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몰리브데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몰리브데넘은 은백색의 전이 금속으로, 강철 합금, 윤활제, 촉매, 전자 제품,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18세기 후반에 새로운 원소로 확인되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중 강철의 텅스텐 대체재로 사용되면서 중요성이 커졌다. 몰리브데넘은 지각에 소량 존재하며, 몰리브데나이트를 주요 광석으로 채굴한다. 인체에 필수적인 미량 영양소이며, 다양한 효소의 구성 성분으로 작용한다. 과다 섭취 시 구리 결핍을 유발할 수 있으며, 호흡 시 유해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몰리브데넘 - 몰리브데넘 동위 원소
    몰리브데넘 동위 원소는 중성자 수에 따라 구분되며 7개의 안정 동위 원소를 포함하여 다양한 질량수를 가지고, 몰리브데넘-99는 테크네튬-99m의 모핵종으로서 의료 영상 진단에 활용됩니다.
  • 전이 금속 - 아연
    아연은 청회색 금속으로, 적당한 반응성을 지닌 환원제이며, 내식성이 뛰어나 도금에 사용되고, 합금의 주요 성분이며, 인체 필수 미량 원소이지만 과다 섭취 시 독성을 나타낸다.
  • 전이 금속 - 백금
    백금은 은백색의 귀금속으로, 화학적으로 안정적이고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촉매, 전기 접점 재료, 장신구, 자동차 배기가스 제어 장치 등에 사용되고,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러시아에서 주로 생산된다.
  • 원소 정보 - 토륨
    토륨은 은백색의 방사성 악티늄족 금속 원소로, 높은 녹는점과 끓는점을 가지며 지구 지각에 풍부하게 존재하고 핵연료로서의 잠재력을 지니지만, 방사능으로 인해 사용이 감소하고 있다.
  • 원소 정보 - 아연
    아연은 청회색 금속으로, 적당한 반응성을 지닌 환원제이며, 내식성이 뛰어나 도금에 사용되고, 합금의 주요 성분이며, 인체 필수 미량 원소이지만 과다 섭취 시 독성을 나타낸다.
몰리브데넘
기본 정보
몰리브데넘 결정 조각 및 1cm3 큐브
몰리브데넘 결정 조각 및 1cm3 큐브
일본어 이름모리부덴 (モリブデン)
영어 이름멀리브더넘 (Molybdenum)
그리스어몰뤼브도스 (Μόλυβδος)
그리스어 음역몰뤼브도스 (Molybdos)
일반 정보
원자 번호42
원소 기호Mo
왼쪽 원소나이오븀
오른쪽 원소테크네튬
위쪽 원소Cr
아래쪽 원소W
분류전이 금속
6
주기5
구역d
겉모습은백색
원자 질량95.96(1)
전자 배치[Kr] 5s1 4d5
껍질당 전자 수2, 8, 18, 13, 1
상태고체
밀도 (상온)10.28 g/cm3
밀도 (액체, 녹는점)9.33 g/cm3
녹는점2896 K (2623 °C, 4753 °F)
끓는점4912 K (4639 °C, 8382 °F)
융해열37.48 kJ/mol
기화열598 kJ/mol
열용량24.06 J/(mol·K)
증기압 (Pa)1: 2742
10: 2994
100: 3312
1 k: 3707
10 k: 4212
100 k: 4879
결정 구조체심 입방정계
일본어 결정 구조체심 입방
산화 상태"6, 5, 4, 3, 2, 1, -1, -2" (강산성 산화물)
전기 음성도2.16 (폴링 척도)
이온화 에너지1차: 684.3 kJ/mol
2차: 1560 kJ/mol
3차: 2618 kJ/mol
원자 반지름139 pm
공유 반지름154±5 pm
자기 정렬상자성
전기 저항 (20°C)53.4 nΩ·m
열 전도율138 W/(m·K)
열팽창 계수 (25°C)4.8 µm/(m·K)
영률329 GPa
전단 탄성 계수126 GPa
부피 탄성 계수230 GPa
푸아송 비0.31
모스 굳기5.5
비커스 굳기1530 MPa
브리넬 굳기1500 MPa
CAS 등록 번호7439-98-7
동위 원소
몰리브데넘-92존재 비율: 14.84%
반감기: >1.9×1020 y
붕괴 방식: β+β+
붕괴 에너지: 1.6491 MeV
붕괴 생성물: 92Zr (Zr)
몰리브데넘-93존재 비율: syn
반감기: 4,000 y
붕괴 방식: ε
붕괴 에너지: -
붕괴 생성물: 93Nb (Nb)
몰리브데넘-94존재 비율: 9.25%
중성자 수: 52
몰리브데넘-95존재 비율: 15.92%
중성자 수: 53
몰리브데넘-96존재 비율: 16.68%
중성자 수: 54
몰리브데넘-97존재 비율: 9.55%
중성자 수: 55
몰리브데넘-98존재 비율: 24.13%
반감기: >1×1014 y
붕괴 방식: β-β-
붕괴 에너지: 0.1125 MeV
붕괴 생성물: 98Ru (Ru)
몰리브데넘-99존재 비율: syn
반감기: 65.94 h
붕괴 방식 1: β-
붕괴 에너지 1: 0.436, 1.214 MeV
붕괴 생성물 1: 99mTc (Tc)
붕괴 방식 2: γ
붕괴 에너지 2: 0.74, 0.36, 0.14 MeV
몰리브데넘-100존재 비율: 9.63%
반감기: 7.8×1018 y
붕괴 방식: β-β-
붕괴 에너지: 3.04 MeV
붕괴 생성물: 100Ru (Ru)
기타 정보
어원그리스어 "몰뤼브도스(Μόλυβδος)" (납 또는 흑연을 의미)

2. 역사

몰리브데나이트(Molybdenite)는 현재 몰리브데넘을 추출하는 주요 광석으로, 과거에는 몰리브데나(molybdena)로 불렸다. 몰리브데나는 흑연과 혼동되어 흑연처럼 표면을 검게 칠하거나 고체 윤활제로 사용되기도 했다.[24] 흑연과 구별된 이후에도 일반적인 광석인 갈레나(PbS)와 혼동되었다. '몰리브데넘'이라는 이름 자체도 '납'을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 Μόλυβδος|몰리브도스grc에서 유래했다.[9] 이는 몰리브덴 광물인 휘수연광이 납 광물인 방연광과 비슷하게 생겼기 때문이다. 일본어 명칭 'モリブデン(모리부덴)'은 독일어 ''Molybdän''에서 유래했다.

14세기 일본에서 제작된 일본도(1330년경 제작)에 몰리브데넘이 의도적으로 강철과 합금된 사례가 보고되었으나, 이 기술은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후에 사라졌다.[26][27] 서양에서는 1754년 벵트 안데르손 퀴스트(Bengt Andersson Qvist)가 몰리브데나이트 샘플을 검사하여 납을 포함하지 않아 갈레나가 아니라는 사실을 밝혀냈다.[28]

1778년, 스웨덴의 화학자 칼 빌헬름 셸레(Carl Wilhelm Scheele)는 몰리브데나가 갈레나나 흑연과는 다른, 새로운 원소를 포함한 광석임을 명확히 밝혔다.[29][30] 셸레는 이 새로운 원소를 광물의 이름을 따 '몰리브덴'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했으며, 휘수연광을 질산과 반응시켜 얻은 산화물을 납토(wasserbleierde|바서블라이에르데de)라고 명명하였다. 이후 셸레의 친구인 페테르 야코브 옐름(Peter Jacob Hjelm)이 1781년에 삼산화몰리브덴을 탄소아마인유를 사용하여 환원시켜 처음으로 몰리브데넘 금속을 분리하는 데 성공하여 현재의 명칭이 붙여졌다.[9][31]

그러나 몰리브데넘은 이후 약 1세기 동안 산업적으로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비교적 희귀하고 순수한 금속을 추출하기 어려웠으며, 당시의 야금 기술이 미숙했기 때문이다.[32][33][34] 초기 몰리브데넘 강철 합금은 경도 증가에 큰 가능성을 보였지만, 대규모로 합금을 제조하려는 노력은 일관되지 않은 결과, 취성(깨지기 쉬운 성질) 경향 및 재결정화로 인해 방해받았다. 1906년 윌리엄 D. 쿨리지(William D. Coolidge)가 몰리브데넘을 연성(늘어나는 성질) 있게 만드는 기술 특허를 출원하여 고온로의 발열체 및 텅스텐 필라멘트 전구의 지지대로 사용하는 데 기여했는데, 산화물 형성 및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몰리브데넘은 물리적으로 밀봉하거나 불활성 기체에 보관해야 한다.[35] 1913년에는 프랭크 E. 엘모어(Frank E. Elmore)가 광석에서 몰리브데나이트를 회수하기 위한 거품 부상법을 개발했으며, 이 방법은 현재까지도 주요 분리 공정으로 사용된다.[36]

제1차 세계 대전 중에 몰리브데넘에 대한 수요가 급증했다. 몰리브덴은 장갑과 고속도강에서 텅스텐 대체재로 사용되었다. 일부 영국 전차는 75mm 망간강 장갑으로 보호되었지만, 이는 효과적이지 못했다. 망간강 판은 훨씬 가벼운 25mm 몰리브덴강 판으로 대체되어 속도 향상, 기동성 향상 및 보호력 향상을 가능하게 했다.[9] 독일군도 강철에 몰리브덴을 첨가한 중화기를 사용했는데, 예를 들어 초중포 빅 베르타[37]처럼, 1톤 포탄의 추진제가 발생시키는 온도에서 전통적인 강철은 녹기 때문이다.[38] 전쟁 후 야금술의 발전으로 평시 용도의 광범위한 개발이 가능해질 때까지 수요는 급감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몰리브덴은 다시 강철 합금에서 텅스텐을 대체하는 전략적 중요성을 지녔다.[39]

중국은 1999년 이후 중요 전략 자원인 희토류, 텅스텐, 몰리브덴에 대해 순차적으로 수출량 제한을 도입하는 동시에 2006년 이후 수출세를 부과했다. 중국은 2006년 이후 수출 할당량을 매년 감소시켰고, 특히 2010년 하반기 수출 할당량을 대폭 감소시킨 것을 계기로 희토류 가격이 급등하여 시장에 혼란을 가져왔다.

