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란체스코 마우롤리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란체스코 마우롤리코는 1494년경 이탈리아 메시나에서 태어난 사제이자 수학자, 천문학자였다. 그는 빛의 굴절, 무지개, 카메라 옵스큐라를 연구했으며, 수학적 귀납법을 사용한 증명을 최초로 기록했다. 또한,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을 비판하고, 시칠리아의 역사와 지도를 제작했다. 마우롤리코는 고대 수학자들의 텍스트를 연구하고 편집했으며, 그의 이름을 딴 달 분화구와 학교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계 이탈리아인 - 니콜라스 바포리디스
니콜라스 바포리디스는 이탈리아 출신의 배우이자 작가이며, 2002년 영화로 데뷔하여 여러 작품에 출연했고, 소설을 출판하기도 했다. - 그리스계 이탈리아인 - 교황 율리오 2세
율리오 2세는 1503년부터 1513년까지 재임한 교황으로, 세속 권위 견제, 교황령 중앙 집권화, 그리고 르네상스 예술가 후원을 통해 로마를 예술의 중심지로 만드는 데 기여했다. - 1575년 사망 - 매슈 파커
매슈 파커는 1504년에 태어나 1575년에 사망한 잉글랜드의 종교 지도자이며, 앤 불린의 사제로서 1559년 캔터베리 대주교로 임명되어 잉글리칸 교회의 발전에 기여하고 학문적 업적과 사본 수집으로 알려져 있다. - 1575년 사망 - 바바 노부하루
바바 노부하루는 다케다 신겐을 섬긴 무장으로 70번 이상의 전투에서 부상없이 활약하여 불멸의 별칭을 얻었으며, 스와·이나 공략, 가와나카지마 전투, 미카타가하라 전투 등에서 공을 세웠고 축성에도 능했으나 나가시노 전투에서 전사하여 다케다 가문 몰락의 계기가 되었다. - 1494년 출생 - 쉴레이만 1세
쉴레이만 1세는 오스만 제국의 10대 술탄으로, 활발한 군사 활동과 법률 개혁을 통해 제국의 영토를 확장하고 행정 체계를 정비하여 오스만 제국의 전성기를 이끌었으며 예술의 황금기를 열었다. - 1494년 출생 - 게오르기우스 아그리콜라
게오르기우스 아그리콜라는 독일의 의사이자 광물학자, 야금학자, 인문주의자로, 광산 및 야금술에 관한 저서 『데 레 메탈리카』를 통해 "광물학의 아버지"로 불리며 광산학 발전에 기여하고 지질학과 광물학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프란체스코 마우롤리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한국어) | 프란체스코 마우롤리코 |
이름 (그리스어) | (프랑키스코스 마우롤리코스) |
출생 | 1494년 9월 16일 |
출생지 | 메시나, 시칠리아 왕국 |
사망 | 1575년 7월 22일 (81세) |
사망지 | 메시나, 시칠리아 왕국 |
분야 | 수학 기하학 광학 원뿔 곡선 역학 음악 천문학 |
직장 | 메시나 대학교 |
학문적 배경 | |
지도 교수 | 알려진 바 없음 |
주목할 만한 학생 | 알려진 바 없음 |
업적 및 영향 | |
알려진 업적 | 알려진 바 없음 |
수상 | |
수상 내역 | 알려진 바 없음 |
2. 생애
마우롤리코는 메시나에서 태어나 아버지와 콘스탄티누스 라스카리스의 제자들로부터 신플라톤주의 교육을 받았다. 1521년 사제 서품을 받았으며, 1534년에는 메시나 학회 일원으로 활동하며 "Mauro Lyco", "Mauro Lycio" 등으로 이름을 바꾸기도 했다.[25]
1535년 카를 5세의 메시나 입성을 위한 개선문 설계에 참여했고, 메시나 주조소 책임자 및 도시 요새 관리 등 공직을 수행했다. 후안 데 베가의 아들들을 가르치고 여러 유력자들의 후원을 받았으며, 클라비우스, 페데리코 코만디노 등 학자들과 교류했다. 1547년 조반니 안젤로 몬토르솔리와 함께 오리온 분수를 제작했고, 1548년부터 1550년까지 벤티미글리아 가문의 폴리나 성에서 천문 관측을 수행했다. 1550년 카스텔부오노에 있는 산타 마리아 델 파르토 수도원의 대수도원장으로 임명되었다.[26]
