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란시스코 데 비토리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란시스코 데 비토리아는 1483년경 부르고스에서 태어나 1546년 살라망카에서 사망한 스페인의 신학자이자 철학자이다. 그는 도미니크 수도회에 입회하여 파리에서 신학을 공부하고 살라망카 대학교에서 토마스 아퀴나스의 철학을 가르쳤으며, 살라망카 학파를 형성하는 데 기여했다. 비토리아는 아메리카 원주민의 권리를 옹호하고 국제법 이론을 발전시켜 "국제법의 아버지"로 불리며, 그의 사상은 근대 국제법과 인권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스페인 제국의 식민 정책을 비판하고, 정의로운 전쟁론을 주장했으며, 강제 개종에 반대하는 등 당시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제법학자 - 앙리 라퐁텐
앙리 라퐁텐은 벨기에의 변호사이자 국제법 학자, 정치인으로서 국제 평화 운동과 문서화 분야에 기여했으며 국제 평화국 활동, 파리 강화 회의 참석, 국제 서지학 연구소 설립, 벨기에 상원 부의장 역임 등을 통해 세계 평화를 위해 노력했다. - 국제법학자 - 루이 르노 (법학자)
루이 르노는 프랑스의 법학자로서 국제법 분야에 기여하고 국제 분쟁의 평화적 해결에 헌신하여 1907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으며, 디종 대학교와 파리 대학교에서 국제법을 가르치고 프랑스 외무성 국제법 위원으로 활동하며 헤이그 평화 회의에서 국제 중재 재판소 설립에 기여하고 국제 연맹 창설 과정에도 참여했다. - 1480년대 출생 - 펠리체 델라 로베레
- 1480년대 출생 - 로이 헤링
- 중상주의자 - 장 보댕
장 보댕은 프랑스의 법학자, 정치철학자, 경제학자이자 저술가로서, 『국가론』에서 제시한 주권 개념으로 절대주의 이론 발전에 기여했으나, 마녀사냥에 대한 견해와 저술은 비판받으며 후대 사상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 중상주의자 - 장바티스트 콜베르
장바티스트 콜베르는 루이 14세 시대의 프랑스 정치가로, 중상주의 정책을 통해 경제와 문화를 발전시키고 여러 기관을 설립했으나, 과도한 규제와 보호무역주의로 부정적인 평가도 받는다.
프란시스코 데 비토리아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프란시스코 데 비토리아 |
로마자 표기 | Franciscus de Vitoria, Francisci de Vitoria |
바스크어 이름 | Frantzisko Vitoria, Frantzisko Gasteizkoa |
출생지 | 부르고스, 카스티야 왕국 |
사망 | 1546년 8월 12일 |
사망지 | 살라망카, 카스티야 왕국 |
학교/전통 | 토마스주의 살라망카 학파 |
주요 관심사 | 자연법 |
지역 | 서양 철학 스페인 철학 |
시대 | 르네상스 철학 |
철학적 영향 | |
영향 | 토마스 아퀴나스 크로케르트 에라스무스 토마스 카예탄 |
철학적 영향 | |
영향을 준 인물 | Navarrus 에드먼드 버크 조제프 드 메스트르 도밍고 데 소토 휴고 그로티우스 머리 로스바드 카를 슈미트 |
주요 아이디어 | |
주요 아이디어 | 국제법 해양의 자유 |
2. 생애
비토리아는 부르고스 출신으로, 출생년도는 1483년, 1485년 등 여러 설이 있다. 컨베르소(개종 유대인) 가계라는 설도 있다. 1506년, 도미니코회에 입회하여 당시 동회 최고의 신학대학이었던 파리의 생 자크 학원에서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을 배우고, 에라스무스 등 휴머니스트들과 교류하였다. 1512년에는 토마스의 『신학대전』(제1·2부)에 자신의 서문을 붙여 간행하였고, 1522년, 파리 대학교에서 신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522년 스페인으로 돌아와 발라돌리드의 성 그레고리오 대학에서 신학을 가르쳤는데, 이곳은 많은 젊은 도미니크 수도사들이 신세계 선교 활동을 위해 훈련받던 곳이었다. 1524년 살라망카 대학교 신학 교수직에 선출되었고, 토마스주의(토마스 아퀴나스의 철학과 신학)를 장려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당대 최고의 신학자로 높이 평가받았던 그의 강의는 대단한 인기를 끌어, 카를로스 1세 국왕을 비롯한 전국의 학생들이 강의를 듣기 위해 살라망카로 모여들 정도였다. 강의를 듣고자 하는 학생들이 통풍을 앓고 있던 그를 강의실까지 짊어지고 운반한 적도 있다고 한다. 「인디오에 관하여」 강의에 대해서는 500부가 넘는 사본이 만들어졌다.
