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폴리도로스 (프리아모스의 아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폴리도로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트로이의 왕자이다.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에서는 아킬레우스에게 살해당하는 모습으로, 에우리피데스의 『헤카베』와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에서는 트라키아 왕 폴리메스토르에게 살해당하는 인물로 묘사된다.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에서는 트라키아에서 죽임을 당한 후 나무로 변하는 모습으로 등장하며, 히기누스의 『파불라에』에서는 누이인 일리오네의 보호를 받지만, 폴리메스토르에게 살해당하고 복수하는 인물로 묘사된다. 그의 이름을 딴 소행성 4708 폴리도로스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 신화의 왕자 - 아킬레우스
    아킬레우스는 그리스 신화의 트로이 전쟁 영웅으로, 아가멤논과의 갈등, 파트로클로스의 죽음 이후 복수, 헥토르를 비롯한 트로이군 용사들을 물리치는 활약, 그리고 파리스의 화살에 맞아 죽는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으며 고대 그리스는 물론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예술 분야에 영감을 주고 있다.
  • 그리스 신화의 왕자 - 이아손
    이아손은 그리스 신화 속 영웅으로, 황금 양털을 찾아 아르고 호 원정을 이끌고 메데이아의 도움으로 양털을 얻었으나 그녀를 배신하여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다.
  • 트로이아인 - 안티파테스
    안티파테스는 고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여러 인물들을 지칭하며, 멜람푸스의 아들, 라이스트리고네스족의 왕, 트로이 전쟁의 인물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트로이아인 - 아르켈로코스
    아르켈로코스는 일리아스에 등장하는 트로이 전쟁의 영웅이자 다르다니아 군대의 지도자 중 한 명으로, 아이아스가 던진 창에 목을 맞아 전사했다.
  • 트로이아 전쟁 관련자 - 아킬레우스
    아킬레우스는 그리스 신화의 트로이 전쟁 영웅으로, 아가멤논과의 갈등, 파트로클로스의 죽음 이후 복수, 헥토르를 비롯한 트로이군 용사들을 물리치는 활약, 그리고 파리스의 화살에 맞아 죽는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으며 고대 그리스는 물론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예술 분야에 영감을 주고 있다.
  • 트로이아 전쟁 관련자 - 펜테실레이아
    펜테실레이아는 트로이 전쟁에 참전한 아마존의 여왕으로, 트로이를 지원하여 용맹을 떨쳤으나 아킬레우스에게 죽임을 당했으며, 그녀의 이야기는 여러 문헌과 예술 작품, 후대 문학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폴리도로스 (프리아모스의 아들)
인물 정보
이름폴리도로스
그리스어Πολύδωρος
로마자 표기Polýdōros
아버지프리아모스
어머니헤카베 또는 라오토에
형제헥토르, 파리스, 데이포보스, 헬레노스, 트로일로스 등 프리아모스의 많은 아들들
신화 속 행적
트로이아 전쟁에서의 역할일리아스에 따르면, 폴리도로스는 프리아모스의 막내아들로, 전쟁에 참여했다가 아킬레우스에게 살해당했다.
다른 전승에서는, 트로이아가 함락될 것을 예견한 프리아모스가 폴리도로스를 트라키아의 폴리메스토르에게 보내 막대한 재물을 맡겼다고 한다. 트로이아가 멸망한 후, 폴리메스토르는 아가멤논의 꼬임에 빠져 폴리도로스를 살해하고 재물을 가로챘다.
죽음일리아스에서는 아킬레우스에게 살해당함.
다른 전승에서는 폴리메스토르에게 살해당함.
복수헤카베는 폴리메스토르를 유인하여 그의 아들들을 죽이고 폴리메스토르의 눈을 멀게 하여 아들의 복수를 했다고 전해진다.
예술 작품
언급 작품일리아스
에우리피데스의 《헤카베》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
관련 예술 작품다양한 그림, 조각상, 오페라 등에서 폴리도로스의 이야기가 묘사됨.

