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브라 전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팀브라 전투는 기원전 547년경 페르시아 제국의 키루스 2세와 리디아 왕국의 크로이소스 간에 벌어진 전투이다. 이 전투는 페르시아의 메디아 왕국 정복 이후 리디아의 세력 확장에 대한 위협으로 인해 발생했다. 키루스는 196,000명 규모의 군대를 이끌고, 크로이소스는 420,000명의 병력을 동원했지만, 팀브라 전투에서 페르시아가 승리했다. 이 전투의 결과로 리디아 왕국은 멸망하고 페르시아 제국에 병합되었으며, 소아시아 지역에 대한 페르시아의 영향력이 확대되었다. 이는 그리스와 페르시아 간의 갈등을 심화시켜 페르시아 전쟁으로 이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6세기 분쟁 - 예루살렘 공방전 (기원전 597년)
기원전 597년, 느부갓네살 2세가 유다 왕국을 침공하여 예루살렘을 함락시킨 예루살렘 공방전은 여호야김의 친이집트 정책에 대한 반발로, 여호야김 왕의 사망과 여호야긴 왕의 옹립, 그리고 많은 유대인들의 바빌론 유수를 야기했다. - 기원전 6세기 분쟁 - 필 전투
필 전투는 기원전 597년 초나라 장왕이 진나라를 격파한 전투로, 초나라의 정나라 공격에서 시작되어 진나라 내부 불협화음과 장왕의 결단으로 초나라가 승리하며 초나라가 패권을 장악하고 장왕이 춘추오패로 인정받는 계기가 되었다.
팀브라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시기 | 기원전 547년 12월 |
장소 | 리디아, 테ュンブラ (현재의 터키, 하나이 테페 회위위) |
원인 | 아케메네스 왕조의 리디아 침공 |
결과 | 아케메네스 왕조의 승리 |
영토 변화 | 아나톨리아가 아케메네스 왕조에 합병됨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리디아 |
교전국 1 용병 | 아라비아인 용병 신바빌로니아 용병 이집트 용병 |
교전국 2 | 아케메네스 왕조 |
지휘관 | |
교전국 1 지휘관 | 크로이소스 (리디아 왕) 아르타카마스 (프리기아) 아리바에우스 (카파도키아) 아라그두스 (아라비아) 가바에두스 (헬레스폰토스) 기타 알려지지 않은 인물들 |
교전국 2 지휘관 | 키루스 2세 하르파고스 아브라다타스 (Abradatas) 아르사메스 (Arsames) 아르타바조스 1세 (Artabazos I of Phrygia) 메가비조스 (Megabyzus) 고브뤼아스 1세 (Gobryas I.) |
병력 규모 | |
교전국 1 병력 | 420,000명 (크세노폰) |
교전국 1 전차 | 300대 |
교전국 1 추정 병력 | 105,000명 (현대 추정) |
교전국 2 병력 | 196,000명 (크세노폰) |
교전국 2 추정 병력 | 20,000 ~ 50,000명 (현대 추정) |
교전국 2 기병 | 낙타 기병 1,300명 |
교전국 2 전차 | 700대 (300대 동원) |
교전국 2 공성 무기 | 공성탑 5 ~ 6대 (크세노폰) |
사상자 | |
교전국 1 사상자 | 막대함 |
교전국 2 사상자 | 경미함 |
2. 배경
기원전 550년, 키루스 2세는 메디아 왕국을 정복하여 인접한 리디아 왕국과의 갈등을 야기했다.[3] 크로이소스는 키루스보다 두 배 이상 많은 병력을 팀브라에서 보유하고 있었으나, 키루스는 리디아 왕을 전투에 대비하지 못한 상태에서 공격하려 했다. 리디아군은 키루스에 맞서 진군했고, 동맹군이 도착하기 전에 예비 병력을 무장시켰지만, 동맹군은 오지 않았다. 크세노폰에 따르면, 키루스는 196,000명,[4] [5] 크로이소스는 420,000명의 병력을 보유했다고 한다.[6]
키루스 2세가 기원전 550년에 메디아 왕국을 정복하면서 페르시아 제국이 급격하게 성장하였다.[3] 이러한 페르시아의 세력 확장은 리디아에 큰 위협이 되었다. 리디아의 왕 크로이소스는 페르시아의 확장을 저지하고 소아시아 지역의 패권을 유지하고자 하였다. 크로이소스는 스파르타, 이집트 등의 동맹국들의 지원을 기대하며 페르시아에 대한 선제공격을 감행했으나, 동맹군은 제때 도착하지 못했다.[15]
기원전 547년, 리디아의 수도 사르디스 인근 팀브라 평원에서 키루스 2세가 이끄는 페르시아 군과 크로이소스가 이끄는 리디아 군이 격돌했다. 키루스 2세는 병력 수에서 열세였지만, 뛰어난 전략과 낙타 부대를 활용하여 리디아 기병대를 무력화시키는 등 전술적 우위를 바탕으로 전투에서 승리했다.[8]
3. 원인
4. 전투
헤로도토스와 크세노폰은 각기 다른 병력 규모를 기록하고 있지만, 키루스 2세가 수적으로 열세였다는 점에는 일치한다. 크세노폰에 따르면 키루스 2세의 군대는 총 196,000명 (페르시아인 31,000 ~70,000명)이었고, 크로이소스의 군대는 총 420,000명 (바빌로니아인 60,000명, 리디아인, 프리기아인, 카파도키아인, 헬레스폰트인 300,000명, 기병 60,000명, 이집트인 120,000명 등)이었다.
