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집단살해죄의 방지와 처벌에 관한 협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집단살해죄의 방지와 처벌에 관한 협약은 국민적, 인종적, 민족적 또는 종교적 집단을 파괴할 의도로 살해, 신체적·정신적 위해, 생존 조건 파괴, 출생 방해, 아동 강제 이동 등의 행위를 집단살해로 정의하고, 집단살해 및 공모, 교사, 미수, 방조를 처벌하도록 규정한다. 이 협약은 아르메니아 집단 학살과 홀로코스트와 같은 사건을 방지하기 위해 제정되었으며, 체결국은 집단살해를 방지하고 처벌할 의무를 진다. 2024년 6월 기준 153개국이 가입했으며, 유보 조항을 통해 국제사법재판소의 관할권을 제한하는 경우도 있다. 협약은 보스니아 전쟁, 로힝야족 집단 학살,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 다양한 분쟁에서 적용되었으며, 한국은 협약에 가입하지 않은 상태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8년 프랑스 - 브뤼셀 조약
    브뤼셀 조약은 냉전 초기 소련의 위협과 부흥하는 독일에 대비하여 벨기에, 프랑스,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영국 5개국이 체결한 상호방위 조약으로, 서유럽 연합(WEU)으로 발전 후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출범으로 역할이 축소되어 종료되었다.
  • 1948년 프랑스 - 모네 플랜
    모네 플랜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프랑스 경제의 재건과 현대화를 목표로 수립된 경제 계획이며, 6대 중요 산업을 중심으로 1950년까지의 생산량 목표를 설정하고 국유화 정책, 외자 유치, 마셜 플랜을 통해 추진되어 프랑스 경제 회복에 기여했다.
  • 1951년 발효된 조약 - 미일안전보장조약
    미일안전보장조약은 1951년 체결되어 미국이 일본의 안보를 위해 군대를 주둔시키고 일본 방위를 돕는 것을 골자로 하며, 1960년에 새로운 조약으로 대체되었다.
  • 1951년 발효된 조약 - 단결권 및 단체교섭권 협약
    단결권 및 단체교섭권 협약은 노동자의 단결권과 단체교섭권을 보장하고 노동조합의 조직 및 활동을 사용자의 부당한 간섭으로부터 보호하며, 반노동조합 차별 금지, 노동자 및 사용자 단체 간 상호 간섭 방지, 단체 교섭 절차 장려 등을 규정하는 국제 노동 기구(ILO) 제98호 협약이다.
  • 1948년 체결된 조약 - 브뤼셀 조약
    브뤼셀 조약은 냉전 초기 소련의 위협과 부흥하는 독일에 대비하여 벨기에, 프랑스,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영국 5개국이 체결한 상호방위 조약으로, 서유럽 연합(WEU)으로 발전 후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출범으로 역할이 축소되어 종료되었다.
  • 1948년 체결된 조약 - 결사의 자유 및 단결권 보호에 관한 협약
    결사의 자유 및 단결권 보호에 관한 협약은 노동자와 사용자의 결사의 자유와 단결권을 보호하고자 국제 노동 기구에서 채택되었으며, 차별 없는 단체 설립, 자율적인 규약 제정, 활동 조직 등을 보장하고 행정기관의 간섭이나 해산을 금지한다.
집단살해죄의 방지와 처벌에 관한 협약
조약 정보
이름집단살해죄의 방지와 처벌에 관한 협약
원제Convention on the Prevention and Punishment of the Crime of Genocide
유형조약
초안 작성일(정보 없음)
서명일1948년 12월 9일
서명 장소프랑스, 파리 샤요 궁
봉인일(정보 없음)
효력 발생일1951년 1월 12일
효력 발생 조건(정보 없음)
만료일(정보 없음)
서명국 수39개국
당사국 수153개국 (전체 목록)
기탁처국제연합 사무총장
사용 언어(정보 없음)
위키문헌영문

2. 정의

집단살해죄의 방지와 처벌에 관한 협약 제1조는 체약국이 집단살해가 평시나 전시에 행해지는지에 관계없이 국제법상의 범죄임을 확인하고, 이를 방지하고 처벌할 것을 약속한다고 명시한다.[64]

제2조는 집단살해를 "국민적, 인종적, 민족적 또는 종교적 집단을 전부 또는 일부 파괴할 의도로서 행하여진 아래의 행위"로 정의한다.[64] 이 협약은 아르메니아 집단 학살과 홀로코스트와 유사한 행위를 불법화하기 위해 통과되었다.[9]

구성 요건내용
(a)집단 구성원을 살해하는 것
(b)집단 구성원에게 중대한 육체적 또는 정신적 해를 가하는 것
(c)전부 또는 일부에 육체적 파괴를 초래하기 위해 의도된 생활 조건을 집단에 대해 고의로 부과하는 것
(d)집단 내에서의 출생을 방지할 것을 의도하는 조치를 부과하는 것
(e)집단의 어린이를 다른 집단으로 강제적으로 이송하는 것



