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아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아손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영웅으로, 이올코스의 왕위를 되찾기 위해 황금 양털을 찾아 아르고 호 원정을 이끈 인물이다. 그는 숙부 펠리아스에게 왕위를 빼앗긴 후, 펠리아스가 제시한 황금 양털을 가져오라는 조건을 받아들인다. 이아손은 아르고 호를 건조하고, 헤라클레스, 오르페우스 등 50명의 영웅들과 함께 콜키스로 향한다. 그곳에서 이아손은 아이에테스 왕의 딸 메데이아의 도움을 받아 황금 양털을 얻지만, 이후 메데이아를 배신하고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 신화의 왕자 - 아킬레우스
아킬레우스는 그리스 신화의 트로이 전쟁 영웅으로, 아가멤논과의 갈등, 파트로클로스의 죽음 이후 복수, 헥토르를 비롯한 트로이군 용사들을 물리치는 활약, 그리고 파리스의 화살에 맞아 죽는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으며 고대 그리스는 물론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예술 분야에 영감을 주고 있다. - 그리스 신화의 왕자 - 헬레노스
헬레노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트로이의 왕자이며, 트로이 전쟁에서 오디세우스에게 트로이 공략법을 알려주고, 전쟁 후에는 예언의 공로로 용서받아 헤카베와 함께 켈소네소스로 건너가거나, 안드로마케를 아내로 맞아 에페이로스를 다스리기도 했다. - 아르고나우타이 - 헤라클레스
헤라클레스는 제우스와 알크메네 사이에서 태어난 그리스 신화의 영웅으로, 헤라의 박해 속에서 12가지 험난한 과업을 수행하고 프로메테우스를 구출하는 등 다양한 활약을 펼쳤으나, 네소스의 독에 중독되어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하며 그리스와 로마 신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인물이다. - 아르고나우타이 - 오르페우스
오르페우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뛰어난 음악적 재능으로 자연과 동물을 매료시키고 저승에 다녀온 이야기로 유명한 전설적인 시인이자 음악가이다. - 그리스 신화의 영웅 - 디오메데스
디오메데스는 그리스 신화의 영웅으로, 트로이 전쟁에 참전하여 아킬레우스 다음으로 강력한 전사로 활약했고, 전쟁 후 이탈리아로 건너가 도시를 건설하고 영웅 숭배의 대상이 되었다. - 그리스 신화의 영웅 - 펠롭스
펠롭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탄탈로스의 아들이자 히포다메이아의 남편으로, 전차 경주에서 승리하여 피사의 왕이 되었으나 미르틸로스 살해로 저주를 받아 그의 가문은 비극적인 운명을 맞이했고, 올림피아에서 영웅으로 숭배받으며 펠로폰네소스 반도의 어원이 되었다.
이아손 | |
---|---|
기본 정보 | |
![]() | |
이칭 | Amechanos (무능한 자) |
첫 등장 | 아폴로니오스 로디오스의 아르고나우티카 (기원전 3세기) |
연기 | 토드 암스트롱(1963), 제이슨 런던(2000) |
가계 | |
아버지 | 아이손 |
조상 | 아이올로스 |
외증조부 | 헤르메스 |
배우자 | 메데이아 |
소속 | |
소속 | 아르고나우타이 |
2. 이아손의 탄생과 성장
이아손은 테살리아 이올코스 왕 아이손의 아들이다. 아이손과 알키메데(또는 폴리메데) 사이에서 태어났으나, 이복형제 펠리아스가 왕위를 찬탈하면서 어린 시절을 켄타우로스 현자 케이론에게 맡겨져 자랐다.[1] 이때부터 이아손에게는 여신 헤라의 가호가 있었다고 한다.
이아손의 어머니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존재한다.
