플과 Bromeliaceae |
분포 | |
서식지 | 미국 남동부 아르헨티나 중앙아메리카 카리브 해 |
특징 | 다른 식물에 붙어사는 착생 식물 |
생태 | |
생태적 역할 | 새들의 둥지 재료 곤충과 거미의 서식지 다양한 생물의 은신처 |
활용 | |
용도 | 멀칭재 포장재 실내 장식 자동차 시트 충전재 (과거) |
2. 묘사
가는 줄기에 얇고 곱슬곱슬하며 비늘 모양 트리콤 ()이 빽빽하게 난 길이 2-6cm, 너비 1mm의 이파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로 얽혀들어 아래로 6m까지[60] 늘어질 수 있다. 공기뿌리(:en:aerial root)가 없으며[60] 갈색, 초록색, 노란색, 회색 꽃들은 작고 눈에 잘 띄지 않는다. 씨앗으로도, 영양생식으로도 자손을 남길 수 있다.[60]
수염틸란드시아는 공기와 강우에서 영양과 수분을 흡수하는 착생식물이다. 착생하는 나무를 죽이는 일은 거의 없지만, 때때로 지나치게 두꺼워져서 나무의 잎이 햇빛을 제대로 받지 못하게 막아 성장을 저해하기도 한다.[60]
스페인 이끼는 하나 이상의 가느다란 줄기로 구성되며, 길고 얇고 굽거나 꼬불꼬불하며 비늘이 많은 어긋나는 잎을 가지고 있다. 잎의 길이는 2.4cm이며, 너비는 약 0.10cm이다. 이 잎들은 사슬처럼(늘어진 형태로) 번식하며, 최대 약 6.10m까지 늘어지는 구조를 형성한다.[7] 뿌리가 없다.[7][9] 꽃은 황록색이며 작고, 퍼지는 꽃잎을 가지고 있다. 꽃자루는 잎집 안에 부분적으로 숨겨져 있다.[5]
파인애플과 식물은 대부분 튼튼한 잎을 뿌리에서 나와 로제트 모양으로 붙으며, 그 중심에서 꽃자루를 높게 뻗는다. 하지만 본 종은 외관상 전혀 다르며, 실이 얽힌 듯한 모습으로 나뭇가지 위에서 늘어져 전체 길이가 5m에 달하는 경우도 있다. 그 때문에 외관이 이끼와 비슷하게 보이며, 이끼류로 보이기도 한다.[34] 이는 개별적으로는 몇 cm밖에 안 되는 잎을 몇 장 붙인 개체가 늘어져 달리는 러너로 무성 생식한 결과이다. 꽃은 피지만 수수하고 눈에 띄지 않는다.
착생식물[40]로, 개개의 식물체는 작지만 서로 연결되어 늘어져 전체적으로 7~8m에 달하기도 한다.[41] 뿌리는 퇴화되어 전혀 없거나, 때로는 아주 짧게 존재한다. 줄기는 실 모양이며 직경 1mm 이하이다. 잎은 선형으로, 길이 3~5cm, 직경 1mm 이하, 약간 굽어져 2열로 나며, 그 표면은 회백색의 인편으로 덮여 있다. 엽초는 타원체로 길이 8mm 정도이다.
잎은 폭에 비해 두께가 있으며, 그 단면은 거의 원주형이다. 표피 세포는 특별히 비후된 세포벽을 갖지 않는다. 내부에는 관다발이 3개 지나가며, 그 주변은 후벽 섬유 세포층으로 둘러싸여 있다. 그 외의 부분은 해면상 조직처럼 세포 사이에 공간이 있다. 물을 흡수하는 기관인 인편은 표면 전체를 덮고 있다.[42]
꽃차례에는 단독의 꽃만 붙으며, 꽃자루는 없다. 포는 난형으로 인편이 있으며, 꽃받침보다 짧다. 꽃받침 조각은 끝이 뾰족한 좁은 난형이며 길이 7mm이고, 얇고 맥이 있으며, 기부에서 조금만 서로 유착한다. 꽃잎은 좁고 긴 타원형으로 끝이 둥글고, 옅은 황록색에서 청색이며 길이 9~11mm이다. 수술은 꽃부리의 안쪽 깊은 위치에 있으며, 암술은 끝이 꽃부리에서 뻗어 나오기도 한다. 삭과는 원주형으로 길이 25mm까지이다.