국제법은 집단살해 범죄가 발생할 수 있는 광범위한 형태의 폭력을 인정하며, 대규모 학살뿐만 아니라 치명적이지 않은 행위도 포함한다.[14] 예를 들어, 구 유고슬라비아 국제형사재판소(ICTY)는 강간 및 성폭력이 신체적, 정신적 피해를 유발하여 집단살해죄에 해당할 수 있다고 판결했다.[20]



(c)항목의 경우 즉각적인 사망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장기적인 생존을 지원하지 않는 상황을 조성하는 것을 의미한다.[31] (d)항목은 강제 불임 시술, 강제 낙태 등 보호 대상 집단의 생식을 막는 행위를,[31] (e)항목은 문화적, 사회적 단위로서 집단의 파괴로 이어지는 행위를 포함한다.[14]

제3조는 협약에 따라 처벌받을 수 있는 범죄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64]

처벌 대상내용
(a)집단살해
(b)집단살해를 범하기 위한 공모
(c)집단살해 교사
(d)집단살해 미수
(e)집단살해 방조


2. 1. 초기 논의와 쟁점

라파엘 렘킨이 제창한 "제노사이드"라는 용어는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나치 독일홀로코스트에 대해 공식적으로 사용되었다. 렘킨은 국제 연합에 제노사이드를 국제법으로 규제할 것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다.[64]

집단살해죄 협약은 "국민적, 인종적, 민족적 또는 종교적 집단"에 대한 파괴 행위로 정의했지만, 초기 초안에는 "사회·정치 집단"도 포함되어 있었다.[54] 그러나 소비에트 연방 등 일부 국가들은 국내 정치 반란 진압이 집단살해죄로 탄핵될 가능성을 우려하여 이를 삭제했다.[54]

3. 체결국의 의무

체결국은 집단살해가 평시에 행하여졌든 전시에 행하여졌든 관계없이, 이를 방지하고 국제법상의 범죄로 처벌할 것을 약속한다.[64]

제1조에 따라 체결국은 집단살해가 평시와 전시를 불문하고 국제법상 범죄임을 확인하며, 이를 방지하고 처벌할 것을 약속한다.

제5조에 따라 체결국은 각국의 헌법에 따라 협약의 규정을 실시하기 위해 필요한 입법을 해야 한다. 특히 집단살해 또는 제3조에 열거된 행위의 범죄자에 대한 유효한 처벌을 규정해야 한다.

4. 처벌 및 재판

집단살해 또는 제3조에 열거된 행위를 범하는 자는 헌법상 책임이 있는 통치자, 공무원, 사인(私人)과 관계없이 처벌된다.[64] 집단살해 또는 제3조에 열거된 행위로 고소된 자는 행위가 발생한 국가의 재판소 또는 국제형사재판소의 관할권을 수락하는 체약국에 관하여 관할권을 가지는 국제형사재판소에 의해 재판을 받는다. 집단살해 및 제3조에 열거된 행위는 범죄인 인도에 관해서 정치적 범죄로 간주되지 않으며, 체약국은 자국의 법리와 조약에 따라 범죄인 인도를 허가할 것을 서약한다. 체약국은 국제 연합의 기관이 집단살해 또는 제3조에 열거된 행위를 방지하거나 억압하기 위해 적절하다고 인정하는 조치를 취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5. 유보 조항

제9조는 협약의 해석, 적용, 이행에 관한 체약국 간의 분쟁은 분쟁 당사국 중 어느 한쪽의 요구에 따라 국제사법재판소(ICJ)에 회부하도록 규정한다. 여러 국가가 자국 정부의 동의 없이 집단살해죄에 대한 형사 면제를 부여하는 유보 조항을 추가하여 협약을 비준했다.[37][38]


6. 적용 사례

국제사법재판소(ICJ)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대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사건에서 2007년 2월 26일 판결을 내렸다. 재판소는 보스니아 전쟁 기간 중 세르비아가 집단살해에 직접적으로 연루된 혐의는 벗겨주었지만, 1995년 스레브레니차 학살을 예방하지 못하고 집단 살해 혐의자를 재판하거나 구 유고슬라비아 국제형사재판소(ICTY)로 이송하지 않아 집단살해죄 협약을 위반했다고 판결했다.[41][42][43][44] 재판소는 "보스니아계 세르비아군은 집단 학살을 저질렀고, 스레브레니차의 4만 명의 보스니아 무슬림을 말살하려 했다..."라고 판결했다.[41]

미얀마는 2016년과 2017년경 약 80만 명의 로힝야족이 총칼에 위협받아 이웃 방글라데시로 도망친 후, 고향 마을이 체계적으로 불태워지면서 로힝야족을 상대로 집단 학살을 자행한 혐의를 받고 있다. 국제사법재판소는 2018년에 미얀마에 로힝야족을 집단 학살로부터 보호할 것을 요구하는 첫 번째 서한을 보냈다.

