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지코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지코드는 인도 케랄라 주에 위치한 도시로, 고대 항구 틴디스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유서 깊은 지역이다. 중세 시대에는 자모린(사무티리)이 통치하는 독립 왕국의 수도였으며, 이후 영국 통치 하의 말라바르 지구의 수도였다. 1498년 바스코 다 가마가 코지코드에 상륙하면서 유럽과 인도 간 무역로가 열렸고, 캘리코 천의 어원이 되기도 했다. 현재는 케랄라의 주요 경제 중심지 중 하나로, 서비스업과 산업이 발달했으며, IIM 코지코드, NITC 등 교육 기관이 위치해 있다. 열대 몬순 기후를 보이며, 도로, 철도, 항공 교통이 발달했다. 또한 고쿠람 케랄라 FC와 같은 스포츠 팀의 연고지이며, 러시아의 트베리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의 도시 및 마을 - 뉴델리
뉴델리는 인도의 수도이자 델리 수도권에 위치한 도시로, 영국령 인도 제국 시대에 건설되어 인도 독립 후에도 수도 기능을 유지하며 주요 정부 기관과 외교 공관이 위치해 있지만, 대기 오염 및 교통 혼잡, 재개발 관련 사회적 논쟁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 인도의 도시 및 마을 - 아가르탈라
인도 트리푸라 주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인 아가르탈라는 기원전 1900년경부터 힌두 왕국의 수도였으며, 무굴 제국과 영국령 인도 시대를 거쳐 1874~75년 시로 승격 후 계획 도시로 재건, 1947년 인도 독립 이후 급속한 성장으로 다문화 도시가 되었으나, 교통 혼잡, 주택 부족, 환경 오염 등의 문제도 안고 있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코지코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위치 정보 | |
![]() | |
![]()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코지코드 |
다른 이름 | 칼리컷 |
별칭 | 향신료의 도시 (진실의 도시, 조각의 도시, 문학의 도시) |
국가 | 인도 |
주 | 케랄라 주 |
군 | 코지코드 군 |
시장 | 비나 필립 (인도 공산당 (마르크스주의)) |
행정관 | 스네힐 쿠마르 싱 (인도 행정 서비스) |
국회의원 | M. K. 라가반 (인도 국민 회의) |
경찰청장 | A. 아크바르 (인도 경찰 서비스) |
면적 | 118.58 제곱킬로미터 |
도시권 면적 | 518 제곱킬로미터 |
해발 고도 | 34.47 미터 |
인구 (2011년) | 609,224 명 |
도시권 인구 | 3,091,984 명 |
성비 | 1.093 여성/남성 |
문자 해독률 | 96.8% |
공용어 | 말라얄람어, 영어 |
시간대 | 인도 표준시 (IST) |
UTC 오프셋 | +5:30 |
우편 번호 | 673xxx |
지역 번호 | +91495xxxxxxx, +91496xxxxxxx |
차량 등록 번호 | KL 11, KL 18, KL 56, KL 57, KL 76, KL 77, KL 85, KLD & KLZ (역사적) |
GDP (2020년) | 207억 7300만 미국 달러 |
국제공항 | 캘리컷 국제공항 |
웹사이트 | 코지코드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코지코드라는 이름은 "요새화된 궁전"을 의미하는 '코일-코타'(요새)에서 유래되었다.[15] '코일' 또는 '코빌'은 힌두교 사원을 지칭하는 말라얄람어/타밀어 단어로, 탈리 시바 사원을 가리킨다.[16] 이 도시의 타밀어 이름은 칼리코타이다. 이 이름은 '콜리코드'로 변질되었고, 아랍어 버전인 '칼리쿠트'(IPA: qˠaːliqˠːuːtˤ)와 나중에는 영어식 버전인 캘리컷으로 변했다.[17][18] 중국인 상인들은 이곳을 '쿨리포'라고 불렀다. 코지코드 항구에서 수출된 고급 수제 면직물 종류인 캘리코라는 단어는 '캘리컷'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19]
13세기 경 코지코드와 그 교외 지역은 콜라투나두의 봉신국인 ''폴라나드'' 왕국의 일부였으며, ''포르라티리''가 통치했다.[41] 에라나드(말라푸람 지구) 콘도티의 네디이루푸 에라디들은 무역을 위해 바다로 나가는 출구를 원했고,[42] 48년간의 전투 끝에 판니얀카라 주변 지역을 정복했다. 이후 코지코드 마을은 탈리 궁전 근처에 세워졌고,[44] 에라디는 본부를 네디이루푸에서 코지코드로 옮겼다. 에르나드의 총독은 벨라푸람에 요새를 건설했는데, 이 요새는 아마도 코지코드의 전신인 ''코일 코타''의 이름을 빌렸을 것이다. 우다이아바르의 지위는 높아졌고, 그는 스와미 남비야티리 티루물파드로 알려졌으며, 결국 사무리 또는 사모티리(자모린)가 되었다.
자모린 통치 절정기에는 콜람(퀼론)에서 판탈라야니 콜람(코일란디)까지 지역을 통치했다.[45][17] 1498년 유럽에서 코지코드로 가는 해상 항로가 발견된 후, 포르투갈은 영토 확장을 시작했다.[46][47] 1502년 1월 제3차 포르투갈 함대와 코친 왕국 간의 제1차 칸나노르 전투는 주앙 다 노바와 칼리컷 자모린 해군 간 인도양에서 포르투갈 갈등의 시작이었다.[17] 1509년 2월 디우 전투에서 구자라트 술탄 마흐무드 베가다, 이집트 맘루크 부르지 술탄국, 베네치아 공화국과 오스만 제국의 지원을 받은 칼리컷 자모린 연합 함대의 패배는 포르투갈인의 향신료 무역과 인도양 지배의 시작이었다.[17] 쿤잘리 마라카르(함대 제독) 휘하 자모린 해군과 16세기 포르투갈 간 지속적인 전쟁은 코지코드의 무역 중심지로서 중요성을 감소시켰다. 쿤잘리 마라카르는 인도 해안 최초 해군 방어를 조직한 것으로 평가받는다.[51]
17세기 초 자모린은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도움으로 포르투갈을 몰아냈다. 1604년 11월 스티븐 반 데르 하겐 제독 휘하 네덜란드 함대가 코지코드에 도착, 코지코드와 조약을 체결했는데, 이는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가 인도 통치자와 체결한 최초 조약이었다.[53] 이 조약은 양측 간 상호 동맹을 규정, 포르투갈을 말라바르에서 몰아내도록 했다. 그 대가로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는 코지코드와 폰나니에서 무역 시설을 제공받았다.[52]
1615년, 윌리엄 킬링 선장 지휘하에 영국인이 코지코드에 도착하면서 케랄라에 영국인이 온 것이 기록되었다.[53] 토마스 로 경은 영국 사절로서 무굴 황제인 자항기르를 방문하기 위해 이 배들을 이용했다.[53] 트라반코어는 1755년 푸라카드 전투에서 코지코드의 자모린을 격파, 케랄라에서 가장 지배적인 국가가 되었다.[54] 코지코드는 18세기 말 마이소르의 말라바르 정복 이후 영국 통치하에 들어갔다.[53]
코지코드는 마드라스 관할 구역 말라바르 구 수도였다. 영국 통치 기간 동안 말라바르의 주요 중요성은 후추, 코코넛, 타일, 티크 생산에 있었다.[59] 코지코드 시는 영국령 인도 제국 마드라스 법 10조(1850년 타운 개선법 개정)에 따라 1866년 11월 1일에 설립되었으며,[60][61][62][63] 이는 이 주의 최초 현대적 시정촌이었다. 코지코드 시는 1962년에 코지코드 시립 법인으로 승격, 이 지역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시립 법인이 되었다.
코지코드에 대한 당시 도시와 상황 기록은 항구 도시를 방문한 여행가들 연대기에서 얻을 수 있다.
