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폴리네시아조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폴리네시아조어는 폴리네시아어군의 재구된 조어이다. 음운 체계는 자음 13개와 모음 5개로 구성되며, 여러 폴리네시아어에서 다양한 음운 변화를 겪었다. 어휘 대응표를 통해 각 언어의 어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폴리네시아어군 - 하와이어
    하와이어는 하와이 제도에서 시작된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한때 하와이 왕국의 공용어였으나 미국에 의한 왕국 전복 후 사용자가 줄어 소멸 위기에 처했지만, 하와이 문화 부흥 운동과 교육 활성화, 그리고 1978년 하와이주의 공용어 지정으로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유네스코에 의해 소멸 위기 언어로 분류되었으나 니이하우섬에서는 여전히 사용되고 대학교에서도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 폴리네시아어군 - 마오리어
    마오리어는 뉴질랜드 원주민 마오리족의 언어로, 뉴질랜드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며, 폴리네시아어군에 속하고, 영어의 영향으로 쇠퇴했으나 부흥 운동을 통해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고, 뉴질랜드 문화적 정체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조어 - 인도유럽조어
    인도유럽조어는 라틴어, 그리스어, 산스크리트어 등 여러 유럽 및 인도 언어의 공통 조상어로 추정되는 재구된 언어이며, 문자 기록이 없어 후대 언어 비교를 통해 재구성되었고, 18세기부터 연구가 시작되어 다양한 가설과 음운 변화 법칙을 통해 발전해왔다.
  • 조어 - 데네예니세이어족
    데네-예니세이어족은 예니세이어족과 나-데네어족을 묶어 제안된 가설적인 어족으로, 아시아와 아메리카 대륙 간 언어적 연속성을 시사하지만, 어휘 및 문법적 유사성에 대한 논쟁으로 가설의 타당성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폴리네시아조어
언어 정보
이름폴리네시아조어
다른 이름PPn
어족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어파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어군오세아니아어군
하위 어군중앙태평양어군
파생 언어폴리네시아어군
사용 지역통가, 사모아, 및 인근 섬
조상 언어오스트로네시아조어
조상 언어 2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
조상 언어 3오세아니아조어
조상 언어 4중앙태평양조어

2. 음운론

폴리네시아조어의 음운 체계는 자음 13개, 모음 5개로 매우 단순하다. *q는 성문 파열음이었을 가능성이 높다.[2]

; 자음

양순음치경음연구개음성문음
파열음*p*t*k
비음*m*n
마찰음*f*s*h
전동음*r
설측음*l
반모음*w



; 모음

폴리네시아조어는 장단 구별이 없는 /a/ /e/ /i/ /o/ /u///a/ /e/ /i/ /o/ /u/영어 다섯 개의 단순모음이 있었다. 많은 후손 언어에서 연속한 모음들이 장모음이나 이중모음이 되었고, 일부 언어에서는 음소의 지위까지 얻게 되었다.[7][3]

; 음운 대응

폴리네시아조어의 음운은 여러 폴리네시아어군 언어에서 다양한 음운 변화를 겪었다. 아래 표는 폴리네시아조어의 자음 음소가 각 언어에서 어떻게 대응되는지 보여준다.

폴리네시아조어*p*t*k*q*m*n*w*s*h*l*r
통가어ptkʔmnŋvfhlØ
니우에어Ø
니우아포오우어ʔ/Øhh/Øl/Ø
핵심 폴리네시아 조어*p*t*k*m*n*w*f*s*l
rowspan=13 width=8|사모아어pt~kʔØmnŋvfsØl
동푸투나어tkʔ/Ø
티코피아어Øɾ
누쿠오로어hl
동폴리네시아조어*p*t*k*ʔ/Ø*m*n*w*f*h*l
rowspan=8 width=8|라파누이어ptkʔ/Ømnŋvv/hhØɾ
라로통아어Øʔ/vʔ
투아모투어f/h/vh
마오리어wɸ/h
타히티어ʔʔvf/v/h
북마르키즈어kkhʔ
남마르키즈어ʔnf/h
하와이어kwh/wl



통가어, 니우에어, 니우아포오우어를 제외한 나머지 언어는 모두 핵심 폴리네시아어군에 속한다. 핵심 폴리네시아어군에서 동폴리네시아어군이 분기되었다. 동폴리네시아어군에는 라파누이어, 라로통아어, 투아모투어, 마오리어, 타히티어, 북마르키즈어, 남마르키즈어, 하와이어 등이 속한다.

마오리어는 폴리네시아조어 *ɸ음이 /h/ 또는 /ɸ/로 변화하였다.

