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파인먼-카츠 공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인만-카츠 공식은 편미분 방정식을 조건부 기대값으로 표현하는 방법으로, 확률 과정과 포텐셜의 개념을 활용한다. 이 공식은 블랙-숄즈 방정식의 해를 구하거나, 옵션 가격을 계산하는 데 사용되며, 양자 역학, 특히 슈뢰딩거 방정식을 푸는 데에도 활용된다. 리처드 파인만과 마레크 카츠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금융 분야, 특히 옵션 가격 결정에 널리 응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확률미적분학 - 이토 적분
    이토 적분은 확률 공간 위에서 정의되는 기초 확률 과정들의 극한으로, 위너 확률 과정에 대한 적분이며 확률 미적분학의 핵심 도구이다.
  • 확률미적분학 - 기르사노프 정리
    기르사노프 정리는 확률 과정의 측도를 변환하여 확률 미분 방정식을 분석하는 데 사용되는 확률론의 중요한 정리로서, 마르코프 과정 연구에 핵심적 역할을 하며 금융 공학, 물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1960년 이고리 블라디미로비치 기르사노프에 의해 발표되었다.
  • 리처드 파인만 - 화물숭배과학
    화물 숭배 과학은 제2차 세계 대전 후 남태평양 원주민들이 미군 비행장 모방 의식을 통해 물자 유입을 기대한 현상에서 유래되어, 과학의 근본적 이해 없이 겉모습만 따라하는 행태를 비판적으로 지칭하는 용어이다.
  • 리처드 파인만 - 베테-파인만 방정식
    베테-파인만 방정식은 구의 반지름, 성장률, 그램당 내부 에너지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방정식으로, 규모에 따른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비례 계수, 상수, 기타 함수들이 포함된 상세 형태도 존재한다.
  • 수학 정리 - 마스터 정리
    마스터 정리는 분할 정복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 분석 도구로서, 점화식을 세 가지 경우로 나누어 재귀 알고리즘의 효율성을 파악하고, 다양한 정렬 및 일반 알고리즘 분석에 활용되지만, 특정 조건에서는 적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수학 정리 - 베이즈 정리
    베이즈 정리는 조건부 확률을 계산하는 방법으로, 사건 A가 일어났을 때 사건 B가 일어날 확률과 사건 B가 일어났을 때 사건 A가 일어날 확률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며 사전 확률과 가능도를 이용하여 사후 확률을 계산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파인먼-카츠 공식
개요
분야수학, 확률론, 금융수학
유형공식
관련 항목확률론
확률 과정
파생 금융 상품
열 방정식
설명
내용파인먼-카츠 공식은 특정 편미분 방정식의 해를 확률 과정의 기댓값으로 표현하는 공식이다. 다시 말해, 열 방정식과 같은 편미분 방정식을 풀기 위해 몬테카를로 방법을 제공한다.
역사리처드 파인만과 마크 카츠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카츠는 1949년에 열 방정식의 해를 브라운 운동의 기대값으로 표현하는 것을 증명했다. 파인만은 경로 적분과 양자역학 사이의 연관성을 발견했다.
공식
기본 형태다음과 같은 형태의 편미분 방정식을 고려한다.
조건u(x, T) = f(x)
ut(x, t) + μ(x, t) ux(x, t) + (1/2) σ^2(x, t) uxx(x, t) - V(x, t) u(x, t) + h(x, t) = 0
u(x, t) = E[∫(t→T) h(X(s), s) exp(-∫(t→s) V(X(τ), τ) dτ) ds + f(X(T)) exp(-∫(t→T) V(X(τ), τ) dτ)]
변수 설명E는 기댓값 연산자이다.
X는 다음과 같은 확률 미분 방정식을 따른다. dX = μ(X, t) dt + σ(X, t) dW
W는 표준 브라운 운동 (위너 프로세스)이다.