개화는 여름에 보이며, 4일 정도 개화하고 향기가 있어 방문 곤충을 모은다. 열매가 갈라져 종자가 나오는 것은 다음 동절기가 되며, 종자에는 1~2cm의 솜털이 있어, 낙하산처럼 종자 산포에 관여한다. 이 솜털에는 작은 역극이 붙어 있어, 이것이 거친 피부의 수피 등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발아한 것은 뿌리와 같은 부착기를 갖지만, 식물체의 성장에 따라 금방 말라 건조하며, 성장한 식물체는 뿌리를 갖지 않는다.[43]
3. 생태
미국 남부에서는 남부생참나무와 낙우송에 자라는 것을 선호하는데, 이 나무들은 이파리의 칼슘, 마그네슘, 칼륨, 인 등의 미네랄 침출량이 높아 풍부한 영양분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61] 하지만 미국풍나무, 배롱나무, 여타의 참나무, 소나무 등 다른 나무에도 착생할 수 있다.
수염틸란드시아는 쥐뱀, 세 종의 박쥐 등 다양한 동물들의 쉼터가 된다. 틸란드시아깡충거미라는 깡충거미는 수염틸란드시아에서만 발견된다.[62] 털진드기는 수염틸란드시아에 서식할 것으로 널리 추측되었지만, 한 연구에서 수천 종의 다른 절지류들이 식별되는 와중에도 발견되지 않았다.[63]
수염틸란드시아는 기생 식물이 아니며, 부착된 수목을 고사시킨다는 오해가 있지만, 이는 수염틸란드시아가 수목 바깥쪽에 넓게 늘어져 눈에 띄고, 고사목에도 오랫동안 부착되어 있기 때문이다. 수염틸란드시아는 가지에 걸려 늘어져 있을 뿐, 수목과 어떠한 접촉도 만들지 않는다. 다만, 높은 가지에 수염틸란드시아가 한 면을 뒤덮고 있으면 그 가지가 고사하거나 잎이 적은 경우가 종종 있다.
수염틸란드시아가 착생하는 수목에는 어느 정도 선택성이 보인다. 조지아주 사페로 섬 조사에서는 팽나무속과 참나무속에 많이 착생하며, 노간주나무와 미국풍나무에도 다소 많이 착생하고, 그 외 수종에서는 적게 착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틸란드시아 속 식물은 식물체 전체 표면이 비늘로 덮여 있어 대기 중의 물과 먼지 등을 흡수하여 염분 등의 자원으로 활용한다. 또한 수목 표면을 흘러내리는 물도 물과 염류의 공급원이다.[45] 수분이 부족한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CAM형 광합성을 하며, 2개월 동안 강우가 없어도 생존 가능하다.[43]
3. 1. 틸란드시아와 환경 문제
틸란드시아 우스네오이데스는 대기 오염에 민감하여 굴뚝 근처나 연기가 많은 지역에서는 자라지 못한다. 대기 오염이 심해지면서 도시 지역에서는 틸란드시아 우스네오이데스가 줄어들었다.[7]
틸란드시아 우스네오이데스는 필요한 물이나 비료 등을 모두 대기 중에서 흡수하기 때문에 대기 중의 오염 물질도 흡수하며, 그 성분에 대기 오염 상황이 반영된다. 예를 들어 틸란드시아 우스네오이데스는 금속성 오염 물질의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43]
4. 분포
미국 남동부에서 아르헨티나에 이르는 넓은 지역에 분포한다.[44] 이 지역은 푸에르토리코와 미국령 버진아일랜드를 포함하며, 기온이 따뜻하고 평균 습도가 높은 곳이다.[6] 북미에서는 멕시코 만과 남부 대서양 해안을 따라 넓게 분포한다.[6] 자연 서식지의 북쪽 한계는 버지니아주 노샘프턴 카운티이다.[12] 과거 식민지 시대 보고에 따르면 현재는 개체군이 존재하지 않는 메릴랜드주 남부에서도 발견되었다고 한다.[13][14][15]
하와이를 포함하여 유사한 환경 조건을 가진 전 세계 여러 지역으로 이식되었으며, 하와이에서는 19세기에 처음 정착했다.[22]
5. 문화와 민속
수염틸란드시아는 미국의 플로리다주, 조지아주, 사우스캐롤라이나주, 루이지애나주, 미시시피주, 노스캐롤라이나주, 버지니아주 남극단, 동부와 남부 텍사스, 앨라배마주와 같은 남부 아열대 지역에서 자라는 경향이 있어서, 남부 고딕 그림, 디프사우스 문화와 자주 연관된다.[64]
수염틸란드시아의 유래에 대한 이야기로 "지금까지 살았던 사람들 중에서 제일 심술궂은 사나이 The Meanest Man Who Ever Lived"가 있다. 어느 남자의 백발이 아주 길게 자라나 나무에 걸렸다는 내용이다.[21]
수염틸란드시아는 19세기에 하와이에 도입되었으며, 관상과 레이용으로 인기 있는 식물이 되었다.[22] 이 식물은 하와이에서는 하와이의 여신 펠레의 이름을 따서 "펠레의 털(Pele's hair)"이라고 흔히 부른다. "펠레의 털"은 섬유형 화산유리를 지칭할 때도 사용된다.