프란시스코 데 비토리아는 1546년 8월 12일 살라망카에서 사망했다.[9] 그가 사망한 산 에스테반 학원 회랑 천장에는 법복을 입은 그와 도밍고 데 소토의 초상화가 걸려 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비토리아는 1483년경 부르고스에서 태어나 그곳에서 성장했다. 그의 아버지는 알라바 출신의 페드로 데 비토리아였고, 어머니는 카탈리나 데 콤플루도였는데, 두 사람 모두 귀족 가문 출신이었다.[7] 현대 학계에 따르면, 그는 외가(콤플루도 가문)를 통해 유대인 혈통을 이어받았으며, 폴 데 부르고스와 알폰소 데 카르타헤나와 같은 유명한 개종자들과 관련이 있었다.[8]1504년 도미니코 수도회에 들어간 그는 파리의 생자크 대학에서 교육을 받으며 에라스무스의 저술에 영향을 받았다. 1516년부터는 피에르 크로카르와 토마스 카예탄의 영향을 받아 신학을 가르쳤다.[9]
2. 2. 왕실 및 교회와의 관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스페인 국왕 카를로스 1세)는 신학자로서 비토리아를 높이 평가하여 자문 역할을 맡겼다.[10] 그는 1527년에 에라스무스의 저서가 이단인지 심의하는 회의에 참석했고,[21] 1539년에는 인디아스(아메리카)에서 이루어지던 대량 강제 개종의 정당성에 대한 자문에 응했다.[21] 1545년에는 트리엔트 공의회 대표단의 일원으로 지명되었으나, 병으로 인해 참석하지 못했다.[21] 이처럼 비토리아는 스페인 왕실과 교회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였다.3. 주요 사상 및 업적
프란시스코 데 비토리아는 살라망카 대학교에서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을 도입하여 그의 교설을 발전시키면서 실증신학과 묵상신학의 조화를 시도하고, 역사신학의 기초를 형성하였다. 1528년부터 1540년까지 15회(현재 알려진 것)의 "특별 강의"를 통해 토마스 아퀴나스의 학설을 당시 사회·윤리·법·경제 문제에 비추어 전개하였다.[1] 그는 도밍고 데 소토에게 영향을 주었고, 멜초르 카노, 바르톨로메 데 메디나, 도밍고 바녜스 등을 지도하여 16세기 살라망카 학파를 만들었다.
1534년 토마스 아퀴나스의 윤리 체계에 관한 강의를 시작한 비토리아는, 이듬해 토마스 아퀴나스의 이자론(이자 징수의 옳고 그름에 대한 논쟁)에 관한 강의를 했다. 이는 살라망카학파의 경제 이론의 시초로 여겨지며, 도밍고 데 소토와 마르틴 데 아스필쿠에타 등에 의해 계승되어 “정당한 가격론”, “화폐수량설”으로 특징지어지는 이론으로 발전하게 되었다.[1]
1533년 프란시스코 피사로의 아타왈파 살해 사건을 계기로 페루 정복의 정당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인디오(아메리카 원주민) 문제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다.[10] 1539년 살라망카 대학교에서 "인디오에 관하여"(De Indis)와 "전쟁의 법에 관하여"(De Jure belli)라는 두 차례의 특별 강의를 진행했다.[10] 그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사상을 바탕으로 스페인의 식민 정책을 윤리적으로 비판하고, 아메리카 원주민의 권리를 옹호했다.[10]
1493년 교황 알렉산데르 6세의 교서를 스페인의 인디아스 지배의 법적 근거로 보는 견해에 반대하며, 세계 여러 민족 간의 교류(통상, 항해, 여행)의 자유를 주장했다.[10] 인간의 권리를 자연권으로 근거짓고, 이교도인 인디오의 권리를 옹호하며, 만민법(국제법)을 국가의 법 위에 위치시켰다.[10] 그의 만민법 이론은 프란시스코 수아레스, 후고 그로티우스 등에게 계승되어 근대 국제법 이론으로 발전했으며, "국제법의 아버지"로 불리는 계기가 되었다.[20]
비토리아는 정의로운 전쟁론을 지지했지만, 스페인의 아메리카 정복이 정의로운 전쟁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원주민들이 스페인인들의 정당한 권리를 침해하지 않는 한, 그들에게 폭력을 행사하거나 재산을 빼앗을 수 없다고 보았다.[12] 그는 원주민들이 기독교인들과 마찬가지로 공적 및 사적 문제 모두에서 진정한 지배권을 가지고 있으며, 그들의 왕이나 개인이 진정한 소유주가 아니라는 이유로 재산을 빼앗길 수 없다고 말했다.[10]
