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클랜드 해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클랜드 해전은 1914년 12월 8일, 제1차 세계 대전 중 영국 해군과 독일 동아시아 함대 간에 벌어진 해전이다. 코로넬 해전에서 승리한 독일 함대는 영국 해군에 의해 추격당했고, 포클랜드 제도 인근에서 전투가 벌어졌다. 영국은 전함순양함 인빈시블과 인플렉시블을 포함한 강력한 전력을 투입하여 독일 함대를 격파했다. 이 전투로 독일 동아시아 함대는 궤멸되었고, 독일 해군의 통상 파괴는 종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1차 세계 대전의 해전 - 코로넬 해전
코로넬 해전은 1914년 11월 1일 칠레 코로넬 해안에서 독일 동아시아 함대가 영국 해군 함대를 격파한 해전이다. - 제1차 세계 대전의 해전 - 유틀란트 해전
유틀란트 해전은 1916년 5월 31일부터 6월 1일까지 유틀란트 반도 해역에서 영국 해군과 독일 해군 간에 벌어진 제1차 세계 대전 중의 해전으로, 독일의 전술적 승리에도 불구하고 영국의 전략적 승리로 평가받는다. - 1914년 12월 - 콜루바라 전투
콜루바라 전투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세 번째 세르비아 침공에 맞서 세르비아가 격렬한 전투 끝에 베오그라드를 탈환하고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을 격퇴한 승리이며, 세르비아 저항의 상징이 되었다. - 1914년 12월 - 사리카미스 전투
제1차 세계 대전 중 캅카스 전역에서 벌어진 사리카미스 전투는 오스만 제국이 러시아군을 포위하여 카르스와 바투미를 탈환하려 했으나, 추위, 보급 부족, 러시아군의 저항으로 막대한 피해를 입고 패배하여 캅카스 전역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포클랜드 해전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위치 정보 | |
기본 정보 | |
전투 이름 | 포클랜드 해전 |
일부 | 제1차 세계 대전 |
날짜 | 1914년 12월 8일 |
장소 | 남대서양 포클랜드 제도 인근 |
결과 | 영국의 결정적인 승리 |
교전 세력 | |
지휘관 | |
지휘관 1 | 도베턴 스튜르데 |
지휘관 2 | 막시밀리안 폰 스페 |
병력 | |
병력 1 | 순양전함 2척 장갑순양함 3척 경순양함 2척 전노급전함 1척 |
병력 2 | 장갑순양함 2척 경순양함 3척 수송선 3척 |
사상자 | |
사상자 1 | 10명 사망 19명 부상 |
사상자 2 | 1,871명 사망 215명 포로 장갑순양함 2척 침몰 경순양함 2척 침몰 수송선 2척 자침 |
기타 정보 | |
관련 전역 | 잔지바르 마드라스 파페에테 칭다오 루피지 저지 페낭 코로넬 코코스 포클랜드 로빈슨크루소 섬 괌 |
![]() | |
![]() |
2. 배경
1914년 막시밀리안 폰 슈페 제독이 이끄는 독일 동아시아 함대는 영국 해군과 일본 제국 해군에 비해 전력상 열세였다. 슈페 제독과 독일 지휘부는 독일의 아시아 식민지를 방어할 수 없다고 판단했고, 함대의 생존 가능성조차 의심했다. 슈페 제독은 함대를 본국으로 귀환시키려 했지만, 그 가능성에 대해 비관적이었다.[5]
영국과 독일 양측 주력함의 무장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함선 종류 | 주포 | 부포 | 속력 |
---|---|---|---|
영국 순양전함 | 8 x 305mm 포 | - | 25.5 노트 (47.2km/h) |
독일 장갑순양함 (샤른호르스트, 그나이제나우) | 8 x 210mm 포 | - | 22.5 노트 (41.7km/h) |
표에서 볼 수 있듯이 영국 순양전함은 주포와 속도에서 모두 우위를 점하고 있었다.