6. 인간과의 관계
수염틸란드시아는 건물 단열, 뿌리 덮개, 포장재, 매트리스 내용물, 섬유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어 왔다. 1900년대 초에는 차 시트 충전재로도 쓰였다.[66] 1939년에는 10,000톤 이상의 가공된 수염틸란드시아가 생산되었다.[67] 오늘날에는 예술이나 공예, 꽃정원에 사용할 깔짚, 또는 전통적인 벽 마감 물질인 부시야쥬에 첨가할 목적으로 소량 생산된다. 라틴 아메리카 일부 지역과 루이지애나주에서는 그리스도 성탄화에 사용된다.
건조된 수염틸란드시아는 미국 남서부 사막지대에서 증발식 냉각기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데, 이는 주택과 사무실을 에어컨보다 훨씬 저렴하게 냉방시킬 수 있게 한다. 펌프로 수염틸란드시아로 만든 패드 위에 물을 쏘면 선풍기가 뿜어내는 바람이 패드를 통과하여 건물로 흐르는데, 이때 패드의 물이 증발하면서 공기를 냉각시킨다.[68]
최근에는 대기 오염의 생물 지표로 이용되기도 한다.
6. 1. 대한민국에서의 재배
대한민국에서는 주로 공기 정화에 뛰어난 식물로 각광받고 있다. 성장 속도가 빨라서 관리만 잘하면 가을쯤이면 부쩍 불어난다. 그러나 대한민국 넷상에서는 정확한 정보를 찾기 쉽지 않아, 기르기 쉽지 않다. 수염틸란드시아는 확실하게 통풍을 시켜주지 않으면 말라죽기 쉬우며, 대부분의 틸란드시아처럼 물이 오랫동안 마르지 않으면 썩어버린다.[1]물을 줄 때는 분무기로 뿌려줄 수도 있지만, 물에 아예 한두 시간 정도 푹 담그는 것이 좋다. 중요한 것은 물을 준 이후에는 확실하게 말려야 한다는 것이다. 지나치게 뭉쳐있으면 내부에 공기가 통하지 않는 부분이 썩어버리므로, 공기가 통하도록 적당히 매만져주는 것이 좋다.[1]
대한민국에서는 코코넛이나 화분 같은 큼지막한 물체에 매달아 판매하는 경우가 많은데, 환기 불량과 햇빛 부족의 원인이 되어 상태가 악화되는 경우가 흔하므로 옷걸이나 철사 같은 가느다란 물체에 매다는 게 이상적이다.[1]
틸란드시아 우스네오이데스는 대한민국의 기후에 적합한 식물은 아니나, 추위에는 강하여 7도까지의 추위를 견디고, 하루를 넘지 않는다면 0도까지의 온도에서도 냉해를 입지 않는다.[1]
7. 품종
- 틸란드시아 '모리스 로부스타'[69]
- 틸란드시아 '문로스 필리포르미스'[70]
- 틸란드시아 '오딘스 게누이나'[71]
- 틸란드시아 '스패니쉬 골드'[72]
- 틸란드시아 '타이트 앤 컬리'[73]
- 틸란드시아 '네즐리' (''틸란드시아 우스네오이데스'' × ''말레몬티'')[74]
- 틸란드시아 '킴벌리' (''틸란드시아 우스네오이데스'' × ''레쿠르바타'')[75]
- 틸란드시아 '올드 맨스 골드' (''크로카타'' × ''우스네오이데스'')[76]
- ''틸란드시아'' '문로스 필리포르미스'는 매우 가늘고 녹색 잎을 가진 자연적인 변종으로 파라과이가 원산지이며, 미국에서는 ''틸란드시아 우스네오이데스'' El Finito|엘 피니토영어와 Silver Ghost|실버 고스트영어라는 상표로 알려져 있다.
