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폴리네시아어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폴리네시아어군은 통가어와 니우에어를 포함하는 통가어군과 나머지 언어들을 포괄하는 핵심 폴리네시아어군으로 분류된다. 핵심 폴리네시아어군은 다시 푸투나어군, 엘리스어군, 동폴리네시아어군으로 나뉜다. 폴리네시아어는 음운론적으로 개음절어이며, 자음과 모음의 종류가 적고, 문법적으로는 인칭대명사의 수와 격을 구분하는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폴리네시아어군 - 하와이어
    하와이어는 하와이 제도에서 시작된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한때 하와이 왕국의 공용어였으나 미국에 의한 왕국 전복 후 사용자가 줄어 소멸 위기에 처했지만, 하와이 문화 부흥 운동과 교육 활성화, 그리고 1978년 하와이주의 공용어 지정으로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유네스코에 의해 소멸 위기 언어로 분류되었으나 니이하우섬에서는 여전히 사용되고 대학교에서도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 폴리네시아어군 - 마오리어
    마오리어는 뉴질랜드 원주민 마오리족의 언어로, 뉴질랜드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며, 폴리네시아어군에 속하고, 영어의 영향으로 쇠퇴했으나 부흥 운동을 통해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고, 뉴질랜드 문화적 정체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폴리네시아어군
지도
중앙 태평양 언어
중앙 태평양 언어
올리브-녹색: 동피지-폴리네시아 언어 (미표시: 라파누이어)
분홍색: 서피지-로투마 언어
기본 정보
지역폴리네시아
어족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어파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어군오세아니아어군
하위 어군중앙태평양어군
하위 어파동피지 - 폴리네시아어파
조어원시 폴리네시아어
Glottologpoly1242
Glottolog 참조폴리네시아어
하위 언어
분류 1통가어군
분류 2핵심 폴리네시아어군

2. 분류

폴리네시아어군은 크게 통가어군과 핵심 폴리네시아어군으로 나뉜다. 통가어니우에어가 통가어군에 속하며, 나머지 언어들은 모두 핵심 폴리네시아어군에 속한다.[22]

최근 어휘 통계학적 연구에 따르면, 통가어는 니우에어보다 오히려 사모아어와 매우 가깝다고 한다. 또한 투발루어, 토켈라우어, 라파누이어, 마르키즈어, 투아모투어, 라로통아어, 타히티어, 마오리어, 하와이어 등은 「동폴리네시아어군」으로 분류되어 서로 비교적 가까운 계통으로 나타났다.[19]

역사적으로 멜라네시아 지역에서 피지 등을 통해 라피타 문화가 통가·사모아 지역으로 전파되었고, 이 지역에서 폴리네시아 문화가 발전하여 동부 섬들로 확산되었다고 추정된다. 이러한 언어 계통은 그 증거 중 하나로 여겨진다.

폴리네시아어는 멜라네시아의 East Fijian languages|동피지어군영어(피지어 포함) 및 West Fijian–Rotuman languages|서피지-로투마어군영어과도 가까운 관계이며, 이들을 묶어 '''중앙 태평양어군'''(피지-폴리네시아어군)이라고 부른다.

중앙 태평양어군의 계통도는 다음과 같다.


  • 중앙 태평양어군(피지-폴리네시아어군)
  • * East Fijian languages|동피지어군영어
  • ** 피지어
  • * West Fijian–Rotuman languages|서피지-로투마어군영어
  • ** 로투마어
  • * '''폴리네시아어군'''
  • ** Tongic languages|통가어군영어

