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평화학은 전쟁 회피 및 방지를 연구하는 학문 분야이다. 1942년 퀸시 라이트가 소극적 평화와 적극적 평화 개념을 처음 제시했으며, 요한 갈퉁은 구조적 폭력 개념을 더하여 평화에 대한 이해를 확장했다. 소극적 평화는 직접적 폭력이 없는 상태를, 적극적 평화는 구조적 폭력까지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평화학은 빈곤, 억압, 젠더 등 일상생활과 관련된 주제를 연구하며, 아베 신조의 적극적 평화주의는 갈퉁의 적극적 평화와는 다른 맥락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한국에서는 경희대학교, 성공회대학교 등 여러 대학에서 평화학 관련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화학 - 반란
반란은 정부나 권위에 도전하여 전복하려는 행위로, 폭동, 저항 운동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사회적 불만, 빈곤, 탄압 등이 원인이 되어 다양한 결과를 초래한다.
평화학 | |
---|---|
평화학 | |
![]() | |
분야 | 사회과학, 정치학, 국제 관계학, 사회학 |
연구 대상 | 폭력, 갈등, 평화 |
주요 인물 | 요한 갈퉁 케네스 볼딩 엘리스 볼딩 진 샤프 가산 하르트 |
하위 분야 | |
관련 개념 | |
2. 평화학의 개념
평화학은 전쟁을 회피하고 방지하는 것을 연구 대상으로 한다. 시대에 따라 형태를 바꾸는 전쟁을 추적하고, 전쟁 발생의 인과 관계를 파악하여 다음 시대에 활용하는 것이 평화학의 목적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에서 평화학 체계화가 시작되었고, 1965년 국제평화연구학회(IPRA)가 발족했다. 1973년에는 일본평화학회(PSAJ)가 창립되었으며, 초대 회장은 세키 칸지 도쿄 대학 명예 교수였다. 국제 연합은 1980년 코스타리카에 평화 대학교를 설립하여 분쟁 원인과 예방 연구, 평화 구축 및 분쟁 조정 등의 실무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평화학에서는 요한 갈퉁이 제시한 "구조적 폭력" 개념을 통해, 단순히 전쟁이 없는 상태(소극적 평화)를 넘어 빈곤, 차별 등 사회 구조적 문제까지 해결하는 적극적 평화 개념을 확립했다.[2] 이에 따라 평화학의 대상 영역은 빈곤, 기아, 억압과 같은 사회 문제, 개발, 젠더, 커뮤니티 등 일상생활과 관련된 주제까지 포함하게 되었다.
2. 1. 소극적 평화와 적극적 평화
퀸시 라이트와 요한 갈퉁은 평화를 소극적 평화와 적극적 평화로 구분했다. 소극적 평화는 전쟁과 같은 직접적인 폭력이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적극적 평화는 빈곤, 차별, 불평등과 같은 구조적 폭력이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2]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의 '적극적 평화주의'는 갈퉁의 적극적 평화 개념과 차이가 있다는 비판을 받았다.[3][4] 갈퉁은 아베 총리가 '적극적 평화'라는 단어를 도용하여 본래의 의미와는 정반대의 일을 하려 한다고 비판했다.[5]2. 2. 구조적 폭력
요한 갈퉁은 빈곤, 차별, 격차 등 사회 구조에 뿌리내린 폭력을 '구조적 폭력'이라고 정의했다.[2] 현대 평화학은 이러한 구조적 폭력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3. 평화학의 역사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에서 체계화가 시작되었고, 1965년에 국제평화연구학회(IPRA)가 발족했으며, 1973년에는 일본평화학회(PSAJ)가 창립되었다(초대 회장은 도쿄 대학 명예 교수, 리츠메이칸 대학 국제관계학부 초대 학부장인 세키 칸지이다). 국제 연합은 1980년에 분쟁의 원인과 예방 연구, 평화 구축 및 분쟁 조정 등의 실무 교육을 위해 코스타리카에 대학원인 평화 대학교를 설립했다.[1]
4. 한국의 평화학
대한민국은 분단 국가로서 평화학 연구가 중요한 과제이다. 더불어민주당은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추진하며, 남북 관계 개선과 평화 체제 구축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한국의 평화학은 북한과의 관계, 주변 강대국과의 외교, 국제 분쟁 해결 등 다양한 분야를 다룬다. 특히, 6.25 전쟁과 같은 역사적 경험은 한국의 평화학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4. 1. 한국의 평화학 연구 기관 및 대학
한국에서는 여러 대학에서 평화학 또는 관련 학문을 강의하고 연구한다.대학 | 학과/연구소 | 비고 |
---|---|---|
경희대학교 | 일반대학원 평화복지학과 | |
성공회대학교 | 일반대학원 사회학과, 협동조합경영학과, NGO학과 | |
이화여자대학교 | 일반대학원 여성학과, 북한학과, 기독교학과 | |
전북대학교 | 일반대학원 기록관리학과 | |
제주대학교 | 탐라문화연구원, 평화연구소 | |
한신대학교 | 일반대학원 평화와 공공성센터 | |
KAIST | 문술미래전략대학원 |
5. 평화학 연구자
평화학은 다양한 분야의 학자들에 의해 연구되고 있다. 특히 일본에서는 여러 대학에서 평화학을 정치학이나 국제관계론의 틀 안에서 강의를 개설하고 있다.