2. 호메로스의 『일리아스』

호메로스의 그리스 서사시 ''일리아스''에서 폴리도로스는 아킬레우스의 적으로 간략하게 묘사된다. 이 자료에 따르면 폴리도로스는 프리아모스의 막내아들이었기에 그의 아버지는 그가 싸우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다. 그러나 아킬레우스는 전장에서 그가 대열 사이를 빠르게 달리며 자랑하는 모습을 보고 그를 창으로 찔러 죽인다. 그의 형제 폴리도로스의 죽음을 본 헥토르는 아킬레우스에게 도전한다.[1]

2. 1. 개요

호메로스의 그리스 서사시 ''일리아스''에서 폴리도로스는 아킬레우스의 적으로 간략하게 묘사된다. 이 자료에 따르면 폴리도로스는 프리아모스의 막내아들이었기에 그의 아버지는 그가 싸우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다. 그러나 아킬레우스는 전장에서 그가 대열 사이를 빠르게 달리며 자랑하는 모습을 보고 그를 창으로 찔러 죽인다. 그의 형제 폴리도로스의 죽음을 본 헥토르는 아킬레우스에게 도전한다.[1]

2. 2. 내용

호메로스의 그리스 서사시 ''일리아스''에서 폴리도로스는 아킬레우스의 적으로 간략하게 묘사된다. 이 자료에 따르면 폴리도로스는 프리아모스의 막내아들이었기에 그의 아버지는 그가 싸우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다. 그러나 아킬레우스는 전장에서 그가 대열 사이를 빠르게 달리며 자랑하는 모습을 보고 그를 창으로 찔러 죽인다. 그의 형제 폴리도로스의 죽음을 본 헥토르는 아킬레우스에게 도전한다.[1]

3. 에우리피데스의 『헤카베』와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를 묘사한 판화, 폴리메스토르가 폴리도로스를 죽이는 장면


에우리피데스의 비극 『헤카베』에서 폴리도로스의 망령은 등장인물로, 그의 죽음은 극의 주요 갈등 원인이 된다. 폴리도로스는 트로이가 함락될 경우를 대비하여 트라키아로 보내졌으나, 폴리메스토르에 의해 살해당하고 재산을 빼앗긴다. 그의 시신은 바다를 떠돌다 발견되고, 헤큐바는 아들의 죽음에 복수한다.[2] 이 이야기는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에도 등장한다.[3]

3. 1. 개요



에우리피데스의 비극 『헤큐바』에서 폴리도로스의 망령은 등장인물로, 그의 죽음은 연극의 주요 갈등의 원인이 된다. 폴리도로스의 망령은 연극의 서문을 제시하며, 트로이가 함락될 경우를 대비하여 폴리도로스가 왕 폴리메스토르의 보호 아래 트라키아로 보내졌다고 설명한다. 프리아모스는 아들이 트로이 함락 후 스스로를 부양할 수 있도록 금을 함께 보냈다. 그러나 트로이가 함락되자 폴리메스토르는 폴리도로스를 바다에 던져 죽이고 금을 훔쳤다. 폴리도로스는 자신의 시신이 적절한 장례 의식도 없이 바다를 떠돌고 있다는 사실을 슬퍼한다.[2]

극의 후반부에서 노예 여인이 헤큐바에게 폴리도로스의 시신이 해안가에서 발견되었다고 말한다. 헤큐바는 꿈에서 폴리도로스의 살해범을 보았고 그가 폴리메스토르라고 설명한다. 아가멤논과 다른 포로 여성들의 도움을 받아 헤큐바는 폴리메스토르의 아들을 죽이고 그의 눈을 멀게 함으로써 아들의 죽음에 대한 복수를 한다.[2] 폴리도로스에 대한 이 이야기는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 에피소드의 주제이기도 하다.[3]

3. 2. 내용



에우리피데스의 비극 『헤큐바』에서 폴리도로스의 망령은 등장인물로, 그의 죽음은 연극의 주요 갈등 원인이 된다. 폴리도로스의 망령은 연극의 서문을 제시하며, 트로이가 함락될 경우를 대비하여 폴리도로스가 왕 폴리메스토르의 보호 아래 트라키아로 보내졌다고 설명한다. 프리아모스는 아들이 트로이 함락 후 스스로를 부양할 수 있도록 금을 함께 보냈다. 그러나 트로이가 함락되자 폴리메스토르는 폴리도로스를 바다에 던져 죽이고 금을 훔쳤다. 폴리도로스는 자신의 시신이 적절한 장례 의식도 없이 바다를 떠돌고 있다는 사실을 슬퍼한다.[2]