2. 1. 자음

wikitable

양순음치경음연구개음성문음
무성 파열음*p*t*k*q
비음*m*n
마찰음*s*h
전동음*r
설측음*l
반모음*w



양순음치경음연구개음성문음
파열음*p*t*k
비음*m*n
마찰음*f*s*h
전동음*r
설측음*l
반모음*w


2. 2. 모음

폴리네시아조어는 장단 구별이 없는 /a/ /e/ /i/ /o/ /u///a/ /e/ /i/ /o/ /u/영어 다섯 개의 단순모음이 있었다. 많은 후손 언어에서 연속한 모음들이 장모음이나 이중모음이 되었고, 일부 언어에서는 음소의 지위까지 얻게 되었다.[7][3]

2. 3. 음운 대응

폴리네시아조어의 음운은 여러 폴리네시아어군 언어에서 다양한 음운 변화를 겪었다. 아래 표는 폴리네시아조어의 자음 음소가 각 언어에서 어떻게 대응되는지 보여준다.

폴리네시아조어
통가어
니우에어
니우아포오우어
핵심 폴리네시아 조어
rowspan=13 width=8|사모아어~
동푸투나어
티코피아어
누쿠오로어
동폴리네시아조어
rowspan=8 width=8|라파누이어
라로통아어
투아모투어
마오리어
타히티어
북마르키즈어
남마르키즈어
하와이어



통가어, 니우에어, 니우아포오우어를 제외한 나머지 언어는 모두 핵심 폴리네시아어군에 속한다. 핵심 폴리네시아어군에서 동폴리네시아어군이 분기되었다. 동폴리네시아어군에는 라파누이어, 라로통아어, 투아모투어, 마오리어, 타히티어, 북마르키즈어, 남마르키즈어, 하와이어 등이 속한다.

마오리어는 폴리네시아조어 *ɸ음이 /h/ 또는 /ɸ/로 변화하였다.

3. 어휘

각 언어의 정서법으로 표기된 어휘 대응표는 다음과 같다.[8] /ʔ//'okina}}는 모두 성문 파열음 을 나타낸다. 'r'은 모두 유성 치경 탄음 을 나타내며, 전동음 가 아니다.

폴리네시아어군 어휘 대응
폴리네시아조어통가어니우에어사모아어라파누이어타히티어마오리어라로통아어남마르키즈어하와이어한국어
tangatatangatatagatatangatata'atatytangatatangataenatamh*sina/kanaka}}남자
inarar*kanahe/hina}}머리가 센
anaerap'anaetykanaekanae*tiale/anae}}가숭어
a사모아어vakava'atywakavakavaka*ɸaɸine/waa}}카누
ine}}vehinewahine여자
arapmetuamatuametua, matuamotua*rua/makua}}부모
ua}}lua
umhkolu


3. 1. 어휘 대응

각 언어의 정서법으로 표기된 어휘 대응표는 다음과 같다.[8] /ʔ//'okina}}는 모두 성문 파열음 을 나타낸다. 'r'은 모두 유성 치경 탄음 을 나타내며, 전동음 가 아니다.

폴리네시아어군 어휘 대응
폴리네시아조어통가어니우에어사모아어라파누이어타히티어마오리어라로통아어남마르키즈어하와이어한국어
tangatatangatatagatatangatata'atatangatatangataenatakanaka남자
hinahinasinahinahinahinahinainahina머리가 센
kanahekanaheanae'anaekanaekanaeanae가숭어
sialetialetialetiaretiaretīaretiarekiele
vakavakavaavakava'awakavakavakawaa카누
fafinefifinefafinevi'e/vahinevahinewahinevainevehinewahine여자
mātu'amotuamatuamatuametuamatuametua, matuamotuamakua부모
uaualuaruarua[9]ruaruaualua
tolutolutolutorutorutorutorutoukolu


3. 2. 차용어

4. 연구사

5. 같이 보기

참조

[1] 서적 Hawaiki, Ancestral Polynesia: An Essay in Historical Anthropology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서적 Topics in Polynesian languages and culture history https://openresearch[...] Pacific Linguistics
[3] 논문 The Phonetic Nature of Niuean Vowel Length https://twpl.library[...]
[4] 간행물 The Reconstruction of Proto-Central Pacific 1976-05
[5] 문서
[6] 서적 Hawaiki, Ancestral Polynesia: An Essay in Historical Anthropology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논문 The Phonetic Nature of Niuean Vowel Length
[8] 인용 The Reconstruction of Proto Central Pacific 1976-05
[9]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