1569년 메시나 대학교 교수가 되었다. 1572년 카시오페이아자리에서 발생한 초신성을 관측했는데, 이는 티코 브라헤가 상세히 기록하여 티코의 초신성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1575년, 마우롤리코는 흑사병을 피해 머물던 콘트라다 안눈치아타에서 자연사했다. 그는 메시나의 산 조반니 디 몰타 교회에 안장되었으며, 조카들이 대리석 석관과 늑대와 시리우스성이 그려진 문장을 세웠다.[12]
2. 1. 출생과 가문
마우롤리코는 메시나에서 마룰리(Marulì)라는 성으로 태어났으며, "마우롤리(Mauroli)"로 표기되기도 한다.[20] 그는 정부 관리였던 아버지 안토니오 마룰리(Antonio Marulì)와 어머니 페누치아(Penuccia) 사이의 일곱 아들 중 한 명이었다. 안토니오 마룰리는 원래 그리스 출신 의사였으나 오스만 제국이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침공했을 때 도시를 탈출했다.[21][22] 콘스탄틴 라스카리스(Constantine Lascaris)에게서 신플라톤주의를 배운 안토니오는 라스카리스의 두 제자와 함께 직접 아들을 가르쳤다. 프란체스코 마룰리는 자연히 이에 큰 영향을 받았다.[23][24]
1534년, 프란체스코 마룰리는 메시나 학회의 일원으로서 8년 동안 "Mauro Lyco"라는 성을 사용하다가 다시 성을 "Mauro Lycio"로 바꾸었다.[25]
2. 2. 초기 활동과 학문적 교류
마우롤리코는 메시나에서 마룰리(Marulì)라는 성으로 태어났으며, "마우롤리(Mauroli)"로 쓰이기도 한다.[20] 그는 정부 관리였던 아버지 안토니오 마룰리와 어머니 페누치아(Penuccia) 사이에서 태어난 일곱 아들 중 한 명이었다. 안토니오 마룰리는 원래 그리스 출신 의사였으나, 오스만 제국이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침공했을 때 도시를 탈출했다.[21][22] 안토니오 마룰리는 신플라톤주의자인 콘스탄틴 라스카리스와 함께 공부했으며, 라스카리스의 두 제자와 함께 직접 아들을 가르쳤다. 프란체스코 마룰리는 자연히 이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23][24]
1534년, 프란체스코 마룰리는 메시나 학회의 일원으로서 8년 동안 "Mauro Lyco"라는 성을 사용하다가 다시 "Mauro Lycio"로 바꾸었다.[25]
1521년에 사제 서품을 받은 그는 교회의 혜택을 받고 있었다. 1550년에는 제자이자 후원자였던 게라치의 시모네 벤티미글리아 후작에 의해 산타 마리아 델 파르토 수도원(카스텔부오노에 있음)의 대수도원장으로 임명되었다.[26]
2. 3. 후원과 공직 활동
1535년, 마우롤리코는 화가 폴리도로 다 카라바조와 협력하여 신성 로마 황제 카를 5세가 메시나에 입성할 때 개선문을 설계했다. 그는 아버지처럼 메시나 주조소의 수장이 되었고, 한동안 카를 5세를 대신하여 도시의 요새를 유지하는 일을 맡았다. 마우롤리코는 시칠리아 부왕 후안 데 베가의 두 아들을 가르쳤고, 많은 부유하고 강력한 사람들의 후원을 받았다. 그는 클라비우스, 페데리코 코만디노와 같은 학자들과 서신을 주고받았다.1547년, 마우롤리코는 조각가 조반니 안젤로 몬토르솔리와 협력하여 메시나의 유명한 ''오리온 분수''를 제작했다. 분수 지면 분지에 있는 라틴어 비문과 이 기념비적인 시민 조각품에 대한 대부분의 신플라톤주의적 계획은 마우롤리코가 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13] 1548년부터 1550년까지 그는 시칠리아 폴리나 성에서 조반니 2세 벤티미글리아 후작의 손님으로 머물며, 성의 탑을 이용하여 천문 관측을 수행했다.