작가 | 어머니 |
---|---|
(여러 자료) | 알키메데[8][9] |
(여러 자료) | 폴리메데[10] 또는 폴리멜레[11] 또는 폴리페메[12] |
(다른 자료) | 암피노메[13] |
(다른 자료) | 테오그네테[12] |
(다른 자료) | 로이오[14] |
(다른 자료) | 아르네 또는 스카르페[15] |
이아손에게는 프로마쿠스라는 동생이 있었다고도 전해진다.[16] 일설에는 펠리아스에게 왕권을 빼앗겨 유폐된 아이손이 이아손을 돕기 위해 케이론에게 보냈다고도 한다.
2. 1. 펠리아스의 박해
펠리아스(아이손의 이복형제)는 권력에 굶주려 있었고, 테살리아 전체를 지배하려 했다. 펠리아스는 티로(“고귀한 티로”), 살모네우스의 딸이자 바다의 신 포세이돈 사이에서 태어났다. 격렬한 싸움 끝에, 그는 아이손(정당한 왕)을 몰아내고 아이손의 모든 자손을 죽였다. 그는 알 수 없는 이유로 이복형제를 살려두었다.[1]아이손의 아내 알키메데는 갓 태어난 아들 이아손을 낳았는데, 그녀는 펠리아스에게서 그를 구하기 위해 여자 시종들이 아기 주위에 모여 죽은 듯이 울게 했다. 펠리아스가 결국 알아차리고 아들을 죽일 것을 두려워한 알키메데는 그를 켄타우로스 케이론에게 맡겨 키우도록 보냈다.[1] 그녀는 줄곧 그와 불륜 관계를 맺고 있었다고 주장했다. 펠리아스는 부당하게 얻은 왕위가 위협받을까 두려워 신탁에 문의했고, 신탁은 그에게 샌들 한 짝만 신은 사람을 조심하라고 경고했다.

여러 해가 지난 후, 펠리아스는 포세이돈을 기리기 위해 올림픽 경기를 열고 있었는데, 성장한 이아손이 이올코스에 도착했다. 그는 늙은 여자(사실 여신 헤라가 변장한 모습)가 강을 건너는 것을 돕다가 아나우로스 강(“차가운 아나우로스”)에서 샌들 한 짝을 잃어버린 상태였다.[1] 헤라는 그에게 축복을 내렸는데, 그녀는 펠리아스가 무엇을 계획하고 있는지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아손이 이올코스(오늘날의 볼로스 시)에 들어섰을 때, 그는 샌들 한 짝만 신은 남자로 알려졌다. 이아손은 자신이 정당한 왕임을 알고 있었고, 펠리아스에게 이를 알렸다. 펠리아스는 "내 왕좌를 차지하려면, 당신은 황금 양털을 찾기 위한 여정을 떠나야 하오."라고 대답했다. 이아손은 이 조건을 기꺼이 받아들였다.
3. 아르고호 원정과 황금 양털
펠리아스는 권력욕에 눈이 멀어 테살리아 전체를 지배하려 했고, 이복형제 아이손을 몰아내고 왕위를 차지했다.[1] 그는 신탁으로부터 샌들 한 짝만 신은 사람을 조심하라는 경고를 받았다. 성인이 된 이아손은 이올코스로 돌아와 펠리아스에게 왕위를 요구했다. 이아손은 강을 건너는 노파(변장한 헤라 여신)를 돕다가 아나우로스 강에서 샌들 한 짝을 잃어버린 상태였다.[1] 펠리아스는 샌들 한 짝만 신은 이아손에게 황금 양털을 가져오면 왕위를 넘겨주겠다고 제안했다. 이는 부당한 권력자의 억압을 상징하며, 이아손의 도전은 이에 맞서는 정의로운 투쟁을 의미한다.
이아손은 아르고 호를 건조하고, 헤라클레스, 쌍둥이 카스토르와 폴리데우케스, 펠레우스(아킬레우스의 아버지) 등 50명의 용사들을 모집하여 아르고호 원정대를 꾸렸다. 이들은 아테나 여신의 축복을 받으며 출발하여, 여러 모험 끝에 콜키스에 도착했다.
