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성 (영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평양성》은 2011년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로, 2003년 영화 《황산벌》의 후속작이다. 서기 668년 신라와 당나라의 연합군이 고구려를 공격하는 내용을 다루며, 김유신, 연남건, 연남생 등 주요 인물들의 갈등과 전투를 그린다. 이준익 감독은 주변 강대국의 영향을 받는 한국의 모습을 영화에 담고자 했다. 개봉 당시 흥행에 실패하여 이준익 감독이 은퇴를 발표하기도 했으나, 이후 영화 《소원》으로 복귀했다. 《평양성》은 뉴욕 아시안 필름 페스티벌 등 여러 영화제에서 상영되었으며, 2011년 황금촬영상에서 정진영이 최우수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삼국통일전쟁을 소재로 한 작품 - 대왕의 꿈
《대왕의 꿈》은 신라의 태종 무열왕 김춘추를 중심으로 삼국 통일 과정을 그린 드라마로, 김춘추, 김유신, 선덕여왕 등 주요 인물들의 활약과 신라 내부의 갈등, 삼국 간의 전쟁, 나당전쟁 등을 다루고 있다. - 삼국통일전쟁을 소재로 한 작품 - 삼국기
삼국기는 KBS에서 1992년부터 1993년까지 방영된 드라마로, 삼국시대의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고구려, 백제, 신라 삼국의 흥망성쇠와 주요 인물들의 이야기를 다룬 작품이다. - 한국의 역사를 소재로 한 영화 - 물괴
1527년 중종 시대 조선을 배경으로 역병과 괴물 '물괴'의 등장으로 혼란에 빠진 가운데, 억울한 누명을 쓴 사냥꾼 윤겸이 딸을 찾고 진실을 밝히기 위해 권력에 맞서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 《물괴》는 2018년 개봉하여 시각 효과는 호평을 받았으나 스토리텔링에서는 비판을 받았으며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에서 특별 언급되었다. - 한국의 역사를 소재로 한 영화 - 은행나무 침대
1996년 강제규 감독의 데뷔작인 은행나무 침대는 전생의 사랑과 운명을 다룬 판타지 멜로 영화로, 국내외에서 흥행했으며 OST 또한 인기를 얻었다. - 김유신을 소재로 한 작품 - 대왕의 꿈
《대왕의 꿈》은 신라의 태종 무열왕 김춘추를 중심으로 삼국 통일 과정을 그린 드라마로, 김춘추, 김유신, 선덕여왕 등 주요 인물들의 활약과 신라 내부의 갈등, 삼국 간의 전쟁, 나당전쟁 등을 다루고 있다. - 김유신을 소재로 한 작품 - 선덕여왕 (드라마)
신라 최초의 여왕인 선덕여왕의 파란만장한 삶과 삼국통일의 기틀을 다지는 과정을 그린 팩션 사극 드라마 《선덕여왕》은 2009년 MBC에서 방영되었으며,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며 큰 인기를 얻었으나 표절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평양성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 |
---|---|
영화 정보 | |
제목 | 평양성 |
원제 | Battlefield Heroes |
![]() | |
로마자 표기 | Pyeongyangseong |
감독 | 이준익 |
제작 | 오승현, 조철현, 이정세 |
각본 | 오승현, 조철현 |
출연 | 정진영, 이문식, 류승룡, 윤제문 |
음악 | 김준석 |
촬영 | 정정훈 |
편집 | 김상범, 김재범 |
제작사 | 아침 픽처스, 타이거 픽처스 |
배급사 | 롯데엔터테인먼트 |
개봉일 | 2011년 1월 27일 |
상영 시간 | 118분 |