1569년, 마우롤리코는 메시나 대학교 교수로 임명되었다.
2. 4. 말년과 죽음
그는 1575년에 흑사병을 피해 메시나 북쪽의 구릉 지역인 콘트라다 안눈치아타(Contrada Annunziata)에서 머물던 중 자연사하였다.[27] 콘트라다 안눈치아타는 마룰리 가문이 빌라를 소유했던 곳으로, 과학자와 인문학자들이 모였을 것으로 추정된다.[27]그는 메시나의 산 조반니 디 몰타 교회에 묻혔다. 그의 조카 프란체스코 마우렐리코와 실베스트로 마우롤리코는 그곳에 대리석 석관을 세웠다. 늑대와 시리우스성이 그려진 마우롤리코의 문장도 같이 세워졌다.[12]
3. 업적
마우롤리코는 1535년 화가 폴리도로 다 카라바조와 함께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의 메시나 입성을 위한 개선문을 설계했다. 아버지처럼 메시나 조폐국의 국장이 되었고, 카를 5세를 대신해 도시 요새를 관리하기도 했다. 시칠리아 총독 후안 데 베가의 두 아들을 가르쳤으며, 여러 유력자의 후원을 받았다. 크리스토퍼 클라비우스, 페데리코 코만디노 등 당대 수학자들과 교류했다.
1547년에는 조각가 조반니 안젤로 몬토르솔리와 협력하여 메시나의 오리온 분수를 만들었다. 분수에는 마우롤리코가 작성한 신플라톤주의적 내용의 라틴어 비문이 새겨져 있다.[28]
그는 코페르니쿠스의 태양 중심설을 강하게 비판했다. 자신의 저서 ''De Sphaera Liber Unus''(1575)에서 코페르니쿠스가 "반박은 고사하고 채찍이나 재앙을 받아 마땅하다"고 주장했다.[31]
마우롤리코는 지구 측정 방법을 설명하는 ''Cosmographia''를 출판했는데, 이는 1607년에 장 피카르가 자오선 호의 길이를 측정할 때 참고한 책이다.
그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역학'' 판본과 음악 작품을 출판했다. Ortelius의 ''Theatrum orbis terrarum''을 요약하고, ''Grammatica rudimenta''(1528)와 ''De lineis horariis''도 썼다. 1575년에는 시칠리아 지도를 만들었다.
3. 1. 광학 연구
3. 2. 천문학 연구
마우롤리코는 1548년부터 1550년까지 조반니 2세 벤티미글리아 후작의 초청으로 시칠리아의 폴리나 성에 머물면서 성의 탑을 이용하여 천문 관측을 수행했다.
그는 1572년 카시오페이아자리에서 발생한 초신성을 관측했다. 티코 브라헤가 1574년에 이 초신성에 대한 자세한 관측 결과를 발표하면서, 현재는 티코의 초신성으로 알려져 있다.[28] 1569년에는 메시나 대학교의 교수로 임명되었다.
