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르투갈의 고아 정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르투갈의 고아 정복은 1510년 아폰수 드 알부케르크가 이끄는 포르투갈군이 인도 고아를 점령한 사건이다.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항로 개척 이후 포르투갈은 인도양 무역을 장악하려 했고, 고아는 비자푸르 왕국의 지배 하에 있었으나 힌두교도들의 불만이 높았다. 알부케르크는 1510년 2월과 11월 두 차례에 걸쳐 고아를 점령했으나, 몬순 우기 및 비자푸르 왕국의 반격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고아를 상실하기도 했다. 1512년 베나스타림 요새를 점령하면서 고아에 대한 지배권을 확립했고, 고아는 포르투갈령 인도의 중요한 거점이 되었다. 알부케르크는 사회 개혁을 추진하고, 현지 여성과의 결혼을 장려하는 등 식민 통치를 펼쳤으며, 고아는 1961년까지 포르투갈의 지배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르투갈령 인도 - 고아 이단심문소
고아 이단심문소는 포르투갈령 고아에서 1560년부터 1774년까지 운영된 종교 재판소로, 가톨릭 전파를 위해 힌두교, 이슬람교, 유대교 신자 및 '새로운 기독교인'과 개종한 가톨릭 신자들을 이단으로 간주하여 종교적, 문화적 박해를 가했다.
포르투갈의 고아 정복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전투 개요 | |
분쟁 | 아딜 샤히-포르투갈 분쟁 및 바흐마니-비자야나가라 전쟁의 일부 |
시기 | 1510년 11월 25일 |
장소 | 고아, 비자푸르 술탄국 |
결과 | 포르투갈의 승리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포르투갈 제국 비자야나가라 제국 |
교전국 2 | 비자푸르 술탄국 |
지휘관 및 지도자 | |
교전국 1 지휘관 | 아폰수 드 알부케르크 티모지 |
교전국 2 지휘관 | 유수프 아딜 샤 이스마일 아딜 샤 유수프 구르기즈 (부상) 풀라드 칸 라스울 칸 |
병력 규모 | |
교전국 1 병력 | 1차 공격: 포르투갈군 1,600명 말라바르인 220명 전투 노예 3,000명 선박 23척 티모지의 병력 2,000명 2차 공격: 포르투갈군 1,680명 선박 34척 |
교전국 2 병력 | 1차 공격: 40,000명 이상 2차 공격: 8,000–10,000명 대포 200문 |
피해 규모 | |
교전국 1 피해 | 1차 공격: 포르투갈군 사망 200명 2차 공격: 사망 50명 부상 300명 |
교전국 2 피해 | 1차 공격: 불명 2차 공격: 사망 6,800명 이상 |
결과 | |
영토 변화 | 고아의 포르투갈 점령 |
시각 자료 | |
![]() |
2. 배경
아폰수 드 알부케르크에게는 고아 점령에 대한 명령이 내려지지 않았지만, 티모지의 영향으로 고아를 공격하게 되었다. 티모지는 고아에서 추방된 힌두교도로, 혼나바르 함대의 제독을 통해 고아의 힌두교도들이 무슬림 통치로부터 해방되기를 바라고 있었다.[81] 당시 인도양 연안에서 고아는 번성한 무역항이었다.[82]
2. 1. 포르투갈의 인도양 진출