한편, 구형 전노급전함 HMS 커노퍼스는 스탠리 항에서 좌초되어 항구 방어를 위한 임시 포대로 사용되었다.[5]
2. 1. 영국 해군의 상황
1914년 11월 1일 코로넬 해전에서 크리스토퍼 크래독 제독이 지휘하는 영국 함대가 독일 막시밀리안 폰 슈페 제독의 동아시아 함대에 패배하면서, 영국 해군은 큰 충격을 받았다. 영국 해군은 즉각 전열을 재정비하여, 존 피셔 제독을 제1해군경으로 재임명하고, 더브턴 스터디 부제독에게 순양전함 인빈시블과 인플렉시블을 주축으로 하는 강력한 함대를 맡겨 남대서양으로 급파했다.[28][29][8]1914년 11월 11일, 인빈시블과 인플렉시블은 데번포트를 떠났다. 긴급한 상황으로 인해 함선은 최대 속도인 25knots로 운행할 수 있었지만, 더 많은 석탄을 소모했기에 경제적인 속도인 10knots로 운행해야 했다. 두 함선은 많은 보급품을 실었다. 비록 임무의 중요성이 높아 슈페에게 비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했지만, 카보베르데에서 지역 주민들과 함선 정박에 대해 논의했다. 그러나 이 소식은 슈페에게 전달되지 않았다. 스터디는 11월 26일 아브롤로스 마린 국립공원에 도착했고, 이곳에서 후속 함대들을 기다렸다.[30][9]
11월 29일, 스터디는 포클랜드 제도로 출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곳에서 경순양함 글래스고와 브리스틀은 슈페를 찾기 위해 경비를 서고 찾을 경우 증원대를 부르기로 했다. 코로넬 해전에 참가했던 존 루스는 기다리기엔 너무 길다며 하루 일찍 출발하자고 스터디를 설득했다. 함대는 프로펠러에 연결된 케이블로 인해 12h 지연되었지만, 12월 7일에 도착했다. 스탠리 항구 안에 2척의 경순양함이 정박해 있는 동안, 나머지 대형 함선은 포트 윌리엄에 정박하기로 했다. 콘월에 보일러 화재가 발생하여 진압하고 수리를 하였으며, 브리스틀은 엔진 하나가 해체되었다. SS 그레이트 브리튼은 인빈시블과 인플렉시블에게 석탄을 보급하기로 했다. 무장 상선 순양함 마케도니아는 항구 순찰 명령을 받았으며 켄트는 다음날인 12월 8일 마케도니아를 대체할 준비를 하였다. 슈페의 함대는 이날 아침에 도착했다.[31][10]
피츠로이의 양떼 목장 관리인 머리얼 펠턴 여사와 그녀의 하녀 크리스티나 고스와 매리언 맥클로드는 독일 함대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제공했다. 펠턴 여사가 스탠리 항에서 독일 함대가 섬에 접근하고 있다는 전화를 받았을 때, 그들은 혼자였다. 하녀들은 번갈아 가며 근처 언덕 꼭대기에 올라가 배의 움직임을 기록했고, 펠턴 여사는 전화로 스탠리 항에 보고했다. 그녀의 보고 덕분에 브리스톨과 마케도니아는 최적의 위치를 차지하여 독일 함대를 요격할 수 있었다. 해군성은 나중에 이 여성들에게 은접시를 선물했고, 펠턴 여사는 그 공로로 OBE를 받았다.[11][12][13][14]
2. 2. 슈페 함대의 상황