2. 정의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 확률 공간 \Omega
  • 유클리드 공간 \mathbb R^n. 그 벡터 지표를 (-)^i로 나타낸다 (i\in\{1,2,\dotsc,n\}).
  • \Omega 위의 위너 확률 과정 W^j\colon\Omega\times[0,T] \to \mathbb R^n
  • W에 대한 이토 확률 과정 \mathrm dX^i(t) = \mu^i(X(t),t)\,\mathrm dt + \sigma^i{}_j(X(t),t)\,\mathrm dW^j(t)
  • 보렐 가측 함수 f\colon \mathbb R^n \to \mathbb R
  • 보렐 가측 함수 h\colon \mathbb R^n \times[0,T] \to \mathbb R
  • 보렐 가측 함수 V\colon \mathbb R^n \times[0,T] \to \mathbb R. 이는 퍼텐셜에 해당한다.


이제, 다음과 같은 확률 과정을 정의하자.

:G \colon \Omega\times[0,T] \to \mathbb R

:G(t) = f(X(T))\exp\left(-\int_t^TV(X(s),s)\,\mathrm ds\right) + \int_t^T\mathrm ds\,h(X(s),s)\exp\left(

  • \int_t^s\mathrm dr\,V(X(r),r)

\right)

특히,

:G(T) = f(X(T))

이다.

이제, 그 조건부 기댓값을 정의하자.

:g(x,t) = \mathbb E\left[G(t)|X(t) = x\right]

이 함수가 유계 함수라고 하자. 특히,

:g(x,T) = \mathbb E[f(X(T))|X(T) = x] = f(x)

이다.

그렇다면, 이는 다음 2차 선형 비동차 편미분 방정식을 만족시킨다.

:\left(\frac\partial{\partial t}+\sum_j\mu^j(x,t)\frac\partial{\partial x^j} + \frac12\sum_{i,j,k}\sigma^i{}_k(x,t)\sigma^j{}_k(x,t)\frac{\partial^2}{\partial x^i\partial x^j}-V(x,t)\right)g(x,t) + h(x,t) = 0

아인슈타인 표기법으로 합 기호를 생략하면, 이는 다음과 같다.

:\left(\frac\partial{\partial t}+\mu^j(x,t)\partial_j + \frac12\delta^{kl}\sigma^i{}_k(x,t)\sigma^j{}_l(x,t)\partial_i\partial_j-V(x,t)\right)g(x,t) + h(x,t) = 0

만약 h = V = 0인 경우 G는 시간에 의존하지 않는 확률 과정, 즉 확률 변수가 된다.

:G_t = f(X(T))

:g(x,t) = \mathbb E\left[f(X(T))|X(t) = x\right]

다음 편미분 방정식을 고려해 보자.



\frac{\partial}{\partial t}u(x,t) + \mu(x,t) \frac{\partial}{\partial x}u(x,t) + \tfrac{1}{2} \sigma^2(x,t) \frac{\partial^2}{\partial x^2}u(x,t) -V(x,t) u(x,t) + f(x,t) = 0,



모든 x \in \mathbb{R}t \in [0, T]에 대해 정의되며, 다음과 같은 종단 조건을 따른다.



u(x,T)=\psi(x),



여기서 \mu,\sigma,\psi,V,f는 알려진 함수이고, T는 매개변수이며, u:\mathbb{R} \times [0,T] \to \mathbb{R}는 미지수이다. 그러면 파인만-카츠 공식은 u(x,t)를 조건부 기대값으로 표현한다.

:

u(x,t) = E^Q\left[e^{-\int_t^T V(X_\tau,\tau)\, \mathrm{d}\tau}\psi(X_T) + \int_t^T e^{-\int_t^\tau V(X_s,s)\, \mathrm{d}s}f(X_\tau,\tau)\,\mathrm{d}\tau \,\Bigg|\, X_t=x \right]



여기서 X는 다음을 만족하는 이토 과정이다.



\mathrm{d}X_t = \mu(X_t,t)\,\mathrm{d}t + \sigma(X_t,t)\,\mathrm{d} W^Q_t,



그리고 W_t^{Q}Q 하에서의 비너 과정 (또는 브라운 운동)이다.