2022년 2월, 러시아는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서, 러시아어를 사용하는 우크라이나인을 집단학살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행동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근거 없는 거짓으로 널리 비난받았다.[51] 러시아군은 우크라이나에서 집단 학살 협약에 명시된 잠재적인 집단 학살 행위 5가지 모두를 포함하여 수많은 잔혹 행위와 전쟁 범죄를 저질렀다.[48][49][50][51]

2023년 12월, 남아프리카 공화국이스라엘이스라엘-하마스 전쟁 중의 행동으로 인해 집단 학살 협약을 위반했다고 공식적으로 비난하며,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 이스라엘 (집단 학살 협약)'' 소송을 제기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이스라엘이 가자 지구에서의 군사 작전을 잠정 조치로 중단할 것을 국제 사법 재판소에 요구했다.[52][53]

7. 한국의 입장과 과제

한국은 제노사이드 협약에 가입하지 않은 상태이다. 이는 협약의 '집단살해 선동' 처벌 조항이 한국 헌법상의 표현의 자유와 충돌할 수 있다는 우려와, 과거사 문제와 관련하여 소급 적용 및 유보 조항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 등이 원인으로 지적된다.[55][56]

특히 일본난징 대학살 등 과거사 문제와 관련하여, 협약 비준 시 난징 대학살에 대한 불소급 적용 유보 선언이 발생하거나, 과거사 반성을 요구받을 수 있다는 우려도 존재한다.[57][58] 한국 사회는 표현의 자유와 역사적 정의 사이의 균형점을 찾아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Convention on the Prevention and Punishment of the Crime of Genocide https://legal.un.org[...] 2020-01-05
[2] 웹사이트 United Nations Treaty Collection https://treaties.un.[...] 2024-06-26
[3] 서적 The Banality of Denial Transaction Publishers
[4] 문서
[5] 웹사이트 A/RES/96(I) - E - A/RES/96(I) -Desktop https://undocs.org/e[...] 2021-06-03
[6] 웹사이트 Genocide Background https://www.un.org/e[...]
[7] 웹사이트 United Nations Office on Genocide Prevention and the Responsibility to Protect https://www.un.org/e[...] 2021-06-03
[8] 웹사이트 United Nations Office on Genocide Prevention and the Responsibility to Protect https://www.un.org/e[...] United Nations 2023-11-24
[9] 문서 The Armenian Genocide and International Law
[10] 서적 The Specter of Genocide: Mass Murder in Historical Perspective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서적 The Roots of Evil: The Origins of Genocide and Other Group Violenc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웹사이트 Cultural Genocide and the Protection of Cultural Heritage. J. Paul Getty Trust Occasional Papers in Cultural Heritage Policy Number 2, 2018 https://www.getty.ed[...]
[13] 웹사이트 Policy on Cultural Heritage https://www.icc-cpi.[...]
[14] 웹사이트 Beyond Killing: Gender, Genocide, & Obligations Under International Law 3 https://wordpress-53[...]
[15] 간행물 The Secret Young Turk Ittihadist Conference and the Decision for World War I Genocide of the Armenians 1994
[16] 보고서 'We Will Destroy Everything:' Military Responsibility for Crimes Against Humanity in Rakhine State, Myanmar 2018-06
[17] 문서 Prosecutor v. Karadžić, Case No. IT-95-5/18-T, Trial Judgment Int'l Crim. Trib. for the Former Yugoslavia 2016-03-24
[18] 보고서 Leave None to Tell the Story: Genocide in Rwanda https://www.hrw.org/[...] 1999-03-01
[19] 문서 Prosecutor v. Semanza, Case No. ICTR-97-20-T, Trial Judgment 2003-05-15
[20] 서적 The United Nations Genocide Convention: An Introduction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19
[21] 문서 Prosecutor v. Akayesu, Case No. ICTR-96-4-T, Judgment 1998-09-02
[22] 간행물 A Woman Scorned for the "Least Condemned" War Crime: Precedent and Problems with Prosecuting Rape as a Serious Crime in the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 for Rwanda 2004
[23] 보고서 Darfur in Flames: Atrocities in Western Sudan Human Rights Watch 2004
[24] 웹사이트 Discrimination to Destruction: A Legal Analysis of Gender Crimes Against the Rohingya http://globaljustice[...] Global Justice Center 2021-08-28
[25] 문서 Prosecutor v. Karadžić, Case No. IT-95-5/18-T, Trial Judgment Int’l Crim. Trib. for the Former Yugoslavia 2016-03-24
[26] 문서 Popović, Case No. IT-05-88-T
[27] 문서 Kayishema and Ruzindana 1999-05-21