그는 아퀴나스로부터 ''ius gentium''("만국법") 개념을 채택하여, 인간의 고유한 존엄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아메리카 원주민을 옹호했다. 그는 스페인인들이 자유롭게 여행하고 무역할 권리가 있으며, 여기에는 남아메리카에서 발견되는 풍부한 천연 자원을 탐색하고 채굴하고 수출하는 것이 포함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러한 스페인인들의 권리나 기독교를 전파할 교황의 권리를 침해하는 불법적인 저항은 스페인인들이 원주민 주민에 대항하여 "정의로운 전쟁"을 정당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고 보았다.[19] 인신 공양과 같은 예외적인 경우에는 원주민의 존엄성을 보호하기 위한 개입이 정당화될 수 있다고 보았다.
비토리아는 인디오를 강제로 개종하는 것은 큰 분노와 불안을 일으킬 것이라고 주장했다.[15] 강제 개종은 진정한 믿음에 필요한 따뜻한 마음 대신 엄청난 증오를 불러일으키고, 이는 결국 거짓과 위선을 낳을 것이라고 보았다.[15] 그는 세금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개종을 장려하는 방식에 대해서도 비판했다. 그는 신앙이 없다는 이유로 사람들의 재산을 빼앗을 수는 없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인디오들이 이미 그들 재산의 진정한 주인이었기 때문이다.[16]
소망의 세례에 대해 비토리아는 엄격한 해석을 제시했다. 그는 불가항력적인 무지, 즉 도저히 알 수 없는 상황에서는 세례나 기독교 신앙 없이도 구원받을 수 있다고 보았다. 원주민들이 신앙에 대한 가르침을 전혀 받지 못했다면, 그들은 우상 숭배와 같은 다른 죄로 인해 정죄받을 수는 있지만, 불신앙 자체 때문에 정죄받지는 않을 것이라고 했다. 그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말을 인용하며, 자연법에 따라 선하게 살고자 노력하는 사람들에게는 신의 섭리가 그리스도에 대한 계시를 줄 것이라고 믿었다.[25]
3. 1. 살라망카 학파 형성
살라망카 대학교에서 비토리아는 기존에 사용되던 페트루스 롬바르두스(Petrus Lombardus)의 『명제론집』 대신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을 도입하여 토마스 아퀴나스의 교설을 발전시키면서 실증신학과 묵상신학의 조화를 시도하고, 역사신학의 기초를 형성하였다. 또한 1528년부터 1540년까지 15회(현재 알려진 것)의 "특별 강의"(대학의 정규 강의 외에 연 1~2회 진행되는 강의)를 통해 토마스 아퀴나스의 학설을 당시 사회·윤리·법·경제 문제에 비추어 전개한 점에서 매우 실용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었다. 여기서 그는 동료인 도밍고 데 소토에게 영향을 주었고, 멜초르 카노, 바르톨로메 데 메디나, 도밍고 바녜스 등을 지도하여 16세기 살라망카 학파의 창시자가 되었다.3. 2. 경제 이론
1534년 10월에 토마스 아퀴나스의 윤리 체계에 관한 강의를 시작한 비토리아는, 이듬해인 1535년 3월부터 4월에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이자론(이자 징수의 옳고 그름에 대한 논쟁)에 관한 강의를 했다. 이는 살라망카학파의 경제 이론의 시초로 여겨지며, 그의 후계자인 도밍고 데 소토와 마르틴 데 아스필쿠에타 등에 의해 계승되어 “정당한 가격론”, “화폐수량설”으로 특징지어지는 이론으로 발전하게 되었다.[1]3. 3. 아메리카 원주민의 권리 옹호와 국제법 이론