1509년 11월 4일, 아폰수 드 알부케르크는 돔 프란시스쿠 드 알메이다의 뒤를 이어 포르투갈령 인도 총독이 되었다. 이는 마누엘 1세가 알부케르크의 순조로운 총독 승계를 보장하기 위해 보낸 포르투갈 원수 돔 페르난두 코우티뉴가 인도에 도착한 후였다.[9] 알메이다와 달리 알부케르크는 포르투갈이 아덴, 호르무즈, 말라카 등 세 곳의 전략적 요충지를 장악함으로써 인도양 무역에서 무슬림의 지배를 깨는 데 더 적극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아덴은 아랍인들이, 호르무즈는 페르시아인들이, 말라카는 무슬림 말레이인들이 통제했다. 알부케르크는 또한 코친 왕국과 콜라투나두와 같은 동맹 통치자들이 부여한 영토뿐만 아니라 포르투갈 왕실이 직접 통제하는 지역에 작전 기지를 건설할 필요성을 이해했다.[10]알부케르크는 포르투갈 국왕 마누엘 1세로부터 호르무즈를 정복하라는 명령을 받았지만, 이집트 맘루크 왕조가 수에즈에 함대를 소집하고 있는 것을 보고, 준비가 되기 전에 파괴하기 위해 원래의 행동 노선에서 벗어나는 것을 고려했다.[12]
이후 원정대는 항해를 재개하여 호나바르시에 정박했고, 그곳에서 알부케르크는 포르투갈의 지인이자 강력한 말라바르족 사략선인 티모지에게서 연락을 받았다. 티모지는 알부케르크에게 홍해로 가는 것은 위험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비자푸르 술탄 유수프 아딜 칸이 디우 해전에서 파괴된 맘루크 원정대의 잔여 병력을 인근 고아시에 모아 포르투갈에 대항하기 위해 새로운 선박으로 재정비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는 아마도 전년도에 알메이다가 다불 시를 파괴한 것에 대한 보복일 것이다.[13] 그러나 유수프가 최근 사망하고 그의 상속자 이스마일 아딜 샤가 어리고 경험이 부족했기 때문에, 이 도시는 거의 방어되지 않았다. 티모지는 1496년 비자푸르의 무슬림 통치자에게 정복된 후 고아의 힌두교도들 사이에 불만이 있다는 것을 알고, 알부케르케가 도시를 점령하는 것을 지원하겠다고 제안했다.[8]
2. 2. 고아의 전략적 중요성
당시 인도양 연안에서 고아는 번성한 무역항이었다.[82] 고아는 비자푸르 왕국의 지배를 받았으나, 힌두교도들은 무슬림 통치에 불만을 품고 있었다.[8] 티모지라는 힌두교도는 혼나바르 함대의 제독을 통해 알부케르크에게 고아 점령을 지원하겠다고 제안했다.[81]3. 경과
아폰수 드 알부케르크는 1510년 2월 안토니우 지 노로냐 제독과 함께 고아에 도착하여 별다른 저항 없이 점령했다.[83][84] 그러나 비자푸르 왕국 군대가 포위하자, 5월 30일 고아를 포기하고 이스마일 아딜 샤에게 반환했다.[83][84]
11월 24일, 알부케르크는 34척의 배, 1500명의 포르투갈인, 300명의 말라얄리인으로 구성된 함대를 이끌고 칸누르에서 돌아왔고, 티모지도 합류했다. 맘루크 술탄국과 캘리컷 영주 자모린의 동맹을 우려하여 대규모 함대를 준비한 것이었다.[83]
알부케르크는 하루 만에 고아를 탈환하고 12월 10일 이스마일 아딜 샤와 오스만 제국 병력을 항복시켰다. 이때 고아의 무슬림들을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학살하라는 명령을 내려, 훗날 시인 루이스 드 카몽이스에게 비판받았다.[80]
3. 1. 1차 점령 (1510년 2월)
아폰수 드 알부케르크는 1510년 2월, 안토니우 지 노로냐 제독과 함께 고아에 도착하여, 2월 17일에 별다른 저항 없이 고아를 점령했다.[16]알부케르크는 고아 점령 후 도시 방어를 강화했다. 성벽을 수리하고 해자를 넓혀 물을 채웠으며, 무기와 물품 저장소를 만들었다. 포르투갈 해군에 사용할 선박을 완성하고, 섬으로 들어오는 다섯 곳의 길목(바나스타림, 나로아, 아가사임, 파소 세코, 다우김)에 포르투갈군과 말라바르 병력을 배치해 방어했다.[21] 또한, 알부케르크는 이웃한 힌두교 비자야나가라 제국에 사절을 보내 비자푸르에 대항하는 동맹을 맺고자 했다.[22]