전투 초반, 리디아 군은 페르시아 군의 새로운 진형에 혼란을 겪으며 무너졌다. 리디아 기병대는 큰 피해를 입고 후퇴했고, 크로이소스와 일부 보병은 사르디스로 퇴각했다.
4. 1. 전술
키루스 2세는 측면을 뒤로 물린 사각형 대형으로 병력을 배치하여 리디아 군의 포위 공격에 대비했다.[7] 측면은 전차, 기병, 보병으로 보호되었다. 키루스 2세는 짐을 실은 낙타를 전면에 배치하여 리디아 기병대의 돌격을 저지했다.[8] 낙타의 냄새는 리디아 말들을 혼란시켰고, 페르시아 궁병들이 리디아군에게 사격하는 동안 기병 돌격을 흩뜨렸다.[8]
키루스 2세가 예상한 대로 리디아 군 양 날개는 페르시아 군의 새로운 대형을 포위하기 위해 안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리디아 측면이 돌면서 회전하는 날개 부분에 틈이 생겼다. 사각형 대형 안에 있던 페르시아 궁병과 이동식 탑은 리디아 군에게 효과적인 상공 공격을 가하여 혼란을 더욱 심화시켰다. 키루스 2세는 공격 명령을 내렸고, 그의 측면 부대는 혼란에 빠진 크로이소스의 날개 부대를 공격했다.[15]
헤로도토스는 이 전투에 대해 기록했지만, 병력 규모는 언급하지 않았다. 그러나 전투 진행과 결과에 대한 그의 설명은 크세노폰의 기록과 일치한다.
5. 여파
팀브라 전투의 패배로 리디아는 멸망하고 페르시아 제국에 병합되었다. 리디아의 남은 군사는 에페수스와 사르디스에 집결하였으나, 짧은 공성전 끝에 함락되었다.[9] 사르디스는 14일 만에 함락되었는데, 이는 리디아인들이 지형이 가파르다는 이유로 성벽 일부를 제대로 방어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19]
크로이소스는 포로로 잡혔고, 이오니아와 아이올리스의 그리스 도시들을 포함한 그의 영토는 키루스의 제국에 편입되었다.[9] 그리스 작가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키루스는 크로이소스를 잘 대접하였다고 하지만, 나보니두스 연대기는 키루스가 왕을 격파하고 죽였다고 기록하여 내용이 상충된다. 다만, 나보니두스 연대기에서 언급된 왕이 리디아의 왕을 뜻하는지는 불분명하다.[12]
이러한 결과로 그리스와 페르시아는 갈등을 겪게 되었고, 이는 키루스의 후계자들의 시대에 페르시아 전쟁으로 절정에 달했다. 키루스는 이오니아와 아이올리스를 획득했을 뿐만 아니라, 리디아를 위해 싸웠던 이집트 병사들이 자발적으로 항복하여 그의 군대에 합류하도록 했다.[10]
6. 역사적 의의
팀브라 전투 이후, 이오니아와 아이올리스를 포함한 리디아의 모든 영토는 페르시아 제국에 병합되었다.[1] 남은 군대는 에페수스와 사르디스에 집결하였으나, 짧은 공성전 끝에 함락되었다.[1] 그리스 작가 헤로도토스는 키루스가 크로이소스를 잘 대접하였다고 기록했지만, 나보니두스 연대기는 이와 상충되는 내용을 담고 있다.[1] 다만, 나보니두스 연대기의 원문이 리디아의 왕이나 왕자를 지칭하는 것인지는 불분명하다.[1]
참조
[1]
웹사이트
Battle of Thymbra
https://www.worldhis[...]
2023-06-12
[2]
서적
100 Decisive Battles: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3]
서적
Battle: a Visual Journey Through 5000 Years of Combat
DK Publishing London
2005
[4]
문서
1830
[5]
문서
2005
[6]
문서
1999
[7]
서적
Battle: a Visual Journey Through 5000 Years of Combat
DK Publishing London
2005
[8]
서적
Battle: a Visual Journey Through 5000 Years of Combat
DK Publishing London
2005
[9]
문서
The Histories
Penguin Books
1983
[10]
간행물
The Millennial Harbinger, Vol. I, No. IX
1830
[11]
문서
Ibid.
[12]
웹사이트
The End of Lydia: 547?
https://www.livius.o[...]
Livius.org
2019-03-02
[13]
서적
100 Decisive Battles: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14]
논문
Kroisos
1967
[15]
문서
2005
[16]
문서
1830
[17]
문서
2005
[18]
문서
1999
[19]
문서
The Histories
Penguin Books
1983
[20]
문서
1830
[21]
문서
Ibid.
[22]
웹사이트
The End of Lydia: 547?
https://www.livius.o[...]
Livius.org
2019-03-02
[23]
문서
[24]
문서
[25]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