2. 1. 리만 다양체의 경우

리만 다양체의 경우, 다음과 같은 파인먼-카츠 공식이 존재한다.[27]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 n차원 연결 리만 다양체 (M,g). 그 벡터 지표를 (-)^i로 나타낸다 (i\in\{1,2,\dotsc,n\}).
  • x_0 \in M (초기 조건).
  • 양의 실수 T > 0 (최종 시각).


그렇다면, 초기 조건이 x_0연속 함수로 구성된 바나흐 공간

:\mathcal C_{x_0}^0([0,T],M) = \{f\in\mathcal C_0^0([0,T],M)\colon f(0) = x_0 \}

을 생각하자. 그 속에 소볼레프 공간인 캐머런-마틴 공간

:\operatorname W^{1,2}_{x_0}([0,T],M,g) =

\left\{

f\in\mathcal C^0_{x_0}([0,T],M)

\colon

\int_0^T g_{f(t)}(\dot f(t), \dot f(t)) \,\mathrm dt < \infty

\right\}

을 부여하면, 이는 위너 공간을 이룬다. 즉, \mathcal C_{x_0}^0([0,T],M) 위에, 열핵으로 유도되는 위너 확률 측도 \mathrm dW_{x_0}가 존재한다.

또한, 임의의 x_T \in M (최종 조건)에 대하여, 마찬가지로

:\mathcal C_{x_0,x_T}^0([0,T],M) = \{f\in\mathcal C_0^0([0,T],M)\colon f(0) = x_0, f(T) = x_T \}

를 생각하자. 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캐머런-마틴 공간

:\operatorname W^{1,2}_{x_0,x_T}([0,T],M,g) = \operatorname W^{1,2}_{x_0}([0,T],M,g) \cap \operatorname C^0{x_0,x_T}([0,T],M)

을 통하여 위너 공간을 이루며, 이는 \mathcal C_{x_0}^0([0,T],M) 위의 확률 측도의 조건부 확률이다.

이제,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 V \in \operatorname L^\infty(M;\mathbb R) (퍼텐셜 함수).
  • \psi_0 \in \operatorname L^2(M;\mathbb R) (초기 조건).


그렇다면, 실수 힐베르트 공간

:\mathcal H = \operatorname L^2(M;\mathbb R)

위에 자기 수반 작용소인 해밀토니언 연산자

:H = \nabla + V = -g^{ij}\nabla_i \nabla_j + V

를 정의할 수 있다. (라플라스-벨트라미 연산자 \nabla는 음이 아닌 스펙트럼을 가지므로, \mathcal H 전체로 유일한 프리드릭스 확장(Friedrichs extension영어)을 갖는다.)

이제, 이에 대한 열 방정식

:\partial_t \psi(t,x) = - H \psi(t,x)

:\psi(0,x) = \psi_0(x)

을 생각할 수 있다. (해석학적 이유로 인하여, 복소수 힐베르트 공간 대신 실수 힐베르트 공간, 슈뢰딩거 방정식 대신 열 방정식을 사용하였다. 물리학에서 이는 시간의 윅 회전에 해당한다.) 힐베르트 공간의 이론으로 인하여, 이는 항상 유일한 해

:\psi(t,x) = \exp(-tH) \psi_0(x)

를 갖는다. 브라-켓 표기법으로 이는

:|\psi\rangle(t) = \exp(-tH) |\psi_0\rangle

:\langle x|\psi\rangle(t) = \langle x|\exp(-tH)|\psi_0\rangle

이다.

'''파인먼-카츠 공식'''에 따르면, 이 방정식의 해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psi(T,x_0) = \int_{\mathcal C^0_{x_0}([0,T],M)} \psi_0(x_0) \exp

\left(

  • \int_0^T V(f(t))\,\mathrm dt

\right)\,\mathrm dW_{x_0}(f)

3. 증명

다음과 같은 확률 과정 G(t)를 정의한다.