이러한 상황을 받아들여 일본은 미국 및 EU와 함께 2012년 3월 중국이 수출량 제한, 수출세 부과 등의 수출 규제는 WTO 협정을 위반한다고 하여 WTO 협의 요청을 하고, 같은 해 6월 패널 설치 요청을 했다. 일미유럽의 제소를 받아 세계무역기구(WTO)가 협정 위반으로 판정함에 따라, 2015년에 생산을 거의 독점하고 있던 중국은 몰리브덴과 텅스텐과 희토류에 부과하고 있던 '수출세'와 '수출량 제한'을 폐지했다.[132]

3. 특성

몰리브데넘은 주기율표전이 금속에 속하는 원소이다. 순수한 상태에서는 은백색을 띠며 매우 단단한 특성을 가진다. 녹는점끓는점이 매우 높아 고온 환경에서 견딜 수 있는 고융점금속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소량만 첨가해도 강철의 강도를 높이는 데 사용된다.

내부식성이 강하여 고온 및 고압 환경에 사용되기도 하지만, 산소와 쉽게 반응하여 산화되는 단점이 있어 진공 상태나 비활성 기체 환경에서 주로 사용된다. 또한, 기계적 강도가 높아 가공이 어려운 편이다.

몰리브데넘 화합물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석유 정제 과정에서 탈황 촉매로 사용되며[137][138], 여러 화학 공정(예: 무수 프탈산, 무수 말레산, 아크릴산, 벤질 알코올 생산)에서도 촉매 역할을 한다.[139][140][141] 또한 특수 거울[134][135]이나 태양 전지[136] 제조에도 이용된다.

생물학적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주요 영양소이며, 잔틴 산화 효소를 포함한 여러 효소의 필수 구성 성분이다. 인체 내에서는 필수 미네랄로서 활성 산소를 제거하는 반응, 요산 생성, 조혈 작용, 체내 구리 배출 등에 관여한다. 미생물질소 고정 과정에서도 니트로게나아제와 같은 효소를 통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몰리브데넘이라는 이름은 광물인 방연광과 비슷하게 생긴 광물인 휘수연광(molybdenite)에서 유래했다. 휘수연광의 영어 명칭은 그리스어을 의미하는 μόλυβδος|몰리브도스grc에서 비롯되었다.

주요 생산국은 미국칠레로, 이 두 국가가 전 세계 생산량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3. 1. 물리적 특성

순수한 몰리브데넘은 은백색을 띠는 단단한 금속이며, 전이 금속에 속한다. 모스 경도는 5.5이고 표준 원자량은 95.95 g/mol이다.[7][8]

녹는점은 2623°C로[7][8],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원소탄탈럼, 오스뮴, 레늄, 텅스텐, 탄소 다음으로 여섯 번째로 높다.[1] 끓는점은 4650°C이다. (다만, 녹는점과 끓는점 모두 다른 실험값이 존재하기도 한다.) 비중은 10.28이다.

상온, 상압에서 안정적인 결정 구조는 체심입방구조(BCC)이다. 상업적으로 사용되는 금속 중 열팽창 계수가 가장 낮은 축에 속하는 특징이 있다.[9]

공기 중에서는 표면에 산화 피막을 형성하여 내부를 보호하지만, 고온에서는 산소나 할로겐과 쉽게 반응한다. 암모니아수에 용해되며, 열농황산, 질산, 왕수에도 녹는다. 원자가는 2가에서 6가까지 다양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몰리브데넘은 고융점 금속으로 내부식성이 강해 고온 고압 환경에 사용되기도 하지만, 산화가 쉽게 일어나므로 진공 상태나 비활성 기체 환경에서 다루어야 한다. 또한, 기계적 강도가 높아 가공이 어려운 편이다.

3. 2. 화학적 특성

몰리브데넘은 전이 금속으로, 폴링의 전기 음성도는 2.16이다. 상온에서는 산소과는 눈에 띄는 반응을 보이지 않지만, 할로겐과 과산화수소에는 반응한다. 몰리브덴의 약한 산화는 300°C에서 시작되며, 600°C 이상의 온도에서는 대량 산화가 일어나 삼산화몰리브덴(MoO₃)이 생성된다. 공기 중에서는 산화 피막을 만들어 내부가 보호되기도 한다.

몰리브데넘은 암모니아수에 용해되며, 열농황산, 질산, 왕수에도 녹는다. 원자가는 2가에서 6가를 갖는다. 많은 무거운 전이 금속과 마찬가지로, 몰리브덴은 수용액에서 양이온을 형성하는 경향이 거의 없지만, 엄격하게 조절된 조건에서는 Mo3+ 양이온이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0]

기체 상태의 몰리브덴은 이원자 분자 Mo2로 구성된다. 이 분자는 육중결합을 형성한다.[11][12]

상온, 상압에서 안정적인 결정구조는 체심입방구조(BCC)이며, 비중은 10.28, 녹는점은 2620°C, 끓는점은 4650°C이다(녹는점, 끓는점 모두 다른 실험값이 존재한다).

3. 3. 동위 원소

몰리브데넘의 동위 원소질량수 81에서 119까지 39종이 알려져 있으며, 13종의 준안정 핵이성체가 존재한다. 자연 상태에서는 질량수 92, 94, 95, 96, 97, 98, 100의 7가지 동위 원소가 발견되는데, 이 중에서 몰리브데넘-100만 불안정하다.

자연에서 발견되는 몰리브데넘 동위 원소 중 가장 풍부한 것은 몰리브데넘-98로, 전체 몰리브데넘의 24.14%를 차지한다. 몰리브데넘-100의 반감기는 약 1019년이며, 이중 베타 붕괴를 통해 루테늄-100으로 붕괴한다. 몰리브데넘의 모든 불안정 동위 원소는 니오븀, 테크네튬, 루테늄의 동위 원소로 붕괴한다.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방사성 동위 원소 중 가장 안정적인 것은 93Mo로, 반감기는 4,839년이다.

몰리브데넘 동위 원소 중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것은 핵분열 생성물인 몰리브데넘-99이다. 이는 의료 영상에 사용되는 핵이성체인 테크네튬-99m(99mTc)의 모(母) 방사성 동위 원소인데, 테크네튬-99m은 반감기가 짧고 감마선을 방출한다.[13] 2008년, 네덜란드의 델프트 공과대학교(Delft University of Technology)는 몰리브데넘-98을 이용하여 몰리브데넘-99를 생산하는 방법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다.[14]

4. 화합물

몰리브데넘은 −4에서 +6까지의 산화 상태에서 화합물을 형성한다. 높은 산화 상태(+4, +6)는 지구상에서의 존재와 생물학적 역할과 더 관련이 있으며, 중간 산화 상태는 종종 금속 클러스터와 관련이 있고, 매우 낮은 산화 상태는 일반적으로 유기몰리브데넘 화합물과 관련이 있다. 몰리브데넘과 텅스텐의 화학적 특성은 매우 유사하다. 예를 들어, 몰리브데넘(III)은 상대적으로 드문 반면 크로뮴(III) 화합물은 널리 퍼져 있다. 가장 높은 산화 상태는 삼산화몰리브덴(MoO3)에서 볼 수 있으며, 일반적인 황 화합물은 이황화몰리브덴 MoS2이다.[43]

산화
상태
예시[15][16]
−4Na4[Mo(CO)4]
−2[Mo(CO)5]2-[17]
−1Na2[Mo2(CO)10]
0Mo(CO)6
+1C5H5Mo(CO)3
+2MoCl2
+3MoBr3
+4MoS2
+5MoCl5
+6MoF6



인몰리브데이트 음이온(P[Mo12O40]3−)의 케긴 구조, 다중산화금속산염의 한 예이다.