그러나 이스마일 아딜 샤가 이끄는 비자푸르 군대가 고아를 포위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이스마일 아딜 샤는 비자야나가라 제국과 휴전하고, 40,000명의 병력을 동원해 고아 탈환에 나섰다. 이 병력에는 터키 장군 풀라드 칸과 경험 많은 페르시아 및 투르크 용병들이 있었다.[27]
몬순 우기가 시작되자 포르투갈군은 더욱 어려워졌다. 더위로 많은 병사들이 죽고, 식량은 부족했으며, 방어선은 얇았다. 결국 5월 11일, 풀라드 칸이 이끄는 비자푸르 군이 바나스타림 여울을 건너 공격하자, 포르투갈군은 도시 성벽 안으로 후퇴했다.[27]
결국 알부케르크는 5월 30일, 고아를 포기하고 물러났다. 퇴각 전, 알부케르크는 티모지에게 성 안의 무슬림 주민들을 처형하라고 명령했다.[28] 이스마일 아딜 샤는 고아를 다시 차지했다.[29]
3. 2. 몬순 시기의 어려움
몬순 우기가 시작되면서 포르투갈군의 상황은 심각해졌다. 열대성 날씨로 많은 포르투갈 사람들이 목숨을 잃었고, 식량은 부족했으며, 포르투갈군은 무슬림 군대의 공격을 막기에는 병력이 부족했다. 1510년 5월 11일, 풀라드 칸은 폭풍우 속에서 간조 때 바나스타림 여울을 건너 대규모 공격을 감행하여 포르투갈 군대를 빠르게 압도했다. 포르투갈군은 힌두교 동맹의 도움을 받아 도시 벽 안으로 후퇴했다.[27]1510년 6월 1일, 함선들은 우기 폭풍으로 인해 공해로 나갈 수 없어 고아의 강변에서 만도비 강 입구로 항해했다. 원정대는 강어귀에 있는 배에 갇히게 되었고, 이후 3개월 동안 식량 부족, 무슬림의 포격, 혹독한 기상 조건으로 고통받았다.[30]
강물은 진흙투성이여서 물고기를 잡기 어려웠고 물을 마실 수 없었지만, 폭우로 인해 식수를 약간 보충할 수 있었다. 포르투갈군은 해안의 포격으로 고통받았는데, 포격은 불규칙했지만 배를 자주 옮기고 갑판으로 나가지 않도록 강요했다. 그들은 탄약을 절약하기 위해 응답을 피했다.[30] 주앙 드 바루스에 따르면, "굶주림과 갈증, 전쟁, 번개, 겨울 폭풍으로 인해 일반 백성들은 극심한 고통을 받아 일부는 절망에 빠졌다."라고 한다.[31]
많은 사람들이 배에서 뛰어내려 탈주하여 적에게 함대의 식량 부족을 알렸다.[32]
3. 3. 2차 점령 (1510년 11월)
1510년 11월 24일, 아폰수 드 알부케르크는 대함대를 이끌고 칸누르에서 고아로 돌아왔다. 이 함대는 34척의 배와 1,500명의 포르투갈인, 300명의 말라얄리인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알부케르크는 맘루크 술탄국과 캘리컷(코지코드) 영주 자모린의 동맹을 우려하여 대규모 함대를 준비했다.[83]알렉산드리아의 카타리나 축일인 11월 25일, 포르투갈군은 세 방향에서 도시를 공격했다. 알부케르크는 직접 조선소가 있는 도시 서쪽 방어선을 공격했고, 나머지 두 부대는 북쪽 강변 문을 공격했다. 포르투갈군은 찰흙 폭탄을 사용하는 등 격렬한 전투 끝에 도시를 점령했다. 5시간의 전투 후 수비군은 패주했고, 많은 사람들이 도망치는 과정에서 익사하거나 힌두교도들에게 죽임을 당했다.[39]
알부케르크는 도시 내 저항 세력을 제거하고, 비자푸르 왕국 군대와 결탁한 혐의로 무슬림들을 학살했다.[39] 포르투갈군은 공격으로 50명이 사망하고 300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알부케르크는 약 6,000명 이상의 무슬림이 사망했다고 추정했다.[41]
이러한 잔혹 행위는 훗날 시인 루이스 드 카몽이스에게 통렬하게 비판받았다.[80]
3. 4. 베나스타림 전투 (1512년)