통가어
니우에어

  • ** Nuclear Polynesian languages|핵심 폴리네시아어군영어

Samoic languages|사모아어군영어(사모아·외곽어군)
* 동우베아-니우아포오우어군
** 왈리스어(동우베아어)
** 니우아포오우어
* 푸카푸카어
* 사모아어
* 토켈라우어
* Niuatoputapu language|니우아토푸타푸어영어
* 엘리스어군
** 투발루어
** 카핀가마랑기어
** 누쿠오로어
** Nukuria language|누쿠리아어영어
** Takuu language|타쿠어영어
** Nukumanu language|누쿠마누어영어
** 온톤자와어
** Sikaiana language|시카이아나어영어
* '''푸투나어군'''
** 푸투나어
** Rennellese language|레넬어영어
** Vaeakau-Taumako language|바에아카우-타우마코어영어
** Tikopia language|티코피아어영어
** Anuta language|아누타어영어
** Emae language|에마에어영어
** Mele-Fila language|멜레-필라어영어
** Futuna-Aniwa language|푸투나-아니와어영어
** West Uvean language|서우베아어영어
'''동폴리네시아어군'''(중동부 폴리네시아어군)
* 마르키즈어군
** 마르키즈어
** 망가레바어
** 하와이어
* 타히티어군
** 타히티어
** 오스트랄어
** 라파어
** 투아모투어
** 라로통가어
** 라카항가-마니히키어
** 펜린어
** 마오리어
** Moriori language|모리오리어영어
* 라파누이어

어순은 VSO(동사-주어-목적어) 어순이 다수이지만, 언어에 따라 다르며, 상당히 자유로운 경우도 있다. 일부 언어에는 능격이 존재한다. 형용사와 수식어는 보통 명사 뒤에 오지만, 관사(단수 정관사 te 등)는 명사 앞에 온다. 문법 관계는 어순이나 전치사 등으로 나타낸다.

또한, 소유 표현에서 "a-클래스"와 "o-클래스"를 구분하는 특징이 있다. 전자는 어떤 사람이나 사물에 의해 만들어지거나 소유되는 등 양도 가능한 것을 나타내고, 후자는 떼어낼 수 없는 관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마오리어에서 성경의 예레미야서(예레미야가 썼다고 여겨지는 책)는 `Te Pukapuka a Heremaia`, 여호수아서(여호수아에 관한 책)는 `Te Pukapuka o Hōhua`라고 표현한다.

말레이-폴리네시아 조어(Proto-Malayo-Polynesian)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접사를 통한 어휘 형성은 사라졌지만, 중복어가 많은 특징은 계승되었다. 인칭 대명사의 1인칭 복수 "우리들"에는 다른 많은 언어와 마찬가지로 포함형과 배제형(상대방을 포함하는지 여부)의 구분이 있다. 사모아어에는 1인칭 단수 포함형이 있어 상대방에게 자신을 낮추는 표현에 사용된다.

2. 1. 통가어군

통가어 (통가)와 니우에어 (니우에)가 통가어군에 속한다.[22]

2. 2. 핵심 폴리네시아어군

폴리네시아어군은 통가어군과 핵심 폴리네시아어군으로 나뉜다. 통가어니우에어가 통가어군에 속하고, 나머지는 전부 핵심 폴리네시아어군에 속한다.[22]

핵심 폴리네시아어군은 다시 푸투나어군, 엘리스어군, 동폴리네시아어군으로 나뉜다. 엘리스어군은 사모아어토켈라우어가 속한 사모아어군, 그리고 투발루어, 누쿠오로어, 카핑아마랑이어 등이 속한 엘리스외곽어군으로 구성된다. 동폴리네시아어군은 라파누이어, 마르키즈어, 하와이어, 타히티어, 마오리어 등을 포함한다.

1966년 앤드루 파울리는 음운론, 어휘, 문법에서 공유되는 혁신을 바탕으로 동폴리네시아어군이 통가어보다 사모아어와 더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밝혀냈다.[5] 이에 따라 통가어와 니우에어를 "통가어군"으로, 사모아어와 다른 폴리네시아어를 "핵심 폴리네시아어군"으로 명명했다.[5]

1985년 윌슨은 동폴리네시아어군과 푸투나어를 제외한 다른 모든 핵심 폴리네시아어군 사이에 특별한 관계가 있음을 시사하고, 푸투나어를 제외한 이 그룹을 "엘리스어군"이라고 불렀다.[9]

2. 2. 1. 푸투나어군

2. 2. 2. 엘리스어군

엘리스어군은 핵심 폴리네시아어군의 하위 어군으로, 사모아어군과 엘리스외곽어군으로 나뉜다.[22]