콜키스의 왕 아이에테스는 황금 양털을 넘겨줄 생각이 없었고, 이아손에게 불을 뿜는 황소로 밭을 갈고 용의 이빨을 뿌리는 등의 어려운 과제를 내렸다. 그러나 헤라의 요청으로 아프로디테가 에로스를 시켜 메데이아가 이아손과 사랑에 빠지게 만들었고, 메데이아의 도움으로 이아손은 과제를 해결하고 황금 양털을 얻을 수 있었다. 메데이아는 이아손에게 마법 연고를 주어 불길로부터 보호하고, 용의 이빨에서 태어난 병사들을 물리치는 방법을 알려주었으며, 잠들지 않는 용을 잠재우는 약초를 제공했다.
3. 1. 아르고호 원정대 구성
아르고호 원정대(Argonauts)는 황금 양털을 찾기 위해 이아손이 모집한 영웅들이다.[1] 이들은 아르고호의 이름을 따서 아르고호 선원들로 불렸다.[2]다음은 아르고호 원정대의 명단이다.
이름 | 비고 |
---|---|
아카스토스 | |
아드메토스 | |
아르고스 | 아르고 호 건조 |
아탈란테 | 유일한 여성 대원. 콜키스와의 전투에서 부상당해 메데이아에게 치료받았다는 설과, 남자 동료들 사이의 불화를 우려하여 이아손이 참가를 거절했다는 설이 있음. |
아우게아스 | |
보레아데스 | 제테스 & 칼라이스 (날개 달림) |
디오스쿠로이 | 카스토르 & 폴리데우케스 |
에우페모스 | |
헤라클레스 | |
이다스 | |
이드몬 | 선견자 |
린케우스 | |
멜레아게르 | |
오르페우스 | |
펠레우스 | 아킬레우스의 아버지, 아탈란테와 씨름 경기에서 승리 |
필로크테테스 | |
텔라몬 | |
티피스 | 키잡이 |
이아손은 프릭소스의 아들 아르고스에게 의뢰하여 아르고 호를 건조하고, 헤라클레스, 쌍둥이 카스토르와 폴리데우케스, 린케우스, 펠레우스(아킬레우스의 아버지), 오르페우스 등 50명의 용사를 모집했다. 이들을 아르고나우타이라고 부른다. 아르고나우타이는 여신 아테나의 축복을 받아 출발하여 여러 모험을 거쳐 콜키스에 도착했다.
3. 2. 렘노스 섬
아르고호 원정대는 레므노스 섬에 도착했다. 렘노스 섬은 에게해 북쪽, 소아시아(오늘날의 터키) 서쪽 해안 근처에 위치해 있었다. 이 섬의 여성들은 아프로디테 숭배를 소홀히 여긴 벌로 악취가 심해져 남편들이 멀리했고, 이에 분노하여 남편들을 모두 죽였다.[3] 국왕 토아스는 딸 힢시필레에 의해 구출되어 바다로 보내졌고, 힢시필레가 여왕으로서 렘노스 섬을 다스리고 있었다.아르고호 원정대가 방문했을 때, 렘노스 여성들은 원정대와 관계를 맺어 미니아에라는 새로운 "종족"을 탄생시켰다. 이아손은 여왕 힢시필레와의 사이에서 쌍둥이 아이를 낳았다. 헤라클레스는 원정대의 행동에 역겨움을 느껴 그들에게 떠나라고 압력을 가했다. 헤라클레스는 여러 여성들과의 수많은 관계를 고려할 때, 이 행동에 참여하지 않은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었다.[3]
3. 3. 키지코스
렘노스 섬을 떠난 아르고호는 돌리오네스 족의 땅에 도착했는데, 그들의 왕 키지코스는 그들을 친절하게 대접했다.[1] 그는 그들에게 베어 산 너머의 땅에 대해 말했지만, 그곳에 무엇이 살고 있는지는 언급하지 않았다.[1] 베어 산 너머의 땅에는 가죽 허리 가리개를 걸치고 여섯 개의 팔을 가진, 대지에서 태어난 거인족인 게게네스가 살고 있었다.[1]대부분의 선원들이 물품을 찾기 위해 숲으로 들어간 동안, 게게네스는 아르고호의 경비병이 적다는 것을 알고 습격했다.[1] 헤라클레스는 그 당시 배를 지키고 있었고, 제이슨과 다른 사람들이 돌아오기 전에 그들 대부분을 죽였다.[1] 다른 게게네스 중 일부가 죽자 제이슨과 아르고호는 출항했다.[1]