:G(t) = f(X(T))\exp\left(-\int_t^TV(X(s),s)\,\mathrm ds\right) + \int_t^T\mathrm ds\,h(X(s),s)\exp\left(


  • \int_t^s\mathrm dr\,V(X(r),r)

\right)

여기서 f, h, V는 보렐 가측 함수이며, X(t)이토 확률 과정이다. G(t)의 조건부 기댓값 g(x,t) = \mathbb E\left[G(t)|X(t) = x\right]는 다음 2차 선형 비동차 편미분 방정식을 만족시킨다.

:\left(\frac\partial{\partial t}+\mu^j(x,t)\partial_j + \frac12\delta^{kl}\sigma^i{}_k(x,t)\sigma^j{}_l(x,t)\partial_i\partial_j-V(x,t)\right)g(x,t) + h(x,t) = 0

이 방정식은 파인만-카츠 공식의 핵심적인 부분이다.

h = V = 0이고 n=1인 경우를 생각하면, g(X(t),t)마팅게일이 된다. 이토 확률 과정 X(u)에 대한 확률 미분 방정식의 해를 X(t)라고 하고, g(X(t), t)마팅게일이라는 성질을 이용하면, \mathrm dg(X(t),t)에서 시간 t에 대한 변화율을 나타내는 항인 \mathrm dt는 0이 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다음 편미분 방정식을 얻을 수 있다.

:\frac\partial{\partial t}g(x,t)+\mu\frac\partial{\partial x}g(x,t)+\frac12\sigma^2\frac{\partial^2}{\partial x^2}g(x,t)=0

이 방정식은 h = V = 0인 경우의 파인만-카츠 공식이다.

해가 존재한다면 위 형태를 가져야 한다는 것을 보이는 증명은 다음과 같다.

u(x,t)를 위 편미분방정식의 해라고 하고, 이토 과정에 대한 곱 규칙을 활용하여, 다음 식을 정의한다.

:Y(s) = \exp\left(-\int_t^s V(X_\tau,\tau)\, d\tau\right)u(X_s,s) +

\int_t^s \exp\left(-\int_t^r V(X_\tau,\tau)\, d\tau\right)

f(X_r,r) \, dr

위 식에 이토 과정에 대한 곱 규칙을 적용하면, dY_s를 구할 수 있다. 이 때, 첫 번째 항은 괄호 안에 위 편미분 방정식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0이 된다.

최종적으로 다음 식을 얻는다.

: u(x,t) = E \left [\exp\left(-\int_t^T V(X_\tau,\tau)\, d\tau\right) \psi(X_T) + \int_t^T \exp\left(-\int_t^s V(X_\tau,\tau)\,d\tau\right) f(X_s,s)\,ds \,\Bigg|\, X_t=x \right ]

일반적인 경우의 증명은 이토 공식과 확률 적분의 국소 마팅게일성을 적용하여 얻을 수 있다.[3]

4. 공식 (파인만-카츠 공식)

다음 편미분 방정식을 고려해 보자.

:\frac{\partial}{\partial t}u(x,t) + \mu(x,t) \frac{\partial}{\partial x}u(x,t) + \tfrac{1}{2} \sigma^2(x,t) \frac{\partial^2}{\partial x^2}u(x,t) -V(x,t) u(x,t) + f(x,t) = 0,

모든 x \in \mathbb{R}t \in [0, T]에 대해 정의되며, 다음과 같은 종단 조건을 따른다.

:u(x,T)=\psi(x),

여기서 \mu,\sigma,\psi,V,f는 알려진 함수이고, T는 매개변수이며, u:\mathbb{R} \times [0,T] \to \mathbb{R}는 미지수이다.

그러면 파인만-카츠 공식은 u(x,t)를 조건부 기대값으로 표현하며, 이는 확률 측도 Q 하에서 다음과 같다.