1533년 프란시스코 피사로의 아타왈파 살해 사건을 계기로 페루 정복의 정당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인디오(아메리카 원주민) 문제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다.[10] 1539년 살라망카 대학교에서 "인디오에 관하여"(De Indis)와 "전쟁의 법에 관하여"(De Jure belli)라는 두 차례의 특별 강의를 진행했다.[10] 토마스 아퀴나스의 사상을 바탕으로 스페인의 식민 정책을 윤리적으로 비판하고, 아메리카 원주민의 권리를 옹호했다.[10]1493년 교황 알렉산데르 6세의 교서를 스페인의 인디아스 지배의 법적 근거로 보는 견해에 반대하며, 세계 여러 민족 간의 교류(통상, 항해, 여행)의 자유를 주장했다.[10] 인간의 권리를 자연권으로 근거짓고, 이교도인 인디오의 권리를 옹호하며, 만민법(국제법)을 국가의 법 위에 위치시켰다.[10] 그의 만민법 이론은 프란시스코 수아레스, 후고 그로티우스 등에게 계승되어 근대 국제법 이론으로 발전했으며, "국제법의 아버지"로 불리는 계기가 되었다.[20]
3. 4. 정의로운 전쟁론
비토리아는 정의로운 전쟁론을 지지했지만, ''De iure belli''에서 "정의로운 전쟁"의 근본적인 전제 조건이 "인디언들 사이에서는 전적으로 결여되어 있다"고 지적했다.[17] 그가 원주민 문제에 대한 스페인의 개입을 정당화할 수 있다고 본 유일한 영역은 인신 공양으로 잡혀간 희생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었고, 희생자들 자신의 고유한 인간 존엄성 때문이었다. 그들의 권리가 침해당했고 따라서 방어가 필요했기 때문이다.[17]비토리아는 스페인의 아메리카 정복이 정의로운 전쟁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원주민들이 스페인인들의 정당한 권리를 침해하지 않는 한, 그들에게 폭력을 행사하거나 재산을 빼앗을 수 없다고 보았다.[12] 그는 원주민들이 기독교인들과 마찬가지로 공적 및 사적 문제 모두에서 진정한 지배권을 가지고 있으며, 그들의 왕이나 개인이 진정한 소유주가 아니라는 이유로 재산을 빼앗길 수 없다고 말했다.[10]
비토리아는 아퀴나스로부터 ''ius gentium''("만국법") 개념을 채택하여, 인간의 고유한 존엄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아메리카 원주민을 옹호했다. 그는 스페인인들이 자유롭게 여행하고 무역할 권리가 있으며, 여기에는 남아메리카에서 발견되는 풍부한 천연 자원을 탐색하고 채굴하고 수출하는 것이 포함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러한 스페인인들의 권리나 기독교를 전파할 교황의 권리를 침해하는 불법적인 저항은 스페인인들이 원주민 주민에 대항하여 "정의로운 전쟁"을 정당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고 보았다.[19]
인신 공양과 같은 예외적인 경우에는 원주민의 존엄성을 보호하기 위한 개입이 정당화될 수 있다고 보았다.
3. 5. 강제 개종에 대한 비판
비토리아는 인디오를 강제로 개종하는 것은 그들 사이에 큰 분노와 불안을 일으킬 것이라고 주장했다.[15] 강제 개종은 진정한 믿음에 필요한 따뜻한 마음 대신 엄청난 증오를 불러일으키고, 이는 결국 거짓과 위선을 낳을 것이라고 보았다.[15]비토리아는 세금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개종을 장려하는 방식에 대해서도 비판했다. 그는 신앙이 없다는 이유로 사람들의 재산을 빼앗을 수는 없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인디오들이 이미 그들 재산의 진정한 주인이었기 때문이다.[16]
소망의 세례에 대해 비토리아는 엄격한 해석을 제시했다. 그는 불가항력적인 무지, 즉 도저히 알 수 없는 상황에서는 세례나 기독교 신앙 없이도 구원받을 수 있다고 보았다. 원주민들이 신앙에 대한 가르침을 전혀 받지 못했다면, 그들은 우상 숭배와 같은 다른 죄로 인해 정죄받을 수는 있지만, 불신앙 자체 때문에 정죄받지는 않을 것이라고 했다. 비토리아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말을 인용하며, 자연법에 따라 선하게 살고자 노력하는 사람들에게는 신의 섭리가 그리스도에 대한 계시를 줄 것이라고 믿었다.[25]
4. 저작
비토리아는 생전에 저서를 출판하지 않았으며, 제자들이 기록한 강의록을 모은 『신학 강의록』(Relectiones Theologicae)이 사후에 출판되었다. 이 강의록은 1557년 리옹(Lyon)판을 시작으로 1665년 마드리드(Madrid)판에 이르기까지 17가지의 다른 판본이 출판되었다.