1512년, 아폰수 드 알부케르크는 베나스타림 요새를 공격하여 고아에 대한 지배권을 확고히 했다. 이 요새는 고아에서 약 6km 떨어진 섬 동쪽에 있었으며, 풀라드 칸이 건설하여 군대가 본토에서 건너올 수 있도록 하는 부교를 지키고 있었다.[48]알부케르케에 따르면, 요새에는 300명의 기병(대부분 튀르크 용병)과 3,000명의 전투 준비가 된 전사, 그리고 3,000명의 "쓸모없는" 징집병이 주둔하고 있었다.[49] 부교는 양쪽에 건설된 두 개의 강책으로 보호되어 선박 공격을 막았다. 알부케르케는 8척의 배를 동원하여 강책을 파괴하라고 명령했다. 완료 후, 선박들은 베나스타림 앞으로 이동하여 강 측면을 봉쇄하고 해상 포격을 시작했다.[50]
포르투갈 보병이 포위망을 완성하려 진격하기 전, 무슬림 군대에서 200명의 기병과 3,000명의 보병이 베나스타림에서 나와 고아 밖에서 포르투갈군과 정면 대결을 벌이려 했다.[51] 알부케르케는 원주민 보병과 기병이 중장갑 포르투갈군보다 훨씬 가볍고 기동력이 뛰어나다는 것을 알고 전투를 피하려 했다.[52] 그러나 병사들의 간청에 따라 포르투갈군을 4개 분대로 나누어 무슬림군과 맞섰다. 알부케르케는 중앙, 돔 가르시아는 우익, 마누엘 데 라세르다는 좌익을 맡았고, 35명의 기병 "피달고스"로 구성된 작은 기병대가 예비대로 배치되었다.[53] 포르투갈군 중앙 선봉대가 대형을 갖춰 진격하면서, 돔 가르시아 분대의 지원을 받는 픽스 스퀘어를 형성했다. 무슬림군은 망설였고, 결정적인 순간 포르투갈 기병대의 돌격으로 요새로 혼란스럽게 도주했다.[54]
전장이 확보되자 포르투갈군은 군사 회의에서 포병을 동원하여 집중 포격으로 베나스타림을 공격하기로 결정했다.[55] 8일 동안 포격을 맞은 라술 칸은 격렬한 공격을 두려워하여 알부케르케와 협상했다. [56]
알부케르케는 라술 칸과 그의 병사들이 무기를 버리고 약 19명의 포르투갈 배신자들을 넘겨주는 대가로 생명을 보존하여 떠나도록 허락했다.[57] 라술 칸은 그들이 이슬람으로 개종했기 때문에 처형되지 않도록 협상했고, 포르투갈 왕실 지침은 배신자 처형을 금지했기에(귀환을 장려하기 위해) 알부케르케는 이 제안을 받아들였다.[58] 그는 약속을 지켰지만, 그들의 운명은 죽음보다 끔찍했다. 전투에서 동료들을 배신하고 "이교도" 신앙으로 개종했기 때문에, 알부케르케는 그들이 메인 광장에서 대중 앞에서 공개적으로 신체 절단을 당하도록 명령했다.[59] 대부분은 감옥에서 부상으로 사망했지만, 생존자 중에는 페르나오 로페스가 있었는데, 그는 나중에 세인트헬레나섬에서 자발적인 고독을 추구하게 된다.
4. 결과 및 영향
고아 점령은 포르투갈이 아시아 진출에 중요한 거점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역사적 의의를 지닌다. 알부케르크는 알렉산드로스 대왕 이후 인도에서 영토를 정복한 두 번째 유럽인이 되었다.[60]
고아는 호르무즈에서 수입된 아랍 및 페르시아 전쟁 말의 중요한 무역항이었다. 알부케르크는 포르투갈의 해상 지배력을 이용하여 인도로 전쟁 말을 수입하는 모든 선박이 고아에서만 화물을 하역하도록 명령했다. 비자야나가라 제국과 비자푸르 술탄국이 배타적인 구매권을 놓고 서로 경쟁하면서 고아는 중요한 수입원이 되었다.[63][64]
알부케르크는 고아에서 군인과 선원에게 지불할 쌀과 수입, 함대 건조 및 수리에 필요한 숙련된 현지 조선공과 장인, 무기고를 유지할 대포 기술자와 같은 자원을 확보했다. 이는 포르투갈이 유럽에서 보내는 인력과 물자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아시아에서 포르투갈의 지속적인 존재를 보장하는 데 매우 중요했다.[65]
알부케르크는 고아에 고아원을 설립하고 리스본의 ''토두스 오스 산투스 왕립 병원''을 본뜬 ''고아 왕립 병원''을 열었다.[66] 또한 고아에는 가난한 사람과 원주민을 섬기는 ''미제리코르디아''가 운영하는 소규모 병원이 건설되었다.