상업적 관점에서 가장 중요한 화합물은 이황화몰리브덴(MoS2)과 삼산화몰리브덴(MoO3)이다. 검은색 이황화물은 주요 광물이며, 공기 중에서 로스팅(가열)하여 삼산화물을 생성한다.[43]

:2 MoS2 + 7 O2 → 2 MoO3 + 4 SO2

고온에서 휘발성인 삼산화물은 사실상 다른 모든 몰리브데넘 화합물과 합금의 전구체이다. 몰리브데넘은 여러 산화 상태를 가지며, 가장 안정적인 것은 +4와 +6이다(왼쪽 표에 굵게 표시됨).

삼산화몰리브덴(MoO3)은 강한 알칼리성 물에 용해되어 몰리브데이트(MoO42−)를 형성한다. 몰리브데이트는 크로메이트보다 산화력이 약하다. 몰리브데이트는 낮은 pH 값에서 축합하여 구조적으로 복잡한 옥시 음이온을 형성하는 경향이 있으며, 예를 들어 [Mo7O24]6− 및 [Mo8O26]4−가 있다. 폴리몰리브데이트는 다른 이온을 포함하여 다중산화금속산염(폴리옥소메탈레이트)을 형성할 수 있다.[18] 진한 파란색의 인을 함유한 헤테로폴리몰리브데이트 P[Mo12O40]3−는 인의 분광학적 검출에 사용된다.[19]

몰리브덴의 광범위한 산화 상태는 다양한 몰리브덴 염화물에 반영된다.[43]

  • 염화몰리브덴(II) MoCl2는 육량체 Mo6Cl12 및 관련된 이온 [Mo6Cl14]2-로 존재한다.
  • 염화몰리브덴(III) MoCl3는 진한 빨간색 고체이며, 삼원자 음이온 복합체 [MoCl6]3-로 전환된다.
  • 염화몰리브덴(IV) MoCl4는 검은색 고체이며, 중합체 구조를 채택한다.
  • 염화몰리브덴(V) MoCl5는 진한 녹색 고체이며, 이량체 구조를 채택한다.
  • 염화몰리브덴(VI) MoCl6는 검은색 고체이며, 단량체이며 상온에서 천천히 MoCl5와 Cl2로 분해된다.[20]


이러한 산화 상태의 안정성은 할라이드 반대이온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플루오르화몰리브덴(VI)(MoF6)는 안정적이지만, 몰리브데넘은 안정적인 헥사클로라이드, 펜타브로마이드 또는 테트라아이오다이드를 형성하지 않는다.[21]

크로뮴 및 기타 일부 전이 금속과 마찬가지로, 몰리브데넘은 Mo2(CH3COO)4 및 [Mo2Cl8]4−와 같이 사중 결합을 형성한다.[43][22] 부티레이트 및 퍼플루오로부티레이트 이량체 Mo2(O2CR)4 및 Rh2(O2CR)4의 루이스 산 특성이 보고되었다.[23]

산화 상태 0 및 그 이하는 리간드카르보닐을 사용할 경우 가능하며, 예를 들어 육카르보닐몰리브덴 Mo(CO)6에서 볼 수 있다.[43][16]

몰리브덴 산화물은 많은 화학 공정에서 촉매로 사용된다. 석유 유분의 탈황[137][138], 나프탈렌으로부터 무수 프탈산 생산, 벤젠으로부터 무수 말레산 생산 등에 이용된다. 혼합 산화물은 아크릴산벤질 알코올 생산에서 촉매로 사용된다[139][140][141]. 이황화몰리브덴(MoS2)은 고온 및 고압 환경에서 윤활제로 사용되기도 한다.

5. 존재 및 생산

거칠고 반투명한 수정 조각 위에 거의 평행한 층으로 꽃처럼 자리 잡은 광택 있는 은색의 평평한 육각형 결정.
석영 위의 몰리브데나이트


몰리브데넘은 지각에서 평균 1.5ppm으로 54번째로 풍부하며, 해양에서는 평균 10ppb로 25번째로 풍부한 원소이다. 우주에서는 42번째로 풍부하다.[9][40] 의 마레 크리시움에서 채취된 휘석 파편에서도 몰리브데넘 함유 입자가 발견된 바 있다.[41] 지구 지각에서의 상대적인 희소성에도 불구하고, 몰리브데넘은 물에 잘 녹지 않는 여러 광석에 농축되어 존재한다. 주로 과 결합하여 구리와 함께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주요 상업적 광물은 몰리브데나이트(MoS₂)이며, 방연석(PbMoO₄)과 파웰라이트(CaMoO₄)에서도 발견된다. 몰리브데넘은 자체 광산에서 주로 채굴되지만, 구리텅스텐 채굴 과정에서 부산물로 회수되기도 한다.[1]

세계 몰리브데넘 생산 추세


2011년 기준 세계 몰리브데넘 생산량은 25만ton이었다. 주요 생산국은 중화인민공화국(중국, 9.4만ton), 미국(6.4만ton), 칠레(3.8만ton), 페루(1.8만ton), 멕시코(1.2만ton) 순이다. 전 세계 총 매장량은 약 1000만ton으로 추정되며, 이 중 상당량이 중국(430만ton), 미국(270만ton), 칠레(120만ton)에 집중되어 있다. 대륙별로는 북미, 남미(특히 칠레), 중국이 전 세계 생산량의 약 93%를 차지하며 거의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다. 나머지는 유럽과 아시아(주로 아르메니아, 러시아, 이란, 몽골) 등지에서 생산된다.[50]

=== 2011년 국가별 생산량 ===[133]

순위국가몰리브데넘 광산출량(톤)세계 전체 비율(%)
1중화인민공화국106000ton40.2
2미국63700ton24.1
3칠레40889ton15.5
4페루19141ton7.3
5멕시코10881ton4.1



=== 생산 공정 ===

몰리브데나이트(MoS₂)를 처리하여 몰리브데넘을 생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 '''로스팅''': 광석을 700°C의 온도에서 공기 중에서 가열(로스팅)한다. 이 과정에서 이산화황(SO₂) 기체와 삼산화몰리브덴(MoO₃)이 생성된다.[43]

#: 2MoS₂ + 7O₂ → 2MoO₃ + 4SO₂

# '''추출''': 생성된 삼산화몰리브덴을 수용액 상태의 암모니아(NH₃)로 추출하여 몰리브덴산암모늄((NH₄)₂MoO₄)을 만든다.

#: MoO₃ + 2NH₃ + H₂O → (NH₄)₂(MoO₄)

# '''정제''': 몰리브데나이트에 포함된 불순물인 구리는 이 단계에서 황화수소(H₂S) 처리를 통해 분리한다.[43] 몰리브덴산암모늄은 이몰리브덴산암모늄((NH₄)₂Mo₂O₇)으로 전환시켜 고체로 분리한 뒤, 이를 가열하여 다시 삼산화몰리브덴(MoO₃)을 얻는다.[42]

#: (NH₄)₂Mo₂O₇ → 2MoO₃ + 2NH₃ + H₂O

#: 얻어진 조(粗)삼산화물은 1100°C에서 승화시켜 더욱 정제할 수 있다.

# '''환원''': 최종적으로 정제된 삼산화몰리브덴을 수소(H₂)로 환원시켜 금속 몰리브데넘(Mo)을 생산한다.

#: MoO₃ + 3H₂ → Mo + 3H₂O

강철 생산에 사용되는 몰리브데넘은 알루미늄 환원법으로 환원시키며, 이때 을 첨가하여 페로몰리브덴을 생산한다. 일반적인 페로몰리브덴은 약 60%의 몰리브데넘을 함유한다.[43][44]

=== 시장 및 가격 ===

몰리브데넘의 가격은 변동성이 큰 편이다. 2009년 8월 기준 가격은 톤당 약 3만달러 수준이었다. 1997년부터 2003년까지는 톤당 1만달러 안팎을 유지했으나, 2005년 6월에는 톤당 10.3만달러까지 치솟으며 최고가를 기록하기도 했다.[45] 2008년 런던금속거래소(LME)는 몰리브데넘을 상품으로 상장하여 거래하기 시작했다.[46]

=== 중국의 수출 규제와 해소 ===

중국은 1999년부터 자국의 중요 전략 자원으로 간주되는 희토류, 텅스텐, 몰리브데넘에 대해 수출량 제한 조치를 순차적으로 도입했으며, 2006년부터는 수출세까지 부과했다. 특히 2010년 하반기에는 수출 할당량을 대폭 줄여 몰리브데넘을 포함한 희소 금속 가격이 급등하는 등 국제 시장에 혼란을 야기했다.

이러한 중국의 보호무역주의적 조치에 대응하여 일본, 미국, 유럽 연합(EU)은 2012년 3월, 중국의 수출 규제가 세계무역기구(WTO) 협정에 위배된다며 WTO에 제소했다. 같은 해 6월에는 분쟁 해결을 위한 패널 설치를 요청했다. WTO는 이러한 제소를 받아들여 중국의 조치가 협정 위반이라고 판정했으며, 그 결과 중국은 2015년에 몰리브데넘, 텅스텐, 희토류에 부과하던 수출세와 수출량 제한 조치를 폐지하게 되었다.[132] 이는 자원 보유국의 일방적인 시장 통제 시도에 대해 국제 사회가 공조하여 대응한 사례로 평가받는다.