아르고호는 항해를 시작했지만, 방향을 잃고 그날 밤 같은 장소에 다시 도착했다.[1] 어둠 속에서 돌리오네스 족은 그들을 적으로 오인하고 서로 싸우기 시작했다.[1] 아르고호는 돌리오네스 족을 많이 죽였고, 그중에는 왕 키지코스도 있었다.[1] 키지코스의 아내는 자살했다.[1] 아르고호는 새벽이 되자 끔찍한 실수를 깨닫고 그의 장례식을 치렀다.[1]
3. 4. 피네우스와 하르피에스
이아손은 트라키아의 살미데소스에 있는 피네우스의 궁정에 도착했다. 제우스는 매일 피네우스를 위해 차려진 음식을 훔쳐가도록 하르피에스를 보냈다. 이아손은 쇠약해진 왕을 불쌍히 여겨 하르피에스가 돌아왔을 때 그들을 죽였다. 다른 이야기에서는 칼라이스와 제테스가 하르피에스를 쫓아낸다고 한다. 이 호의에 대한 보답으로, 피네우스는 이아손에게 콜키스의 위치와 심플레가데스 (충돌하는 바위)를 통과하는 방법을 알려주었고, 그 후 그들은 헤어졌다.3. 5. 심플레가데스
심플레가데스는 서로 부딪혀 그 사이를 지나가는 모든 것을 부수는 거대한 바위 절벽으로, 콜키스로 가는 유일한 길이었다. 피네우스는 이아손에게 이 섬에 접근했을 때 비둘기를 풀어주라고 말했고, 비둘기가 통과하면 전력을 다해 노를 저으라고 했다. 비둘기가 부서지면 그는 실패할 운명이었다. 이아손은 조언대로 비둘기를 풀어주었고, 비둘기는 꼬리 깃털 몇 개만 잃고 통과했다. 이를 본 그들은 힘차게 노를 저어 배의 맨 뒤쪽 부분에 약간의 피해를 입고 통과했다. 그 이후로 충돌하는 바위는 영원히 합쳐져 다른 사람들이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게 되었다.3. 6. 콜키스 도착과 과제
이아손은 황금 양털을 되찾기 위해 콜키스(오늘날 조지아의 흑해 연안)에 도착했다. 양털은 콜키스의 왕 아이에테스가 소유하고 있었는데, 프릭소스가 그에게 준 것이었다. 아이에테스는 이아손에게 세 가지 과제를 완수하면 양털을 주겠다고 약속했다. 과제를 제시받은 이아손은 낙담했지만, 헤라가 아프로디테를 설득하여 그녀의 아들 에로스가 아이에테스의 딸 메데이아를 이아손과 사랑에 빠지도록 했다. 그 결과 메데이아는 이아손을 돕게 되었다.[4]첫째, 이아손은 불을 뿜는 황소인 칼코타우로이로 밭을 갈아야 했다. 메데이아는 그에게 황소의 불길로부터 보호해주는 연고를 제공했다. 그 다음, 이아손은 밭에 용의 이빨을 뿌렸는데, 이 이빨은 전사 군대 (스파르토이)로 싹이 텄다. 메데이아는 이전에 이아손에게 이 사실을 경고하고 이들을 물리치는 방법을 알려주었다.[4]
이아손이 무리에게 돌을 던지자, 병사들은 서로를 공격하고 격파했다. 마지막 과제는 황금 양털을 지키는 잠들지 않는 용을 극복하는 것이었다. 이아손은 메데이아가 준 약초에서 추출한 물약을 용에게 뿌려 잠들게 하고 황금 양털을 빼앗았다.[4]
이후 이아손은 메데이아와 함께 콜키스를 탈출했다.