[28] 서적 Colonial Genocide in Indigenous North America Duke University Press
[29] 문서 Prosecutor v. Akayesu, Case No. ICTR-96-4-T, Judgment 1998-09-02
[30] 웹사이트 REPORT ARMENIA – Luis Moreno Ocampo https://luismorenooc[...]
[31] 웹사이트 What is genocide? http://genocidewatch[...] Genocide Watch 2016-04-12
[32] 문서 Prosecutor v. Akayesu, Case No. ICTR-96-4-T, Judgment 1998-09-02
[33] 서적 Genocide and Gender in the Twentieth Century: A Comparative Study Bloomsbury 2015
[34] 간행물 The United States and the Genocide Convention: Leading Advocate and Leading Obstacle 1997-03
[35] 간행물 Treaties, Human Rights, and Conditional Consent https://dash.harvard[...] 2000
[36] 웹사이트 U.S. Senate: William Proxmire and the Genocide Treaty https://www.senate.g[...] 2021-06-03
[37] 웹사이트 Declarations and Reservations to the Convention on the Prevention and Punishment of the Crime of Genocide http://www.preventge[...] Prevent Genocide International
[38] 웹사이트 Convention on the Prevention and Punishment of the Crime of Genocide http://treaties.un.o[...] United Nations Treaty Collection 2012-10-20
[39] 논문 Raphaël Lemkin, creator of the concept of genocide: a world history perspective http://epress.anu.ed[...] Humanities Research 2010
[40] 잡지 UN Asked to Act Against Genocide in the United States https://news.google.[...] The Afro-American 1951-12-22
[41] 웹사이트 ICTY convicts Ratko Mladić for genocide, war crimes and crimes against humanity http://www.icty.org/[...] Chambers, The Hague
[42] 뉴스 Serbia cleared of genocide, failed to stop killing https://www.reuters.[...] Reuters 2007-02-26
[43] 웹사이트 ICJ: Summary of the Judgment of 26 February 2007 – Bosnia v. Serbia http://www.icj-cij.o[...] 2008-01-19
[44] 뉴스 Court Declares Bosnia Killings Were Genocide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7-02-26
[45] 웹사이트 Top UN court orders Myanmar to protect Rohingya from genocide https://news.un.org/[...] 2020-01-23
[46] 웹사이트 Interview: Landmark World Court Order Protects Rohingya from Genocide https://www.hrw.org/[...] 2020-01-27
[47] 뉴스 World Court orders Myanmar to protect Rohingya from acts of genocide https://www.reuters.[...] Reuters 2020-01-23
[48] 웹사이트 Genocide Emergency Update: Ukraine https://www.genocide[...] 2022-04-13
[49] 웹사이트 Genocide Emergency: Ukraine https://www.genocide[...] 2022-09-04
[50] 뉴스 Russia is guilty of inciting genocide in Ukraine, expert report concludes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22-05-27
[51] 웹사이트 Independent Legal Analysis of the Russian Federation's Breaches of the Genocide Convention in Ukraine and the Duty to Prevent https://newlinesinst[...] New Lines Institute for Strategy and Policy; Raoul Wallenberg Centre for Human Rights 2022-05-27
[52] 뉴스 South Africa launches case at top UN court accusing Israel of genocide in Gaza https://apnews.com/a[...] AP News 2023-12-29
[53] 웹사이트 APPLICATION INSTITUTING PROCEEDINGS https://www.icj-cij.[...]
[54] 서적 スターリンのジェノサイド みすず書房 2012
[55] 웹사이트 大量虐殺(ジェノサイド)の語源学-あるいは「命名の政治学」 http://www.meijigaku[...] 明治学院大学法学研究 2014-02-22
[56] conference 衆議院法務委員会 https://www.shugiin.[...] 2013-11-05
[57] conference 参議院外交防衛委員会 https://kokkai.ndl.g[...] 2023-04-27
[58] 웹사이트 ロシア軍の残虐行為に「ジェノサイド条約批准を」の声、日本未批准の背景に何がある? https://sakisiru.jp/[...] 2022-04-04
[59] 웹사이트 【国際法判例】ジェノサイド条約に対する留保事件(ICJ勧告的意見) https://hiro-autmn.h[...] 2024-08-01
[60] 웹인용 헌정질서 파괴범죄의 공소시효 등에 관한 특례법 ( 약칭: 헌정범죄시효법 ) http://www.law.go.kr[...] 국가법령정보센터 2010-03-24
[61] 웹사이트 https://world.moleg.[...]
[62] 웹사이트 http://hrlibrary.umn[...]
[63] 웹사이트 https://unikorea.go.[...]
[64] 문서 제노사이드 조약 글로벌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