6. 용도

몰리브데넘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가장 대표적인 용도는 합금 원소로서의 활용이다. 소량만 첨가해도 강철경도, 강도, 내식성 등을 크게 향상시키므로[1][40][50] 다양한 합금강 제조에 널리 쓰인다. 실제로 철강재료 분야에서 소비되는 몰리브데넘의 양이 가장 많다.

황화몰리브덴(IV)은 마찰계수가 낮아 산업용 윤활유엔진오일의 첨가제로 널리 쓰인다.[123] 또한, 몰리브데넘 화합물, 특히 산화물은 석유 정제 과정에서의 탈황[137][138], 아크릴산 생산[125][126][127][139][140][141] 등 여러 화학 반응에서 중요한 촉매로 작용한다.

전자 산업에서는 몰리브데넘-구리 합금이 하이브리드카나 로켓의 전자 기판에 사용되며, 금속 몰리브데넘은 액정 패널 제조 라인의 박판이나 태양 전지의 하부 전극[131][136] 등으로 활용된다. 특수 거울[134][135][129][130] 제작에도 사용된다.

의료 분야에서는 방사성동위원소인 몰리브데넘-99가 진단 등 핵의학 검사에 필요한 테크네튬-99m을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124]

생물학적으로도 몰리브데넘은 중요하다. 식물의 성장에 필수적인 영양소로서 비료의 성분으로 사용되며, 인체 내에서는 요산 생성, 조혈 작용, 구리 배설 등에 관여하는 여러 효소의 구성 요소이다. 또한 미생물의 질소고정 과정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대한민국에서는 몰리브데넘이 산업적으로 중요성이 높지만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국가적인 안보 차원에서 최소 60 분의 비축 물량을 확보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 외에도 스테인리스강 식기류나 캠핑 용품 등 일상생활과 밀접한 제품에도 크롬몰리브덴강 형태로 사용된다.

6. 1. 합금

몰리브데넘은 소량으로도 강철경도, 강도, 내식성, 용접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중요한 합금 원소이다.[1][40][50] 이러한 특성 때문에 생산되는 몰리브데넘의 약 86%는 야금 분야에서 사용된다.[49]

세계적인 몰리브데넘의 주요 용도는 다음과 같다.[49]

용도비율 (%)
구조용 강철35
스테인리스강25
화학 물질14
공구강 및 고속도강9
주철6
몰리브데넘 원소 금속6
초합금5



대부분의 고강도 강철 합금(예: 41xx 강철)에는 0.25%에서 8%의 몰리브데넘이 포함된다.[1] 매년 43000ton 이상의 몰리브데넘이 스테인리스강, 공구강, 주철, 고온 초합금 등에 사용된다.[40]

몰리브데넘은 또한 높은 내식성과 용접성 때문에 강철 합금에 사용된다.[40][50] 특히 스테인리스강의 내식성 향상에 크게 기여한다. 300계열 스테인리스강(특히 316계열)과 슈퍼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예: AL-6XN 합금, 254SMO, 1925hMo)의 내식성을 높이며,[50] 페라이트계(예: 444 등급)[51] 및 마르텐사이트계(예: 1.4122, 1.4418) 스테인리스강의 내식성 향상에도 사용된다. 몰리브데넘은 격자 변형을 유도하여 원자가 표면에서 용해되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내식성을 높인다.

공구강, 특히 고속도강(하이스)에서는 2차 경화능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는 텅스텐과 유사한 효과지만, 몰리브데넘은 텅스텐보다 밀도가 낮고 가격이 안정적이어서[40] 텅스텐 대신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고속도강의 'M' 계열(M2, M4, M42 등)은 텅스텐 기반의 'T' 계열 강철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철강 재료 분야에서 몰리브데넘과 텅스텐의 함량을 비교할 때는 질량 퍼센트를 기준으로 `Mo + 1/2W (mass%)`라는 등가식이 사용되기도 한다. 사실상 철강재료 분야에서 소비되는 몰리브데넘의 양이 가장 많다.

몰리브데넘은 극심한 온도에서도 크게 팽창하거나 연화되지 않는 특성 덕분에 고온 환경에서 사용되는 부품 제작에 유용하다.[9][52] 군용 장갑, 항공기 부품, 전기 접점, 산업용 모터 등이 그 예이다.[9][52] 또한 다른 금속 표면에 내화 코팅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몰리브데넘의 녹는점은 2623°C이지만, 760°C 이상의 온도에서는 빠르게 산화되므로 진공 환경이나 비활성 분위기에서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52]
TZM 합금 (Mo ~99%, Ti ~0.5%, Zr ~0.08%, 소량의 C)은 대표적인 몰리브데넘 초합금이다. 이 합금은 순수 몰리브데넘보다 약 두 배의 강도를 가지면서도 더 우수한 연성과 용접성을 보인다.[53][54] 특히 1300°C 이상의 고온에서도 용융염에 대한 뛰어난 내식성을 가져 용융염 원자로의 재료로 주목받고 있다. FLiBe와 같은 표준 공융염 및 염 증기 환경에서 1100시간 동안 노출되었을 때 부식이 거의 측정되지 않을 정도로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다.[53][54] 이러한 우수한 고온·고압 특성 덕분에 TZM 합금은 군수 산업에서도 널리 사용되어, 어뢰 엔진 밸브, 로켓 엔진 노즐, 고온 가스 파이프라인 등 극한의 열적, 기계적 스트레스를 견뎌야 하는 부품에 적용된다.[55][56][57] 또한 원자력 분야에서는 방사선 차폐재로도 활용된다.[58]

철을 포함하지 않는 기타 몰리브데넘 기반 합금도 특정 분야에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용융 아연에 대한 내성 때문에 순수 몰리브데넘과 몰리브데넘-텅스텐 합금(70%/30%)은 용융 아연과 접촉하는 배관, 교반기 및 펌프 임펠러에 사용된다.[59]

몰리브덴 구리 합금 판


몰리브데넘과 구리의 합금은 우수한 온도 특성과 적절한 전기 전도성을 겸비하여 하이브리드카나 로켓의 전자 기판 등에 사용된다.

합금강 첨가 시에는 주로 산화몰리브덴(VI)이나 페로몰리브덴 형태로 사용된다. 대표적인 몰리브데넘 합금강으로는 크롬몰리브덴강, 망간몰리브덴강, 니켈크롬몰리브덴강 등이 있다. 이 중 크롬몰리브덴강은 스테인리스강 식기류나 캠핑 용품 등 일상생활과 밀접한 제품에도 사용된다.

6. 2. 윤활제

이황화 몰리브데넘(MoS₂)은 마찰계수가 낮기 때문에 산업용 윤활유엔진오일의 첨가제로 널리 사용된다. 이황화 몰리브데넘이 첨가된 윤활유나 그리스는 특유의 짙은 녹색을 띠어 다른 제품과 쉽게 구별할 수 있다. 특정 기기나 공정 설명서에서 몰리브데넘이 첨가된 윤활제를 사용하도록 지정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따르지 않으면 예상치 못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몰리브데넘 첨가 윤활제는 가격이 특별히 비싸지 않고 구하기 쉬워 수요가 높은 편이다. 또한, 적은 양으로도 비슷한 효과를 내는 유기 몰리브데넘 화합물인 디티오인산몰리브데넘[121]이나 디티오카르밤산몰리브데넘[122] 등도 윤활 첨가제로 사용된다[123].

6. 3. 촉매

몰리브데넘 화합물은 다양한 화학 반응에서 중요한 촉매로 활용된다. 특히 산화몰리브덴과 몰리브데넘을 포함한 혼합 산화물이 널리 사용된다.[137][138][139][140][141] 몰리브데넘 기반 촉매가 사용되는 주요 화학 공정은 다음과 같다.

반응 종류원료생성물사용되는 몰리브데넘 화합물비고
석유 유분 탈황석유 유분탈황된 유분산화몰리브덴[137][138]-
프탈산 무수물 생산나프탈렌프탈산 무수물산화몰리브덴-
말레산 무수물 생산벤젠말레산 무수물산화몰리브덴-
아크릴산 생산프로판, 프로필렌, 아크롤레인아크릴산혼합 산화물 (몰리브데넘 함유)[125][126][127][139][140][141]선택적 산화 반응
벤질 알코올 생산-벤질 알코올혼합 산화물[139][140][141]-
벤질산 제조-벤질산몰리브데넘 화합물[128]-



이처럼 몰리브데넘은 석유화학 공업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촉매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6. 4. 전자 제품


  • 몰리브데넘과 구리의 합금은 우수한 온도 특성과 적절한 전도성을 갖추고 있어 하이브리드카나 로켓의 전자 기판 등에 사용된다.
  • 금속 몰리브데넘은 고온 영역에서의 기계적 성질이 필요할 때 텅스텐보다 저렴하여 진공관의 양극 등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 최근에는 액정 패널 제조 라인 등에서 몰리브데넘 박판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 또한 태양 전지의 하부 전극으로 널리 사용되며[131][136], 태양 전지 생산 자체에도 활용된다.