4. 귀환 여정
메데이아는 황금 양털을 찾으러 콜키스에 온 영웅 이아손에게 반했다. 메데이아는 이아손을 없애려는 아버지 아이에테스의 의도를 알고 그들이 황금 양모를 취하게 큰 도움을 주었다. 메데이아는 이아손과 함께 그리스로 도피했는데, 자신들을 쫓아오는 아버지를 따돌리기 위해 동생인 압시르토스를 죽여 콜키스의 배가 시신을 수습하는 동안 먼 바다로 도망칠 수 있었다.[1] 제우스는 이에 분노하여 항해를 어렵게 만들었고, 메데이아는 고모인 키르케를 찾아가 도움을 받아 신들의 노여움을 잠재우고 나서야 순조로운 귀향을 할 수 있었다.[1]
이올코스로 돌아가는 길에 메데이아는 아르고호의 키잡이인 에우페모스에게 언젠가 그가 키레네를 지배하게 될 것이라고 예언했다. 이 예언은 에우페모스의 후손인 바투스를 통해 현실이 되었다.
4. 1. 키르케
Κίρκη|키르케grc는 메데이아의 형제 살해에 분노한 제우스가 아르고호에 보낸 폭풍 때문에 아르고호 원정대가 정화를 받아야 했던 인물이다.4. 2. 세이렌
키론은 이아손에게 오르페우스의 도움 없이는 아르고호의 영웅들이 세이렌을 절대 지나갈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세이렌은 세이레눔 스코풀리라고 불리는 세 개의 작은 암석 섬에 살았으며, 아름다운 노래를 불러 선원들을 유혹하여 배가 섬에 부딪히게 했다.[1] 아르고호 원정대는 세이렌의 유혹을 받았지만, 오르페우스는 자신의 리라를 꺼내어 더 아름답고 큰 소리로 연주하여 세이렌의 매혹적인 노래를 덮어 선원들을 구했다.[1]4. 3. 탈로스
아르고 호는 크레타 섬에 도착했고, 청동 거인 탈로스의 공격을 받았다. 메데이아는 마법으로 탈로스를 물리쳤다.5. 이올코스로의 귀환과 배신
메데이아는 황금 양털을 가져오면 왕위를 넘겨주겠다던 펠리아스가 약속을 지키지 않자, 그를 속여 솥에 들어가 죽게 만들었다.[5] 토마스 불핀치에 따르면, 메데이아는 늙은 숫양을 어린 양으로 바꾸는 마법을 보여주며 펠리아스의 딸들을 속였다. 펠리아스의 딸들은 아버지를 젊게 하려고 메데이아가 시키는 대로 했지만, 메데이아는 마법 약초를 넣지 않아 펠리아스는 결국 죽었다.
이 사건으로 이올코스 백성들이 분노하자, 메데이아와 이아손은 코린토스로 피신해야 했다.