1520년, 포르투갈은 인접 지역인 라촐까지 지배력을 확장했다. 1526년 포르투갈의 주앙 3세는 고아시와 그 시청에 리스본과 동일한 법적 지위를 부여했다.[73]
4. 1. 포르투갈령 인도의 중심지
아폰수 드 알부케르크는 국왕 마누엘 1세의 명령 없이 고아를 점령했으며, 그의 상관들은 이에 반대했다. 마누엘 1세도 고아 점령에 의문을 제기했지만, 포르투갈 귀족 회의는 왕의 의향에 반하여 고아 점령을 승인했다.[81] 고아는 점령 이후 포르투갈령 인도의 중요한 거점이 되었다. 이후 고아 포기 문제가 여러 차례 의제로 떠올랐고, 1542년과 1570년에는 에스타두 다 인디아를 포기하고 모로코 침공에 집중해야 할지에 대한 논의도 있었다.[74] 그러나 포르투갈은 1961년 고아 병합까지 고아를 유지했다.포르투갈 점령 이후 고아는 번성하게 되었다.[84]
4. 2. 식민 통치와 사회 변화
아폰수 드 알부케르크는 포르투갈식 행정 제도를 고아에 도입하고, 주민들을 해치지 않도록 엄벌하는 등 도시를 안정시키기 위해 노력했다.[17] 힌두교도에게는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고 세금을 감면해 주었으며,[16] 무슬림들은 코제 베키라는 자체 치안 판사의 관할 하에 자신들의 법률에 따라 생활하도록 허용되었다.[20]또한, 알부케르크는 사티를 금지하는 등 사회 개혁을 추진했다. 그는 포르투갈 군인들과 현지 여성들의 결혼을 장려하여 카사도스라는 혼혈 계층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4. 3. 장기적인 영향
포르투갈은 1961년 고아 병합까지 고아를 지배했다.[81] 이 과정에서 고아는 포르투갈 문화와 가톨릭의 영향을 받아 독특한 문화를 형성했다.5. 역사적 평가
고아 점령은 유럽 국가가 아시아를 식민지화하고 제국주의를 팽창시킨 대표적인 사례 가운데 하나로 평가된다. 아폰수 드 알부케르크의 군사적 업적은 높이 평가되지만, 점령 과정에서 보인 잔혹 행위는 비판받기도 한다. 알부케르크는 1510년 12월 22일 국왕 마누엘 1세에게 보낸 편지에서 다음과 같이 적었다.
알부케르크는 병사들에게 4일간 약탈을 허용했고, 비자푸르 군대와 결탁한 혐의로 도망치지 못한 무슬림들을 살해했다. 포르투갈군은 공격으로 50명이 사망하고 300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알부케르크는 약 6,000명 이상의 무슬림이 사망했다고 추산했다.[41]
참조
[1]
서적
Lendas da Índia
Academia Real das Sciencias de Lisboa
1864
[2]
서적
Lendas da Índia
Academia Real das Sciencias de Lisboa
1864
[3]
서적
Lendas da Índia
Academia Real das Sciencias de Lisboa
1864
[4]
서적
History of the Portuguese navigation in India, 1497–1600
https://books.google[...]
[5]
서적
Albuquerque: Le Lion des Mers d'Asie
https://books.google[...]
Éditions Desjonquères
2014
[6]
서적
Sanceau
1936
[7]
서적
Lendas da Índia
Academia Real das Sciencias de Lisboa
1864
[8]
서적
Conversions and citizenry: Goa under Portugal, 1510–1610
https://books.google[...]
[9]
서적
Campanhas de Afonso de Albuquerque: Conquista de Goa, 1510–1512
https://books.google[...]
2008
[10]
서적
2008
[11]
서적
2004
[12]
서적
Cartas de Afonso de Albuquerque seguidas de documentos que as elucidam
https://books.google[...]
Lisbon
1884
[13]
서적
The Book of Duarte Barbosa, Volume 1
https://archive.org/[...]
1918
[14]
서적
2004
[15]
서적
2008
[16]
서적
1936
[17]
서적
1936
[18]
서적
1936
[19]
서적
THE HISTORY OF VIJAYANAGAR EMPIRE VOL.1
http://archive.org/d[...]
POPULAR PRAKASHAN,BOMBAY
1956
[20]
서적
1936
[21]
서적
2008
[22]
서적
Indies Adventure: The Amazing Career of Afonso de Albuquerque, Captain-general and Governor of India (1509–1515)
https://books.google[...]