1527년부터 1540년까지 그의 강의 노트는 학생들에 의해 복사되어 다음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제목 | 연도 |
---|---|
De potestate civili | 1528 |
Del Homicidio | 1530 |
De matrimonio | 1531 |
De potestate ecclesiae I and II | 1532 |
De Indis | 1532 |
De Jure belli Hispanorum in barbaros | 1532 |
De potestate papae et concilii | 1534 |
Relectiones Theologicae | 1557 |
Summa sacramentorum Ecclesiae | 1561 |
De Indis et De Jure Belli (Relectiones Theologicae의 상당 부분을 번역한 1917년판) | |
프란시스코 데 비토리아: 정치 저술 (Francisco de Vitoria: Political Writings), 제레미 로런스(Jeremy Lawrance) 번역, 제레미 로런스와 안토니 페이던(Anthony Pagden) 편,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1991. | |
프란시스코 데 비토리아: 살인에 대한 성찰 & 신학총론 IIa-IIae Q. 64 (토마스 아퀴나스)에 대한 주석 (Francisco de Vitoria: Relection on Homicide & Commentary on Summa theologiae IIa-IIae Q. 64 (Thomas Aquinas)), 존 P. 도일(John P. Doyle) 번역 및 서문 및 주석, 밀워키: 마케트 대학교 출판부, 1997. |
5. 영향과 유산
비토리아의 사상은 살라망카 학파를 통해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국제법과 인권 사상의 발전에 기여했다.[20] 그의 아메리카 원주민 권리 옹호와 정의로운 전쟁론은 현대 사회에서도 여전히 중요한 논쟁 주제로 남아있다.
비토리아는 스페인이 원주민들에게 행사하는 권력을 제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원주민들이 기독교인과 마찬가지로 공적 및 사적 문제에서 진정한 지배권을 가지며, 그들의 왕이나 개인이 진정한 소유주가 아니라는 이유로 재산을 빼앗길 수 없다고 보았다.[10] 그는 아메리카 원주민을 아리스토텔레스적 관점에서 본질적으로 노예로 이해할 수 없다고 부정하고,[11] 토마스 아퀴나스의 ''ius gentium''("만국법") 개념을 채택하여 인간의 고유한 존엄성을 옹호했다.
비토리아는 원주민들이 그들의 재산에 대한 정당한 소유권을 가지며, 그들의 수장들이 부족을 유효하게 다스린다고 결론지었다. 교황이나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 모두 인디언의 생명이나 재산에 대한 정당한 권리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인디언들이 스페인인들의 정당한 권리를 침해하지 않는 한 폭력을 행사하거나 재산을 압수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12]
그는 강제 개종이 원주민들에게 큰 분노와 불안을 야기하고, 진정한 믿음 대신 증오와 위선을 불러일으킬 것이라고 경고했다.[15] 또한, 세금 등으로 개종을 장려하는 간접적인 강제 방식도 반대하며, 원주민들이 자신의 재산에 대한 진정한 소유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불신앙을 이유로 재산을 박탈당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16]
정의로운 전쟁론을 지지하면서도, 비토리아는 원주민들에게는 정의로운 전쟁의 근본적인 전제 조건이 결여되어 있다고 지적했다.[17] 그는 스페인의 개입을 정당화할 수 있는 유일한 영역은 인신 공양 희생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고 보았다.[17]
비토리아는 요구 문서의 정당성을 부정하고,[7] 자연법에 근거하여 스페인인들이 자유롭게 여행하고 무역할 권리가 있지만, 원주민들의 저항이 있을 경우에만 정의로운 전쟁을 통해 영토를 통치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19]
그의 저술은 사후에 ''Relectiones Theologicae''라는 제목으로 여러 차례 출판되었으며,[21][22] 휴고 그로티우스와 같은 네덜란드 법철학자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20]
비토리아의 국제법 이론은 국가 간의 관계에서 힘의 논리가 아닌 정의와 평등의 원칙을 강조하며, 이는 현대 한국의 외교 정책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비토리아의 사상과 유사하게 국제 협력과 평화적 분쟁 해결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6. 비판과 논쟁
비토리아의 사상은 당대에는 혁신적이었지만, 현대의 관점에서 보면 여러 비판과 논쟁의 여지가 있다. 그의 저술은 상반된 정책을 지지하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하는데, 일부 학자들은 그의 인도주의가 결국 스페인의 아메리카 정복을 정당화하는 데 이용되었다고 비판한다.[23][24]
비토리아는 원주민들이 이성을 가진 존재이며, 그들의 재산과 통치권을 존중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동시에 '정의로운 전쟁'의 논리를 통해 스페인의 개입을 정당화할 수 있는 여지를 남겼다.[17] 그는 원주민들이 인신 공양과 같은 '자연법'에 어긋나는 행위를 할 경우, 그들을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스페인이 무력을 사용할 수 있다고 보았다.[17]