6. 5. 의료

몰리브데넘은 유방촬영술에서 X선 발생 장치의 양극 재료(타겟)로 사용된다.[105][106] 몰리브데넘 타겟은 유방과 같은 연조직 영상 촬영에 적합한 17-20 keV 에너지 범위의 X선을 생성한다. 이 X선은 조직 간의 명암비가 높아 미세석회화 등 유방 조직의 미세한 이상을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107] 또한, 이 에너지 범위는 방사선 피폭량을 줄이면서도 영상 품질을 높일 수 있어 유방암 선별 검사에 특히 유용하다.[108]

방사성동위원소인 몰리브데넘-99(99Mo)는 핵의학 분야에서 진단 등에 널리 사용되는 테크네튬-99m(99mTc)을 만드는 데 필요한 핵심 원료이다. 대한민국은 현재 해외 원자로에서 생산된 몰리브데넘-99를 수입하여 방사성붕괴를 통해 얻어지는 테크네튬-99m(99mTc)을 의료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와 국내 핵의학 기술 발전을 위해 가속기를 이용한 몰리브데넘-99(99Mo) 국산화가 시도되고 있다.[124] 이러한 국산화 노력은 의료용 방사성동위원소의 안정적 공급과 관련 기술 자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6. 6. 기타


  • 몰리브데넘 분말은 꽃양배추와 같은 일부 식물의 비료로 사용된다.[40]
  • 원소 상태의 몰리브데넘은 발전소의 대기오염 관리를 위한 NO, NO2, NOx 분석기에 사용된다. 350°C에서 이 원소는 적외선으로 검출하기 위해 NO2/NOx가 NO 분자를 형성하는 촉매 역할을 한다.[60]
  • 몰리브데넘 양극은 유방촬영술과 같은 특수 용도의 특정 저전압 X선 발생 장치에서 텅스텐을 대체한다.[61]
  • 방사성 동위원소 몰리브데넘-99는 의료 영상에 사용되는 테크네튬-99m를 생성하는 데 사용되며,[62] 몰리브덴산염 형태로 취급 및 저장된다.[63] 대한민국에서는 해외 원자로에서 생산된 몰리브데넘-99를 수입하여 방사성붕괴로 얻어지는 테크네튬을 제제하고 있지만, 가속기를 이용한 국산화도 시도되고 있다[124].
  • 이황화 몰리브데넘(MoS2)은 마찰계수가 낮아 고체 윤활제, 고온고압(HPHT) 내마모제, 산업용 윤활유엔진오일 첨가제로 널리 사용된다. 금속 표면에 강력한 막을 형성하며,[64] 첨가된 유지류는 짙은 녹색을 띠어 구분하기 쉽다. 적은 양으로도 효과를 내는 유기몰리브데넘(디티오인산몰리브데넘[121], 디티오카르밤산몰리브데넘[122])도 사용된다[123]. 또한 소량의 코발트와 결합하여 석유의 탈황(HDS) 촉매로 사용되어 원료에서 질소을 제거하는 데 기여한다.[65]
  • 산화 몰리브데넘 계열 촉매는 유기 화합물의 선택적 산화에 중요하게 사용된다. 아크릴로니트릴, 포름알데히드,[42] 아크롤레인, 아크릴산[125][126][127], 벤질산[128] 등의 생산에 이용되며, 일산화탄소 산화[68][69] 등 다양한 화학 공정에서 촉매로 활용된다. 몰리브데넘 탄화물, 질화물, 인화물은 유채유의 수소 처리에도 사용될 수 있다.[70]
  • 이규화 몰리브데넘(MoSi2)은 전기 전도성 세라믹으로, 공기 중에서 1500°C 이상의 고온에서 작동하는 발열체에 주로 사용된다.[66]
  • 삼산화 몰리브데넘(MoO3)은 유약과 금속 사이의 접착제로 사용된다.[29]
  • 몰리브덴산납(황산납광)은 크롬산납, 황산납과 함께 공침전되어 세라믹플라스틱에 사용되는 밝은 주황색 안료를 만든다.[67]
  • 헵타몰리브덴산암모늄은 생물학적 염색에 사용된다.[71]
  • 인몰리브덴산은 박층 크로마토그래피[72] 및 조직화학의 삼색 염색에 사용되는 염색제이다.[73]
  • 몰리브데넘 코팅 소다석회 유리는 CIGS 태양 전지에 사용된다. 금속 몰리브데넘은 액정패널 제조 라인 등에서 박판 형태로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태양전지 하부 전극으로도 널리 쓰인다.[131][136] 또한 특수 거울[129][130][134][135] 제조에도 활용된다.
  • 몰리브데넘과 구리의 합금은 우수한 내열성과 적절한 전기 전도성을 갖추어 하이브리드카나 로켓의 전자 기판 등에 사용된다.
  • 크롬몰리브덴강과 같은 형태로 스테인리스강 식기류나 캠핑 용품 제작에 사용된다.

7. 생물학적 역할

몰리브데넘은 미생물, 식물, 동물을 포함한 다양한 생물종에 필수적인 미량 원소이다. 특히 미생물대기질소를 고정하는 데 사용하는 효소(니트로게나아제)의 핵심 성분으로, 지구의 질소 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식물의 성장에도 필수적인 영양소이므로, 몰리브데넘 화합물은 비료로도 활용된다. 인체에서는 필수 미네랄로서 다양한 효소의 구성 성분이 되어 체내 여러 생화학 반응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7. 1. 몰리브데넘 함유 효소

몰리브데넘은 대부분의 생물체에 필수적인 미량 원소이며, 특히 다양한 효소의 활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74] 박테리아, 식물, 동물 등에서 몰리브데넘을 포함하는 수십 종의 효소가 확인되었다.[75][76] 이러한 효소들은 주로 질소 순환, 황 순환, 탄소 순환과 관련된 중요한 생화학 반응, 특히 특정 작은 분자들의 산화 및 환원 반응을 촉매한다.[78]

대부분의 몰리브데넘 함유 효소는 몰리브도프테린이라는 유기 분자와 결합하여 몰리브덴 보조인자를 형성한다. 이 보조인자는 효소의 활성 부위에서 몰리브데넘 원자를 붙잡아 반응을 돕는다.

몰리브덴 보조인자의 구조. 이황화기 두 개 모두에 단일 몰리브덴 원자가 결합된 몰리브도프테린의 골격 구조를 보여준다. 몰리브덴 보조인자는 인접한 황(또는 때때로 셀레늄) 원자를 통해 산화된 몰리브덴(VI) 원자를 결합한 몰리브덴이 없는 유기 복합체인 몰리브도프테린으로 구성된다. 고대 질소 고정 효소를 제외한 모든 알려진 몰리브덴 사용 효소는 이 보조인자를 사용한다.


주요 몰리브데넘 함유 효소는 다음과 같다.

  • '''질소 고정 효소''' (니트로게나제): 몰리브데넘 함유 효소 중 유일하게 몰리브도프테린 대신 FeMoco라는 독특한 철-몰리브데넘-황 클러스터를 보조인자로 사용한다.[77][79][80] 이 효소는 대기 중의 질소(N₂)를 암모니아(NH₃)로 전환하는 질소고정 과정을 촉매한다. 이 과정은 생물이 질소를 이용 가능한 형태로 만드는 데 필수적이며, 특히 콩과 식물의 뿌리에 공생하는 뿌리혹박테리아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지구상 질소고정량의 상당 부분이 몰리브데넘 효소에 의해 이루어진다.

: \mathrm{N_2 + 8 \ H^+ + 8 \ e^- + 16 \ ATP + 16 \ H_2O \longrightarrow 2 \ NH_3 + H_2 + 16 \ ADP + 16 \ P_i}

질소 고정 효소의 FeMoco 활성 부위 구조

  • '''크산틴 산화효소''' (Xanthine oxidase): 포유류를 포함한 동물에서 퓨린 이화작용의 마지막 단계에 관여한다.[9] 이 효소는 크산틴을 요산으로 산화시키는 반응을 촉매한다. 체내 몰리브데넘 농도는 크산틴 산화효소의 활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82]

  • '''알데히드 산화효소''' (Aldehyde oxidase): 다양한 알데하이드를 해당 카르복실산으로 산화시키는 반응을 촉매한다.[9] 포유류에서는 알코올 대사 과정에서 생성되는 아세트알데하이드와 같은 물질의 해독에도 관여하는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와 함께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아황산 산화효소''' (Sulfite oxidase): 독성이 있는 아황산 이온(SO₃2−)을 독성이 적은 황산 이온(SO₄2−)으로 산화시키는 반응을 촉매한다.[9] 이는 황 함유 아미노산의 대사 과정에서 필수적이다.

7. 2. 인체 대사 및 결핍

몰리브데넘은 인체에 필수적인 미량 원소이자 미네랄로, 활성 산소를 무독화하는 반응 등에 사용된다.[83] 인체는 체중 1kg당 약 0.07mg의 몰리브데넘을 함유하고 있으며,[87] 신장에 농도가 높고 척추에는 낮다.[40] 또한 인체 치아 법랑질에도 존재하여 충치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88]

포유류에는 몰리브데넘을 필요로 하는 네 가지 효소가 알려져 있다. 이 효소들은 모두 활성 부위에 프테린 기반의 몰리브데넘 보조인자(Moco)를 포함하고 있으며, 아황산 산화효소, 크산틴 산화환원효소, 알데하이드 산화효소, 미토콘드리아 아미독심 환원효소가 이에 해당한다.[84] 몰리브데넘은 요산 생성, 조혈 작용, 체내 구리 배설 등에도 관여한다.

