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평화에 반한 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평화에 반한 죄는 국가 간 분쟁에서 무력 사용을 금지하는 원칙을 위반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이 개념은 핀란드 전쟁 책임 재판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뉘른베르크 재판과 극동 국제 군사 재판에서 침략 전쟁에 대한 개인의 책임을 묻는 근거로 활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재판이 사후법에 해당한다는 논란도 존재하며, 국제법과 영미법의 관점에서 사후법 적용에 대한 다른 해석이 존재한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아르메니아인 학살 관련 재판 시도에서 미국과 일본의 반대로 국제 재판소 설치가 무산된 역사적 배경도 있다. 평화에 반한 죄는 국제 연합의 집단 안전 보장 시스템의 기반이 되었으며, 뉘른베르크 원칙을 통해 정식화되었다.

2. 무력 사용 금지 원칙

국가 간의 분쟁에 있어서, 군사력 등 무력을 사용하면 안 된다는 원칙이다.

3. 평화에 반한 죄

국가 간의 분쟁에서 군사력 등 무력을 사용하면 안 된다는 원칙이다. 핀란드 전쟁 책임 재판에서 정치 지도자를 기소하기 위해 처음 사용되었으며, 그 원칙이 후에 뉘른베르크 원칙[2]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3. 1. 뉘른베르크 원칙

뉘른베르크 재판의 결과로 확립된 국제법 원칙으로, 침략 전쟁에 대한 개인의 책임을 명시하고 있다.[2] 뉘른베르크 재판과 극동 국제 군사 재판에서는 평화에 대한 죄를 A항으로 규정했으며, 이에 따라 기소된 전범은 A급 전범으로 불린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뉘른베르크 재판과 극동 국제 군사 재판을 위해 제정된 "사후법"이라며, 국가가 아닌 개인의 책임을 추궁하고 처벌하는 것은 소급 입법 금지 원칙에 반한다는 법학자들의 의견도 있다.[3][4]

그러나 독일이나 일본과 같은 대륙법 계열과 달리, 미국이나 영국과 같은 영미법, 또는 조약과 관습법으로 이루어진 국제법에서는 관습법상의 범죄로 형벌을 과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사후법에 해당하지 않는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도 평화를 파괴하는 행위가 위법하다는 것이 베르사유 조약이나 파리 불전 조약 등 일부 조약에서 이미 확인되었다는 의견도 있다.[5][6]

국제 관습법을 고려하여, 1953년 발행된 인권 및 기본적 자유 보호를 위한 협약(유럽 인권 조약) 제7조 2항과 1976년 발효된 자유권 규약 15조 2항에서는 소급 입법 금지의 예외를 인정하고 있다.[7]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오스만 제국의 아르메니아인 학살에 대해 연합국 측 15인 위원회가 "인도에 반하는 죄"를 언급했을 때, 미국 및 일본은 국가 원수가 적국의 재판에 회부될 것을 우려하여 반대했다. 또한 미국은 국제 재판소 설치 자체에 전례가 없다며 반대했다. 결국 독일인 901명의 전범 목록이 작성되었지만, 독일은 국제 재판소가 아닌 독일의 라이프치히 최고 재판소에서 국내법에 의해 전범을 재판할 것을 제안했고, 연합국도 합의하였다(Leipzig War Crimes Trial|라이프치히 전쟁범죄재판영어). 이러한 배경 때문에 뉘른베르크 재판은 국제 재판소가 국가 지도자의 개인적인 책임을 재판한다는 전례 없는 일이 되었다.[8]

3. 2. 사후법 논란

뉘른베르크 재판이나 극동 국제 군사 재판이 국가가 아닌 개인의 책임을 추궁하고 처벌한 것은 "'사후법'"에 의한 것으로, 소급 입법 금지 원칙에 반한다는 법학자들의 의견이 있다.[3][4]

그러나 영미법이나 국제법에서는 행위 당시에 성문법으로 금지되지 않았더라도 관습법상 범죄로 처벌이 가능하며, 이는 사후법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반론이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도 평화를 파괴하는 행위가 위법하다는 것이 관습법 또는 베르사유 조약, 파리 불전 조약 등 일부 조약에서 확인되었다는 의견도 있다.[5][6] 국제 관습법을 고려하여 인권 및 기본적 자유 보호를 위한 협약(유럽 인권 조약) 제7조 2항과 자유권 규약 15조 2항에서도 소급 입법 금지의 예외를 인정하고 있다.[7]

4. 현대적 의의

'평화에 반하는 죄' 개념은 국제 연합의 집단 안전 보장 시스템의 기반이 되었다. 국제 연합 헌장에는 "…평화에 대한 위협의 방지 및 제거와 침략 행위 기타 평화의 파괴의 진압을 위해 유효한 집단적 조치를 취할 것…"을 목적으로 국제 연합이 조직되었고(제1조 1.),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전보장이사회가 "…평화에 대한 위협, 평화의 파괴 또는 침략 행위의 존재를 결정하고, 또한 국제 평화 및 안전을 유지하거나 회복하기 위해 권고를 하거나 제41조 및 제42조에 따라 어떠한 조치를 취할지를 결정한다"고 되어 있다(제39조)[9]

국제 연합 발족 시에는 뉘른베르크 결의가 이루어졌고 뉘른베르크 원칙도 후에 결의되었으며, 뉘른베르크 재판에 나타난 평화와 인도에 관한 원칙이 정식화되었다[10][11]

5. 국제형법

국가 간의 분쟁에서 군사력 등 무력을 사용하면 안 된다는 원칙이다.

국제형법상 범죄


5. 1. 국제법의 근원

5. 2. 국제형법상 범죄


  • 국제형법
  • * 인도에 반한 죄
  • * 평화에 반한 죄
  • * 인종 차별 정책
  • * 집단살해죄
  • ** 집단살해 의도
  • ** 집단살해 선동
  • * 해상강도
  • * 노예 무역
  • * 의도적 기근
  • * 전쟁 범죄

6. 국제법의 역사

국가 간 분쟁 발생 시, 군사력 등 무력 사용을 금지하는 원칙이 국제법의 역사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7. 관련 개념

국가 간의 분쟁에서 군사력 등 무력을 사용하면 안 된다는 원칙이다.[1]

참조

[1] 웹사이트 平和に対する罪(ヘイワニタイスルツミ)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2024-08-23
[2] 문서
[3] 서적 戦争犯罪と法 岩波書店
[4] 웹사이트 東京裁判と罪刑法定主義 https://archive.is/E[...] 2020-10-24
[5] 서적 A Modern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Law Routledge; 6th edition 1992-08-01
[6] 서적 Principles of Public International Law Oxford University Press; 6 edition 2003-11-20
[7] 간행물 国際刑法と罪刑法定主義 https://ir.lib.hiros[...]
[8] 웹사이트 戦争犯罪と法 http://www.iwanami.c[...] 岩波書店 2011-11-21
[9] 문서
[10]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CambridgeUniversity Press
[11] 문서 戦争責任論序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