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미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푸미족은 중국의 소수 민족으로, 칭하이-티베트 고원에서 유래하여 쓰촨성, 윈난성 등지로 이주했다. 티베트 불교와 봉교의 영향을 받은 종교, 조상 숭배, 산신 숭배 등의 독특한 신앙을 가지고 있으며, 티베트 문화의 영향을 받은 의복과 문화를 향유한다. 푸미어라는 고유 언어를 사용하며, Y염색체 하플로그룹 D의 높은 비율을 보인다. 윈난성 란핑 바이족 푸미족 자치현 등에서 자치 지역을 형성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민족 - 우즈베크인
우즈베크인은 중앙아시아의 튀르크계 민족으로, 기원전 2천년기부터 역사가 시작되었으며, 이슬람 문화를 받아들이고 러시아 제국과 소련을 거쳐 1991년 우즈베키스탄 공화국을 수립했으며, 농업, 목축, 수공업, 상업에 종사하며 튀르크어족의 우즈베크어를 사용하고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는다. - 중국의 민족 - 투르크멘인
투르크멘인은 투르크메니스탄을 중심으로 인접 국가에 거주하는 튀르크계 민족으로, 오구즈 투르크를 조상으로 하며 유목 생활, 여러 제국 지배,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거쳐 투르크메니스탄으로 독립했고, 투르크멘어를 사용하며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고 독특한 민속 공예와 음악 전통을 지닌다.
푸미족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다른 이름 | 푸미, 프루미, 피미, 프룸미 |
인구 | 30,000명 |
거주 지역 | 중국 - 윈난성: 30,000명, 쓰촨성: 20,000명 |
언어 | 푸미어 |
종교 | 본교, 티베트 불교, 잔발라 |
관련 민족 | 티베트족 (쓰촨성 미리 티베트족 자치현 거주민), 창족 |
추가 정보 | |
해발 고도 | 2,700미터 |
로마자 표기 | Pǔmǐzú |
IPA 표기 | /pʰʐə̃˥.mi˥/ |
![]() |
2. 역사
푸미족은 중국의 소수민족들 중에서도 뚜렷한 이주 흔적을 가지고 있는 민족이다. 원래는 칭하이 티베트고원에서 유목 생활을 하다가, 기원전 4세기경에 황단산맥 계곡을 따라 따뜻한 지역으로 이동했다.[6] 푸미족의 조상은 칭하이-티베트 고원의 유목 부족인 고대 강족(Qiang (historical people))으로 추정된다.[6]
프미어(Pumi language영어)는 중국-티베트어족티베트-버마어파의 창어파(Qiangic languages영어)에 속한다.[3][4] 과거 무리 티베트족 자치현과 닝랑 지역의 푸미족은 주로 종교적인 목적으로 티베트 문자를 사용했으나, 점차 사용되지 않고 잊혀졌다. 현대에는 푸미족은 중국어로 교육을 받는다. 병음 기반의 로마자 표기법이 제안되었지만, 아직 표기법이 보급되지는 않았다.[5] 푸미어는 남부와 북부로 나뉘는 두 가지 방언이 있으며, 그 차이는 크다.
2004년 연구에 따르면, 푸미족의 약 72%가 Y염색체 하플로그룹 D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D-M15가 2.13%, D(xM15)가 70.21%).[8][9]
티베트인들과의 접촉으로 인해 푸미족의 종교는 티베트 불교와 보다 오래된 봉교(Bön)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오늘날 이러한 융합된 형태는 한규(韩规)로 알려져 있으며, 나시족의 동바(Dongba) 의례와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푸미족에게는 조상숭배의 형태도 존재한다.
푸미족은 티베트 문화의 영향을 받아 음력설을 새해 첫 15일 동안 기념하며, 일부는 로사르를 기념하기도 한다.[7]
7세기에는 쓰촨성 북부로, 14세기에는 윈난성 북서부로 이주했다. 많은 푸미족 사람들이 정착하여 농사를 짓기 시작했고, 란핑과 리장시 현의 지주들이 푸미족 경제를 지배했다. 이들 지주들은 소수의 공유 지역을 제외한 대부분의 땅을 소유하고 농민들에게 수확량의 50%에 달하는 소작료를 징수했다. 푸미족 지주와 나시족 족장들은 노예 매매를 하기도 했다.[6]
문화대혁명을 거치면서 지주들의 권력은 크게 약화되었다. 병원, 공장과 같은 현대 시설과 기술이 도입되면서 푸미족의 생활 방식도 크게 변화했다.[6]
3. 언어
4. 유전자
5. 종교
티베트 출신 티베트 불교 선교사들의 노력을 통해 상당수의 푸미족이 티베트 불교의 겔룩파와 카규파 계통을 받아들였으며, 이들은 주로 쓰촨성에 거주한다.