코로넬 해전에서 승리한 후, 막시밀리안 폰 슈페 제독이 이끄는 독일 동아시아 함대는 탄약과 석탄 부족에 직면했다. 또한 함선의 정비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어려움을 겪었다.[27] 슈페 제독은 함대를 이끌고 독일 본국으로 귀환하려 했으나, 태평양을 건너는 동안 연합군 함대에 의해 고립될 위험이 컸다.1914년 11월 3일, 샤른호르스트, 그나이제나우, 뉘른베르크는 발파라이소 항구에 입항하여 독일 주민들로부터 영웅적인 환영을 받았다. 그러나 슈페는 "이것은 내 무덤에 딱 좋을 것 같습니다."라고 말하며 축하 행사에 참여하지 않았다.[5]
중립국 함선에 대한 국제법에 따라, 독일 함대는 24시간 이내에 칠레 해안에서 약 643.74km 떨어진 마스 아푸에라로 이동했다.[6] 그곳에서 SMS 엠덴의 격침과 모항이었던 칭다오의 함락 소식을 접했다.[6] 11월 15일, 함대는 바히아 산 킨틴으로 이동하여 승무원들에게 2등 철십자장 300개와 슈페 제독에게 1등 철십자장이 수여되었다.[6]
슈페 제독은 포클랜드 제도의 스탠리에 있는 영국 무선 기지를 파괴하고 석탄을 확보하고자 했다.[27] 12월 1일에는 픽턴섬에서 사흘 동안 머물며 영국 석탄선 드러미르를 나포하여 석탄을 보급받았다.[27] 대부분의 장교들은 포클랜드 제도 기습에 반대했지만, 슈페 제독은 강행하기로 결정했다.[27]
3. 전투
코로넬 해전에서 패배한 영국 해군은 더브턴 스터디 중장을 남대서양·태평양 함대 사령관으로 임명하고, 전함 인빈시블과 인플렉서블을 그의 지휘하에 두었다.
1914년 10월 9일, 인빈시블과 인플렉서블은 스터디 중장의 기함을 싣고 11일 16시 45분 포클랜드 제도로 출발했다. 한편 슈페에 함대는 코로넬 해전 이후 석탄 부족과 증기 기관 고장 등으로 대서양 진출이 늦어졌다.
11월 11일, 두 함선은 출항하여 장갑순양함 콘월, 켄트, 카나번, 타운급 경순양함 브리스틀, 글래스고, 위장 순양함 마케도니아와 합류하여 12월 7일에 포클랜드 제도 포트 스탠리에 도착했다. 독일 측에 존재를 알리지 않기 위해 엄중한 무선 통신 금지령이 내려졌고, 석탄선이 먼저 포트 스탠리에 입항했다. 이후 함대는 포트 스탠리와 포트 윌리엄에서 급탄을 받았다.
슈페에 중장이 지휘하는 독일 동아시아 함대는 코로넬 해전 이후 본국 귀환 명령을 받았으나 연료 및 탄약 부족에 시달렸다. 12월, 슈페에 중장은 호른 곶을 통과하여 대서양으로 진입, 포클랜드 제도를 공격하기로 결정했다.[23]
12월 8일, 포클랜드 제도 감시소가 접근하는 장갑순양함 그나이제나우와 경순양함 뉘른베르크를 발견했다. 8시 30분, 카나번과 켄트가 출항했고, 9시 15분에는 구식 전함 카노푸스가 포격을 개시하여 독일 함선 2척은 방향을 바꿨다. 슈페에 중장은 함대를 이끌고 도주했다.
10시, 고장 난 브리스틀을 제외한 모든 함선이 출항하여 슈페에 함대를 추격했다. 12시 55분, 인플렉서블이 보호 순양함 라이프치히에 포격을 개시했다. 슈페에 중장은 보호 순양함 3척을 놓아주기 위해 13시 25분에 분리했다. 스터디 중장은 경순양함에 추격을 맡기고, 순양전함 2척으로 독일 장갑순양함 2척에 맞섰다.
스터디 함대는 속력 우위를 이용하여 자유롭게 거리를 조절하며 원거리 공격을 가했다. 16시 17분, 샤른호르스트가 격침되고 슈페에 중장도 전사했다.[23] 그나이제나우는 17시 40분에 자침했다. 그나이제나우 승무원 약 200명이 구조되었으나 일부는 저체온증으로 사망, 187명이 생존했다.