방문 시기 | 인물 | 국적 및 직업 | 주요 기록 |
---|---|---|---|
1342–1347 | 이븐 바투타 | 모로코 여행가 | "말라바르 지역의 훌륭한 항구 중 하나", "세계 각지에서 온 상인들이 이곳에 있다"고 기록.[37] |
1403 | 마환 | 명나라 정화 함대 소속 선원 | 전 세계 상인들이 자주 찾는 훌륭한 무역 중심지로 칭송. 20~30개의 모스크, 독특한 계산 시스템, 모계 상속 시스템에 주목.[38] |
1442–1443 | 압두르 라자크 | 페르시아 황제 샤-로크의 대사 | 도시 항구가 완벽하게 안전하며, 여러 해양 국가에서 온 귀중한 물품이 있다고 기록. |
1445 | 니콜로 데 콘티 | 이탈리아 상인 | 후추, 락, 생강 등 향신료가 풍부하며, 모든 인도를 위한 훌륭한 무역 중심지라고 기록. |
1468–1474 | 아파나시 니키틴 | 러시아 여행가 | 칼레쿠트를 모든 인도 바다의 항구라고 부르며, "큰 시장"이 있다고 기록. |
1503–1508 | 루도비코 디 바르테마 | 이탈리아 여행가 | [39] |
두아르테 바르보사 | 포르투갈 여행가 | [40] |
2. 1. 초기 역사
에리트레아 해 항해기에는 무지리스 북쪽에 위치한 고대 항구 틴디스가 언급되어 있는데, 이 항구는 코지코드 근처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22] 그러나 틴디스의 정확한 위치는 학자들 간에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22] 틴디스의 위치로 제안된 곳으로는 폰나니, 타누르, 베이포레-찰리얌-카달룬디-발리쿠누, 코일란디 등이 있다.[22] 틴디스는 체라스와 로마 제국 간의 주요 무역 중심지였으며, 무지리스 다음으로 중요한 항구였다.[23] 대 플리니우스(1세기 CE)는 ''틴디스'' 항구가 ''케프로보토스''(체라 왕조)의 북서쪽 경계에 위치했다고 기록했다.[24]상감 시대에 ''틴디스'' 항구 북쪽에 위치한 북 말라바르 지역은 에지말라 왕국이 통치했다.[22] ''에리트레아 해 항해기''에 따르면, ''리미리케''라고 알려진 지역은 ''나우라''와 ''틴디스''에서 시작되었다. 그러나 프톨레마이오스는 ''리미리케''의 시작점으로 ''틴디스''만 언급했다. 이 지역은 아마도 카냐쿠마리에서 끝났을 것이며, 따라서 현재의 말라바르 해안과 거의 일치한다. 당시 로마가 이 지역과 매년 거래한 가치는 약 50,000,000 세스테르티우스로 추정된다.[25][26] 대 플리니우스는 ''리미리케''가 해적의 공격을 받기 쉽다고 언급했다.[27] 코스마스 인디코플레우테스는 ''리미리케''가 후추 생산지라고 언급했다.[28][29]
14세기에 코지코드는 발루바나드 왕국의 지배를 받던 티루나바야 지역을 페룸바다푸 스와룸(코친) 왕으로부터 빼앗은 후 중앙 케랄라의 더 넓은 지역을 정복했다. 페룸바다푸의 통치자는 수도를 (c. CE 1405) 코둔갈루르에서 코치로 옮겨야만 했다. 15세기에 코친의 지위는 코지코드의 종속국으로 격하되었고, 이는 중세 말라바르 해안에서 코지코드가 가장 강력한 왕국으로 부상하는 결과로 이어졌다.[53]
코지코드 항구는 중세 케랄라 해안에서 경제적, 정치적으로 우월한 지위를 누렸으며, 칸누르, 콜람, 코치는 상업적으로 중요한 부두로서 전 세계 상인들이 모여드는 곳이었다.[33] 15세기에는 명나라 보선으로 알려진 중국 선박들이 코지코드를 여러 차례 방문했다.[34]
코지코드는 중세 시대에는 사무티리(자모린)가 통치하는 독립 왕국의 수도였고, 이후 영국 통치하의 옛 말라바르 지구의 수도였다. 아랍인 상인들은 7세기 초부터 이 지역과 교역을 했으며, 1498년 5월 20일 포르투갈 탐험가 바스코 다 가마가 코지코드에 상륙하면서 유럽과 인도 간의 무역로가 열렸다. 코지코드에는 포르투갈의 공장과 요새가 칼리컷의 함락까지 짧은 기간(1511–1525) 동안 존재했다. 영국 동인도 회사는 1615년에 상륙했고(1665년에 무역소를 건설), 뒤이어 프랑스 동인도 회사(1698)와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1752)가 상륙했다. 1765년, 마이소르 왕국은 말라바르 해안 점령의 일환으로 코지코드를 점령했다. 한때 유명한 면직물 제조 중심지였던 코지코드는 캘리코 천의 어원이 되었다.[35]
이븐 바투타(1342–1347)는 코지코드를 여섯 번 방문하여 이 도시의 삶을 엿볼 수 있게 해준다. 그는 코지코드를 "말라바르 지역의 훌륭한 항구 중 하나"로 묘사하며 "세계 각지에서 온 상인들이 이곳에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 지역의 왕이 "로마의 하이자리 파키르처럼 턱을 깎는다... 이 지역의 무슬림 상인들 중 상당수는 매우 부유하여 그들 중 한 명이 이곳에 놓인 모든 선박의 화물을 구매하고 그들과 같은 다른 선박을 갖출 수 있다"고 기록했다.[37]
마환(1403)은 정화 휘하의 중국 황실 함대에 소속된 중국인 선원으로,[38] 이 도시를 전 세계 상인들이 자주 찾는 훌륭한 무역 중심지로 칭송했다. 그는 무슬림의 종교적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건설된 20개 또는 30개의 모스크, 상인들이 손가락과 발가락을 사용하여 계산하는 독특한 시스템(오늘날까지 이어짐) 및 모계 상속 시스템에 주목했다.
압두르 라자크(1442–1443)는 페르시아 황제 샤-로크의 대사였는데, 도시 항구가 완벽하게 안전함을 발견하고 특히 아비시니아, 지르바드 및 잔지바르를 비롯한 여러 해양 국가에서 온 귀중한 물품을 발견했다.
이탈리아인 니콜로 데 콘티(1445)는 코지코드를 주목한 최초의 기독교 여행가일 수 있는데, 이 도시에 후추, 락, 생강, 더 큰 종류의 계피, 미로발란 및 제도리가 풍부하다고 묘사한다. 그는 이곳을 모든 인도를 위한 훌륭한 무역 중심지라고 부르며, 둘레가 약 12.87km라고 언급했다.
러시아 여행가 아파나시 니키틴(1468–1474)은 '칼레쿠트'를 모든 인도 바다의 항구라고 부르며 "큰 시장"이 있다고 묘사했다.
코지코드를 방문한 다른 여행가로는 이탈리아인 루도비코 디 바르테마(1503–1508)[39]와 두아르테 바르보사가 있다.[40]
2. 2. 중세 시대
에리트레아 해 항해기에 언급된 무지리스 북쪽에 위치한 고대 항구 틴디스는 코지코드 근처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22] 정확한 위치는 논쟁의 여지가 있는데, 폰나니, 타누르, 베이포레-찰리얌-카달룬디-발리쿠누, 코일란디 등이 거론된다.[22] 틴디스는 체라스와 로마 제국 간의 주요 무역 중심지였으며, 무지리스 다음으로 컸다.[23] 대 플리니우스(1세기 CE)는 ''틴디스'' 항구가 ''케프로보토스''(체라 왕조)의 북서쪽 경계에 위치했다고 언급했다.[24]
''틴디스'' 항구 북쪽에 위치한 북 말라바르 지역은 상감 시대에 에지말라 왕국이 통치했다.[22] ''에리트레아 해 항해기''에 따르면, ''리미리케''라고 알려진 지역은 ''나우라''와 ''틴디스''에서 시작되었다. 그러나 프톨레마이오스는 ''리미리케''의 시작점으로 ''틴디스''만 언급한다. 이 지역은 아마도 카냐쿠마리에서 끝났을 것이며, 따라서 현재의 말라바르 해안과 대략 일치한다. 로마가 이 지역과 매년 거래한 가치는 약 로 추정된다.[25][26] 대 플리니우스는 ''리미리케''가 해적의 영향을 받기 쉽다고 언급했다.[27] 코스마스 인디코플레우테스는 ''리미리케''가 후추의 원산지라고 언급했다.[28][29]
14세기에 코지코드는 발루바나드 왕국의 지배를 받던 티루나바야 지역을 페룸바다푸 스와룸(코친) 왕으로부터 빼앗은 후 중앙 케랄라의 더 넓은 지역을 정복했다. 페룸바다푸의 통치자는 수도를 (c. CE 1405) 코둔갈루르에서 코치로 옮길 수밖에 없었다. 15세기에 코친의 지위는 코지코드의 종속국으로 격하되었고, 중세 말라바르 해안에서 코지코드가 가장 강력한 왕국으로 부상하는 결과를 낳았다.[53]
15세기에는 칼라리파얏이 말라바르의 역사에서 중요했으며, 특히 무술의 수장인 ''푸토람 베에틸'' 아로말 체카바르와 그의 여동생 운니야르차가 유명했다.[30][31][32]
코지코드의 항구는 중세 케랄라 해안에서 우수한 경제적, 정치적 지위를 유지했으며, 칸누르, 콜람, 코치는 상업적으로 중요한 부두로, 전 세계에서 온 상인들이 모였다.[33] 15세기에 코지코드는 명나라 보선으로 알려진 중국 선박의 방문을 여러 차례 받았다.[34]
코지코드는 중세 시대에는 사무티리(자모린)가 통치하는 독립 왕국의 수도였고, 이후 영국 통치하의 옛 말라바르 지구의 수도였다. 아랍인 상인들은 7세기 초부터 이 지역과 교역을 했으며, 포르투갈 탐험가 바스코 다 가마는 1498년 5월 20일 코지코드에 상륙하여 유럽과 인도 간의 무역로를 열었다. 포르투갈의 공장과 요새는 코지코드에 짧은 기간(1511–1525, 칼리컷의 함락까지) 동안 존재했다. 영국 동인도 회사는 1615년에 상륙했고(1665년에 무역소를 건설), 뒤이어 프랑스 동인도 회사(1698)와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1752)가 상륙했다. 1765년, 마이소르 왕국은 말라바르 해안 점령의 일환으로 코지코드를 점령했다. 한때 유명한 면직물 제조 중심지였던 코지코드는 캘리코 천의 이름이 되었다.[35]
다음은 코지코드를 방문한 여행가들의 기록이다.
