폼산 탈수소효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폼산 탈수소효소는 폼산을 이산화탄소로 산화시키는 효소이다. 이 효소는 NAD 의존성 효소와 사이토크롬 의존성 효소 두 가지 형태로 존재하며, 메틸영양생물 효모와 세균에서 C1 화합물의 이화 작용에 관여한다. 일부 폼산 탈수소효소는 활성 부위에 몰리브데넘 또는 텅스텐을 포함하며, 몰리브도프테린 보조 인자와 결합한다. 또한 막 단백질의 일종으로 막 관통 도메인을 가지고 있으며, 혐기성 질산염 호흡에 관여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EC 1.2.1 - 수소화효소
수소화효소는 활성 부위 금속 성분에 따라 니켈-철, 철-황, 철 수소화효소 등으로 나뉘며 미생물에서 발견되는 효소로, 수소 산화 환원 반응 촉매, 에너지 생성, 생물 정화 등 생물학적 기능 수행 및 재생 에너지 분야 응용 가능성으로 주목받는다. - EC 1.2.1 - 글리세르알데하이드 3-인산 탈수소효소
글리세르알데하이드 3-인산 탈수소효소는 해당과정에서 글리세르알데하이드 3-인산을 1,3-비스포스포글리세르산으로 전환하는 효소이며, 산화 스트레스, 세포 부착 등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에 관여하고, 암과 같은 질병과 관련되어 있다. - 세포 호흡 - 유비퀴논
유비퀴논(CoQ10)은 미토콘드리아 전자 전달계의 주요 구성 요소인 지용성 유기 화합물로, 세포 호흡과 에너지 생산에 필수적이며 항산화 작용을 통해 세포를 보호하고 면역 반응에도 관여한다. - 세포 호흡 - 광합성
광합성은 생물이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와 물로부터 유기물을 합성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과정으로, 엽록체 내 틸라코이드 막에서 일어나는 명반응과 스트로마에서 일어나는 암반응으로 구성되며, 환경에 따라 탄소 농축 메커니즘을 통해 효율을 높이기도 하고, 지구 대기의 산소를 생성하는 주요 원천이다.
폼산 탈수소효소 | |
---|---|
효소 정보 | |
EC 번호 | 1.2.1.2 1.17.1.9 1.2.2.1 |
CAS 등록 번호 | 9028-85-7 |
IUBMB EC 번호 | 1/2/1/2 |
GO 코드 | 0008863 |
효소 반응 | |
반응 | 폼산 데히드로게나제 |
2. 기능
폼산 탈수소효소는 폼산을 이산화 탄소로 산화시키는 반응을 촉매한다. 이 기능은 특히 메틸영양생물(methylotroph)의 대사 과정에서 중요하다. 폼산 탈수소효소는 NAD를 조효소로 사용하는 효소와 사이토크롬을 조효소로 사용하는 효소로 나눌 수 있다.[11][12]
2. 1. NAD 의존성 반응
NAD 의존성 폼산 탈수소효소는 메틸영양생물 효모 및 세균에서 중요하며, 메탄올과 같은 C1 화합물의 이화작용에 필수적이다.[11]폼산 + NAD+
2. 2. 시토크롬 의존성 반응
시토크롬을 조효소로 사용하여 폼산을 산화시킨다.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폼산 + 2 페리시토크롬 b1 → CO2 + 2 페로시토크롬 b1 + 2H+
대장균의 경우, 시토크롬 의존성 폼산 탈수소효소는 혐기성 질산염 호흡에 관여한다.[12] 이 효소는 2개의 소단위체로 구성된 내재성 막 단백질이다.[13][14]
3. 몰리브도프테린, 몰리브데넘 및 셀레늄 의존성
일부 폼산 탈수소효소는 활성 부위에 몰리브데넘(Mo) 또는 텅스텐(W)을 포함하며, 몰리브도프테린 보조 인자와 결합한다. 이러한 효소는 때때로 셀레늄(Se)을 포함하기도 한다.[15] 활성 부위의 금속 중심은 폼산으로부터 수소화물(hydride) 이동을 유도하고, 이산화 탄소를 방출하는 2e 산화 환원 반응을 일으킨다.