잔발라(Zanbala) 종교는 현지에서 딩바(Dingba)라고도 불리며, 흰 땅이라는 뜻이다. 닝랑 주변의 푸미족은 여전히 집에 잔발라 제단을 설치하고 있으며, 이는 옛 세대에 의해 숭배되었다고 한다. 잔발라 종교는 세 신과 조상신을 숭배하는 것으로 구성되며, 의례와 기도는 노인 남성들만 집전한다.
거의 모든 푸미족 마을에는 자체적인 산신이 있으며, 명절 기간에 이를 숭배한다. 이날 온 가족은 음식을 공양하고 가족의 건강과 번영을 기원한다. 매달 15일에는 작은 산신을 숭배하고, 음력 7월 15일에는 큰 산신을 숭배하는 큰 행사를 개최한다.
많은 푸미족 가옥에서 부엌의 불을 피우는 장소는 푸미족 신앙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손님은 이 장소를 만져서는 안 된다. 불을 피우는 장소 뒤에는 작은 돌탑으로 구성된 과제이(Guazei)가 있다. 식사 시간에 가장 연장자 남성은 음식 한 숟가락을 떠서 각 탑에 올려놓는다. 한 숟가락은 불 속에 던져지는데, 이는 조상의 영혼에게 음식을 제공하는 상징적인 행위이다.
6. 문화
6. 1. 복식
푸미족은 기원으로 인해 티베트 문화의 영향을 받았다.[7]
특히 닝랑(Ninglang)과 용성(Yongsheng) 지역의 푸미족 여성들은 한쪽으로 단추가 달린 재킷을 자주 입는다. 긴 플리츠 스커트와 여러 색깔의 넓은 벨트를 착용하며, 추운 날씨 때문에 염소 가죽을 등에 걸치기도 한다. 그러나 란핑(Lanping)과 웨이시(Weixi) 지역의 여성들은 조끼 아래에 색깔 있는 긴 소매 재킷과 수놓은 벨트로 고정된 긴 바지를 입는 경향이 있다. 티베트인처럼 푸미족 여성들은 야크 꼬리털과 실로 머리를 땋고, 큰 천으로 머리를 감싼다. 부유한 여성들은 은 귀걸이와 팔찌와 같은 귀한 보석을 착용하기도 한다.
푸미족 남성들은 소매없는(sleeveless) 염소가죽 또는 리넨 재킷과 긴 바지를 입고 티베트 모자를 쓰는 경향이 있다. 특히 사냥꾼과 전사의 경우 긴 티베트 검과 사슴가죽 가방을 휴대할 수 있다. 13세가 되면 푸미족 소년들은 성인식을 치르고, 그 후에야 성인복을 입고 사회 활동에 참여할 수 있다.
7. 생활 양식
푸미족은 중국의 다른 소수민족보다 뚜렷한 이주의 흔적을 가지고 있다. 원래는 칭하이 티베트고원에서 유목민 생활을 하다가 기원전 4세기경 따뜻한 지역으로 이주했다. 7세기에 이르러 쓰촨성 북부로 이주하였고, 14세기에는 윈난성 북서부로도 이주했다. 많은 이들이 정착하여 농경생활을 하였고, 란핑과 리장의 지주들이 푸미족 경제를 지배하였다. 일부를 제외한 대다수의 지주들은 이들에게 50%에 이르는 소작료를 받았다.
티베트와 인접해 있고 추운 날씨 때문에, 뿌미어를 사용하는 푸미족의 생활 방식은 티베트인들과 매우 유사하다. 반면, 윈난성에 거주하는 푸미족은 한족과 유사한 생활 방식을 채택했다.