- 이븐 바투타(1342–1347)는 여섯 번 방문했는데, 코지코드의 삶을 가장 먼저 엿볼 수 있게 해준다. 그는 코지코드를 "말라바르 지역의 훌륭한 항구 중 하나"로 묘사하며 "세계 각지에서 온 상인들이 이곳에 있다"고 말한다. 그는 이 지역의 왕이 "로마의 하이자리 파키르처럼 턱을 깎는다... 이 지역의 무슬림 상인들 중 상당수는 매우 부유하여 그들 중 한 명이 이곳에 놓인 모든 선박의 화물을 구매하고 그들과 같은 다른 선박을 갖출 수 있다"고 말한다.[37]
- 마환(1403)은 정화 휘하의 중국 황실 함대에 소속된 중국인 선원으로,[38] 이 도시를 전 세계의 상인들이 자주 찾는 훌륭한 무역 중심지로 칭송했다. 그는 무슬림의 종교적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건설된 20개 또는 30개의 모스크, 상인들이 손가락과 발가락을 사용하여 계산하는 독특한 시스템(오늘날까지 이어짐) 및 모계 상속 시스템에 주목한다.
- 압두르 라자크(1442–1443) 페르시아 황제 샤-로크의 대사는 도시 항구가 완벽하게 안전함을 발견하고 특히 아비시니아, 지르바드 및 잔지바르를 비롯한 여러 해양 국가에서 온 귀중한 물품을 발견한다.
- 이탈리아인 니콜로 데 콘티(1445)는 코지코드를 주목한 최초의 기독교 여행가일 수 있는데, 이 도시에 후추, 락, 생강, 더 큰 종류의 계피, 미로발란 및 제도리가 풍부하다고 묘사한다. 그는 이곳을 모든 인도를 위한 훌륭한 무역 중심지라고 부르며, 둘레가 13km이다.
- 러시아 여행가 아타나시우스 니키틴 또는 아파나시 니키틴(1468–1474)은 '칼레쿠트'를 모든 인도 바다의 항구라고 부르며 "큰 시장"이 있다고 묘사한다.
- 코지코드를 방문한 다른 여행가로는 이탈리아인 루도비코 디 바르테마[39](1503–1508)와 두아르테 바르보사가 있다.[40]
코지코드와 그 교외 지역은 북 말라바르의 콜라투나두의 봉신국인 ''폴라나드'' 왕국의 일부를 형성했으며, ''포르라티리''가 통치했다.[41] 에라나드(말라푸람 지구)의 콘도티에 있는 네디이루푸의 에라디들은 무역과 상업을 시작하기 위해 바다로 통하는 출구를 원했다.[42] 48년 동안 폴라티리 왕과 싸운 후 판니얀카라 주변 지역을 정복했다. 그 후 메노키가 ''폴라나드''의 통치자가 되어 군대와 백성과 합의했다.[43] 이후, 코지코드 마을은 탈리 궁전 근처에 세워졌다.[44] 그 후, 에라디는 본부를 네디이루푸에서 코지코드로 옮겼다. 에르나드의 총독은 새로운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벨라푸람이라는 곳에 요새를 건설했다. 이 요새는 아마도 코지코드의 전신인 ''코일 코타''의 이름을 빌려왔을 것이다. 따라서 이 도시는 13세기에 생겨났다. 우다이아바르의 지위는 높아졌고, 그는 스와미 남비야티리 티루물파드로 알려졌고, 결국 사무리 또는 사모티리(자모린)가 되었다. 유럽인들은 그를 왜곡된 형태로 자모린이라고 불렀다.
자모린은 통치 절정기에 콜람(퀼론)에서 판탈라야니 콜람(코일란디)까지의 지역을 통치했다.[45][17] 1498년 유럽에서 코지코드로 가는 해상 항로가 발견된 후, 포르투갈은 영토를 확장하기 시작하여 오르무스와 말라바르 해안 사이, 그리고 실론 남쪽의 바다를 지배했다.[46][47] 칼링갈 마다틸 라리찬 무판과 풀람빌 무판, 바말라 무판 가문은 2세기 전에 코지코드의 일부 젠미들이 해상 무역과 해운에 종사했다고 말한 사람들 중에서 매우 두드러졌다.[48][49]
K.V. 크리슈나 아이예르에 따르면, 코지코드의 부상은 케랄라에서 자모린의 부상의 원인이자 결과였다. 15세기 말까지 자모린은 그의 권력의 정점에 있었으며 코치의 북쪽 케랄라의 모든 왕자와 추장이 그의 종주권을 인정했다.[50] 스위트미트 거리(''미타이 테루부'')는 자모린 통치 하에 중요한 무역 거리였다.