영국 순양함은 독일 보호 순양함을 추격, 16시 15분에 글래스고와 콘월이 라이프치히를 포착하여 20시 35분에 격침시켰다. 뉘른베르크도 켄트의 공격으로 격침되었다. 드레스덴만 탈출했으나 1915년 3월 14일 칠레 해안에서 영국 함대에 발견되어 자침했다.[23]
3. 1. 양측 함대의 전력
영국 해군은 전함순양함 2척(인빈서블, 인플렉시블), 장갑순양함 3척(콘월, 켄트, 카나번), 경순양함 2척(브리스틀, 글래스고), 무장 상선 순양함 1척(마케도니아)과 구식 전노급전함 1척(HMS 커노퍼스)으로 구성되었다.독일 해군은 장갑순양함 2척(샤른호르스트, 그나이제나우), 경순양함 3척(뉘른베르크, 라이프치히, 드레스덴)으로 구성되었다.
영국 순양전함은 각각 8문의 305mm 포를 갖추고 있었고, 샤른호르스트와 그나이제나우는 각각 8문의 210mm 포를 갖추고 있었다. 또한 영국 순양전함은 25.5knots(47.2km/h)의 속력을 낼 수 있었던 반면, 슈페 제독의 함선들은 22.5knots(41.7km/h)에 불과했다. 따라서 영국 순양전함은 화력과 속도 면에서 모두 우위를 점하고 있었다.

3. 2. 전투 경과
1914년 12월 8일 아침, 독일 제국 함대가 스탠리 항에 접근하면서 전투가 시작되었다. 당시 영국 함대는 스탠리 항에서 석탄을 보급받고 있었다.[32] 그나이제나우와 뉘른베르크가 항구에 접근했을 때, 구식 전함 카노푸스가 언덕 뒤에서 포격을 가해 독일군의 진격을 저지했다. 이를 통해 독일군은 영국 함대의 전력을 파악하고 퇴각하기 시작했다.
오전 10시경, 영국 함대는 항구를 떠나 독일 함대를 추격했다. 슈페에 제독은 함대의 열세를 인지하고 도주를 시도했지만, 오후 1시경 영국 함대의 포격이 시작되었다. 슈페 제독은 경순양함들의 탈출 시간을 벌기 위해 장갑순양함 샤른호르스트와 그나이제나우만으로 영국 함대와 교전하기로 결정했다.

영국 전함 인빈시블과 인플렉서블은 샤른호르스트와 그나이제나우를 집중 공격했다. 오후 4시 17분, 샤른호르스트가 격침되었고 슈페 제독을 포함한 승무원 전원이 사망했다.[23] 그나이제나우 역시 오후 6시 2분에 자침했다. 그나이제나우 승무원 190명이 구조되었지만, 일부는 저체온증으로 사망하여 187명이 생존했다.

영국 순양함들은 독일 경순양함들을 추격했다. 경순양함 라이프치히는 오후 9시 23분에, 경순양함 뉘른베르크는 오후 7시 27분에 각각 격침되었다. 경순양함 드레스덴만이 유일하게 탈출에 성공했지만, 1915년 3월 14일 칠레 해안에서 영국 함대에 발견되어 자침했다.[23]
아래는 전투에 참여한 함선 목록이다.
'''독일 제국 함대'''
- 샤른호르스트급 장갑순양함: 샤른호르스트, 그나이제나우
- 쾨니히스베르크급 경순양함: 뉘른베르크
- 브레멘급 경순양함: 라이프치히
- 드레스덴급 경순양함: 드레스덴
4. 전투의 결과 및 영향
포클랜드 해전은 영국 해군의 압도적인 승리로 끝났다. 이 해전으로 막시밀리안 폰 슈페 제독과 그의 두 아들을 포함한 1,800명 이상의 독일 해군이 전사했다. 샤른호르스트는 전 승무원이 전사한 채 침몰했고, 크나이제나우 생존자 중 한 명은 심하게 파손된 순양함의 세 함포에서 유일하게 살아남은 생존자였다.[17] 독일군 215명이 포로로 잡혔는데, 대부분 ''크나이제나우''호에서, ''뉘른베르크''호에서 9명, ''라이프치히''호에서 18명이 생존했다.