:u(x,t) = E^Q\left[e^{-\int_t^T V(X_\tau,\tau)\, \mathrm{d}\tau}\psi(X_T) + \int_t^T e^{-\int_t^\tau V(X_s,s)\, \mathrm{d}s}f(X_\tau,\tau)\,\mathrm{d}\tau \,\Bigg|\, X_t=x \right]

여기서 X는 다음을 만족하는 이토 과정이다.

:\mathrm{d}X_t = \mu(X_t,t)\,\mathrm{d}t + \sigma(X_t,t)\,\mathrm{d} W^Q_t,

그리고 W_t^{Q}Q 하에서의 비너 과정 (또는 브라운 운동)이다.

콜모고로프 역방향 방정식의 코시 문제는 다음과 같다.

:\begin{align}\;-\frac{\partial v}{\partial t} + k(t,x) v

= \frac{1}{2}\nabla^2 v + g(t,x),\quad t\in[0,T],

\quad x\in\mathbb{R}^d,\quad v(T,x) = f(x),

\end{align}\;

이 방정식의 해 \;v(t,x)\;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v(t,x)

=E^x\left[f(W_{T-t}) \exp\left(-\int^{T-t}_0 k(W_s) ds\right)

+\int^{T-t}_0 g(t+\theta, W_\theta)\exp\left(-\int^\theta_0 k(W_s) ds\right)

d\theta\right],\quad t\in[0,T],\quad x\in\mathbb{R}^d,\;

\;v(t,x)\;는 유일하다.[24]

단, \;E^x\;는 초기 시각 \;t=0\;에서

\;\mathbf{x}\;에서 출발하는 브라운 운동에 관한 기댓값을 나타낸다.[25]

5. 확률 과정과 포텐셜

확률 과정의 관점에서 보면, 포텐셜은 시각 t에서 k(\mathbf{x},t)dt의 비율로 운동하는 입자를 확률적으로 소멸시키는 작용(killing영어)으로 해석할 수 있다. 포텐셜이 국소적으로 음수가 되는 경우에는, 음의 최솟값만큼 올리는 방식으로 해석할 수 있다.[1]

6. 역사

리처드 파인먼과 마레크 카츠(Marek Kac|마레크 카츠pl, Mark Kac|마크 카츠영어, 1914〜1984)의 이름을 땄다.[28]

마레크 카츠


파인먼은 이 공식을 양자역학의 경로 적분을 정의하기 위하여 유도하였으나, 엄밀하게 증명하지 않았다. 마레크 카츠가 1949년에 이 공식의 엄밀한 증명을 출판하였다.[28]

파인만이 경로 적분을 이용한 양자화를 발견한 것이 이 공식 연구의 발단이다.[9] 카츠는 슈뢰딩거 방정식이 아닌 확산 방정식[10]을 고찰함으로써, 확률 과정으로 수학적으로 엄밀한 정식화를 수행했다.[11] 파인만-카츠 공식은 확산 방정식에 대한 공식이라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실시간에서의 슈뢰딩거 방정식에 대한 해까지 포함하여 파인만-카츠 공식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확산 방정식에 대해서만 이렇게 부르는 것이 엄밀하게는 옳다. 실시간에서의 슈뢰딩거 방정식에 대해서는, 측도론을 기초로 하여 해의 공식을 구성할 수 없다.[12][13] 실시간에서의 경로 적분을 허시간 이론에서 파인만-카츠 공식을 적용한 후 시간 매개변수에 관한 해석적 접속을 통해 도출하려는 방법론은, 일반적으로 적용 가능한 수학적 엄밀성을 가진 접근 방식인지 여부는 알려져 있지 않다. 현재로서는 시간을 무한히 분할하고, 분점마다 적분하고, 그 후에 극한값을 취함으로써 경로 적분이 정의된다고 생각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적용 가능한 접근 방식이다.

7. 응용

파인만-카츠 공식은 여러 분야에 응용된다.