5. 1. 코린토스에서의 삶과 메데이아의 복수
메데이아와 이아손은 이올코스 백성들의 분노를 피해 아이들을 데리고 코린토스로 피신했다. 코린토스 왕 크레온은 이들을 배려하여 편히 지낼 수 있게 해주었다.[6] 그러나 이아손은 코린토스에서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왕의 딸 크레우사(글라우케)와 결혼을 약속했다. 메데이아가 이 일로 이아손에게 따지며 그동안 그를 도왔던 일들을 언급하자, 이아손은 메데이아가 자신을 사랑하게 만든 것은 그녀가 아니라 아프로디테라고 반박했다.영원한 약속을 어긴 이아손에게 분노한 메데이아는 크레우사에게 저주받은 옷을 결혼 선물로 보냈고, 그 옷은 몸에 달라붙어 입자마자 그녀를 불태워 죽였다. 크레우사의 아버지 크레온은 딸을 구하려다 함께 불에 타 죽었다. 그 후 메데이아는 이아손에게서 낳은 두 아들을 죽였는데, 이는 아이들이 어머니의 행동 때문에 살해당하거나 노예가 될까 두려웠기 때문이다. 이아손이 이 사실을 알았을 때는 이미 메데이아가 떠난 뒤였다. 메데이아는 할아버지인 태양신 헬리오스가 보낸 용이 끄는 전차를 타고 아테네로 도망쳤다.[7]
버나드 녹스는 메데이아의 마지막 장면이 에우리피데스의 다른 작품에서 신성한 존재들의 등장과 유사하다고 지적했다. 이 신들과 마찬가지로 메데이아는 "하위 수준의 인간의 폭력적인 행동을 중단시키고 막고, ... 자신이 무시와 조롱을 받았다는 이유로 그녀의 잔혹한 복수를 정당화하며, ... 조치를 취하고 죽은 자의 매장에 대한 명령을 내리고, 미래를 예언하며", "숭배의 창설을 선언한다."[6]
6. 이아손의 최후
코린토스에서 이아손은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코린토스 왕의 딸인 크레우사(글라우케라고도 함)와 결혼하기로 약속했다. 메데이아가 이 약속에 대해 따지자, 이아손은 자신을 사랑하게 만든 것은 메데이아가 아니라 아프로디테라고 말했다. 메데이아는 이아손이 영원한 약속을 어긴 것에 분노하여 크레우사에게 저주받은 옷을 결혼 선물로 보냈고, 그 옷은 몸에 달라붙어 입자마자 그녀를 불태워 죽였다.[6]
크레우사의 아버지인 크레온 왕은 딸을 구하려다 함께 불에 타 죽었다. 그 후 메데이아는 이아손에게서 낳은 두 아들을 죽였는데, 이는 그들이 어머니의 행동 때문에 살해당하거나 노예가 될까 두려웠기 때문이다. 이아손이 이 사실을 알았을 때 메데이아는 이미 헬리오스가 보낸 용이 끄는 전차를 타고 아테네로 도망친 뒤였다.[6]
버나드 녹스가 지적했듯이, 메데이아의 마지막 장면은 다른 에우리피데스의 작품에서 신들의 등장과 유사하다. 메데이아는 신들과 마찬가지로 "하위 수준의 인간의 폭력적인 행동을 중단시키고 막고, ... 자신이 무시와 조롱을 받았다는 이유로 그녀의 잔혹한 복수를 정당화하며, ... 조치를 취하고 죽은 자의 매장에 대한 명령을 내리고, 미래를 예언하며", "숭배의 창설을 선언한다."[6]
이후 이아손은 펠레우스와 함께 아카스토스를 공격하여 물리치고 다시 이올코스의 왕위를 되찾았다. 이아손의 아들 테살로스가 왕이 되었다.
영원히 메데이아를 사랑하겠다는 맹세를 어긴 결과로 이아손은 헤라의 총애를 잃었고 외롭고 불행하게 죽었다. 그는 썩어가는 아르고 호의 선수 아래에서 잠들었고, 그 배가 무너져 그를 덮쳐 즉사했다.[7]
7. 영웅 헤라클레스와의 관계
헤라클레스는 현자 케이론 밑에서 이아손과 함께 수행을 쌓은 친구이자 라이벌이었다. 헤라클레스는 아르고호 원정대에 참가했으나, 키오스에서 시종 힐라스를 잃고 원정대를 떠났다.[1]
8. 이아손의 가족 관계
이아손의 아버지는 항상 아이손으로 언급되지만, 어머니의 이름에 관해서는 다양한 설이 존재한다.
- 알키메데: 필라쿠스의 딸[8]이자 클리메네[9]
- 폴리메데[10] 또는 폴리멜레[11] 또는 폴리페메[12], 아우톨리코스의 딸
- 암피노메[13]
- 테오그네테, 라오디쿠스의 딸[12]
- 로이오[14]
- 아르네 또는 스카르페[15]
이아손은 또한 동생 프로마쿠스를 두었다고 전해진다.[16]
이아손의 배우자 및 자녀는 다음과 같다.