어군언어사용 지역
사모아어군사모아어사모아
토켈라우어토켈라우 및 사모아의 스웨인스 제도
엘리스외곽어군투발루어투발루
누쿠오로어미크로네시아 연방 누쿠오로
카핑아마랑이어미크로네시아 연방 카핑아마랑이
누쿠리아어파푸아뉴기니 동부 누구리아[23]
타쿠어파푸아뉴기니 동부 타쿠섬
누쿠마누어파푸아뉴기니 동부 누쿠마누 제도
온통자바어솔로몬 제도 온통 자바
시카이아나어솔로몬 제도 시카이아나
바에아카우타우마코어솔로몬 제도 리프 제도


3. 특징

폴리네시아어군은 비교적 최근에 분화되었기 때문에, 여러 언어에서 사용되는 단어들이 서로 유사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12] 예를 들어, 마오리어의 /t/, /ŋ/, /ɾ/, /wh/는 하와이어의 /k/, /n/, /l/, /w/에 대응하는 등 규칙적인 대응 관계가 나타난다.[12]

대부분의 폴리네시아어는 음운 구조도 매우 유사하며, 대체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17]


  • 전형적인 '''개음절어'''로, 음절은 '자음+모음' 또는 '모음'으로만 구성된다.[17] 말레이-폴리네시아 조어(祖語)에 있었던 어말 자음은 사라졌다.
  • 모음은 i, e, a, o, u 5가지이며, 길고 짧음이 구별된다.
  • 자음은 8~11개 정도로 적다. 성문폐쇄음 을 독립적인 음소로 가지는 언어가 많다.[18]


폴리네시아어군의 언어는 일반적으로 인칭대명사에 단수, 쌍수, 복수의 세 가지 를 갖는다. 또한 인칭대명사는 청자배제 1인칭, 청자포함 1인칭, 2인칭, 3인칭의 네 가지 인칭을 구별한다.[14]

기본 어휘가 유사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섬에 사는 사람들끼리도 어느 정도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특정 언어에서 어휘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 경우에는 이름 금기 상황 때문일 수 있다.[12]

많은 폴리네시아 언어들은 유럽 식민지배의 큰 영향을 받았다. 예를 들어, 마오리어와 하와이어는 영어 때문에 많은 화자를 잃었고, 1990년대 이후에야 인기가 다시 높아졌다.[12][13]

3. 1. 음운론적 특징

폴리네시아어군은 비교적 최근에 분화되었기 때문에, 여러 언어에서 사용되는 단어들이 서로 유사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하늘', '북풍', '여자', '집', '부모'를 나타내는 단어는 다음과 같다.[12]

통가어니우에어사모아어시카이아나어타쿠어북마르케사어남마르케사어망아레바어하와이어라파누이어타히티어마오리어라로통가어
하늘
북풍
여자
부모



이러한 단어들 사이에는 규칙적인 대응 관계가 나타난다. 예를 들어, 마오리어의 , , , 는 하와이어의 , , , 에 대응한다. 따라서 마오리어의 "사람"을 뜻하는 'tangata'는 하와이어로 'kanaka'이며, 마오리어의 "긴"을 뜻하는 'roa'는 하와이어로 'loa'에 해당한다. 유명한 하와이어 인사말 'aloha'는 마오리어의 'aroha'("사랑, 다정한 감정")에 해당한다. 마찬가지로, 하와이어의 카바를 뜻하는 단어는 'awa'이다.[12]

기본 어휘의 유사성 덕분에 서로 다른 섬에 사는 사람들끼리도 어느 정도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특정 언어에서 어휘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 경우에는 이름 금기 상황 때문일 수 있다. 타히티어에서 이러한 예를 자주 볼 수 있다.[12]

많은 폴리네시아어는 음운 구조도 매우 유사하며, 대체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17]