몰리브데넘이 심각하게 결핍된 사람은 아황산 산화효소 기능이 저하되어 식품 속 아황산염에 대한 독성 반응을 일으키기 쉽다.[85][86] 결핍 시 아황산 독성으로 인해 빈맥, 빈호흡, 두통, 오심, 구토, 혼수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는 기록이 있다. 중국 북부에서 이란에 이르는 지역처럼 토양의 몰리브데넘 농도가 낮은 곳에서는 식이 몰리브데넘 결핍이 발생하며, 이는 식도암 발생률 증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91][92][93] 실제로 이 지역 주민들은 미국과 비교했을 때 식도 편평세포암종 발병 위험이 약 16배 더 높다.[94]

또한, 몰리브데넘 보충 없이 전 비경구 영양 공급(완전 정맥 영양 공급)을 장기간 받은 경우에도 몰리브데넘 결핍이 보고된 바 있다. 이 경우 혈중 아황산염요산 수치가 높아지지만, 주로 성인에게 발생하기 때문에 선천성 결핍증에서 나타나는 신경계 합병증은 상대적으로 덜 두드러진다.[95]

영아에게 발생하는 선천성 몰리브데넘 보조인자 결핍증 질환은 몰리브데넘 보조인자(몰리브도프테린)라는 헤테로고리 분자를 합성하지 못하는 선천성 대사 이상 질환이다. 몰리브데넘 보조인자는 몰리브데넘을 사용하는 모든 인체 효소의 활성 부위에서 몰리브데넘과 결합하는 데 필요하다. 이 질환은 아황산염요산 수치를 높이고 심각한 신경 손상을 초래한다.[96]

인체 내 대부분의 몰리브데넘은 몰리브덴산염 형태로 소변을 통해 배설되며, 섭취량이 증가하면 배설량도 늘어난다. 소량은 담즙을 통해 대변으로 배설되고, 이나 머리카락을 통해서도 일부 손실될 수 있다.[98][99]

인체에서 몰리브데넘의 급성 독성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독성은 화학적 상태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일부 몰리브데넘 화합물의 중간 치사량(LD50)이 180mg/kg 정도로 낮게 나타났다.[89] 인체 독성 데이터는 부족하지만, 동물 연구에 따르면 하루 10mg 이상의 몰리브데넘을 만성적으로 섭취할 경우 설사, 성장 지연, 불임, 저체중 출산, 통풍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폐, 신장, 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114][90] 과잉 섭취로 인한 중독은 "몰리브데노시스(molybdenosis)"라고 불리며, 몰리브데넘 함량이 높은 토양의 풀을 먹은 소에게서 체중 감소, 식욕 부진, 빈혈, 수유 불량, 불임, 골다공증 등의 증상이 나타난 사례가 있다. 텅스텐산나트륨은 몰리브데넘의 경쟁적 저해제로 작용하여, 텅스텐을 섭취하면 조직 내 몰리브데넘 농도가 감소한다.[40]

7. 3. 섭취 권장량 및 급원 식품

몰리브데넘은 인체에 필수적인 미량 원소로, 여러 효소의 작용에 관여한다.[83][84]

=== 권장 섭취량 ===

==== 미국 (NAM) 기준 ====

2000년 미국국립의학원(National Academy of Medicine, NAM)은 몰리브데넘의 영양소 기준 섭취량(DRIs)을 설정했다. 정보가 충분하지 않을 때는 적정 섭취량(AI)을, 충분할 때는 추정 평균 요구량(EAR)과 권장 섭취량(RDA)을 설정한다.[109]

  • 적정 섭취량 (AI):
  • 생후 0~6개월: 2 μg/일
  • 생후 7~12개월: 3 μg/일
  • 권장 섭취량 (RDA): 남녀 동일

연령RDA (μg/일)
1~3세17
4~8세22
9~13세34
14~18세43
19세 이상45


  • 임신수유부 (14~50세): 50 μg/일
  • 내성 상한 섭취량(UL): 하루 2000 μg[109]


미국 식품 라벨의 일일 권장량(DV) 기준은 기존 75 μg에서 2016년 5월 27일부로 45 μg으로 개정되었다.[112][113]

==== 유럽 (EFSA) 기준 ====

유럽식품안전청(EFSA)은 15세 이상 성인의 AI를 하루 65 μg으로 설정했으며, 임신 및 수유부도 동일하다. 1~14세 어린이의 AI는 연령에 따라 하루 15~45 μg이다. UL은 하루 600 μg으로 미국보다 낮게 설정되었다.[110][111]

==== 일본 기준 ====

2020년 후생노동성의 『일본인의 식사 섭취 기준』에 따르면, 성인(18세 이상) 남성의 RDA는 30 μg/일, 성인 여성은 25 μg/일이다. 상한량은 남성 600 μg/일, 여성 500 μg/일이며, 수유부는 3 μg을 추가로 섭취하도록 권장한다.

=== 급원 식품 ===

일반적인 식사를 통한 몰리브데넘의 일일 평균 섭취량은 120~240 μg/일로, 권장 섭취량보다 높은 편이다.[114] 몰리브데넘은 다음과 같은 식품에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9][114]

7. 4. 과잉 섭취 및 독성

높은 몰리브덴 수치는 신체의 구리 흡수를 방해하여 구리 결핍을 유발할 수 있다.[100] 몰리브덴은 혈장 단백질이 구리와 결합하는 것을 방해하고, 소변으로 배출되는 구리의 양을 증가시키기도 한다.[100] 이 때문에 높은 수준의 몰리브덴을 섭취한 반추동물설사, 성장 장애, 빈혈, 그리고 탈색증(털 색소 손실)을 겪는다.[100] 이러한 증상은 구리 보충으로 완화될 수 있으며[100], 과도한 은 구리 결핍을 악화시킬 수 있다.[40][101] 일부 방목 가축, 특히 소는 몰리브덴 함량이 높은 목초지(특히 토양 pH가 중성에서 알칼리성일 경우)에서 풀을 먹고 설사를 일으킬 수 있는데, 이를 '티아트니스(teartness)'라고도 부른다.

과잉 섭취로 인한 중독은 몰리브데노시스(molybdenosis)라고 불린다. 미국 콜로라도에서는 몰리브덴 함량이 높은 토양의 풀을 먹은 소가 중독된 사례가 보고되었다. 주요 증상으로는 체중 감소, 식욕 부진, 빈혈, 수유 불량, 불임, 골다공증 등이 나타난다. 일본의 2020년 식사 섭취 기준에 따르면, 몰리브덴 섭취 상한량은 성인 남성 600 µg/일, 성인 여성 500 µg/일이다.

한편, 몰리브덴의 구리 흡수 방해 효과는 치료 목적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테트라티오몰리브데이트암모늄 형태의 화합물은 동물의 구리 중독증 치료에 처음 사용되었고, 이후 인간의 유전성 구리 대사 장애인 윌슨병 치료제로 도입되었다.[102] 이는 장에서 구리 흡수를 방해하고 배설을 촉진하는 방식으로 작용한다.[102] 또한, 혈관신생 억제 효과가 밝혀져 , 노인성 황반변성 등 혈관 증식 관련 질병 치료 연구에도 활용되고 있다.[103][104]

몰리브덴 광산이나 금속 가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몰리브덴 분진과 증기는 유독할 수 있으며, 특히 흡입 시 위험하다.[89] 분진이 부비동에 쌓였다가 삼켜지는 경우에도 독성을 유발할 수 있다.[89] 장기간 저농도에 노출되면 눈과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으며, 몰리브덴 및 그 산화물의 직접적인 흡입이나 섭취는 피해야 한다.[115][116] 미국 직업안전보건국(OSHA)은 8시간 근무일 기준 최대 몰리브덴 노출 허용량을 5 mg/m³으로 규정하고 있다. 60 mg/m³에서 600 mg/m³ 농도에 만성적으로 노출될 경우 피로, 두통, 관절통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117] 5000 mg/m³ 수준은 생명과 건강에 즉각적인 위험을 초래하는 농도(IDLH)로 간주된다.[118]

8. 대한민국 산업과 몰리브데넘

몰리브데넘은 대한민국에서 산업적으로 중요성이 높지만 지각 존재도가 낮고 공급 구조가 취약하여 소비량 전량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국제 정세 급변에 대비한 안보 대책으로 국내 소비량의 최소 60분을 비축하도록 법적으로 규정되어 있다.

몰리브데넘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핵심 소재로 활용된다.