- 배우자: 메데이아, 휩시필레
- 메데이아의 자녀:
- 알키메네스, 메데이아에게 살해당함.
- 테살로스, 알키메네스의 쌍둥이 형제이자 이올코스의 왕.
- 티산데르, 메데이아에게 살해당함
- 메르메로스와 페레스, 코린토스인 또는 메데이아에게 살해당함
- 에리오피스, 그들의 유일한 딸
- 메두스 또는 폴리세누스, 그렇지 않으면 아이게우스의 아들
- 아르고스[17]
- 일곱 아들과 일곱 딸[18]
- 휩시필레의 자녀:[19]
- 에우네우스, 레므노스의 왕이자 그의 쌍둥이
- 네브로포누스[20] 또는
- 데이필루스[21] 또는
- 토아스[22]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아이손 | |
어머니 | 알키메데 | 필라쿠스의 딸, 클리메네 |
폴리메데 | 아우톨리코스의 딸, 또는 폴리멜레, 폴리페메 | |
암피노메 | ||
테오그네테 | 라오디쿠스의 딸 | |
로이오 | 또는 아르네, 스카르페 | |
형제 | 프로마쿠스 | |
배우자 | 메데이아 | |
휩시필레 | ||
메데이아의 자녀 | 알키메네스 | 메데이아에게 살해당함 |
테살로스 | 알키메네스의 쌍둥이 형제, 이올코스의 왕 | |
티산데르 | 메데이아에게 살해당함 | |
메르메로스 | 코린토스인 또는 메데이아에게 살해당함 | |
페레스 | 코린토스인 또는 메데이아에게 살해당함 | |
에리오피스 | ||
메두스 | 또는 폴리세누스 | |
메데이아의 자녀 | 아르고스[17] | |
일곱 아들과 일곱 딸[18] | ||
휩시필레의 자녀 | 에우네우스 | 레므노스의 왕 |
네브로포누스 | ||
데이필루스 | ||
토아스 |
9. 이아손 관련 작품
이아손 이야기는 다양한 문학과 예술 작품에서 다루어졌다. 이아손 이야기의 근거가 되는 결정적인 이야기는 기원전 3세기 후반 알렉산드리아에서 쓰여진 로도스의 아폴로니오스의 서사시인 ''아르고나우티카''에 있다.
단테 알리기에리의 ''신곡'' 중 ''지옥'' 제18곡에는 이아손이 지옥에서 형벌을 받는 모습이 간략하게 언급된다. 그는 중매인과 유혹자들 중 한 명으로, 아마도 메데이아를 유혹하고 버린 죄로 인해 벌을 받는 것으로 묘사된다.[3]
메데이아가 이아손에게 복수하는 이야기는 에우리피데스의 비극 ''메데이아''에서 파괴적인 효과로 묘사된다.[4]
윌리엄 모리스는 1867년에 영국의 서사시 ''이아손의 생애와 죽음''을 썼다.[5]
패드릭 콜럼은 윌리 포가니의 삽화를 넣어 어린이를 위한 ''황금 양털과 아킬레스 이전 영웅들''(1921년 출판)을 썼다.[7]
9. 1. 문학
로도스의 아폴로니오스가 기원전 3세기 후반 알렉산드리아에서 쓴 서사시인 ''아르고나우티카''는 이아손 이야기의 가장 권위 있는 고대 문헌이다.가이우스 발레리우스 플라쿠스가 서기 1세기 후반에 쓴 ''아르고나우티카''는 8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메데이아가 이아손에게 귀향 여정에 함께 해달라고 요청하는 부분에서 갑자기 끝을 맺는다. 이 서사시의 일부가 유실되었는지, 아니면 미완성인지는 불분명하다.[1] 다른 버전은 ''아르고나우티카 오르피카''로, 이야기에서 오르페우스의 역할을 강조한다.[2]
단테 알리기에리의 ''신곡'' 중 ''지옥'' 제18곡에는 이아손이 지옥의 제8원(볼지아 1)에서 악마들에게 채찍질을 받으며 영원히 원을 행진하는 형벌을 받는 모습이 간략하게 언급된다. 그는 중매인과 유혹자들 중 한 명으로, 아마도 메데이아를 유혹하고 버린 죄로 인해 벌을 받는 것으로 묘사된다.[3]
에우리피데스의 비극 ''메데이아''는 메데이아가 이아손에게 복수하는 이야기를 파괴적인 효과로 묘사한다.[4]
윌리엄 모리스는 1867년에 영국의 서사시 ''이아손의 생애와 죽음''을 썼다.[5]