1502년 1월 제3차 포르투갈 함대와 코친 왕국 간의 제1차 칸나노르 전투는 주앙 다 노바와 칼리컷의 자모린 해군이 인도양에서 포르투갈의 갈등의 시작을 알렸다.[17] 1509년 2월 디우 전투에서 구자라트 술탄 마흐무드 베가다, 이집트 맘루크 부르지 술탄국, 그리고 베네치아 공화국과 오스만 제국의 지원을 받은 칼리컷의 자모린 연합 함대의 패배는 포르투갈인의 향신료 무역과 인도양 지배의 시작을 알렸다.[17] 쿤잘리 마라카르(함대 제독) 휘하의 자모린 해군과 16세기에 포르투갈 간의 지속적인 전쟁은 코지코드의 무역 중심지로서의 중요성을 감소시켰다. 쿤잘리 마라카르는 인도 해안의 최초 해군 방어를 조직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51]
17세기 초 자모린은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도움으로 포르투갈을 몰아냈다. 1602년 자모린은 아체에 메시지를 보내 네덜란드인들이 와서 무역을 한다면 코지코드에 요새를 지어주겠다고 약속했다. 두 명의 요원인 한스 데 울프와 라퍼가 아체에서 아시아 선박을 타고 파견되었지만, 두 사람은 타누르의 족장에 의해 체포되어 포르투갈로 넘겨졌다.[52] 스티븐 반 데르 하겐 제독 휘하의 네덜란드 함대가 1604년 11월 코지코드에 도착했다. 이는 케랄라에서 네덜란드의 존재를 알리는 시작이었으며, 그들은 1604년 11월 11일 코지코드와 조약을 체결했는데, 이는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가 인도 통치자와 체결한 최초의 조약이기도 했다.[53] 이 무렵 코지코드 왕국과 항구는 그 중요성이 크게 줄어들었다.[52] 이 조약은 양측 간의 상호 동맹을 규정하여 포르투갈을 말라바르에서 몰아내도록 했다. 그 대가로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는 코지코드와 폰나니에서 무역을 위한 시설, 넓은 창고를 포함한 시설을 제공받았다.[52]
2. 3. 포르투갈 시대
에리트레아 해 항해기(1세기 CE)에 언급된 무지리스 북쪽의 고대 항구 틴디스는 코지코드 근처로 추정된다.[22] 그러나 정확한 위치는 논쟁의 여지가 있으며, 폰나니, 타누르, 베이포레-찰리얌-카달룬디-발리쿠누, 코일란디 등이 후보지로 제안된다.[22] 틴디스는 체라스와 로마 제국 간의 주요 무역 중심지였으며, 무지리스 다음으로 컸다.[23] 대 플리니우스(1세기 CE)는 ''틴디스'' 항구가 ''케프로보토스''(체라 왕조)의 북서쪽 경계에 있다고 언급했다.[24]''틴디스'' 항구 북쪽의 북 말라바르 지역은 상감 시대에 에지말라 왕국이 통치했다.[22] ''에리트레아 해 항해기''에 따르면, ''리미리케''는 ''나우라''와 ''틴디스''에서 시작되었다. 그러나 프톨레마이오스는 ''리미리케''의 시작점으로 ''틴디스''만 언급했다. 이 지역은 아마도 카냐쿠마리에서 끝났을 것이며, 현재의 말라바르 해안과 대략 일치한다. 로마가 이 지역과 매년 거래한 가치는 약 로 추정된다.[25][26] 대 플리니우스는 ''리미리케''가 해적의 영향을 받기 쉽다고 언급했다.[27] 코스마스 인디코플레우테스는 ''리미리케''가 후추의 원산지라고 언급했다.[28][29]
14세기에 코지코드는 발루바나드 왕국의 티루나바야 지역을 페룸바다푸 스와룸(코친) 왕으로부터 빼앗은 후 중앙 케랄라의 더 넓은 지역을 정복했다. 페룸바다푸의 통치자는 수도를 (c. CE 1405) 코둔갈루르에서 코치로 옮겼다. 15세기에 코친의 지위는 코지코드의 종속국으로 격하되었고, 중세 말라바르 해안에서 코지코드가 가장 강력한 왕국으로 부상했다.[53]
코지코드 항구는 중세 케랄라 해안에서 우수한 경제적, 정치적 지위를 유지했으며, 칸누르, 콜람, 코치는 상업적으로 중요한 부두로, 전 세계 상인들이 모였다.[33] 15세기에는 명나라 보선으로 알려진 중국 선박의 방문을 여러 차례 받았다.[34]
코지코드는 중세 시대 사무티리(자모린)가 통치하는 독립 왕국의 수도였고, 이후 영국 통치하의 옛 말라바르 지구의 수도였다. 아랍인 상인들은 7세기 초부터 이 지역과 교역했으며, 바스코 다 가마는 1498년 5월 20일 코지코드에 상륙하여 유럽과 인도 간의 무역로를 열었다.
포르투갈의 공장과 요새는 코지코드에 짧은 기간 (1511–1525, 칼리컷의 함락까지) 동안 존재했다. 영국 동인도 회사는 1615년에 상륙했고 (1665년에 무역소를 건설), 뒤이어 프랑스 동인도 회사(1698)와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1752)가 상륙했다. 1765년, 마이소르 왕국은 말라바르 해안 점령의 일환으로 코지코드를 점령했다.
대항해 시대 무렵, 무슬림 상인이 칼리컷이라고 부른 기항지로, 여행가 이븐 바투타도 들렀다. 1407년에는 명나라의 정화가 코지코드(구리)에 기항했다. 1498년, 아프리카 동해안의 말린디를 출발한 바스쿠 다 가마가 내항했고, 그 후 네덜란드와 영국이 지배했다.
2. 4. 네덜란드와 영국 시대
에리트레아 해 항해기에 언급된 무지리스 북쪽의 고대 항구 틴디스는 코지코드 근처로 추정된다.[22] 틴디스의 정확한 위치는 논쟁의 여지가 있는데, 폰나니, 타누르, 베이포레-찰리얌-카달룬디-발리쿠누, 코일란디 등이 후보지로 제안되었다.[22] 틴디스는 체라스와 로마 제국 간의 주요 무역 중심지였으며, 무지리스 다음으로 컸다.[23] 대 플리니우스(1세기 CE)는 ''틴디스'' 항구가 ''케프로보토스'' (체라 왕조)의 북서쪽 경계에 위치했다고 언급했다.[24]14세기에 코지코드는 발루바나드 왕국의 지배를 받던 티루나바야 지역을 페룸바다푸 스와룸(코친) 왕으로부터 빼앗은 후 중앙 케랄라의 더 넓은 지역을 정복했다. 페룸바다푸의 통치자는 수도를 코둔갈루르에서 코치로 옮길 수밖에 없었다. 15세기에 코친의 지위는 코지코드의 종속국으로 격하되었고, 중세 말라바르 해안에서 코지코드가 가장 강력한 왕국으로 부상했다.[53]
코지코드는 중세 시대에는 사무티리(자모린)가 통치하는 독립 왕국의 수도였고, 이후 영국 통치하의 옛 말라바르 지구의 수도였다. 아랍인 상인들은 7세기 초부터 이 지역과 교역을 했으며, 포르투갈 탐험가 바스코 다 가마는 1498년 5월 20일 코지코드에 상륙하여 유럽과 인도 간의 무역로를 열었다. 영국 동인도 회사는 1615년에 상륙했고(1665년에 무역소를 건설), 뒤이어 프랑스 동인도 회사(1698)와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1752)가 상륙했다. 1765년, 마이소르 왕국은 말라바르 해안 점령의 일환으로 코지코드를 점령했다. 한때 유명한 면직물 제조 중심지였던 코지코드는 캘리코 천의 이름이 되었다.[35]
1615년, 윌리엄 킬링 선장의 지휘하에 세 척의 배를 이끌고 코지코드에 영국인이 도착하면서 케랄라에 영국인이 온 것이 기록되었다.[53] 토마스 로 경은 영국 사절로서 네 번째 무굴 황제인 자항기르를 방문하기 위해 이 배들을 이용했다.[53] 코지코드는 18세기 말 마이소르의 말라바르 정복 이후 영국 통치하에 들어갔다.[53]
코지코드는 마드라스 관할 구역의 서부 해안(말라바르 해안)에 위치한 두 구역 중 하나인 말라바르 구의 수도였다. 영국 통치 기간 동안 말라바르의 주요 중요성은 후추, 코코넛, 타일, 티크 생산에 있었다.[59]
2. 5. 독립 이후
에리트레아 해 항해기(1세기)에 언급된 무지리스 북쪽의 고대 항구 틴디스는 코지코드 근처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나,[22] 정확한 위치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22] 폰나니, 타누르, 베이포레-찰리얌-카달룬디-발리쿠누, 코일란디 등이 후보지로 거론된다.[22] 틴디스는 체라스와 로마 제국 간의 주요 무역 중심지였으며, 무지리스 다음으로 컸다.[23] 대 플리니우스(1세기)는 ''틴디스'' 항구가 ''케프로보토스''(체라 왕조)의 북서쪽 경계에 위치했다고 언급했다.[24]
14세기에 코지코드는 발루바나드 왕국의 지배를 받던 티루나바야 지역을 페룸바다푸 스와룸(코친) 왕으로부터 빼앗은 후 중앙 케랄라의 더 넓은 지역을 정복했다. 페룸바다푸의 통치자는 수도를 (c. CE 1405) 코둔갈루르에서 코치로 옮길 수밖에 없었다. 15세기에 코친의 지위는 코지코드의 종속국으로 격하되었고, 중세 말라바르 해안에서 코지코드가 가장 강력한 왕국으로 부상하는 결과를 낳았다.[53] 15세기에는 칼라리파얏이 말라바르의 역사에서 중요했으며, 특히 무술의 수장인 ''푸토람 베에틸'' 아로말 체카바르와 그의 여동생 운니야르차가 유명했다.[30][31][32]