- ''틸란드시아'' '오딘스 게누이나'는 녹색 또는 노란색이 아닌 갈색 꽃잎을 가진 자연적인 변종으로 과테말라와 멕시코가 원산지이다.
다음은 널리 인정받지는 않지만, 과거에 아종으로 분류되기도 했던 3가지 품종이다.[47]
품종명 | 원산지 | 특징 |
---|---|---|
f. filiformis | 아르헨티나 | 잎이 매우 가늘다. |
f. ferruginea | 아르헨티나 ~ 볼리비아 | 잎과 화경(꽃줄기)이 짧다. |
f. cretacea | 페루 ~ 아르헨티나 | 잎이 거의 새하얗다. |
8. 갤러리
참조
[1]
간행물
"''Tillandsia usneoides''"
2019
[2]
GRIN
Tillandsia usneoides
2009-12-08
[3]
서적
Tropical Plants of Costa Rica
Cornell Univ. Press
2007
[4]
웹사이트
Kew World Checklist of Selected Plant Families, ''Tillandsia usneoides''
http://apps.kew.org/[...]
[5]
간행물
Tillandsia usneoides
[6]
BONAP
[7]
웹사이트
Tillandsia usneoides
http://www.floridata[...]
[8]
서적
Tropical Plants of the World
Sterling Pub. Co. Inc.
2002
[9]
웹사이트
Sustainability-Spanish Moss
http://sfyl.ifas.ufl[...]
IFAS, UF
2020-05-06
[10]
GRIN
Tillandsia
[11]
서적
Gardener's Latin: A Lexicon
https://books.google[...]
Algonquin Books
2019-04-20
[12]
뉴스
Virginia scientists search for northernmost realm of Spanish moss
http://www.timesdisp[...]
2017-10-26
[13]
웹사이트
Plants profile for Tillandsia usneoides
https://plants.usda.[...]
USDA
[14]
웹사이트
Rare, Threatened, and Endangered Plants of Maryland
http://dnr.maryland.[...]
[15]
서적
Herbaceous plants of Maryland
Port City Press, Inc.
[16]
논문
CAM in Tillandsia usneoides: Studies on the pathway of carbon and the dependency of CO2-exchange on light intensity, temperature and water content of the plant (in German)
1973
[17]
논문
Physiological responses of the CAM epiphyte Tillandsia usneoides L. (Bromeliaceae) to variations in light and water supply
2003
[18]
논문
Mineral Cycling and the Niche of Spanish Moss, Tillandsia usneoides L.
1977
[19]
웹사이트
Flora Fact: Spanish Moss Serves as Nature's Draperies
http://www.tpwmagazi[...]
2017-10-26
[20]
논문
Spanish Moss, the Unfinished Chigger Story
2010
[21]
웹사이트
The Meanest Man Who Ever Lived (An American Folktale)
http://www.uexpress.[...]
Uexpress
2017-05-28
[22]
웹사이트
Nā Lei o Hawai'i – Types of Lei
http://www.kaaheleha[...]
[23]
잡지
Hair From Trees....Spanish-moss is new upholstering material
https://books.google[...]
1937-06
[24]
웹사이트
Adams, Dennis. Spanish Moss: Its Nature, History and Uses. Beaufort County Library, SC.
http://www.beaufortc[...]
[25]
문서
The Economics of the Evaporative Cooler Industry in the Southwestern United States
Stanford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Business
[26]
웹사이트
Bromeliad Cultivar Registry: Tillandsia 'Maurice's Robusta'
http://registry.bsi.[...]
[27]
웹사이트
Bromeliad Cultivar Registry: Tillandsia 'Munro's Filiformis'
http://registry.bsi.[...]
[28]
웹사이트
Bromeliad Cultivar Registry: Tillandsia 'Odin's Genuina'
http://registry.bsi.[...]
[29]
웹사이트
Bromeliad Cultivar Registry: Tillandsia 'Spanish Gold'
http://registry.bsi.[...]
[30]
웹사이트
Bromeliad Cultivar Registry: Tillandsia 'Tight and Curly'
http://registry.bsi.[...]