  • 철강 산업: 산화몰리브덴(VI)이나 페로몰리브덴 형태로 다양한 합금강(크롬몰리브덴강, 망간몰리브덴강, 니켈크롬몰리브덴강 등)의 첨가 원소로 사용되며, 특히 공구강(고속도공구강) 제조에 중요하게 쓰여 2차 경화능을 높인다. 사실상 철강재료 분야에서 소비되는 몰리브덴이 가장 많다.
  • 석유화학 산업: 프로판, 프로필렌 또는 아크롤레인을 아크릴산으로 선택적으로 산화시키는 고성능 촉매의 중요 성분이며[125][126][127], 벤질산 제조에도 유용하다[128].
  • 전자산업 및 기타:
  • 황화몰리브덴(IV)은 마찰계수가 낮아 산업용 윤활유엔진오일의 첨가제로 널리 쓰인다. 적은 첨가량으로 동일한 효과를 발휘하는 유기몰리브덴(디티오인산몰리브덴[121]이나 디티오카르밤산몰리브덴[122])도 사용된다[123].
  • 몰리브덴과 구리의 합금은 우수한 온도 특성과 적절한 도전성으로 하이브리드카나 로켓의 전자 기판 등에 사용된다.
  • 금속 몰리브덴은 고온 환경이 요구되는 진공관의 양극 등에 사용되며, 최근 액정패널 제조 라인 등에서 박판 형태로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태양전지의 하부 전극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 의료 분야: 방사성동위원소인 몰리브덴-99는 진단 등 핵의학 분야에서 중요하게 이용된다. 대한민국은 해외 원자로에서 생산된 몰리브덴-99를 수입하여 방사성붕괴로 얻어지는 테크네튬을 제제하고 있지만, 가속기를 이용한 국산화 시도도 이루어지고 있다[124].


이 외에도 크롬몰리브덴강 형태로 스테인리스강 식기류나 캠핑 용품 등 일상생활과 밀접한 제품에도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몰리브데넘의 안정적인 확보는 대한민국 산업 경쟁력 유지에 필수적인 과제이다.