코지코드의 항구는 중세 케랄라 해안에서 우수한 경제적, 정치적 지위를 유지했으며, 칸누르, 콜람, 코치는 상업적으로 중요한 부두로, 전 세계에서 온 상인들이 모였다.[33]
코지코드는 중세 시대에는 사무티리(자모린)가 통치하는 독립 왕국의 수도였고, 이후 영국 통치하의 옛 말라바르 지구의 수도였다. 아랍인 상인들은 7세기 초부터 이 지역과 교역을 했으며, 포르투갈 탐험가 바스코 다 가마는 1498년 5월 20일 코지코드에 상륙하여 유럽과 인도 간의 무역로를 열었다. 포르투갈의 공장과 요새는 코지코드에 짧은 기간 (1511–1525, 칼리컷의 함락까지) 동안 존재했다. 영국 동인도 회사는 1615년에 상륙했고 (1665년에 무역소를 건설), 뒤이어 프랑스 동인도 회사(1698)와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1752)가 상륙했다. 1765년, 마이소르 왕국은 말라바르 해안 점령의 일환으로 코지코드를 점령했다. 한때 유명한 면직물 제조 중심지였던 코지코드는 캘리코 천의 이름이 되었다.[35]
3. 지리
코지코드는 열대 몬순 기후(쾨펜 기후 구분 ''Am'')를 보인다. 4월 즈음에는 우기 전의 짧은 망고 샤워가 내린다. 주된 강수량은 6월 첫째 주에 시작되어 9월까지 이어지는 남서 몬순에 의한 것이며, 10월 하반기부터 11월까지는 북동 몬순의 영향으로 상당한 강수량을 보인다. 겨울(12월~2월)이 여름(6월~8월)보다 더 따뜻하며, 봄(3월~5월)이 가장 덥다.[64][65][66]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C) | 32.9°C | 33.6°C | 34°C | 34°C | 32.9°C | 30°C | 29°C | 29.2°C | 30.2°C | 30.9°C | 31.9°C | 32.4°C | 31.8°C |
평균 최저 기온 (°C) | 22.1°C | 23°C | 24.7°C | 25.4°C | 25.1°C | 23.4°C | 22.9°C | 23.1°C | 23.3°C | 23.3°C | 23.2°C | 22.4°C | 23.5°C |
평균 강수량 (mm) | 3mm | 3.8mm | 26.6mm | 84.7mm | 198.3mm | 706.6mm | 689.4mm | 428.2mm | 295.5mm | 321.8mm | 134.4mm | 35.3mm | 2927.5mm |
평균 강우 일수 | 0.2 | 0.4 | 1.2 | 4.2 | 8.8 | 22.2 | 23.6 | 18.8 | 13.4 | 12.6 | 6.6 | 1.4 | 113.4 |
평균 상대 습도 (%) | 57 | 56 | 61 | 66 | 70 | 81 | 82 | 81 | 77 | 78 | 73 | 62 | 70 |
3. 1. 기후
코지코드는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열대 몬순 기후(Am)를 보인다. 4월경에는 우기 전 짧은 망고 샤워가 내린다. 주된 강수량은 6월 첫째 주에 시작되어 9월까지 이어지는 남서 몬순에 의한 것이다. 10월 하반기부터 11월까지는 북동 몬순의 영향으로 상당한 강수량을 보인다. 겨울(12월~2월)이 여름(6월~8월)보다 더 따뜻하며, 봄(3월~5월)이 가장 덥다.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C) | 33°C | 33.5°C | 34.2°C | 34.4°C | 33.7°C | 30.6°C | 29.6°C | 29.8°C | 30.9°C | 31.8°C | 32.6°C | 32.9°C | 32.3°C |
평균 최저 기온 (°C) | 23.1°C | 24.1°C | 25.7°C | 26.5°C | 26.3°C | 24.4°C | 23.8°C | 24°C | 24.3°C | 24.4°C | 24.3°C | 23.2°C | 24.5°C |
평균 강수량 (mm) | 1.6mm | 4.8mm | 14.6mm | 83.5mm | 223.5mm | 782.9mm | 750mm | 432.6mm | 273.3mm | 302.6mm | 120.4mm | 21.9mm | 3011.9mm |
평균 강우 일수 | 0.1 | 0.3 | 1.0 | 4.1 | 9.0 | 23.1 | 24.3 | 19.1 | 12.3 | 11.6 | 6.0 | 1.5 | 112.3 |
평균 상대 습도 (%) | 64 | 65 | 68 | 70 | 74 | 84 | 87 | 85 | 81 | 78 | 73 | 66 | 75 |
자료 출처 1: 인도 기상청 (평년값: 1991년~2020년, 극값: 1901년~2020년)[111][112][113]
자료 출처 2: 일본 기상청[114]
4. 인구
지방 자치 단체 관할 구역 내 총 인구는 550,440명이다.[69] 남성은 47.7%, 여성은 52.3%를 차지한다. 2011년 현재 인구는 43만 명이지만,[107] 도시권까지 포함한 인구는 203만 명에 달한다.[108]
코지코드는 초기 중세 시대부터 다민족, 다종교 도시였다. 가장 큰 종교 집단은 힌두교이며, 이슬람교와 기독교가 그 뒤를 잇는다.[70] 2011년 기준으로 힌두교는 인구의 57.37%(315,807명),[69] 이슬람교는 37.66%(207,298명)이다.[71]
코지코드 시의 평균 문맹률은 96.8%이다.[10] (전국 평균은 74.85%). 남성 문맹률은 97.93%, 여성 문맹률은 95.78%이다.[10]
2011년 기준, 인구의 97.64%가 말라얄람어를 사용하고 0.91%가 타밀어를 모국어로 사용한다.[80]
5. 행정
코지코드는 시장이 이끄는 코지코드 시(市) 행정부에 의해 관리된다. 행정 편의를 위해 도시는 75개의 구[81]로 나뉘며, 각 구에서 선출된 시 의회 의원들이 5년 임기로 활동한다. 최근 베이포르, 엘라투르, 체루반누르 및 날랄람 등 인접 교외 지역이 시(市) 행정부에 통합되었다.
코지코드 시(市) 행정부 | |
---|---|
시장 | 비나 필립 |
부시장 | 무사파르 아흐메드 |
국회의원 | M.K. 라가반 |
지구장 | 스리. 나라심후가리 T L 레디 IAS |
경찰청장 | 스리 라지팔 미나 IPS |
코지코드 시(市) 행정부는 케랄라 주(州) 창설 이후 최초의 도시 행정부로, 1962년에 설립되었다. 초대 시장은 H. 만주나타 라오였다. 코지코드 시는 코지코드 북부, 코지코드 남부, 베이포르, 엘라투르의 4개 의회 선거구로 구성되며, 이들은 모두 코지코드에 속한다.[82]
일련번호 | 정당명 | 정당 기호 | 시의원 수 |
---|---|---|---|
01 | LDF | 49 | |
02 | UDF | 14 | |
03 | BJP | ![]() | 07 |
04 | 무소속 | 05 | |
5. 1. 사법 및 치안
코지코드 시 경찰은 인도 경찰 서비스(IPS) 소속의 경찰청장이 지휘한다. 시는 각각 순경의 관할 하에 6개 구역으로 나뉜다. 일반적인 치안 외에도 시 경찰은 교통 경찰, 폭탄 처리반, 경찰견반, 지문 감식국, 여성 보호과, 청소년과, 마약과, 기동대, 무장 예비대, 지구 범죄 기록국, 여성 경찰서를 포함한다.[83] 이들은 케랄라 주 정부의 내무부 산하에 있는 16개의 경찰서를 운영한다.6. 경제
코지코드는 케랄라에서 가장 큰 경제 중심지 중 하나이다. 서비스 부문이 경제를 지배하고 있으며 그 뒤를 산업이 따르고 있다. 아푸 네둥가디가 1899년 코지코드에 설립한 네둥가디 은행은 현대 케랄라 주 최초이자 가장 오래된 은행이었다(현재 펀자브 국립 은행과 합병됨).[88][89] 케랄라 주 정부 기관인 사이버파크는 케랄라의 말라바르 지역의 IT 및 ITES 산업 투자를 촉진하고 개발하기 위해 IT 파크를 건설, 운영 및 관리할 계획이다. 이는 케랄라 주에서 세 번째 IT 허브가 될 것이다. 두 개의 IT 파크는 총 100,000개의 직접적인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 첫 번째 프로젝트는 코지코드에 사이버파크 허브를 개발하고 칸누르 및 카자르고데 IT 파크에 스포크를 설치하는 것이다. 다른 계획된 프로젝트에는 빌라 IT 파크(마부르)와 말레이시아 위성 도시(키날루르)가 있으며, KINFRA는 여기에 400ha 규모의 산업 단지를 건설할 계획이다. 2012년 코지코드는 도시 주변의 건축 조각품으로 인해 "조각 도시"(실파 나가람)라는 칭호를 받았다.[90][91] 현재 UL 사이버파크, 정부 사이버파크 및 하일라이트 비즈니스 파크에서 많은 IT 회사가 운영되고 있다.
