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랑수아조제프 고세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랑수아조제프 고세크는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 출신의 프랑스 작곡가이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음악적 재능을 보였으며, 파리로 이주하여 기악 음악 부흥에 기여했다. 고세크는 교향곡, 오페라, 종교 음악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작곡했으며, 특히 프랑스 혁명 시기에 혁명 정신을 고취하는 작품을 많이 남겼다. 그의 대표작으로는 오페라 《로신, 또는 버려진 아내》의 가보트가 있으며, 이 곡은 만화에 사용되면서 대중에게 널리 알려졌다. 고세크는 낭만주의 시대의 혁신을 예고하는 기법을 선보였으며, 프랑스 음악 교육 발전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벨기에의 작곡가 - 세자르 프랑크
    세자르 프랑크는 벨기에 출신의 작곡가, 오르가니스트, 피아니스트, 음악 교사로, 파리 음악원에서 교육을 받고 생클로틸드 성당의 오르가니스트로 활동하며 D단조 교향곡 등을 작곡하여 프랑스 음악에 영향을 미쳤다.
  • 벨기에의 작곡가 - 앙리 비외탕
    앙리 비외탕은 1820년 벨기에에서 태어나 유럽 각지에서 연주 활동을 펼치고 러시아 궁정 음악가로 활동하며 7개의 바이올린 협주곡 등을 작곡한 바이올리니스트이자 작곡가이다.
  • 벨기에의 클래식 작곡가 - 세자르 프랑크
    세자르 프랑크는 벨기에 출신의 작곡가, 오르가니스트, 피아니스트, 음악 교사로, 파리 음악원에서 교육을 받고 생클로틸드 성당의 오르가니스트로 활동하며 D단조 교향곡 등을 작곡하여 프랑스 음악에 영향을 미쳤다.
  • 벨기에의 클래식 작곡가 - 요하네스 오케겜
    요하네스 오케겜은 15세기 후기 부르고뉴 및 초기 네덜란드 악파의 벨기에 출신 작곡가로서 프랑스 궁정을 섬겼으며 독창적이고 혁신적인 스타일로 미사곡, 모테트, 샹송 등 다양한 작품을 남겼고, 특히 《Missa prolationum》과 《Missa cuiusvis toni》는 15세기 대위법의 정점으로 평가받으며 후대 작곡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1734년 출생 - 대니얼 분
    대니얼 분은 1734년에 태어나 미국 서부 개척 시대를 이끌며 사냥, 탐험, 정착 활동을 했고, 윌더니스 로드를 개척하고 분즈보로 마을을 건설했으며, 미국 독립 전쟁에도 참여하여 버지니아 주 의회 의원으로 활동하다가 1820년에 사망했다.
  • 1734년 출생 - 로버트 모리스
    로버트 모리스는 영국 태생의 미국 독립 전쟁 시기 상인이자 정치인으로, 미국 독립 선언서, 연합 규약, 미국 헌법 모두에 서명하고, 대륙군 재정 지원, 북미 은행 설립, 미국 재무 감독관 역임 등 미국 재정 시스템 구축에 기여했으나, 말년에는 토지 투기 실패로 불운을 겪었다.
프랑수아조제프 고세크
기본 정보
프랑수아조제프 고세크, [[앙투안 베스티에]] 그림
프랑수아조제프 고세크, 앙투안 베스티에 그림
본명프랑수아조제프 고세크
출생1734년 1월 17일
출생지프랑스 베르니
사망1829년 2월 16일
사망지파시
국적프랑스
활동 시기고전주의 시대
직업지휘자, 작곡가
경력
영향미셸 폴리
분야오페라, 교향곡, 실내악
악기바이올린
주요 작품
장르오페라
교향곡
실내악

2. 생애와 작품 활동

프랑수아조제프 고세크는 1751년 파리로 이주한 후, 장-필립 라모에게 발탁되어 음악 경력을 시작했다. 그는 라모의 후원자인 알렉상드르 르 리시 드 라 푸펠리니에르의 사설 오케스트라 지휘를 맡으며 프랑스에서 기악 음악을 부흥시키고자 노력했다.[3]

1754년 그의 첫 교향곡이 연주되었고, 콩데 공의 오케스트라 지휘자로 활동하며 자신의 오페라와 여러 작품을 발표하여 프랑스 음악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3] 1760년에는 90분 길이의 레퀴엠을 초연하여 하룻밤 사이에 명성을 얻었다.[4] 1778년 파리를 방문한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는 고세크를 "매우 좋은 친구이자 매우 건조한 남자"라고 묘사했다.[4]