또한, 비토리아는 스페인인들이 자유롭게 여행하고 무역할 권리가 있으며, 원주민들이 이를 방해하면 '정의로운 전쟁'을 일으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19] 이는 결국 스페인의 식민 지배를 정당화하는 논리로 이어질 수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비토리아는 '요구 문서'의 정당성을 부정했지만,[7] 여전히 유럽 중심적인 세계관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지적도 있다. 그는 원주민 문화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으며, 기독교적 가치를 보편적인 것으로 간주했다는 비판을 받는다.[14]
참조
[1]
서적
Carl Schmitt
Claridge Press
[2]
서적
Imperialism, Sovereignty and the Making of International Law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04-26
[3]
서적
The School of Salamanca: Readings in Spanish Monetary Theory, 1544-1605
https://cdn.mises.or[...]
Mises Institute
[4]
서적
A concise history of the law of nations
https://books.google[...]
Macmillan Co.
[5]
서적
The School of Salamanca: Readings in Spanish Monetary Theory, 1544-1605
https://cdn.mises.or[...]
Mises Institute
[6]
서적
The Salamanca School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USA
2013-03-14
[7]
간행물
The Internationalization of Francisco de Vitoria and Domingo de Soto
http://ir.lawnet.for[...]
[8]
서적
Studies in Spanish Renaissance Thought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9]
간행물
Francis of Vittoria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2014-09-10
[10]
서적
The Law of War
Baker Book House
[11]
웹사이트
Francisco de Vitoria
http://www.college.c[...]
[12]
서적
Vitoria: Political Writings (Cambridge Texts in the History of Political Though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
서적
On the Evangelization of Unbelievers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14]
서적
Colonial Latin America : A Documentary History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15]
서적
Colonial Latin America : A Documentary History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16]
서적
Colonial Latin America : A Documentary History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17]
간행물
Francisco de Vitoria on the Ius Gentium and the American Indios
http://legacy.avemar[...]
[18]
서적
How The Catholic Church Built Western Civilization
https://archive.org/[...]
Regnery Publishing
[19]
저널
Francisco de Vitoria, Carl Schmitt, and Originary Technicity
https://quod.lib.umi[...]
2014
[20]
서적
Hugo Grotius, the Portuguese and Free Trade in the East Indies
NUS Press and KITLV Press
[21]
웹사이트
De Indis et Ivre Belli
http://www.constitut[...]
[22]
서적
Bibliografía Vitoriana
https://dadun.unav.e[...]
Publicaciones Universidad de Navarra
[23]
서적
El pensamiento de Francisco de Vitoria. Filosofía, política e indio Americano
Anthropos
[24]
웹사이트
Colonization of the 'Indies' – the Origin of International Law?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Helsinki
2009-12
[25]
서적
The Spanish Origin of International Law: Francisco de Vitoria and His Law of Nations
https://books.google[...]
The Lawbook Exchange, Ltd.
2000
[26]
서적
https://archive.org/[...]
[27]
서적
[28]
저널
https://www.cambridg[...]
[29]
간행물
http://ir.lawnet.for[...]
[30]
간행물
http://www.newadvent[...]
[31]
서적
The Law of War
[32]
웹사이트
Francisco de Vitoria
http://www.college.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