7. 문화
코지코드는 상업이 발달한 도시이다. 주요 상업 지구는 한때 기차역 근처의 '발리양가디'(빅 바자)였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미타이 테루부' (스위트미트 스트리트 또는 S. M. 스트리트)로 중심지가 이동했다. 이 거리는 사리에서 화장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상품을 판매하는 상점, 레스토랑, 스위트미트 상점으로 가득하다. 오늘날 코지코드에는 포커스 몰(케랄라 최초의 쇼핑몰), 하이라이트 몰,[92] 고쿠람 몰, 어드레스 몰, RP 몰 등 여러 쇼핑몰이 있으며,[93] LuLu Group International의 루루 몰이 만카부에서 운영을 시작했다.
코지코드에서는 연례 문화 축제인 말라바르 마호차밤이 열린다.[94] 또한 1981년부터 매년 ത്യാഗരാജ आराधना 트러스트가 ത്യാഗരാജ를 기리는 5일간의 음악 축제를 개최해왔다. 이 축제에서는 우치바르티(Uncchavritti), 디비야나마 크리티(Divyanama kritis) 연주, 판차라트나 크리티(Pancharatna Kriti)를 비롯해 전문 음악가와 음악 학생들의 콘서트가 아침부터 늦은 저녁까지 진행된다.[95]
코지코드는 가잘과 힌두스탄 고전 음악에 대한 이해와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많은 말라얄람어 가잘이 이곳에서 나왔다. 코지코드 출신의 영화 감독이자 플레이백 가수였던 고 M. S. 바부라지는 가잘과 힌두스탄 음악의 영향을 받았다.[96]
7. 1. 미디어
코지코드에서 신문 발행은 1879년 영문 주간지 ''West Coast Spectator''의 창간으로 시작되었다. 키스 박사가 편집하고 Spectator Press에서 바킬 푸바단 라만이 인쇄한 이 신문은 후년에 ''Malabar Spectator''로 이름이 바뀌었다. 코지코드에서 최초의 말라얄람어 신문은 1884년 첸갈라투 쿤히라마 메논이 창간한 ''케랄라 파트리카''였다. ''Keralam'', ''케랄라 상차리'' 및 ''바라티바삼''은 19세기에 코지코드에서 발행된 다른 신문 중 일부였다. 인도 독립 운동에 기여한 주요 신문 중 일부인 ''마트루부미''와 ''미타바디''는 코지코드에 기반을 두었다.[97][98] 현재는 거의 모든 주요 말라얄람어 신문이 코지코드판을 발행하고 있다. ''더 힌두''와 ''더 뉴 인디언 익스프레스''와 같은 영문 신문도 코지코드판을 발행한다.
전인도 라디오의 코지코드 라디오 방송국은 두 개의 송신기(코지코드 AM(100킬로와트)과 코지코드 FM [비비드 바라티](10킬로와트))를 가지고 있다. 민간 FM 라디오 방송국으로는 Malayala Manorama Co. Ltd.가 운영하는 라디오 망고 91.9, Entertainment Network India Ltd.가 운영하는 라디오 미르치, Mathrubhumi 그룹이 운영하는 클럽 FM 104.8 및 SUN 네트워크의 레드 FM 93.5가 있다. AIR FM 라디오 방송국은 코지코드 - 103.6 MHz이다. AIR MW 라디오 방송국은 코지코드 - 684 kHz이다.
코지코드에서는 1984년 7월 3일부터 텔레비전 송신기가 작동하여 델리와 티루바난타푸람의 두르다르샨 프로그램을 중계하고 있다. 두르다르샨은 코지코드 의과대학에 방송 센터를 두고 있다. 코지코드에 기반을 둔 말라얄람어 채널로는 샬롬 텔레비전, 다르샤나 TV, 미디어 원 TV가 있다. 마노라마 뉴스, 아시아넷, 수르야 TV, 카이랄리 TV, 암리타 TV, 지반 TV, 자이힌드 등 말라얄람어의 모든 주요 채널이 이 도시에 스튜디오와 뉴스 지국을 두고 있다.
위성 텔레비전 서비스는 DD Direct+, 디시 TV, 선 다이렉트 DTH, 타타 스카이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아시아넷 디지털 TV는 ACV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매일 도시 뉴스를 방송한다. 스파이더넷은 또 다른 지역 채널이다. 다른 지역 운영업체로는 KCL과 시티넷이 있다.
칼리컷 프레스 클럽은 1970년에 설립되었다. 이 클럽은 인쇄 및 전자 미디어 활동의 중추 역할을 한다. 약 70명의 회원으로 시작된 이 프레스 클럽은 현재 280명 이상의 회원을 보유한 주에서 권위 있고 경계심 많은 미디어 센터가 되었다.[99]
8. 교육
인도 경영 연구소 코지코드(IIMK)와 칼리컷 국립 공과 대학(NITC)는 코지코드에 있는 전국적으로 중요한 두 개의 주요 교육 기관이다. 코지코드에는 국방 조선 연구 개발 연구소[101], 인도 향신료 연구소(IISR)[102], 수자원 개발 및 관리 센터(CWRDM), 국립 전자 및 정보 기술 연구소(NIELIT)와 같은 다른 연구 기관도 있다.[103]
칼리컷 대학교는 케랄라에서 가장 큰 대학교이며, 칼리컷에서 남쪽으로 약 24km 떨어진 텐지팔람에 있다. 1968년에 설립된 이 대학교는 케랄라에서 두 번째로 설립된 대학교이다. 이 지역의 고등 교육을 제공하는 대부분의 대학은 이 대학교에 소속되어 있다.[104] 칼리컷 의과대학은 1957년에 케랄라에서 두 번째로 설립된 의과대학으로, 이후 주의 주요 의학 교육 센터로 성장했다. 현재는 학부 과정에 연간 250명의 지원자를 받는 주에서 가장 큰 의학 연구소이다.
벨리마두쿤누에 위치한 코지코드 정부 법과대학은 케랄라 주 정부 소유이며 칼리컷 대학교에 소속되어 있다. 1970년에 설립된 케랄라 주에서 세 번째 법과대학으로 케랄라 북부 말라바르 지역의 교육 수요를 충족시킨다.
칼리컷 시의 주요 대학은 다음과 같다.
9. 교통
코지코드의 교통 체계는 도로, 철도, 항공 등 다양한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코지코드 구의 교통 문서 참조.
9. 1. 도로
국도 66호선은 코지코드를 북쪽으로는 망갈로르, 우두피, 고아를 거쳐 뭄바이와 연결하고, 남쪽으로는 코치와 칸야쿠마리를 티루바난타푸람 근처의 인도 서해안을 따라 연결한다. 이 고속도로는 카사라코드, 칸항가드, 칸누르, 탈라세리, 마헤, 바다카라, 코일란디[84], 라마난투카라, 코타칼, 발란체리, 쿠티푸람, 폰나니, 코둥갈루르, 노스 파라부르, 에르나쿨람, 에다팔리를 지나 알라푸자, 티루바난타푸람으로 이어져 인도 최남단 칸야쿠마리에서 끝난다.국도 766호선은 카르나타카의 콜레갈을 경유하여 티루마쿠달 나르시푸르, 마이소르, 난장구드, 군들루페트, 술탄 바테리, 칼페타 및 타마라세리를 통해 코지코드를 방갈로르와 연결한다.
국도 966호선은 말라푸람과 페린탈만나를 통해 코지코드를 팔라카드와 연결한다. 총 125km의 거리를 운행하며, 코지코드 교외인 라마난투카라에서 국도 66호선에 합류한다. 콘도티, 페린탈만나, 만나르카드 및 말라푸람과 같은 주요 도시를 통과하며, 이 구간은 도시와 칼리컷 국제공항을 연결한다.
SH 29는 이 도시를 통과하며, 국도 766호선, 말라바르 기독교 대학, 시청, 쿤나망갈람, 코두발리, 타마라세리, 첼롯, 치트라기리 및 케랄라 국경에서 구달로르로 가는 길을 연결한다.
주 고속도로 38은 파방가드 근처에서 시작하여 울리예리, 페람브라, 쿠티아디, 나다푸람, 파누르 및 쿠투파람바를 통과하여 칸누르의 초바에서 끝난다. 이 고속도로는 107km 길이이며, 이 지역에서 가장 붐비는 노선 중 하나이다.
SH 54는 이 도시를 칼페타와 연결하며, 99km 길이이다. 이 고속도로는 파방가드, 코지코드, 울리예리, 페람브라, 푸지토두, 페루반나무지 및 파딘자레타라를 통과한다.