3. 3. 기하학 연구
마우롤리코는 빛의 굴절에 관한 글인 《Photismi de luminine et umbra》와 《Diaphana》에서 무지개를 자연 현상으로서 설명하려고 시도했으며, 카메라 옵스큐라를 연구했다. 《Photismi》는 1521년에, 《Diaphana》는 1부 1523년, 2, 3부는 1552년에 완성되었으나 모든 자료는 사후인 1611년에 출판되었다.[28]
그의 미출판 원고 《Compaginationes solidorum Regularium》 (1537년)에는 플라톤 다면체에 대한 오일러의 공식 가 언급되어 있다. 이는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1752년에 볼록 다면체에 대해 더 일반적으로 공식화하기 훨씬 전의 기록이다.[29]
그는 자신의 저서 《Arithmeticorum libri duo》 (1575년)에서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해 가장 작은 n개의 홀수를 더하면 n2이 됨을 증명했다. 이는 수학적 귀납법을 엄밀하게 서술한 최초의 기록이다.[30]
그는 《De momentis aequalibus》 (1548년에 완성되었지만 1685년에야 처음 출판됨)에서 다양한 물체( 피라미드, 포물면 등)의 질량중심을 계산하려고 시도했다.
마우롤리코는 테오도시우스, 메넬라오스, 오토리쿠스, 유클리드, 아폴로니오스 및 아르키메데스와 같은 고대 수학자들의 텍스트를 작업했다. 새롭게 번역을 한 것은 아니지만, 기존 번역을 작업하면서 그리스 수학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제공했다.
3. 4. 수학적 귀납법
마우롤리코는 자신의 저서 ''Arithmeticorum libri duo''(1575년)에서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해 가장 작은 n개의 홀수를 더하면 n2이 됨을 증명했다. 이는 수학적 귀납법을 엄밀하게 서술한 최초의 기록이다.[30]
3. 5. 기타 연구
마우롤리코는 수학, 과학, 역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주요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4. 주요 저서
- ''Cosmographia'' (1543년, 베네치아): 장 피카르가 1670년에 자오선 호 길이를 측정하는 데 사용한 지구 측정 방법을 설명하였다.[16]
- ''Cosmographia'' (1558년, 파리)
- ''Photismi de lumine et umbra ad perspectivam et radiorum incidentiam facientes'' (1611년, 나폴리): 빛의 굴절에 관한 것이며, 무지개의 자연 현상을 설명하려 시도했다. 또한 암상자를 연구했다. 1521년에 완성되었지만, 사후에 출판되었다.[14]
- ''디아파나''(Diaphana): 빛에 관한 책이다. 첫 번째 부분은 1523년, 두 번째와 세 번째 부분은 1552년에 완성되었지만, 1611년에 사후에 출판되었다.[14]
- ''Compaginationes solidorum regularium'' (1537년): 미출판 원고로, 플라톤 다면체에 대한 오일러의 공식 ()에 대한 언급이 포함되어 있다. 이는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1752년에 볼록 다면체에 대해 더 일반적인 공식을 세우기 훨씬 전의 일이다.[14]
- ''산술의 두 권의 책''(Arithmeticorum libri duo) (1575년): 수학적 귀납법에 의한 최초의 증명이 포함되어 있다.[15]
- ''De momentis aequalibus'' (1548년 완성, 1685년 출판): 다양한 물체(피라미드, 포물면체 등)의 무게 중심을 계산하려 시도했다.
- ''Sicanicarum rerum compendium'': 시칠리아의 역사를 제시했으며, 일부 자전적 세부 사항을 포함했다. 1553년 메시나 원로원은 그가 이 작품과 수학 작품을 완성할 수 있도록 2년 동안 연간 100 স্বর্ণমুদ্রা를 지급했다.
- ''De Sphaera Liber Unus'' (1575년):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에 대한 맹렬한 비판이 담겨 있으며, 마우롤리코는 코페르니쿠스가 "반박보다는 채찍이나 징벌을 받을 만하다"라고 썼다.[16]
- 아리스토텔레스의 ''역학'' 편집, 음악에 관한 작품.
- 오르텔리우스의 ''Theatrum orbis terrarum'' 요약, ''Grammatica rudimenta''(1528) 및 ''De lineis horariis'' 저술.
- 1575년에 출판된 시칠리아 지도 제작.
- 비티니아의 테오도시우스, 알렉산드리아의 메넬라오스, 피타네의 아우톨리코스, 유클리드, 페르가의 아폴로니우스 및 아르키메데스 등 고대 수학 텍스트 연구. 기존 번역본을 바탕으로 그리스 수학에 대한 새롭고 정확한 해석을 제공.