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흥행 수익 | 1170만 미국 달러 |
2. 등장인물
영화 "평양성"에는 신라 장군 김유신(정진영 분), 신라 병사 거시기(이문식 분), 고구려 장군 연남건(류승룡 분)과 연남생(윤제문 분), 고구려 첩자 갑순(선우선 분) 등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한다.[1]
이광수, 이원종 등 여러 배우들이 조연 및 특별출연으로 참여하여 극을 풍성하게 만들었다.[1]
2. 1. 주요 인물
배역 | 배우 | 역할 |
---|---|---|
김유신 | 정진영 | 신라 장군 |
거시기 | 이문식 | 신라 병사 |
연남건 | 류승룡 | 고구려 장군 |
연남생 | 윤제문 | 고구려 장군, 연남건의 형 |
갑순 | 선우선 | 고구려 첩자 |
머시기 | 김민상 | 신라 병사 |
금산병사 | 송창곤 | |
문디 | 이광수 | 신라 병사 |
김흠순 | 신정근 | 신라 장군 |
김품일 | 전기광 | 신라 장군 |
김인문 | 류승수 | 신라 장군 |
연남산 | 강하늘 | 연남건의 동생 |
보장왕 | 정규수 | 고구려 왕 |
아바이 | 정석용 | |
을식 | 강현중 | |
이적 | 이대연 | 당나라 장군 |
글필하력 | 김강일 | 당나라 장군 |
갑순 아버지 | 정동규 | |
고구려병사 1 | 조하석 | |
고구려 대신 1 | 유하복 | |
고사계 | 이영수 | |
온사문 | 원현준 | 당나라 장군 |
이기우 | 이규섭 | |
거창병사 | 강득종 | |
상주병사 | 최대성 | |
신라 정읍 병사 | 류성현 | |
배역 | 배우 | 역할 (특별출연) |
거시기 어머니 | 전원주 | |
연개소문 | 이원종 | 고구려 대막리지 |
무기 나르는 고구려 병사 | 박용우 | |
특공대장수 1 | 류승완 | |
특공대장수 2 | 한재덕 | |
땅굴 보초 1 | 김병만 | |
땅굴 보초 2 | 류담 | |
신라 왕 김법민 | 황정민 | |
황제 | 김육룡 |
2. 2. 조연
배우 | 역할 |
---|---|
정진영 | 김유신 |
이문식 | 거시기 |
류승룡 | 연남건 |
윤제문 | 연남생 |
선우선 | 갑순 |
김민상 | 머시기 |
송창곤 | 금산병사 |
이광수 | 문디 |
신정근 | 김흠순 |
전기광 | 김품일 |
류승수 | 김인문 |
강하늘 | 연남산 |
정규수 | 보장왕 |
정석용 | 아바이 |
강현중 | 을식 |
이대연 | 이적 |
김강일 | 글필하력 |
정동규 | 갑순 아버지 |
조하석 | 고구려병사 1 |
유하복 | 고구려 대신 1 |
이영수 | 고사계 |
원현준 | 온사문 |
이규섭 | 이기우 |
강득종 | 거창병사 |
최대성 | 상주병사 |
류성현 | 신라 정읍 병사 |
colspan="2" | | |
배우 | 역할 (특별출연) |
전원주 | 거시기 어머니 |
이원종 | 연개소문 |
박용우 | 무기 나르는 고구려 병사 |
류승완 | 특공대장수 1 |
한재덕 | 특공대장수 2 |
김병만 | 땅굴 보초 1 |
류담 | 땅굴 보초 2 |
황정민 | 신라 왕 김법민 |
김육룡 | 황제 |
2. 3. 특별출연
- 전원주: 거시기 어머니 역[1]
- 이원종: 연개소문 역[1]
- 박용우: 무기 나르는 고구려 병사 역[1]
- 류승완: 특공대장수 1 역[1]
- 한재덕: 특공대장수 2 역[1]
- 김병만: 땅굴 보초 1 역[1]
- 류담: 땅굴 보초 2 역[1]
- 황정민: 신라 왕 김법민 역[1]
- 김육룡: 황제 역[1]
3. 줄거리
서기 668년, 신라 왕 김법민(황정민)은 당나라와 연합하여 고구려를 공격하기로 한다. 이 협정에는 백제를 신라에 반환하는 조건이 포함되어 있었다. 연합군은 평양성으로 진격하고, 고구려의 연개소문(이원종)은 죽음을 맞이하며 둘째 아들 연남건(류승룡)에게 군 지휘권을 넘긴다. 그러나 전쟁에 적극적이지 않은 첫째 아들 연남생(윤제문)은 이에 불만을 품는다.