1769년 ''아마추어 연주회''를 창설했고, 1773년 시몽 르 듀크, 피에르 가비니에와 함께 ''콩세르 스피리튀엘''을 재조직했다.[3] 이 연주회에서 그는 자신의 교향곡과 요제프 하이든 등 동시대 작곡가들의 작품을 지휘했으며, 특히 하이든의 작품은 파리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

1780년대에 고세크는 교향곡보다 오페라 창작에 집중했다. 1784년 에티엔 메율과 함께 ''샹송 학교''를 조직했고, 프랑스 혁명 시기에는 ''국민 방위군'' 악단의 지휘자를 맡았다.[3] 1795년 국립 음악원이 창설되자 메율, 루이지 케루비니와 함께 음악원 검사관으로 임명되었다.[3] 그는 프랑스 학사원의 창립 멤버이자 레지옹 도뇌르 기사였다.[3]

1803년 나폴레옹의 제안을 거절했으나, 1815년 워털루 전투 이후 루이 18세에 의해 음악원이 잠시 폐쇄되자 81세의 나이로 은퇴했다.[3] 이후 연금을 받으며 1817년까지 세 번째 ''테 데움''을 포함한 마지막 작품들을 작곡했다.

고세크는 프랑스 혁명을 기념하는 여러 작품을 작곡했으며, 그의 몇몇 기법은 낭만주의 시대의 혁신을 예고했다. 그의 오페라 ''로진, 또는 버려진 아내''(1786)의 ''가보트''는 워너 브라더스 만화에 사용되어 대중에게 친숙하다.[5]

그는 파리 교외 파시에서 사망하여 페르 라셰즈 묘지에 묻혔다. 그의 무덤은 메율과 그레트리의 묘 근처에 있다.[5] 비록 프랑스 밖에서는 덜 알려졌지만, 고세크는 기악 음악 부활에 큰 영향을 미쳤다.

2. 1. 초기 생애와 음악적 성장

프랑수아조제프 고세크는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의 프랑스 월경지였던 벨기에 프로이드샤펠 자치구 베르니 마을에서 태어났다. 그는 어릴 때부터 음악에 재능을 보여 안트베르펜에서 성가대 소년으로 활동했다. 1751년 파리로 간 그는 작곡가 장-필립 라모의 눈에 띄게 되었다. 이후 부유한 음악 후원자였던 알렉상드르 르 리시 드 라 푸펠리니에르가 관리하는 사설 오케스트라의 지휘자로 라모를 따르게 되었다. 고세크는 점차 프랑스에서 기악 음악 연구를 부활시키기 위해 노력했다.[3]

1754년에 그의 첫 번째 교향곡이 연주되었고, 콩데 공의 오케스트라 지휘자로서 자신의 오페라와 다른 작품들을 여러 편 제작하며 프랑스 음악에 큰 영향을 미쳤다.[3] 1760년에는 90분 길이의 레퀴엠을 초연하여 하룻밤 사이에 유명해졌다.[4] 1778년 파리를 방문한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는 고세크를 "아주 좋은 친구이자 매우 건조한 남자"라고 묘사하기도 했다.[4]

2. 2. 교향곡과 기악 음악의 발전

고세크는 프랑스에서 기악곡, 특히 교향곡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1754년에 그의 첫 번째 교향곡이 연주되었고, 이후 그는 콩데 공의 오케스트라 지휘자로 활동하며 자신의 교향곡을 포함한 다양한 작품을 선보였다.

1770년, 고세크는 "콩세르 데 자마퇴르(Concert des Amateurs)"를 설립하여 연주회를 열었고, 1773년에는 시몽 르듀크, 피에르 가비니에스와 함께 "콩세르 스피리튀엘(Concert Spirituel)"을 재편성했다. 이 연주회들에서 그는 자신의 교향곡뿐만 아니라 요제프 하이든과 같은 동시대 작곡가들의 작품도 지휘했는데, 특히 하이든의 작품은 파리에서 큰 인기를 얻게 되었다.

고세크의 주요 교향곡 작품은 다음과 같다.

작품 번호제목작곡 연도
작품 4여러 악기를 위한 6개의 교향곡 Sei sinfonie a più stromenti1759년
작품 5여러 악기를 위한 6개의 교향곡 Sei sinfonie a più stromenti1761년
작품 66개의 교향곡 Six Symphonies1762년
작품 12대관현악을 위한 6개의 교향곡 Six Symphonies à grand orchestre1769년
2개의 교향곡 Deux symphonies1773년
교향곡 1번 Symphonie n° 11771년경~1774년
교향곡 2번 Symphonie n° 21771년경~1774년
교향곡 바장조 Symphonie en fa majeur1774년
사냥 교향곡 Symphonie de chasse1776년
교향곡 라장조 Symphonie en ré1776년
교향곡 라장조 Symphonie en ré1777년
여러 악기를 위한 협주 교향곡 2번 Symphonie concertante en fa majeur n° 2, à plusieurs instruments1778년
17성부 교향곡 바장조 Symphonie à 17 parties en fa majeur1809년