5. 유산
메시나에는 그의 이름을 딴 학교가 있다.
달 분화구인 마우롤리쿠스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
2009년 이탈리아 문화유산부는 ''Edizione nazionale dell'opera matematica di Francesco Maurolico''(마우롤리코의 수학 전집 전국판)을 냈다.[2]
참조
[1]
간행물
Portraits of doctors & scientists in the Wellcome Institute of the History of Medicine: a catalogue
Wellcome Institute of the History of Medicine
1973
[2]
서적
Novità celesti e crisi del sapere
Banca toscana
1984
[3]
서적
Novità celesti e crisi del sapere
Banca toscana
1984
[4]
뉴스
MAUROLICO, Francesco
http://www.treccani.[...]
Dizionario Biografico degli Italiani
2008
[5]
웹사이트
Francesco Maurolico
https://mathshistory[...]
School of Mathematics and Statistics University of St Andrews, Scotland
2010-11-01
[6]
웹사이트
Maurolico [Marul, Marol], Francesco
http://galileo.rice.[...]
The Galileo Project Department of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Indiana University
1995-01-01
[7]
뉴스
MAUROLICO, Francesco
http://www.treccani.[...]
Dizionario Biografico degli Italiani
2008
[8]
간행물
Una nuova ipotesi sul nome 'Maurolico'
Messina
2018
[9]
뉴스
MAUROLICO, Francesco
http://www.treccani.[...]
Dizionario Biografico degli Italiani
2008
[10]
간행물
Una nuova ipotesi sul nome 'Maurolico'
Messina
2018
[11]
뉴스
MAUROLICO, Francesco
http://www.treccani.[...]
Dizionario Biografico degli Italiani
2008
[12]
간행물
Una nuova ipotesi sul nome 'Maurolico'
Messina
2018
[13]
간행물
La fontana del Sirio d’Orione, o delle metamorfosi
Messina
2001
[14]
서적
A History of Folding in Mathematics: Mathematizing the Margins
Birkhäuser
2018
[15]
논문
Maurolycus, the first discoverer of the principle of mathematical induction
https://projecteucli[...]
1909
[16]
논문
Maurolico's attitude toward Copernicus
1957
[17]
간행물
Portraits of doctors & scientists in the Wellcome Institute of the History of Medicine: a catalogue
Wellcome Institute of the History of Medicine
1973
[18]
서적
Novità celesti e crisi del sapere
Banca toscana
1984
[19]
서적
Novità celesti e crisi del sapere
Banca toscana
1984
[20]
뉴스
MAUROLICO, Francesco
http://www.treccani.[...]
Dizionario Biografico degli Italiani
2008
[21]
웹인용
Francesco Maurolico
https://mathshistory[...]
School of Mathematics and Statistics University of St Andrews, Scotland
2021-05-04
[22]
웹인용
Maurolico [Marul, Marol], Francesco
http://galileo.rice.[...]
The Galileo Project Department of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Indiana University
2021-05-04
[23]
간행물
Una nuova ipotesi sul nome ‘Maurolico’
Messina
2018
[24]
뉴스
MAUROLICO, Francesco
http://www.treccani.[...]
Dizionario Biografico degli Italiani
2008
[25]
간행물
Una nuova ipotesi sul nome ‘Maurolico’
Messina
2018
[26]
뉴스
MAUROLICO, Francesco
http://www.treccani.[...]
Dizionario Biografico degli Italiani
2008
[27]
간행물
Una nuova ipotesi sul nome ‘Maurolico’
Messina
2018
[28]
간행물
La fontana del Sirio d’Orione, o delle metamorfosi
Messina
2001
[29]
서적
A History of Folding in Mathematics: Mathematizing the Margins
Birkhäuser
2018
[30]
논문
Maurolycus, the first discoverer of the principle of mathematical induction
1909
[31]
논문
Maurolico's attitude toward Copernicus
https://archive.org/[...]
195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