양자 화학에서 확산 몬테카를로 방법을 사용하여 슈뢰딩거 방정식을 푸는 데 사용된다.[8]

7. 1. 금융

수량적 금융에서 파인만-카츠 공식은 블랙-숄즈 방정식의 해를 효율적으로 계산하여 주식에 대한 옵션 가격과 무이표 채권 가격을 아핀 만기 구조 모형에서 계산하는 데 사용된다.[7]

예를 들어, 기하 브라운 운동을 하는 주가 S_t를 고려해 보자.

:dS_t = (r_t dt + \sigma_t dW_t) S_t

여기서 r_t는 무위험 이자율이고, \sigma_t는 변동성이다. 이토의 보조정리에 의해,

:d\ln S_t = \left(r_t - \tfrac 1 2 \sigma_t^2\right)dt + \sigma_t \, dW_t.

이제 행사가 K이고, 시간 T에 만료되는 S_t에 대한 유럽형 콜 옵션을 생각해 보자. 만료 시, 그 가치는 (X_T - K)^+.이다. 그러면 시간 t와 주가 x에서 옵션의 위험 중립 가격은 다음과 같다.

:u(x, t) = E\left[e^{-\int_t^T r_s ds} (S_T - K)^+ | \ln S_t = \ln x \right].

파인만-카츠 공식에 대입하면 블랙-숄즈 방정식을 얻는다.

:\begin{cases}

\partial_t u + Au - r_t u = 0 \\

u(x, T) = (x-K)^+

\end{cases}

여기서

:A = (r_t -\sigma_t^2/2)\partial_{\ln x} + \frac 12 \sigma_t^2 \partial_{\ln x}^2 = r_t x\partial_x + \frac 1 2 \sigma_t^2 x^2 \partial_{x}^2.

더 일반적으로, 만기 시점에 페이오프 g(S_T)를 가지는 옵션을 생각해 보자. 동일한 계산은 그 가격 u(x,t)가 다음을 만족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begin{cases}

\partial_t u + Au - r_t u = 0 \\

u(x, T) = g(x).

\end{cases}

미국형 옵션과 같은 일부 다른 옵션은 고정된 만료일이 없다. 일부 옵션은 과거 주가에 의해 결정된 만료 시 가치를 갖는다. 예를 들어, '''평균 옵션'''은 만료 시 기초 자산 가격이 아니라,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의 평균 기초 자산 가격에 의해 페이오프가 결정된다. 이러한 경우 파인만-카츠 공식은 직접적으로 적용되지 않는다.

7. 2. 양자 역학

양자 화학에서 확산 몬테카를로 방법을 사용하여 슈뢰딩거 방정식을 푸는 데 사용된다.[8]

참조

[1] 서적 Enigmas of Chance: An Autobiograph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 서적 Quantum Physics: A Functional Integral Point of View https://doi.org/10.1[...] Springer 2021-04-13
[3] 서적 Stochastic Differential Equations. An Introduction with Applications Springer-Verlag 2003
[4] 웹사이트 PDE for Finance http://www.math.nyu.[...]
[5] 서적 Continuous-time stochastic control and optimisation with financial applications Springer-Verlag
[6] 논문 On Distributions of Certain Wiener Functionals
[7] 서적 Numerical Methods in Finance and Economics: A MATLAB-Based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3-06-06
[8] 논문 Development of a pure diffusion quantum Monte Carlo method using a full generalized Feynman–Kac formula. I. Formalism https://aip.scitatio[...] 1988-01-15
[9] 문서 Rev.Mod.Phys.
[10] 문서 フォッカー・プランク方程式
[11] 문서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12] 문서 経路積分
[13] 서적 超準解析と物理学 日本評論社
[14] 서적 ファインマン経路積分の数学的方法 シュプリンガー・ジャパン
[15] 문서 위너측도
[16] 문서
[17] 문서
[18] 문서 J.Math.Phys.
[19] 서적
[20] 문서
[21] 문서
[22] 문서
[23] 문서
[24] 서적 Brownian Motion Springer Verlag
[25] 문서
[26] 문서
[27] 논문 Wiener measures on Riemannian manifolds and the Feynman–Kac formula
[28] 논문 On distributions of certain Wiener functional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