SH 68은 카파드에서 시작하여 아디바람에서 끝나며, 68.11km 길이이다.
SH 34는 코일란디에서 시작하여 에다반나에서 끝나며, 길이는 44.0km이다. 이 고속도로는 코일란디, 울리예리, 발루세리, 타마라세리, 오마세리 및 무캄을 통과한다.
시내와 인근 지역 노선에는 주로 개인 소유주가 운행하는 버스가 운행되며, 시내버스는 녹색으로 칠해져 있다. 케랄라 주 도로 운송 공사(KSRTC)는 주 내의 많은 목적지와 인접 주까지 정기 운행을 한다. 이 도시에는 3개의 버스 정류장이 있다. 교외 및 인근 마을로 가는 모든 개인 버스는 팔라얌 버스 정류장에서 출발하며, 인접 지역으로 가는 개인 버스는 인디라 간디 로드(마부르 로드)의 모푸실 버스 정류장에서 출발한다. KSRTC가 운행하는 버스는 인디라 간디 로드의 KSRTC 버스 정류장에서 운행한다. KSRTC 버스 정류장 코지코데는 케랄라에서 가장 큰 버스 정류장으로 36,036.47제곱미터 규모이다.[85] 타마라세리, 토틸팔람, 티루밤바디 및 바타카라에도 KSRTC 차고가 있다.
방갈로르로 가는 세 가지 노선은 다음과 같다.
- 코지코데-술탄 바테리-군둘페트–마이소르–방갈로르 노선 (선호되며 매우 붐빔)
- 코지코데-마난타바디-쿠타-마이소르-방갈로르 노선
- 코지코데–군둘페트–차마라자나가르–콜레갈–방갈로르 노선 (덜 사용됨)
개인 여행사는 뭄바이, 방갈로르, 코임바토르, 첸나이, 벨로르, 에르나쿨람, 트리반드룸, 우티, 마이소르 등지로 정기적인 고급 버스 서비스를 운영하며 주로 팔라얌 지역에서 운행한다. 이들은 대개 야간 운행 서비스이다.
9. 2. 철도
코지코드에는 모든 통과 열차가 정차하는 주요 기차역이 있다. 시 경계 내에는 엘라투르, 웨스트 힐, 벨라일, 칼라이 등 다른 기차역이 있는데, 이 역에는 지역 여객 열차만 정차한다. 코지코드에서는 국내 거의 모든 목적지로 여행할 수 있다. 케랄라의 철도 역사는 1861년 티루르와 베이포레 사이에 최초의 철로가 부설되면서 시작되었다.[86]9. 3. 항공
코지코드 국제공항은 시내에서 26km 떨어져 있다. 1988년에 운영을 시작했다. 주요 인도 도시로 국내선이 운행된다. 2006년에 국제공항 지위를 얻었다.[87]10. 스포츠
코지코드는 I-리그 클럽인 고쿠람 케랄라의 연고지이며, 이 팀은 2번의 리그 우승과 두란드컵 우승을 차지했다.[1] 칼리컷 히어로즈는 최고 수준의 리그인 프라임 배구 리그에서 활동하고 있다.[1]
11. 자매 도시
- 트베리(러시아)[106]
참조
[1]
웹사이트
Lectures 26-27
https://web.archive.[...]
2009-07-16
[2]
서적
The City of Truth Revisited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cut
[3]
뉴스
Kozhikode to be 'city of sculptures'
http://www.thehindu.[...]
2012-06-06
[4]
뉴스
Kozhikode is the first City of Literature in India
https://www.thehindu[...]
2023-10-31
[5]
웹사이트
Kozhikode District Website
https://web.archive.[...]
Kozhikode Corporation
2012-05-06
[6]
웹사이트
A Akbar to be new Kozhikode city police commissioner
https://english.math[...]
2022-04
[7]
웹사이트
ആമുഖം | കോഴിക്കോട് മുനിസിപ്പല് കോര്പ്പറേഷന്
https://kozhikodecor[...]
2020-06-10
[8]
웹사이트
Urban Agglomerations/Cities having population 1 million and above
http://www.censusind[...]
The Registrar General & Census Commissioner, India
2011-11-19
[9]
웹사이트
https://metroverse.cid.harvard.edu/city/7864/overview
https://metroverse.c[...]
[10]
웹사이트
Provisional Population Totals, Census of India 2011; Cities having population 1 lakh and above
http://www.censusind[...]
Office of the Registrar General & Census Commissioner, India
2012-03-26
[11]
웹사이트
Urban Agglomerations/Cities having population 1 million and above
http://censusindia.g[...]
Office of the Registrar General & Census Commissioner, India
[12]
웹사이트
Tier I and Tier II Cities of India, Classification of Indian Cities
https://www.mapsofin[...]
2022-03-01
[13]
웹사이트
Best cities to live, invest and earn in
http://www.ibnlive.c[...]
Ibnlive.com
2009-09-23
[14]
웹사이트
Kerala's Kozhikode included in UNESCO Creative Cities Network
https://www.onmanora[...]
[15]
서적
Kerala District Gazetteers: Kozhikode - Gazetteer of India, Volume 5 of Kerala District Gazetteers, Kerala (India)
https://books.google[...]
Superintendent of Govt. Presses
[16]
서적
Kerala History and Its Makers
DC Books
2011
[17]
서적
The Zamorins of Calicut: From the Earliest Times Down to A.D. 1806
https://books.google[...]
Publication Division, University of Calicut; University of Michigan
[18]
서적
A History of India
https://web.archive.[...]
Routledge
2015-09-04
[19]
문서
calico
Encyclopædia Britannica
2008-01-01
[20]
웹사이트
You searched for calico, Muslin, gauze
http://thedreamstres[...]
[21]
웹사이트
Calico definition and meaning
https://www.collinsd[...]
2023-02-10
[22]
서적
A Survey of Kerala History
https://books.google[...]
DC Books
[23]
문서
Coastal Histories: Society and Ecology in Pre-modern India
Primus Books
[24]
논문
In search of Muziris
[25]
문서
According to Pliny the Elder, goods from India were sold in the Empire at 100 times their original purchase price
[26]
웹사이트
Ancient History Sourcebook: Pliny: Natural History 6.96-111. (On India)
https://web.archive.[...]
2013-11-06
[27]
서적
Pliny the Elder, The Natural History
Taylor and Francis
[28]
서적
Christian Topography
The Tertullian Project
[29]
서적
The Economic History of Ancient India
Genesis Publishing Pvt Ltd
[30]
서적
Medieval Indian Literature: Surveys and selections
https://books.google[...]
Sahitya Akademi
[31]
서적
Kerala History and its Makers
https://books.google[...]
D C Books
2011-03-04
[32]
서적
Jumbos and Jumping Devils: A Social History of Indian Circu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06-12
[33]
간행물
The Portuguese, Indian Ocean and European Bridgeheads 1500–1800
Fundacoa Oriente. Institute for Research in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of MESHAR (Kerala)
[34]
서적
Zheng He: China and the Oceans in the Early Ming Dynasty, 1405–1433
Pearson Longman
[35]
문서
Kozhikode
Encyclopædia Britannica
2011-11-18
[36]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assocham.[...]
2010-04-20
[37]
서적
The Travels of Ibn Battuta A.D 1325-1354
1994
[38]
간행물
Ying Yai Sheng Lan, The Overall Survey of the Ocean's Shores
Hakluyt Society
1970
[39]
간행물
The Travels of Ludovico di Varthema, A.D.1503–08
Hakluyt Society
[40]
서적
The Land of Malabar: The Book of Barbosa
M.G University
2000
[41]
서적
A Survey of Kerala History
D.C.Books
1967
[42]
서적
Bhāratīya sthalanāma patrikā
https://books.google[...]
Place Names Society of India
[43]
서적
Lists of inscriptions, and sketch of the dynasties of southern India
https://archive.org/[...]
E. Keys at the Government Press
[44]
서적
The Samorins of Calicut: from the earliest times down to A.D. 1806
https://books.google[...]
Publication Division, University of Calicut
2011-07-25
[45]
간행물
Documents of Investiture Ceremonies
Northern Book Centre
1997
[46]
서적
The Career and Legend of Vasco da Gam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47]
서적
An Historical Relation of the Island Ceylon
Reprint. Asian Educational Services
[48]
서적
A Social History of India
https://books.google[...]