  • 전형적인 '''개음절어'''로, 음절은 '자음+모음' 또는 '모음'으로만 구성된다.[17] 말레이-폴리네시아 조어(祖語)에 있었던 어말 자음은 사라졌다.
  • 모음은 i, e, a, o, u 5가지이며, 길고 짧음이 구별된다.
  • 자음은 8~11개 정도로 적다. 성문폐쇄음 을 독립적인 음소로 가지는 언어가 많다.[18]


위의 어휘 대조표에서 볼 수 있듯이, 언어 간 비교에서 모음은 비교적 변화가 적고 잘 보존되어 있지만, 자음은 일정한 변이를 보인다. 그러나 그 경우에도 음운 대응 관계는 상당히 명확하다. 예를 들어 레넬어에서는 lrar이 grar가 되고, 라로통가어에서는 hrar가 이 되며, 하와이어에서는 thaw, khaw가 각각 khaw, 이 된다.[17]

3. 2. 문법적 특징

폴리네시아어군의 언어는 일반적으로 인칭대명사에 단수, 쌍수, 복수의 세 가지 를 갖는다. 예를 들어 마오리어에는 ia|그mi, rāua|그 둘mi, rātou|그들 셋 이상mi와 같은 인칭대명사가 있다. 쌍수와 복수 대명사의 어말에서 수사 rua|2mi와 toru|3mi의 흔적이 보인다. 따라서 복수는 원래 삼수 또는 소복수였고 원래의 복수는 사라졌다고 짐작할 수 있다.[14] 피지어에는 단수, 쌍수, 소복수, 복수가 모두 있으며, 오늘날 소복수는 3에서 10에 이르는 수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폴리네시아어의 인칭대명사는 청자배제 1인칭, 청자포함 1인칭, 2인칭, 3인칭의 네 가지 인칭을 구별한다. 예를 들어 마오리어의 복수 인칭대명사는 mātou|우리 셋 이상, 청자 배제mi, tātou|우리 셋 이상, 청자 포함mi, koutou|너희 셋 이상mi, rātou|그들 셋 이상mi이 있다.

폴리네시아어군은 비교적 최근에 분화되었기 때문에, 이들 언어의 많은 단어들이 다른 언어의 해당 단어들과 여전히 유사하다. 다음 표는 대표적인 언어들에서 '하늘', '북풍', '여자', '집', '부모'를 나타내는 단어들을 보여준다.

통가어니우에어사모아어시카이아나어타쿠어북마르케사어남마르케사어망아레바어하와이어라파누이어타히티어마오리어라로통가어
하늘
북풍
여자
부모



다양한 폴리네시아 언어들 사이에는 특정한 규칙적인 대응 관계를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오리어의 , , , 는 하와이어의 , , , 에 대응한다. 따라서 마오리어의 "사람"을 뜻하는 ''tangata''는 하와이어로 ''kanaka''이며, 마오리어의 "긴"을 뜻하는 ''roa''는 하와이어로 ''loa''에 해당한다. 유명한 하와이어 인사말 ''aloha''는 마오리어의 ''aroha''("사랑, 다정한 감정")에 해당한다. 마찬가지로, 하와이어의 카바를 뜻하는 단어는 ''awa''이다.

기본 어휘의 유사성으로 인해 서로 다른 섬 집단의 화자들은 서로의 말을 상당 부분 이해할 수 있다. 특정 언어에서 어휘의 차이가 예상외로 크다면, 이는 이름 금기 상황 때문일 수 있다. 타히티어에서 자주 발생하는 예를 참조하라.

많은 폴리네시아 언어들은 유럽 식민지배의 큰 영향을 받았다. 예를 들어, 마오리어와 하와이어는 영어 때문에 많은 화자들을 잃었고, 1990년대 이후에야 인기가 다시 높아졌다.[12][13]