작용 기전은 다음과 같다.[8]
:
:
이 도식에서 (SR)4는 두 개의 디티올렌 보조 인자인 몰리브도프테린에 의해 제공되는 4개의 티올레이트 유사 리간드를 나타낸다. 디티올렌 및 시스테이닐/셀레노시스테이닐 리간드는 비관여 리간드이다.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그 기전은 여전히 불확실하며, 대부분의 기전은 전형적인 Mo/W 옥소-전이효소(DMSO 환원효소)와 대조적으로 포름산이 Mo/W에 배위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널리 알려진 기전적 제안은 H-가 포름산으로부터 Mo/WVI=S 그룹으로 이동하는 것을 포함한다.[8]
4. 막 관통 도메인
폼산 탈수소효소의 베타 서브 유닛 막 관통 도메인은 단일 막 관통 나선으로 구성된다. 이 도메인은 단백질 내에서 전자의 전도를 허용하면서 막 앵커 역할을 한다.[16] 폼산 탈수소효소는 두 개의 막횡단 도메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β-소단위체의 세 개의 α-나선과 γ-소단위체의 네 개의 막횡단 나선으로 이루어져 있다.
β-소단위체는 주형질 내 공간에 존재하며, 단일 막횡단 α-나선을 통해 막을 가로질러 β-소단위체를 내막 표면에 고정시킨다. β-소단위체는 두 개의 하위 도메인을 가지며, 각 하위 도메인은 두 개의 [4Fe-4S] 페레독신 클러스터를 가지고 있다. 소단위체를 통해 체인으로 [4Fe-4S] 클러스터를 신중하게 정렬하면 분리 거리가 짧아 [4Fe-4S]-1, [4Fe-4S]-4, [4Fe-4S]-2, [4Fe-4S]-3을 거쳐 γ-소단위체의 주형질 내 헴 b로의 빠른 전자 흐름이 가능하다. 그런 다음 전자 흐름은 막을 가로질러 γ-소단위체의 세포질 내 헴 b로 향한다.
γ-소단위체는 네 개의 막횡단 나선과 두 개의 헴 b 그룹으로 구성된 막 결합 시토크롬 b이며, 이는 헴 결합을 돕는 네 개의 나선 묶음을 생성한다. 감마 소단위체에 결합된 헴 b 보조 인자는 소단위체를 통해 전자가 도약하도록 한다. 막횡단 나선은 두 개의 헴 b 그룹을 모두 유지하며, 셋만 헴 리간드를 제공하여 Fe-헴을 고정한다. 주형질 내 헴 b 그룹은 β-소단위체의 주형질 내 도메인의 [4Fe-4S]-3 클러스터로부터 전자를 받는다. 세포질 내 헴 b 그룹은 주형질 내 헴 b 그룹으로부터 전자를 받아 전자 흐름이 γ-소단위체의 막횡단 도메인에 존재하는 메나퀴논(비타민 K) 환원 부위로 향한다. γ-소단위체의 메나퀴논 환원 부위는 세포질 내 헴 b의 히스티딘 리간드의 결합을 통해 전자를 받는다.[9]
참조
[1]
논문
The Mononuclear Molybdenum Enzymes
[2]
논문
Formate dehydrogenase for CO2 utilization and its application
[3]
논문
NAD(+)-dependent formate dehydrogenase
[4]
논문
Formate dehydrogenase--a versatile enzyme in changing environments
[5]
논문
The organization of formate dehydrogenase in the cytoplasmic membrane of Escherichia coli
[6]
논문
Nitrate reductase complex of Escherichia coli K-12: participation of specific formate dehydrogenase and cytochrome b1 components in nitrate reduction
[7]
논문
Second and Outer Coordination Sphere Effects in Nitrogenase, Hydrogenase, Formate Dehydrogenase, and CO Dehydrogenase
[8]
논문
Formate Dehydrogenase Mimics as Catalysts for Carbon Dioxide Reduction
[9]
논문
Faculty Opinions recommendation of Molecular basis of proton motive force generation: structure of formate dehydrogenase-N.
2002-03-31
[10]
논문
Formate dehydrogenase
[11]
논문
NAD(+)-dependent formate dehydrogenase
[12]
논문
Formate dehydrogenase--a versatile enzyme in changing environments
[13]
논문
The organization of formate dehydrogenase in the cytoplasmic membrane of Escherichia coli
[14]
논문
Nitrate reductase complex of Escherichia coli K-12: participation of specific formate dehydrogenase and cytochrome b1 components in nitrate reduction
[15]
논문
Selenium-Containing Formate Dehydrogenase H from Escherichia coli: A Molybdopterin Enzyme That Catalyzes Formate Oxidation without Oxygen Transfer
[16]
논문
Molecular basis of proton motive force generation: structure of formate dehydrogenase-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