독일 동아시아 함대는 사실상 궤멸되었다. 드레스덴은 1915년 3월 14일 후안 페르난데스 제도 근해에서 영국 함대에 포위되어 짧은 교전 후 자침했다.[18] 이로써 카이저리히 해군의 정규 군함에 의한 공해 상의 통상 파괴는 종식되었다. 그러나 독일은 전쟁이 끝날 때까지 펠릭스 폰 루크너와 같이 여러 척의 무장 상선을 통상 파괴선으로 운용했다.
포클랜드 해전 이후, 독일 해군 전문가들은 슈페에 제독이 왜 기지를 공격했는지, 그리고 두 함대가 수천 마일이나 떨어진 공해에서 우연히 만날 수 있었는지에 대해 당황했다. 빌헬름 2세 황제는 해전 공식 보고서에 "스페에가 포클랜드 제도를 공격한 이유는 여전히 수수께끼로 남아 있습니다. '마한의 해군 전략'을 참조하십시오."라고 직접 메모를 남겼다.[18]
일반적인 견해는 슈페에가 발파라이소에 있는 독일 무선국에서 포트에 영국 해군 군함이 없다고 보고한 정보를 받은 후, 영국 해군의 연료 기지인 포클랜드 제도를 공격하도록 독일 해군본부에 의해 오도되었다는 것이었다. 세 명의 함장이 반대했음에도 불구하고, 스페에는 공격을 감행했다.[19][20]
이 해전은 영국 해군에게 전략적으로 중요한 승리였다. 독일 해군은 원양에서의 활동에 큰 제약을 받게 되었고, 대서양의 제해권은 영국을 비롯한 연합군 측에 완전히 넘어가게 되었다. 다만, 이 해전에서 영국 해군이 보여준 전술적 실수는 훗날 유틀란트 해전의 패인 중 하나로 작용했다는 비판도 있다.
4. 1. 영국 정보부의 역할
1914년 포클랜드 해전의 승리에 영국 해군 정보부(NID)의 역할이 컸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1925년, 독일 해군 장교이자 크리그스마리네 스파이였던 프란츠 폰 린텔렌은 해군 정보국(NID) 국장인 윌리엄 레지널드 홀 제독과 인터뷰를 가졌다. 홀 제독은 영국 암호 해독가들이 해독한 독일 해군 암호로 보낸 가짜 신호와 훔친 독일 전보 용지로 막시밀리안 폰 슈페 함대가 영국 전함으로 유인되었다고 주장했다.[18]
이와 유사하게, 1915년 3월 14일, 드레스덴은 NID 암호 해독가들이 확인한 위치에서 석탄을 보급받던 중 영국 함선에 의해 나포되기도 했다.[21]
참조
[1]
서적
Dictionary of Battles and Sieges
[2]
서적
Many Were Held by the Sea: The Tragic Sinking of HMS Otranto
[3]
웹사이트
Battle of the Falkland Islands
http://www.worldwar1[...]
2019-12-07
[4]
웹사이트
Battle of the Falkland Islands
https://www.britishb[...]
2019-12-07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학술지
United Empire
[12]
서적
The Falkland Islands
David & Charles
[13]
서적
A Naval History of World War I
Naval Institute Press
[14]
정부간행물
1918-03-15
[15]
서적
British Official History – Naval Operations
H.M. Stationery Office
[16]
서적
Military Anecdotes
Guinness Publishing
[17]
서적
[18]
서적
The Dark Invader: Wartime Reminiscences of a German Naval Intelligence Officer
Routledge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Room 40
Hamish Hamilton Ltd
[22]
웹사이트
German WWI wreck Scharnhorst discovered off Falklands
https://www.bbc.co.u[...]
2019-12-05
[23]
서적
20世紀の歴史
株式会社日本メール・オーダー
1974-01-01
[24]
서적
Dictionary of Battles and Sieges
[25]
서적
Many Were Held by the Sea: The Tragic Sinking of HMS Otranto
[26]
서적
Castles
[27]
서적
Castles
[28]
문서
루이스 왕자는 14세 이후 영국 해군에서 계속 복무했었다.
[29]
서적
Castles
[30]
서적
Castles
[31]
서적
Castles
[32]
서적
British Official History -- Naval Operations
H.M. Stationery Offic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