1780년대에 고세크는 교향곡 창작을 줄이고 오페라에 집중했지만, 그의 초기 교향곡들은 프랑스 음악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2. 3. 오페라와 종교 음악

고세크는 오페라와 종교 음악 분야에서 많은 작품을 남겼다. 그의 종교 음악 작품으로는 1760년에 초연된 죽은 자들을 위한 미사곡이 있는데, 이 곡은 90분 길이의 대작으로 그를 하룻밤 사이에 유명하게 만들었다.[4] 1778년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는 파리를 방문했을 때 고세크를 만나 그를 "아주 좋은 친구이자 매우 건조한 남자"라고 묘사했다.[4]

그의 주요 종교 음악 작품은 다음과 같다:

제목설명작곡 연도
죽은 자들을 위한 미사곡1760년
강탄절오라토리오1774년
테 데움1779년
연방 축제를 위한 테 데움세 성부, 남성 합창, 관악 오케스트라1790년
볼테르의 유해를 팡테옹으로 옮기는 노래세 성부, 남성 합창, 관악 오케스트라1791년
7월 14일의 노래세 성부, 남성 합창, 관악 오케스트라 (작사: 마리조제프 셰니에)1791년
마지막 산 자들의 미사네 성부, 합창, 오케스트라1813년



1780년대에 고세크는 교향곡 대신 오페라 작곡에 집중하였다. 그의 오페라 작품으로는 ''사비누스'', ''테세'', ''로진, 또는 버려진 아내'', ''공화국의 승리, 또는 그랑프레의 야영'' 등이 있다. 특히 ''공화국의 승리''는 유명한 ''탐부랭''을 포함하고 있다.

그의 주요 오페라 작품은 다음과 같다:

제목설명작곡 연도
르 토넬리에오페라 코미크1765년
르 포 로르오페라 코미크1765년
어부들1막의 오페라 코미크1766년
투아농 에 투아네트오페라 코미크1767년
르 두블르 데기즈망오페라 코미크1767년
레자그레망 드 일라스 에 실비파스토랄1768년
사비누스서정 비극1773년
베르트오페라 (현재 전해지지 않음)1775년
알렉시 에 다프네파스토랄1775년
필레몽 에 보키스파스토랄1775년
라 페트 드 빌라주간주곡1778년
테세서정 비극1782년
니토크리스오페라1783년
로진, 또는 버려진 아내오페라1786년
공화국의 승리, 또는 그랑프레의 야영1막의 디베르티스망-리리크 (작사: 셰니에)1794년
나막신과 벚나무오페라1803년



고세크는 프랑스 혁명을 기념하는 여러 작품을 썼는데, 여기에는 1,200명의 성악가와 300개의 관악기를 위한 ''테 데움''과 여러 오라토리오가 포함된다. 그의 오페라 ''로진, 또는 버려진 아내''(1786)의 ''가보트''는 워너 브라더스 만화에서 사용되어 대중적으로 친숙해졌다.[5]

2. 4. 프랑스 혁명과 음악

고세크는 프랑스 혁명 당시 국민 방위군 악단의 지휘자를 맡았으며, 1795년 파리 음악원이 창설되자 루이지 케루비니, 에티엔 메윌과 함께 시학관으로 임명되었다.[3] 그는 프랑스 학사원의 창립 멤버였으며, 레지옹 도뇌르 훈장 기사 칭호를 받았다.[3]

그는 공화국 승리, 자유에의 헌사를 포함하여 프랑스 혁명을 기리는 여러 작품을 썼다.[5] 1,200명의 성악가와 300개의 관악기를 위해 그의 ''테 데움''을 작곡했으며, 여러 오라토리오에서는 무대 뒤에 보이지 않는 여러 합창단을 포함하여 물리적인 분리를 요구하는 등, 그의 몇몇 기법은 낭만주의 시대의 혁신을 예고했다.