[31]
웹사이트
Bromeliad Cultivar Registry: Tillandsia 'Nezley'
http://registry.bsi.[...]
[32]
웹사이트
Bromeliad Cultivar Registry: Tillandsia 'Kimberly'
http://registry.bsi.[...]
[33]
웹사이트
Bromeliad Cultivar Registry: Tillandsia 'Old Man's Gold'
http://registry.bsi.[...]
[34]
문서
홀스트
1997
[35]
문서
小山
1978
[36]
서적
Billings
1904
[37]
서적
園芸植物大事典
1994
[38]
웹사이트
人気の観葉植物おすすめ5選。初心者にも育てやすい種類は?
https://www.huffingt[...]
2020-01-20
[39]
웹사이트
【観葉植物】注目のエアプランツ!育て方&オススメ種類も紹介 {{!}} LIMO {{!}} くらしとお金の経済メディア
https://limo.media/a[...]
2022-08-10
[40]
서적
園芸植物大事典
1994
[41]
서적
浅山他
1977
[42]
서적
Billings
1904
[43]
문서
Plannt & Fungi At Kew
[44]
서적
園芸植物大事典
1994
[45]
서적
Billings
1904
[46]
서적
Callaway et al
2001
[47]
서적
園芸植物大事典
1994
[48]
서적
日本インドア・グリーン協会編
2009
[49]
서적
堀田他編
1989
[50]
GRIN
Tillandsia usneoides
2009-12-08
[51]
웹인용
Kew World Checklist of Selected Plant Families, ''Tillandsia usneoides''
http://apps.kew.org/[...]
2018-09-29
[52]
eFloras
Tillandsia usneoides
[53]
BONAP
[54]
GRIN
Tillandsia
[55]
뉴스
Virginia scientists search for northernmost realm of Spanish moss
http://www.timesdisp[...]
2017-10-26
[56]
문서
John Ray 1688
[57]
웹인용
Plants profile for Tillandsia usneoides
https://plants.usda.[...]
USDA
[58]
웹인용
Rare, Threatened, and Endangered Plants of Maryland
http://dnr.maryland.[...]
[59]
서적
Herbaceous plants of Maryland
Port City Press, Inc.
[60]
웹인용
Tillandsia usneoides
http://www.floridata[...]
[61]
저널
Mineral Cycling and the Niche of Spanish Moss, Tillandsia usneoides L.
1977
[62]
웹인용
Flora Fact:{{!}} Spanish Moss Serves as Nature’s Draperies
http://www.tpwmagazi[...]
2017-10-26
[63]
저널
Spanish Moss, the Unfinished Chigger Story
2010
[64]
웹인용
The Meanest Man Who Ever Lived (An American Folktale)
http://www.uexpress.[...]
Uexpress
2017-05-28
[65]
웹인용
Nā Lei o Hawai`i - Types of Lei
http://www.kaaheleha[...]
[66]
잡지
Hair From Trees....Spanish-moss is new upholstering material
https://books.google[...]
1937-06
[67]
웹인용
Adams, Dennis. Spanish Moss: Its Nature, History and Uses. Beaufort County Library, SC.
http://www.beaufortc[...]
2018-09-29
[68]
서적
The Economics of the Evaporative Cooler Industry in the Southwestern United States
Stanford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Business
1955
[69]
Bromeliad
Bromeliad Cultivar Registry: Tillandsia 'Maurice's Robusta'
http://registry.bsi.[...]
[70]
Bromeliad
Bromeliad Cultivar Registry: Tillandsia 'Munro's Filiformis'
http://registry.bsi.[...]
[71]
웹사이트
Bromeliad Cultivar Registry: Tillandsia 'Odin's Genuina'
http://registry.bsi.[...]
[72]
웹사이트
Bromeliad Cultivar Registry: Tillandsia 'Spanish Gold'
http://registry.bsi.[...]
[73]
웹사이트
Bromeliad Cultivar Registry: Tillandsia 'Tight and Curly'
http://registry.bsi.[...]
[74]
웹사이트
Bromeliad Cultivar Registry: Tillandsia 'Nezley'
http://registry.bsi.[...]
[75]
웹사이트
Bromeliad Cultivar Registry: Tillandsia 'Kimberly'
http://registry.bsi.[...]
[76]
웹사이트
Bromeliad Cultivar Registry: Tillandsia 'Old Man's Gold'
http://registry.bs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