대학교명 | 내용 |
---|---|
국제기독교대학교 | 법학, 정치학, 국제관계학 등에서 독립된 하나의 전공 분야(메이저)로 평화 연구를 배울 수 있으며, 평화 연구소도 개설되어 있다. |
릿쿄 대학 | 대학원(각 연구과)에서 주된 전공 외에 "course of peace studies"를 "평화 커뮤니티 연구 기구 소정의 전문 교육 프로그램"으로 이수할 수 있다. |
가고시마 국제대학교, 도쿄가쿠게이 대학교, 주오 대학, 도쿄 여자 대학, 호세이 대학, 메이지가쿠인 대학교, 리츠메이칸 대학, 와세다 대학교 | 정치학이나 국제관계론의 틀 내에서 평화학 강의를 개설하고 있다. |
일본의 평화학 연구자로는 안자이 이쿠로, 이세자키 겐지, 우부키 사토시, 오카모토 미츠오, 사카이 케이코, 코다마 카츠야, 사사키 히로시, 타카하라 타카오, 타카야나기 사키오, 노다 마사아키, 바바 신야, 호시노 쇼키치, 마츠나가 야스유키, 무샤코지 킨히데, 요시모토 타카아키 등이 있다.
5. 1. 국제적인 평화학 연구자
- 요한 갈퉁(Johan Galtung): 노르웨이의 평화학자로, 적극적 평화와 구조적 폭력 개념을 제시했다.[2] 2015년 8월 22일 오키나와현 우라소에시 강연에서 아베 신조 총리의 '적극적 평화주의'에 대해 "내가 의도했던 본래의 의미와는 정반대의 일을 하려고 한다"며 비판했다.[3][4]
- 엘리스 볼딩(Elise Boulding): 미국의 평화학자이자 사회학자
- 퀸시 라이트(Quincy Wright): 미국의 법학자. 1942년에 "소극적 평화"와 "적극적 평화"라는 개념을 처음으로 제시했다.
- 수가타 다스굽타(Sugata Dasgupta): "비평화(Peacelessness)"라는 개념을 제창한 인도 학자
5. 2. 일본의 평화학 연구자
- 세키 간지는 도쿄 대학 명예 교수이자, 리츠메이칸 대학 국제관계학부 초대 학장을 역임했다.[2]
6. 관련 서적
- 가노 사다히코, 혼마 마사루, 이시도 미쓰루 편저, 《평화와 국제 정보 통신 - "장벽" 극복》 (와세다 대학 출판부, 2010년).
- 일본 평화 학회 편, 《"핵 없는 세계"를 향해》 (평화 연구 35호, 와세다 대학 출판부, 2010년).
- 일본 평화 학회 편, 《글로벌 윤리》 (평화 연구 36호, 와세다 대학 출판부, 2011년).
- 일본 평화 학회 편, 《세계에서 가장 가난하다는 것》 (평화 연구 37호, 와세다 대학 출판부, 2011년).
- 일본 평화 학회 편, 《체제 이행기의 인권 회복과 정의》 (평화 연구 38호, 와세다 대학 출판부, 2012년).
- 일본 평화 학회 편, 《평화를 재정의하다》 (평화 연구 39호, 와세다 대학 출판부, 2012년).
참조
[1]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peace
https://www.visionof[...]
2022-01-27
[2]
뉴스
アーサー・ビナード「言葉の中身吟味を」
中日新聞
2014-12-06
[3]
뉴스
首相は積極的平和の言葉「盗用」 平和学の父・ガルトゥング氏
http://ryukyushimpo.[...]
琉球新報
2015-08-23
[4]
뉴스
平和学の父:ガルトゥング氏、首相は積極的平和の言葉「盗用」 /沖縄
http://mainichi.jp/a[...]
毎日新聞
2015-08-24
[5]
뉴스
積極的平和主義の提唱者、来日へ『9条守ると主張を』
朝日新聞
2015-08-19
[6]
뉴스
注目安保国会 積極的平和主義
朝日新聞
2015-09-05
[7]
Youtube
吉元隆昭教授の発言
http://www.youtube.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