APH
[49]
웹사이트
കോഴിക്കോട്ടുകാർ മറന്നുപോയ രാരിച്ചൻ മൂപ്പൻ
https://www.mathrubh[...]
2022-09-15
[50]
웹사이트
Kozhikode (Calicut), Kerala, India - Kozhikode (Calicut) Hotels, Kozhikode (Calicut) resorts, Kozhikode (Calicut) tourism, Kozhikode (Calicut) real estate and Kozhikode (Calicut) businesses
http://www.kozhikode[...]
2019-06-22
[51]
뉴스
Give Indian Navy its due
https://www.asianage[...]
2017-02-11
[52]
간행물
The Political Economy of Commerce: Southern India 1500–1650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53]
서적
"Kerala Charitram"
https://books.google[...]
DC Books
2020-07-19
[54]
서적
A History of Travancore from the Earliest Times
https://archive.org/[...]
Higgin Botham & Co.
2016-05-05
[55]
서적
The Mysore Tribes and caste
https://books.google[...]
A Mittal Publish
[56]
서적
Global Encyclopedia of the South India Dalit's Ethnography
https://books.google[...]
2006
[57]
서적
The Cochin Tribes and Caste
https://books.google[...]
Johnson Reprint Corporation
1962
[58]
서적
The Cochin tribes and castes vol.I
http://archive.org/d[...]
Higginbotham, Madras
1909
[59]
간행물
Jonathan Duncan (bap. 1756, d. 1811)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60]
웹사이트
CHRONOLOGICAL LIST OF CENTRAL ACTS (Updated up to 17-10-2014)
http://www.lawmin.ni[...]
2016-08-07
[61]
서적
Imperial Census of 1881 Operations and Results in the Presidency of Madras
https://books.google[...]
E.Keys at the Government Press
2020-12-05
[62]
서적
Madras District Gazetteers, Statistical Appendix For Malabar District.
https://books.google[...]
The Superintendent, Government Press
2020-12-02
[63]
서적
Imperial Gazetteer of India
https://dsal.uchicag[...]
Clarendon Press
2020-12-02
[64]
웹사이트
Climatological Tables of Observatories in India 1991-2020
https://imdpune.gov.[...]
India Meteorological Department
2024-04-08
[65]
웹사이트
Station: Calikote / Kozhicode Climatological Table 1981–2010
https://imdpune.gov.[...]
India Meteorological Department
2020-02-19
[66]
웹사이트
Extremes of Temperature & Rainfall for Indian Stations (Up to 2012)
https://imdpune.gov.[...]
India Meteorological Department
2020-02-19
[67]
웹사이트
Normals Data: Kozhikode – India Latitude: 11.25°N Longitude: 75.78°E Height: 4 (m)
https://ds.data.jma.[...]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22-12-01
[68]
웹사이트
Climatological Tables of Observatories in India 1991-2020
https://imdpune.gov.[...]
India Meteorological Department
2024-04-08
[69]
웹사이트
C -1 POPULATION BY RELIGIOUS COMMUNITY - 2011
http://www.censusind[...]
2019-06-22
[70]
웹사이트
Official Website of Kozhikode
http://www.kkd.keral[...]
2009-09-23
[71]
웹사이트
Table C-01: Population by religious community: Kerala
https://censusindia.[...]
Registrar General and Census Commissioner of India
2011
[72]
웹사이트
Official website of kozhikode
http://www.kkd.keral[...]
2009-10-12
[73]
서적
Calicut: The City of Truth
Calicut University Press
2006
[74]
서적
Communism in Kerala: A Study in Political Adaptat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2-01-01
[75]
서적
Calicut: The City of Truth Revisited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cut
2006
[76]
서적
Monsoon Islam: Trade and Faith on the Medieval Malabar Coas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05-03
[77]
뉴스
Bohras in Calicut
http://www.hinduonne[...]
2006-05-19
[78]
웹사이트
Official website of Kozhikode, Govt. of Kerala
http://www.kkd.keral[...]
1975-12-26
[79]
간행물
Calicut: The City of Truth
Calicut University Publications
2006
[80]
웹사이트
Table C-16 Population by Mother Tongue (Urban): Kerala
https://censusindia.[...]
Registrar General and Census Commissioner of India
[81]
웹사이트
Kozhikode Corporation, Councillors
http://www.kozhikode[...]
2011-11-27
[82]
뉴스
Kozhikode Lok Sabha constituency redrawn Delimitation impact
https://web.archive.[...]
The Hindu
2008-02-05
[83]
웹사이트
Kozhikode City Police
http://www.kozhikode[...]
Kozhikode City Police
2011-11-27
[84]
뉴스
Deadlock on Pooladikunnu-Vengalam stretch over
https://www.newindia[...]
2013-11-08
[85]
웹사이트
Kozhikode Bus Stand : KSRTC Bus Station and Shopping Complex Calicut Kozhikode
https://kozhikode.cy[...]
2018-06-18
[86]
뉴스
Central station completes 75 years
http://www.hindu.com[...]
2006-11-05
[87]
뉴스
International status for Calicut airport
https://www.thehindu[...]
2006-02-02
[88]
웹사이트
Kozhikode - Cyber Park Kerala
http://www.cyberpark[...]
2019-06-22
[89]
뉴스
Kozhikode Cyberpark to take off next year
http://www.thehindub[...]
[90]
뉴스
'Shilpa Nagaram' on June 7
http://www.thehindu.[...]
2012-06-04
[91]
뉴스
Kozhikode is 'Shilpa Nagaram'
http://www.thehindu.[...]
2012-06-08
[92]
웹사이트
Hilite Mall in Kozhikode, Complete Shopping Guide at Hilite Mall Kozhikode - Yatra.com
https://www.yatra.co[...]
2018-06-18
[93]
웹사이트
"HiLITE City, One of India's Largest Mixed-Use Development Project Enters the Limelight"
http://businesswirei[...]
Business Wire
2015-03-09
[94]
뉴스
"Malabar Mahotsavam set for a comeback"
http://www.thehindu.[...]
The Hindu
2010-01-01
[95]
웹사이트
"Paying tribute to Sathguru Sri Tyagaraja"
http://tyagaraja-ara[...]
Tyagaraja Aradhana Trust
[96]
뉴스
"Keeping the harmonium close to his heart"
http://www.newindian[...]
The New Indian Express
2013-10-20
[97]
서적
History of Mass Media
http://www.universit[...]
University of Calicut
2023-02-11
[98]
웹사이트
"History of Media in Kerala"
http://keralamediaac[...]
Kerala Media Academy
2023-02-12
[99]
웹사이트
Calicut press club
http://www.calicutpr[...]
[100]
웹사이트
List of High Schools in Kozhikode
https://verfasor.com[...]
Verfasor
2017-12-28
[101]
뉴스
Nirdesh to design ships for Navy
https://www.thehindu[...]
2016-05-01
[102]
웹사이트
History
http://www.spices.re[...]
Indian Institute of Spices Research
2018-03-12
[103]
웹사이트
Introduction
http://nielit.gov.in[...]
National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Technology
2015-10-21
[104]
웹사이트
About
https://www.uoc.ac.i[...]
University of Calicut
[105]
웹사이트
Kozhikode Education
http://www.kkd.keral[...]
2018-12-18
[106]
뉴스
Celebrating Kozhikode's links with a Russian city
https://www.thehindu[...]
2022-04-13
[107]
웹사이트
Provisional Population Totals, Census of India 2011
http://www.censusind[...]
인도내무성
2013-08-02
[108]
웹사이트
Demographia World Urban Areas - 9th Annual Edition
http://www.demograph[...]
Demographia
2013-03
[109]
웹사이트
Kozhikode weather
http://www.imd.gov.i[...]
India Meteorological Department
2010-11-14
[110]
웹사이트
Kozhikode Climate Normals 1971–1990
ftp://ftp.atdd.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2-12-24
[111]
웹인용
Climatological Tables of Observatories in India 1991-2020
https://imdpune.gov.[...]
인도 기상청
2024-04-08
[112]
웹인용
Station: Calikote / Kozhicode Climatological Table 1981–2010
https://imdpune.gov.[...]
인도 기상청
2015-01
[113]
웹인용
Extremes of Temperature & Rainfall for Indian Stations (Up to 2012)
https://imdpune.gov.[...]
인도 기상청
2016-12
[114]
웹인용
Normals Data: Kozhikode – India Latitude: 11.25°N Longitude: 75.78°E Height: 4 (m)
https://ds.data.jma.[...]
일본 기상청
2022-1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