참조

[1] 서적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Chemical Rubber Publishing Company 1994
[2] 웹사이트 It's Elemental – The Element Molybdenum https://education.jl[...] 2018-07-03
[3] 논문 The discovery of Mo(III) in FeMoco: reuniting enzyme and model chemistry 2015
[4] 논문 Spectroscopic Description of the E1 State of Mo Nitrogenase Based on Mo and Fe X-ray Absorption and Mössbauer Studies 2019-09-16
[5] 논문 The biosynthesis of the molybdenum cofactors in Escherichia coli 2020
[6] 논문 Out of the blue: Hyperaccumulation of molybdenum in the Indo-Pacific sponge ''Theonella conica'' http://dx.doi.org/10[...] 2024-07-19
[7] 논문 Atomic weights of the elements 2007 (IUPAC Technical Report) http://www.ciaaw.org[...] 2012-02-13
[8] 웹사이트 Current Table of Standard Atomic Weights in Alphabetical Order: Standard Atomic weights of the elements http://www.ciaaw.org[...] Commission on Isotopic Abundances and Atomic Weights 2013
[9] 서적 Nature's Building Block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10] 서적 The Metallic Elements https://archive.org/[...] Longman 1977
[11] 논문 The Many Ways To Have a Quintuple Bond
[12] 논문 Reaching the Maximum Multiplicity of the Covalent Chemical Bond https://www.academia[...]
[13] 잡지 Technetium http://pubs.acs.org/[...] 2003
[14] 특허 A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no-carrier added 99Mo http://worldwide.esp[...] 2012-06-27
[15] 서적 Anorganische Chemie Vieweg+Teubner Verlag 1973
[16] 서적 Landmarks in Organo-Transition Metal Chemistry: A Personal View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8
[17] 논문 Metal Carbonyl Anions: from [Fe(CO)4]2− to [Hf(CO)6]2− and Beyond
[18] 논문 Polyoxometalate Chemistry: An Old Field with New Dimensions in Several Disciplines 1997
[19] 서적 Handbook of water analysis https://books.google[...] Marcel Dekker 2000
[20] 논문 The Elusive Halides VCl 5, MoCl 6, and ReCl 6 2013-01-07
[21] 간행물 Molybdenum Compounds
[22] 서적 Inorganic Syntheses: Volume 36 John Wiley & Sons 2014
[23] 논문 Comparison of the coordination chemistry and inductive transfer through the metal-metal bond in adducts of dirhodium and dimolybdenum carboxylates 1982-06-01
[24] 서적 Molybdenum disulphide lubrication Elsevier 1999
[25] 웹사이트 Greek mólybdos as a Loanword from Lydian http://www.linguisti[...]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26] 웹사이트 Molybdenum History http://www.imoa.info[...] International Molybdenum Association
[27] 서적 Accidental use of molybdenum in old sword led to new alloy https://books.google[...] American Iron and Steel Institute 1948
[28] 웹사이트 Molybdenum http://elements.vand[...] 2006-01-10
[29] 웹사이트 Molybdenum http://education.jla[...] Jefferson Science Associates, LLC
[30] 논문 Versuche mit Wasserbley; Molybdaena http://gdz.sub.uni-g[...] 1779
[31] 논문 Versuche mit Molybdäna, und Reduction der selben Erde http://gdz.sub.uni-g[...] 1788
[32] 서적 Metallography McGraw-Hill 1921
[33] 서적 The metallic alloys: A practical guide for the manufacture of all kinds of alloys, amalgams, and solders, used by metal-workers ... with an appendix on the coloring of alloys H.C. Baird & Co. 1888
[34] 서적 Extractive Metallurgy of Molybdenum CRC Press 1992
[35] 서적 The Making of American Industrial Research: Science and Business at Ge and Bell, 1876–1926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08-22
[36] 서적 Molybdenum deposits of Canada https://books.google[...] 1963
[37] 웹사이트 Chemical properties of molibdenum – Health effects of molybdenum – Environmental effects of molybdenum http://www.lenntech.[...]
[38] 서적 The Disappearing Spoon: And Other True Tales of Madness, Love, and the History of the World from the Periodic Table of the Elements Back Bay Books 2011-06-06
[39] 저널 Battle of the Billions: American industry mobilizes machines, materials, and men for a job as big as digging 40 Panama Canals in one year https://books.google[...] 1941-08
[40] 서적 Van Nostrand's Encyclopedia of Chemistry Wiley-Interscience 2005
[41] 저널 New mineral names http://www.minsocam.[...] 2002
[42] 서적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43] 서적 Lehrbuch der Anorganischen Chemie Walter de Gruyter 1985
[44] 서적 Extractive Metallurgy of Molybdenum CRC Press 1992
[45] 웹사이트 Dynamic Prices and Charts for Molybdenum http://www.infomine.[...] InfoMine Inc. 2007
[46] 웹사이트 LME to launch minor metals contracts in H2 2009 http://www.lme.com/6[...] London Metal Exchange 2008-09-04
[47] 저널 Dispersion of tailings in the Knabena—Kvina drainage basin, Norway, 1: Evaluation of overbank sediments as sampling medium for regional geochemical mapping 1997
[48] 저널 The Rise of a New Metal: The Growth and Success of the Climax Molybdenum Company 1937
[49] 웹사이트 Molybdenum http://www.lme.com/m[...] London Metal Exchange
[50] 웹사이트 Molybdenum Statistics and Information http://minerals.usgs[...] U.S. Geological Survey 2007-05-10
[51] 웹사이트 Stainless Steel Grades and Properties https://www.imoa.inf[...] International Molybdenum Association 2023
[52] 웹사이트 Molybdenum https://web.archive.[...] AZoM.com Pty. Limited 2007
[53] 서적 ASTM special technical publication 849: Refractory metals and their industrial applications: a symposium ASTM International 1984
[54] 웹사이트 Compatibility of Molybdenum-Base Alloy TZM, with LiF-BeF2-ThF4-UF4 https://web.archive.[...] Oak Ridge National Laboratory Report 1969-12
[55] 웹사이트 A protective coating system for a TZM alloy re-entry vehicle https://apps.dtic.mi[...] 1965
[56] 저널 Diffusion bonding between TZM alloy and WRe alloy by spark plasma sintering 2018
[57] 특허
[58] 웹사이트 Preparation & Application of TZM Alloy https://www.samateri[...] 2023-12-27
[59] 서적 Tool and manufacturing engineers handbook https://books.google[...] Society of Manufacturing Engineers 1989
[60] 저널 Monitoring of atmospheric behaviour of NOx from vehicular traffic 2001
[61] 서적 Physics of Medical X-Ray Imaging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Texas Health Science Center
[62] 서적 The Elements Black Dog & Leventhal 2009
[63] 저널 Technetium-99m in clinical nuclear medicine 1969
[64] 저널 Molybdenum disulfide as a lubricant: A review of the fundamental knowledge https://deepblue.lib[...] 1967
[65] 서적 Hydrotreating Catalysis, Science and Technology Springer-Verlag 1996
[66] 서적 Electroceramics: materials, properties, application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and Sons 2003
[67] 웹사이트 International Molybdenum Association http://www.imoa.info[...]
[68] 서적 Metal Oxides, Chemistry and Applications CRC Press 2006
[69] 서적 Selective Oxidation by Heterogeneous Catalysis Kluwer Academic/Plenum Publishers 2001
[70] 저널 Alumina-supported MoNx, MoCx and MoPx catalysts for the hydrotreatment of rapeseed oil 2020-04-01
[71] 논문 Negative staining and cryo-negative staining of macromolecules and viruses for TEM 2011
[72] 웹사이트 Stains for Developing TLC Plates https://www.chemistr[...] McMaster University
[73] 논문 The role of phosphotungstic and phosphomolybdic acids in connective tissue staining I. Histochemical studies 1974
[74] 논문 Tracing the stepwise oxygenation of the Proterozoic ocean 2008
[75] 논문 Synthetic Analogues and Reaction Systems Relevant to the Molybdenum and Tungsten Oxotransferases 2004
[76] 논문 Cell biology of molybdenum 2006
[77] 논문 The Mononuclear Molybdenum Enzymes
[78] 논문 A structural comparison of molybdenum cofactor-containing enzymes http://www.ioc.uni-k[...] 2017-10-25
[79] 서적 Metallomics and the Cell Springer 2013
[80] 서적 The Metal-Driven Biogeochemistry of Gaseous Compounds in the Environment Springer 2014
[81] 논문 A newly discovered role for iron-sulfur clusters 2008
[82] 웹사이트 Overview of Environment Database http://hse.imoa.info[...] International Molybdenum Association 2003
[83] 서적 Interrelations between Essential Metal Ions and Human Diseases Springer 2013
[84] 논문 Cell biology of molybdenum 2009
[85] 간행물 Blaylock Wellness Report 2010-02
[86] 논문 Molecular Basis of the Biological Function of Molybdenum. The Relationship between Sulfite Oxidase and the Acute Toxicity of Bisulfite and SO2. 1973
[87] 서적 Inorganic chemistry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2001
[88] 논문 Environmental Effects of Molybdenum on Caries 1971
[89] 웹사이트 Risk Assessment Information System: Toxicity Summary for Molybdenum http://rais.ornl.gov[...] Oak Ridge National Laboratory
[90] 논문 Molybdenum 1999
[91] 논문 Research on Esophageal Cancer in China: a review http://cancerres.aac[...] 1980
[92] 논문 Nail Molybdenum and Zinc Contents in Populations with Low and Moderate Incidence of Esophageal Cancer http://www.ams.ac.ir[...] 2008
[93] 논문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trace elements-deficient soils in China http://en.cnki.com.c[...] 1982
[94] 논문 Prevention of Esophageal Cancer: The Nutrition Intervention Trials in Linxian, China http://cancerres.aac[...] 1994
[95] 논문 Molybdenum—is it an essential trace metal? 1984
[96] 논문 Splice-specific Functions of Gephyrin in Molybdenum Cofactor Biosynthesis 2008
[97] 논문 Genetics of molybdenum cofactor deficiency 2000
[98] 서적 Advanced Nutrition and Human Metabolism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16-10-05
[99] 논문 Molybdenum absorption, excretion, and retention studied with stable isotopes in young men at five intakes of dietary molybdenum 1995-10
[100] 논문 Recent studies of the copper-molybdenum antagonism 1974
[101] 웹사이트 Copper deficiency in cattle http://www.bisoncent[...] Bison Producers of Alberta
[102] 논문 The Mystery of nonclassical protein secretion, a current view on cargo proteins and potential export routes 2003
[103] 논문 Treatment of Wilson disease with ammonium tetrathiomolybdate: III. Initial therapy in a total of 55 neurologically affected patients and follow-up with zinc therapy 2003
[104] 논문 Treatment of metastatic cancer with tetrathiomolybdate, an anticopper, antiangiogenic agent: Phase I study 2000
[105] 웹사이트 Why is Molybdenum Target Used in Mammography for Breast Cancer? https://www.sputtert[...]
[106] 서적 IARC Working Group on the Evaluation of Cancer-Preventive Interventions: Breast cancer screening https://www.ncbi.nlm[...] Lyon (FR):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2024-09-02
[107] 학술지 Application of molybdenum target X-ray photography in imaging analysis of caudal intervertebral disc degeneration in rats
[108] 학술지 Image Quality and Radiation Dose for Fibrofatty Breast using Target/filter Combinations in Two Digital Mammography Systems
[109] 서적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Vitamin A, Vitamin K, Arsenic, Boron, Chromium, Copper, Iodine, Iron, Manganese, Molybdenum, Nickel, Silicon, Vanadium, and Zin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110] 웹사이트 Overview on Dietary Reference Values for the EU population as derived by the EFSA Panel on Dietetic Products, Nutrition and Allergies https://www.efsa.eur[...] 2017-09-10
[111] 웹사이트 Tolerable Upper Intake Levels For Vitamins And Minerals http://www.efsa.euro[...]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 2017-09-10
[112] 웹사이트 Federal Register May 27, 2016 Food Labeling: Revision of the Nutrition and Supplement Facts Labels. FR page 33982. https://www.gpo.gov/[...] 2017-09-10
[113] 웹사이트 Daily Value Reference of the Dietary Supplement Label Database (DSLD) https://www.dsld.nlm[...] 2020-05-16
[114] 학술지 The role of molybdenum in human biology 1983
[115] 웹사이트 Material Safety Data Sheet – Molybdenum http://www.rembar.co[...] The REMBAR Company, Inc. 2000-09-19
[116] 웹사이트 Material Safety Data Sheet – Molybdenum Powder http://asp.cerac.com[...] CERAC, Inc. 1994-02-23
[117] 웹사이트 NIOSH Documentation for IDLHs Molybdenum https://www.cdc.gov/[...]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1996-08-16
[118] 웹사이트 CDC – NIOSH Pocket Guide to Chemical Hazards – Molybdenum https://www.cdc.gov/[...] 2015-11-20
[119] 웹사이트 Molybdenum: molybdenum(I) fluoride compound data http://openmopac.net[...] OpenMOPAC.net 2007-12-10
[120] 서적 Magnetic susceptibility of the elements and inorganic compounds https://web.archive.[...] CRC press 2004-03-24
[121] 문서 모리브덴디티오포스페이트(Molybdenum Dithiophosphate: MoDTP)
[122] 문서 모리브덴디티오카르바메이트 또는 모리브덴디티오카르바메이트(Molybdenum Dithiocarbamate: MoDTC)
[123] 문서 린이 촉매 피독의 원인이 되므로 엔진 오일용으로는 MoDTP가 사용되지 않음. 린을 포함하는 디알킬디티오린산아연(ZnDTP)은 용도를 제한하여 사용됨.
[124] 뉴스 의약품 원료 몰리브덴 99 목표 국산화/초전도 가속기 이용 https://www.nikkei.c[...] 2020-09-15
[125] 학술지 Surface chemistry of phase-pure M1 MoVTeNb oxide during operation in selective oxidation of propane to acrylic acid https://www.scienced[...]
[126] 학술지 The reaction network in propane oxidation over phase-pure MoVTeNb M1 oxide catalysts https://www.scienced[...]
[127] 논문 Kinetic studies of propane oxidation on Mo and V based mixed oxide catalysts https://hdl.handle.n[...] Technische Universität, Berlin
[128] 학술지 Multifunctionality of crystalline MoV (TeNb) M1 oxide catalysts in selective oxidation of propane and benzyl alcohol https://doi.org/10.1[...] ACS Publications
[129] 특허 Multilayer-spiegel für den euv-spektralbereich https://google.com/p[...]
[130] 특허 Substrat aus einer Aluminium-Silizium-Legierung oder kristallinem Silizium, Metallspiegel,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sowie dessen Verwendung http://www.google.ch[...]
[131] 특허 Advanced cpv solar cell assembly process https://patents.goog[...]
[132] 뉴스 중국의 희토류 등 원자재 3품목에 대한 수출세가 폐지됩니다 https://warp.da.ndl.[...] 2015-05-01
[133] 서적 지리 통계 요람
[134] 특허 Multilayer-Spiegel für den EUV-Spektralbereich https://google.com/p[...]
[135] 특허 Substrat aus einer Aluminium-Silizium-Legierung oder kristallinem Silizium, Metallspiegel,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sowie dessen Verwendung
[136] 특허 Advanced cpv solar cell assembly process https://www.google.c[...]
[137] 학술지 Efecto del método de preparación de catalizadores de MoO₃/Al₂O₃ para la desulfuración oxidativa de un diesel modelo http://www.scielo.or[...]
[138] 학술지 NATURE OF THE ACTIVE PHASE IN HYDRODESULFURIZATION: MOLYBDENUM CARBIDE SUPPORTED ON ACTIVATED CARBON http://www.scielo.or[...]
[139] 학술지 Surface chemistry of phase-pure M1 MoVTeNb oxide during operation in selective oxidation of propane to acrylic acid http://pubman.mpdl.m[...]
[140] 학술지 Multifunctionality of Crystalline MoV(TeNb) M1 Oxide Catalysts in Selective Oxidation of Propane and Benzyl Alcohol https://www.research[...]
[141] 논문 Kinetic studies of propane oxidation on Mo and V based mixed oxide catalysts https://depositonce.[...] TU Berlin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