고구려군은 꿀과 벌을 이용해 연합군의 첫 공격을 막아낸다. 한편, 신라 대장군 김유신(정진영)은 당나라군보다 먼저 연개소문의 아들들과 직접 대결하기를 원한다. 연남생은 형에게 쫓겨나고, 당나라군 사령관은 대규모 공격을 감행하지만 고구려의 비밀병기에 패배한다. 백제 출신 병사 거시기(이문식)는 포로로 잡히지만, 고구려 여전사 갑순(선우선)과 혼인하게 된다.
4. 제작 배경
《황산벌》의 후속작인 《평양성》은 전편으로부터 8년 후의 이야기를 다룬다.[3] 이 영화는 1995년 한국의 정치적 상황에서 영감을 받았다.[2] 이준익 감독은 《황산벌》과 《평양성》을 통해 주변 국가들(특히 중국, 일본, 미국)의 영향을 받아 내부 갈등을 겪었던 한국의 모습을 보여주고 싶었다고 밝혔다.[2]
5. 개봉 및 평가
《평양성》은 2011년 1월 27일에 개봉되었다.[3] 흥행 성적이 좋지 않아 이준익 감독은 은퇴를 선언했다.[4] 그는 트위터를 통해 "관객 예상 250만 명에 못 미치는 170만 명에 그쳐 연출을 그만둔다"고 밝혔다.[5] 2년 후, 설경구 주연의 《소원》으로 복귀했다.[6]
2011년 7월 뉴욕 아시안 영화제를 비롯한 여러 영화제에서 상영되었고,[5][7] 7월 31일에는 판타지아 페스티벌에서 캐나다 최초로 상영되었다.[7]
로스앤젤레스 타임스(Los Angeles Times)는 "멋지고 웅장한 시대극이자, 때로는 다소 억지스럽지만 친근하고 유쾌한, 비록 다소 긴 엔터테인먼트를 제공하는 힘 있고 소박한 코미디"라고 호평했다.[8] 필름 비즈니스 아시아(Film Business Asia)는 10점 만점에 8점을 주며 "왕의 남자 이후 기술적으로 자신감 있는 영화 제작자로서 비약적인 발전을 이뤘다"고 평가했다. 또한 국제 관객들에게는 "이야기 설정을 설명하는 도입부 자막과 전체 러닝타임을 줄이는 작업"이 도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3]
6. 수상 내역
참조
[1]
웹사이트
Battlefield Heroes (2011)
http://www.koreanfil[...]
[2]
웹사이트
NYAFF 2011: The Diva Review Exclusive Interview with BATTLEFIELD HEROES Director Lee Joon-ik
https://www.thedivar[...]
2011-07-17
[3]
웹사이트
Battlefield Heroes (평양성)
http://www.filmbiz.a[...]
2011-03-13
[4]
웹사이트
NYAFF 2011: An Interview with Lee Joon-Ik, Director of Battlefield Heroes
http://twitchfilm.co[...]
2011-07-22
[5]
웹사이트
Battlefield Heroes (Korea, 2011)
http://subwaycinema.[...]
[6]
웹사이트
Lee Jun-ik returns after two-year hiatus
http://www.koreahera[...]
2013-01-23
[7]
웹사이트
Battlefield Heroes
http://www.fantasiaf[...]
[8]
뉴스
Movie review: 'Battlefield Heroes'
https://www.latimes.[...]
2011-03-14
[9]
뉴스
황금촬영상 최우수연기상에 정진영ㆍ정유미
https://news.naver.c[...]
2011-09-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