극의 후반부에서 노예 여인이 헤큐바에게 폴리도로스의 시신이 해안가에서 발견되었다고 말한다. 헤큐바는 꿈에서 폴리도로스의 살해범을 보았고 그가 폴리메스토르라고 설명한다. 아가멤논과 다른 포로 여성들의 도움을 받아 헤큐바는 폴리메스토르의 아들을 죽이고 그의 눈을 멀게 함으로써 아들의 죽음에 대한 복수를 한다.[2] 폴리도로스에 대한 이 이야기는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 에피소드의 주제이기도 하다.[3]

4.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

베르길리우스의 로마 서사시 ''아이네이스''에서, 아이네아스는 백성을 위한 식민지를 건설하기 위해 트라키아에 도착한다. 그 땅은 다양한 식물로 덮여 있었고, 아이네아스는 신비한 언덕에서 자라는 몰약의 관목을 뽑아 제단을 보호하려 한다. 그러나 나뭇가지를 뽑자 피가 솟아나기 시작한다. 그 식물은 폴리도로스라고 말하며, 자신을 죽이는 데 사용된 창이 땅에 박혀 뿌리를 내리고 식물로 변했다고 설명한다. 프리아모스는 트로이가 함락될 경우를 대비해 폴리도로스를 트라키아 왕에게 뇌물과 함께 보냈으나,[4] 트로이가 함락되자 왕은 트로이와의 약속을 깨고 아가멤논에게 아첨하기 위해 폴리도로스를 죽이고 뇌물을 가로챘다. 아이네아스는 폴리도로스에게 제대로 된 장례를 치러준다.[5][6]

4. 1. 개요

베르길리우스의 로마 서사시 ''아이네이스''에서 아이네아스는 백성을 위한 식민지를 건설하기 위해 트라키아에 도착한다. 그 땅은 다양한 식물로 덮여 있었고, 아이네아스는 신비한 언덕에서 자라는 몰약의 관목을 뽑기 시작하여, 방금 나뭇가지로 만든 제단을 보호하려 한다. 그러나 뽑힌 나뭇가지에서는 피가 솟아나기 시작한다. 그 식물은 폴리도로스라고 말하며, 자신을 죽이는 데 사용된 창이 땅에 박혀 뿌리를 내리고 식물로 변했다고 설명한다. 프리아모스는 트로이가 함락될 경우를 대비해 폴리도로스를 트라키아 왕에게 뇌물과 함께 보냈었다.[4] 트로이가 함락되자, 트라키아 왕은 트로이와의 약속을 깨고, 아가멤논에게 아첨하기 위해 폴리도로스를 죽이고 뇌물을 가로챘다. 아이네아스는 폴리도로스에게 제대로 된 장례를 치러준다.[5][6]

4. 2. 내용

베르길리우스의 로마 서사시 ''아이네이스''에서 아이네아스는 백성을 위한 식민지를 건설하기 위해 트라키아에 도착한다. 그 땅은 다양한 식물로 덮여 있었고, 아이네아스는 신비한 언덕에서 자라는 몰약의 관목을 뽑아 나뭇가지로 만든 제단을 보호하려 한다. 그러나 나뭇가지를 뽑자 피가 솟아나기 시작한다. 그 식물은 폴리도로스라고 말하며, 자신을 죽이는 데 사용된 창이 땅에 박혀 뿌리를 내리고 식물로 변했다고 설명한다. 프리아모스는 트로이가 함락될 경우를 대비해 폴리도로스를 트라키아 왕에게 뇌물과 함께 보냈으나, 트로이가 함락되자 왕은 트로이와의 약속을 깨고 아가멤논에게 아첨하기 위해 폴리도로스를 죽이고 뇌물을 가로챘다. 아이네아스는 폴리도로스에게 제대로 된 장례를 치러준다.[4][5][6]

5. 히기누스의 『파불라에』

히기누스의 『파불라에』에 따르면, 프리아모스헤큐바폴리도로스의 양육을 그의 누이인 일리오네에게 맡겼는데, 그녀는 폴리메스토르의 아내였다.[7] 폴리도로스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일리오네는 폴리도로스를 자신의 아들로 키웠고, 그녀와 폴리메스토르의 진짜 아들인 데이퓔로스를 오빠로 키웠다. 트로이 함락 후, 아카이아인들은 폴리도로스를 죽이면 아가멤논의 딸인 엘렉트라를 폴리메스토르의 아내로 주겠다고 제안했다. 폴리메스토르는 동의했지만, 일리오네가 바꿔치기를 한 탓에 그는 대신 데이퓔루스를 죽였다.