Blackie
1936
[23]
문서
Machado was left by Cabral's expedition of 1500 on the east-African coast to find the precise location of Ethiopia, and since then had made his way to Bijapur
[24]
서적
1936
[25]
서적
Lendas da Índia
Academia Real das Sciencias de Lisboa
1864
[26]
서적
2008
[27]
서적
2008
[28]
서적
2008
[29]
서적
1936
[30]
서적
2008
[31]
문서
Da Ásia
1973
[32]
서적
2008
[33]
서적
2008
[34]
문서
Albuquerque would later regret his harsh sentence of Rui Dias, and on his will directed 90 masses to be said for Rui Dias.
[35]
서적
2008
[36]
서적
Costa, Rodrigues 2008
[37]
서적
Sanceau 1936
[38]
서적
Costa, Rodrigues 2008
[39]
서적
Costa, Rodrigues 2008
[40]
서적
Cartas de Affonso de Albuquerque, seguidas de documentos que as elucidam
1884
[41]
서적
Cartas de Affonso de Albuquerque, seguidas de documentos que as elucidam
1884
[42]
서적
Costa, Rodrigues 2008
[43]
서적
Costa, Rodrigues 2008
[44]
서적
Costa, Rodrigues 2008
[45]
서적
Sanceau, 1936
[46]
서적
Décadas da Ásia
Imprensa Nacional-Casa da Moeda, Lisbon
1988
[47]
서적
Costa, Rodrigues 2008
[48]
서적
Sanceau, 1936
[49]
서적
Costa, Rodrigues 2008
[50]
서적
Costa, Rodrigues 2008
[51]
서적
Costa, Rodrigues 2008
[52]
서적
Costa, Rodrigues 2008
[53]
서적
Costa, Rodrigues 2008
[54]
서적
Costa, Rodrigues 2008
[55]
서적
Costa, Rodrigues 2008
[56]
서적
Costa, Rodrigues 2008
[57]
서적
Sanceau, 1936
[58]
서적
Sanceau, 1936
[59]
서적
Sanceau, 1936
[60]
서적
Conquerors: How Portugal Seized the Indian Ocean and Forged the First Global Empire
Faber & Faber
2015
[61]
서적
De Ceuta a Timor
https://books.google[...]
1994
[62]
서적
De Ceuta a Timor
https://books.google[...]
1994
[63]
서적
Conquerors: How Portugal Seized the Indian Ocean and Forged the First Global Empire
Faber & Faber
2015
[64]
서적
Sanceau, 1936
[65]
서적
A History of Portuguese Overseas Expansion 1400–1668
https://books.google[...]
[66]
서적
Sanceau, 1936
[67]
서적
De Ceuta a Timor
https://books.google[...]
1994
[68]
서적
Conquerors: How Portugal Seized the Indian Ocean and Forged the First Global Empire
Faber & Faber
2015
[69]
서적
Sanceau, 1936
[70]
서적
Sanceau, 1936
[71]
서적
""
2015
[72]
웹사이트
The commentaries of the great Afonso Dalboquerque, second viceroy of India
https://archive.org/[...]
Hakluyt Society
1875
[73]
서적
De Ceuta a Timor
https://books.google[...]
1994
[74]
서적
Conversions and citizenry: Goa under Portugal, 1510-1610
https://books.google[...]
[75]
서적
図譜 江戸時代の技術 下
恒和出版
1988
[76]
서적
Asia in the making of Europe
https://books.google[...]
[77]
서적
History of the Portuguese navigation in India, 1497-1600
https://books.google[...]
[78]
서적
A history of the two Indies
https://books.google[...]
[79]
문서
ポルトガルは当時、{{仮リンク|ポルトガル・マムルーク戦争|en|Portuguese–Mamluk naval war}}でマムルーク朝と戦争中。
[80]
웹사이트
Rulers of India: Albuquerque
http://www.heritage-[...]
Clarendon Press
1892
[81]
서적
Conversions and citizenry: Goa under Portugal, 1510-1610
https://books.google[...]
[82]
서적
Asia in the making of Europe
https://books.google[...]
[83]
서적
History of the Portuguese navigation in India, 1497-1600
https://books.google[...]
[84]
서적
A history of the two Indies
https://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