1898년 단편 소설 ''페르세우스와 고르곤의 머리 이야기''에는 이아손의 신화적 이야기가 묘사되어 있다.[6]
패드릭 콜럼은 어린이를 위해 윌리 포가니의 삽화를 넣어 ''황금 양털과 아킬레스 이전 영웅들''(1921년 출판)을 썼다.[7]
리비오 카툴로 스테키니는 아르고호의 항해에 대한 신화적 지리학을 특정 지리적 위치와 연결했지만, 그의 이론은 널리 채택되지 않았다.[8]
9. 2. 대중문화

윌리엄 샤트너가 성우를 맡은 1998년 TV 시리즈 ''헤라클레스'' 에피소드 "헤라클레스와 아르고 원정대"에 이아손이 등장한다. 그는 필록테테스의 제자였으며 헤라클레스와 함께 여행하라는 조언을 받는다.
시리즈 ''올림푸스 영웅전''의 첫 번째 소설인 ''잃어버린 영웅''에서 제이슨 그레이스와 그의 친구들이 메데이아를 만났을 때 신화 속 이아손이 언급되었다.
2013년에 초연된 BBC 시리즈 ''아틀란티스''는 이아손을 주인공으로 다루었다.
참조
[1]
웹사이트
Jason and the Argonauts
https://www.pbs.org/[...]
[2]
서적
Classical Myth
Pearson
2015
[3]
서적
Hercules, My Shipmate
[4]
웹사이트
Metamorphoses
https://www.perseus.[...]
[5]
서적
Lives of the Necromancers
https://archive.org/[...]
1876
[6]
서적
Word and Action: Essays on the Ancient Theat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79
[7]
서적
The Medea. Translated into English rhyming verse with explanatory notes by Gilbert Murray
http://archive.org/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12
[8]
문서
Apollonius Rhodius, 1.45, 1.47, 233 & 251 ff.; Valerius Flaccus, 1.297; Hyginus, Fabulae 3, 13
https://topostext.or[...]
[9]
문서
Hyginus, Fabulae 14
https://topostext.or[...]
[10]
문서
Apollodorus, 1.9.16; Tzetzes as Lycophron, 175 & 872
[11]
문서
Hesiod, Ehoiai fr. 38; Tzetzes, Chiliades 6.979; Scholia ad Homer, Odyssey 12.69
[12]
문서
Scholia ad Apollonius Rhodius, 1.45
[13]
문서
Diodorus Siculus, 4.50.2
[14]
문서
Tzetzes, Chiliades 6.979
[15]
문서
Tzetzes ad Lycophron, 872
[16]
문서
Diodorus Siculus, 4.50.2; Apollodorus, 1.9.27
[17]
서적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Vol 2
http://quod.lib.umic[...]
2016-12-06
[18]
문서
Ptolemy Hephaestion, 2
[19]
문서
Ovid, Heroides 6.119
[20]
문서
Apollodorus, 1.9.17
[21]
문서
Hyginus, Fabulae 15
https://topostext.or[...]
[22]
문서
Euripides, Hypsipyle (fragments)
[23]
웹사이트
The Voyage of the Argo
https://web.archiv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