이후 폴리도로스는 자신의 진짜 혈통을 알기 위해 아폴론 신전을 찾았다. 그곳에서 그는 자신의 고향 도시가 파괴되고, 아버지가 죽고, 어머니가 사로잡혔다는 말을 들었다. 집으로 돌아온 폴리도로스는 여전히 자신이 폴리메스토르와 일리오네의 아들이라고 믿고 일리오네에게 신탁이 왜 틀렸는지 물었고, 일리오네는 그의 혈통에 대한 진실을 알려주었다. 그는 누이의 조언에 따라 폴리메스토르를 장님으로 만들고 죽였다.[8]

5. 1. 개요

히기누스의 『파불라에』에 따르면, 프리아모스헤큐바폴리도로스의 양육을 그의 누이인 일리오네에게 맡겼는데, 그녀는 폴리메스토르의 아내였다.[7] 폴리도로스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일리오네는 폴리도로스를 자신의 아들로 키웠고, 그녀와 폴리메스토르의 진짜 아들인 데이퓔로스를 오빠로 키웠다. 트로이 함락 후, 아카이아인들은 폴리도로스를 죽이면 아가멤논의 딸인 엘렉트라를 폴리메스토르의 아내로 주겠다고 제안했다. 폴리메스토르는 이에 동의했지만, 일리오네가 둘의 신분을 바꿔치기한 탓에 그는 대신 데이퓔루스를 죽였다.

이후 폴리도로스는 자신의 진짜 혈통을 알기 위해 아폴론 신전을 찾았다. 그곳에서 그는 자신의 고향 도시가 파괴되고, 아버지가 죽었으며, 어머니가 사로잡혔다는 신탁을 받았다. 집으로 돌아온 폴리도로스는 여전히 자신이 폴리메스토르와 일리오네의 아들이라고 믿고 일리오네에게 신탁이 왜 틀렸는지 물었고, 일리오네는 그에게 혈통에 대한 진실을 알려주었다. 폴리도로스는 누이의 조언에 따라 폴리메스토르를 장님으로 만들고 죽였다.[8]

5. 2. 내용

히기누스의 『파불라에』에 따르면, 프리아모스헤큐바폴리도로스의 양육을 그의 누이인 일리오네에게 맡겼는데, 그녀는 폴리메스토르의 아내였다.[7] 폴리도로스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그녀는 폴리도로스를 자신의 아들로 키웠고, 그녀와 폴리메스토르의 진짜 아들인 데이퓔루스를 오빠로 키웠다. 트로이 함락 후, 아카이아인들은 폴리도로스를 죽이면 아가멤논의 딸인 엘렉트라를 폴리메스토르의 아내로 주겠다고 제안했다. 폴리메스토르는 동의했지만, 일리오네가 바꿔치기를 한 탓에 그는 대신 데이퓔루스를 죽였다.

이 일이 벌어지자 폴리도로스는 자신의 진짜 혈통을 알기 위해 아폴론 신전을 찾았다. 그곳에서 그는 자신의 고향 도시가 파괴되고, 아버지가 죽고, 어머니가 사로잡혔다는 말을 들었다. 집으로 돌아온 폴리도로스는 여전히 자신이 폴리메스토르와 일리오네의 아들이라고 믿고 일리오네에게 신탁이 왜 틀렸는지 물었고, 일리오네는 그의 혈통에 대한 진실을 알려주었다. 그는 누이의 조언에 따라 폴리메스토르를 장님으로 만들고 죽였다.[8]

6. 폴리도로스의 이름을 딴 소행성

4708 폴리도로스는 폴리도로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목성 궤도 소행성이다.

참조

[1] 서적 Iliad Hackett Pub.
[2] 서적 Hecuba U Penn Press
[3] 서적 Metamorphoses Oxford University Press
[4] 문서
[5] 서적 The Aeneid Knopf
[6] 서적 Virgil; with an English Translation by H. Rushton Fairclough; in Two Volumes (Eclogues, Georgics, Aeneid I-IV)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and William Heinemann 2018-01-25
[7] 문서
[8] 서적 Apollodorus' Library and Hyginus' Fabulae: Two Handbooks of Greek Mythology Hackett Pub.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