7. 1. 음식
쌀은 대부분의 푸미족의 주식이다. 티베트와 인접해 있고 추운 날씨 때문에, 벼농사를 지을 수 없는 마을에서는 감자를 쌀과 바꾸기도 한다. 배추, 콩, 가지, 멜론과 같은 다양한 채소와 과일은 보충 식품으로 사용된다.푸미족의 전통적인 돼지고기 보존 방법은 큰 돼지의 내장과 발을 제거하고, 살코기는 소시지로 만들며, 나머지 도체에는 소금을 넣은 후 꿰매는 것이다. 돼지가죽으로 싼 소금에 절인 도체는 아래쪽이 크고 머리쪽이 작은 피리 모양을 하고 말리는데, 중국에서는 '피파(琵琶) 고기'라는 별명으로 알려져 있으며 수년 동안 보관할 수 있다.
"프리(pri)"라고 불리는 전통적인 맥주와 같은 음료는 푸미족 마을의 모든 가정에서 양조한다. 이것은 결혼식에서 필수적인 음료이며, 따라서 푸미어로 '결혼하다'는 '프리를 마시다'로 표현된다.
7. 2. 사회 구조
푸미족은 일반적으로 일부일처제를 기반으로 하는 부계 사회이지만, 닝랑현 북부 용녕과 같은 곳에서는 일부다처제가 허용된다.[1] 모소족과 마찬가지로, 이곳 푸미족은 "우정"을 의미하는 아주(阿注) 제도와 연관된 모계 사회를 채택하고 있으며, 가족은 결혼이 아닌 혈연 관계를 통해 형성된다.[1]전통적인 돼지고기 보존 방법은 큰 돼지의 내장과 발을 제거하고, 살코기는 소시지로 만들며, 나머지 도체에는 소금을 넣은 후 꿰매는 것이다. 돼지가죽으로 싼 소금에 절인 도체는 아래쪽이 크고 머리쪽이 작은 피리 모양으로 말린다. 따라서 중국에서는 '피파(琵琶) 고기'라는 별명으로 알려져 있으며, 도체는 수년 동안 보관할 수 있다.[1]
"프리(pri)"라고 불리는 전통적인 맥주와 같은 음료는 마을의 모든 푸미족 가정에서 양조한다. 이는 결혼식에서 필수적인 음료이며, 따라서 푸미어로 '결혼하다'는 '프리를 마시다'로 표현된다.[1]
8. 자치 지방
푸미족은 윈난성의 란핑 바이족 푸미족 자치현과 닝랑 이족 자치현 등에 자치 지방을 두고 있다. 닝랑 이족 자치현에는 취옥 리수족 푸미족 향이 있다.
8. 1. 자치현
8. 2. 민족향
푸미족은 중국의 소수민족 중에서도 뚜렷한 이주 흔적을 보인다. 원래는 칭하이 티베트고원에서 유목 생활을 하다가 기원전 4세기경 황단산맥 계곡을 따라 따뜻한 지역으로 이주했다.[1]7세기에는 쓰촨성 북부로, 14세기에는 윈난성 북서부로 이주했다.[1] 많은 이들이 정착하여 농경 생활을 하였고, 란핑과 리장의 지주들이 푸미족 경제를 지배하였다. 일부를 제외한 대다수의 지주들은 이들에게 50%에 이르는 소작료를 받았다.[1]
참조
[1]
서적
Religious Revival in the Tibetan Borderlands: The Premi of Southwest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11
[2]
서적
Ways of Being Ethnic in Southwest China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01
[3]
서적
Prinmi: a sketch of Niuwozi
Routledge Press
2003
[4]
서적
Dialectal Studies of the Pumi Language
Nationalities Press
2001
[5]
서적
Challenges in Language Modernization in China: the case of Prinmi
Foundation for Endangered Languages
2007
[6]
서적
The Columbia Anthology of Chinese Folk and Popular Literature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1
[7]
논문
Wellens, Koen: Religious Revival in the Tibetan Borderlands. The Premi of Southwest China
http://dx.doi.org/10[...]
2012
[8]
문서
D-M15以外のマーカーについては検査されていない。
[9]
논문
Analyses of genetic structure of Tibeto-Burman populations reveals sex-biased admixture in southern Tibeto-Burmans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