4. 수사 비교

영어12345678910
니우에어tahauatolufalimaonofituvaluhivahogofolu
통가어tahauatolufanimaonofituvaluhivahongofulu
사모아어tasiluatolufalimaonofituvaluivasefulu
투발루어tasiluatolufalimaonofituvaluivaagafulu
나누메아어tahiluatolulimaonofituvaluivatoa
토켈라우어tahiluatolufalimaonofituvaluivahefulu
왈리스어tahiluatolunimaonofituvaluhivahogofulu
푸카푸카어tayiluatoluwalimaonowituvaluivalaugalu
렌넬어tahiŋguatoŋguŋgimaonohitubaŋguibakatoa
필레니어tasiruatorulimaonofituvaluivakʰaro
티코피아어tasiruatorufarimaonofituvarusivafuaŋafuru
아누타어tairuatorupaanimaonopituvaruivapuangapuru
서우베아어tahiƚuatoƚufalimatahia-tupuluaona-tuputoluona-tupufaona-tupulimaona-tupu
에마에어tasiruatorufarimaonofituβarusiβaŋafuru
멜레필라어tasiruatorufarimaonofituβarusiβasiŋafuru
푸투나아니와어tasiruatorufarimaonofituvaroivatagafuru
시카이아나어tahiluatolulimaonohituvalosivosehui
온통자바어kahiluakolulimaoŋohikuvalusivosehui
타쿠어tasiluatorufarimaonofituvarusivosinafuru
카핑아마랑이어dahiluadoluhaalimaonohiduwaluhiwamada
누쿠오로어dahika-luaka-doluka-haaka-limaka-onoka-hiduka-valuka-sivaka-hulu
라파누이어tahiruatoruharimaonohituvaʼuivaʼahuru
타히티어tahipititorumahapaeōnohituvaʼuivahōeʼahuru
펜린어tahiluatolulimaonohituvaluivatahi-ngahulu
라로통아어taʼiruatoruārimaonoʼituvaruivangaʼuru
투아모투어tahiruatorurimaonohituvaruivarongoʼuru
마오리어tahiruatoruwhārimaonowhituwaruiwatekau (also ngahuru)
모리오리어tehiterutorutewhaterimateonotewhitutewaruteiwameangauru
망아레바어tahiruatoruharimaonohituvaruivarogouru
남마르키즈어e tahie úae toúe fae ímae onoe fitue vaúe ivaónohuú
하와이어‘e-kahi‘e-lua‘e-kolu‘e-hā‘e-lima‘e-ono‘e-hiku‘e-walu‘e-iwa‘umi


참조

[1] Glottolog
[2] 서적 Vikings of the Sunrise https://nzetc.victor[...] Whitcombe and Tombs Ltd 2010-08-21
[3] 서적 The Oceanic languages Curzon
[4] 저널 Topics in Polynesian languages and culture history https://openresearch[...]
[5] 저널 Polynesian languages: a subgrouping based upon shared innovations in morphology
[6] 저널 Internal Relationships of Polynesian Languages and Dialects https://www.journals[...] 1953-07
[7] 저널 East Polynesian relationships: settlement pattern and time involved as indicated by vocabulary agreements https://www.jstor.or[...] 1963
[8] 저널 The relationships of Polynesian Outlier languages
[9] 저널 Evidence for an Outlier source for the Proto-Eastern-Polynesian pronominal system
[10] 서적 Topics in Polynesian languages and culture history Pacific Linguistics
[11] 웹사이트 Pollex: Comparative Polynesian Lexicon (computer data base) https://pollex.eva.m[...] Department of Anthropology, University of Auckland
[12] 뉴스 'Māori has gone mainstream': the resurgence of New Zealand's te reo language https://www.theguard[...] 2020-09-22
[13] 뉴스 The Hawaiian Language Nearly Died. A Radio Show Sparked Its Revival https://www.npr.org/[...] NPR 2020-09-22
[14] 문서 Fijian language information
[15] 웹사이트 The Numbers List http://www.zompist.c[...] 2022-09-20
[16] 문서 Polynesian languages and related languages
[17] 문서 Loanwords in Hawaiian
[18] 문서 Glottal stop in Hawaiian
[19] 문서 Reference to external links
[20] 문서 Tangaroa in Polynesian mythology
[21] 문서 Meaning of underworld in Polynesian languages
[22] 서적 The Oceanic languages Curzon
[23] 저널 Topics in Polynesian languages and culture history
[24] 웹사이트 The Numbers List http://www.zompist.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