2. 5. 만년과 유산

고세크는 1815년 워털루 전투에서 나폴레옹이 패배한 후, 루이 18세에 의해 파리 음악원이 잠시 폐쇄되면서 81세의 나이로 은퇴해야 했다.[3] 그는 음악원 근처에서 연금 생활을 하며 1817년까지 세 번째 《테 데움》 작곡에 매달렸다.[3]

고세크는 파리 교외의 파시에서 사망했다. 장례식에는 케루비니를 포함한 전 동료들이 참석했으며, 페르 라셰즈 묘지에 묻혔다. 그의 무덤은 그레트리와 메윌의 묘 근처에 있다.[5]

고세크는 프랑스 밖에서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고, 그의 수많은 종교적, 세속적 작품들은 더 유명한 작곡가들의 작품에 가려졌다.[5] 하지만 그는 많은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었고 기악 음악의 부활을 강력하게 자극했다. 그는 1,200명의 성악가와 300개의 관악기를 위해 ''테 데움''을 작곡했으며, 여러 오라토리오에서는 무대 뒤에 보이지 않는 여러 합창단을 포함하여 물리적인 분리를 요구했다.[5] 그는 공화국 승리와 자유에의 헌사를 포함하여 프랑스 혁명을 기리는 여러 작품을 썼다.[5]

3. 주요 작품

വിഭാഗം제목초연 연도
교향곡
실내악
종교 음악
오페라


  • ''공화국의 승리''에는 유명한 ''탐부랭''이 포함되어 있다.

3. 1. 교향곡

제목연도
다수 악기를 위한 6개의 교향곡 작품 41759년
다수 악기를 위한 6개의 교향곡 작품 51761년
6개의 교향곡 작품 61762년
대규모 오케스트라를 위한 6개의 교향곡 작품 121769년
두 개의 교향곡1773년
교향곡 1번1771년경~1774년
교향곡 2번1771년경~1774년
바장조 교향곡1774년
사냥 교향곡1776년
라장조 교향곡1776년
라장조 교향곡1777년
바장조 협주 교향곡 2번, 다수 악기를 위한1778년
관현악을 위한 다장조 교향곡1794년
17개 파트를 위한 교향곡1809년

[1]

3. 2. 실내악

작품 번호작품명연도악기 구성
작품 1두 대의 바이올린과 베이스를 위한 여섯 개의 소나타1753년경두 대의 바이올린, 베이스
작품 1Sei sonate a due violini e basso (바이올린과 통주 저음을 위한 소나타)1753년경바이올린, 통주 저음
작품 14Sei quartetti per flauto e violino o sia per due violini, alto e basso (플루트 사중주곡집)1769년플루트, 바이올린 (또는 두 대의 바이올린, 비올라, 베이스)
작품 14플루트와 바이올린, 또는 두 대의 바이올린, 비올라, 베이스를 위한 여섯 개의 4중주1769년플루트, 바이올린 (또는 두 대의 바이올린, 비올라, 베이스)
작품 15Six Quatuors à deux violons, alto et basse (6개의 현악 사중주곡)1772년두 대의 바이올린, 비올라, 베이스
작품 15두 대의 바이올린, 비올라, 베이스를 위한 여섯 개의 4중주1772년두 대의 바이올린, 비올라, 베이스


3. 3. 종교 음악

Messe des Morts (Gossec)|죽은 자들을 위한 미사프랑스어 (진혼곡) (1760)

  • ''탄생'', 오라토리오 (1774)
  • Te Deum (Gossec, 1779)|테 데움프랑스어 (1779)
  • 세 성부, 남성 합창, 관악 오케스트라를 위한 ''연방 축제 테 데움'' (1790)
  • 세 성부, 남성 합창, 관악 오케스트라를 위한 ''볼테르팡테옹 이장 찬가'' (1791)
  • 세 성부, 남성 합창, 관악 오케스트라를 위한 ''7월 14일의 노래'' (마리조제프 셰니에) (1791)
  • 네 성부, 합창, 오케스트라를 위한 마지막 생존자 미사 (1813)
  • 죽은 자들을 위한 미사곡 ''Messe des morts'' (Requiem) (1760년)
  • 강탄절 ''La Nativité'', 오라토리오 (1774년)
  • 테 데움(Te Deum) (1779년)
  • ''테 데움, 연방 축제(Fête de la Fédération)를 위한 곡'' (Te Deum à la Fête de la Fédération) for three voices, men's chourus and wind orchestra (1790년)
  • ''볼테르의 유해를 팡테옹으로 옮기는 노래'' (Hymne sur la translation du corps de Voltaire au Panthéon) for three voices, men's chourus and wind orchestra (1791년)
  • 7월 14일의 노래 ''Le Chant du 14 juillet'' (마리 조제프 셰니에) for three voices, men's chourus and wind orchestra (1791년)
  • 마지막 산 자들의 미사(Dernière messe des vivants) for four voices, chorus and orchestra (1813년)

3. 4. 오페라

제목원제장르초연 연도
르 토넬리에Le tonnelier오페라 코미크1765
르 포 로르Le faux Lord오페라 코미크1765
레 페쉐르Les pêcheurs오페라 코미크 1막1766
투아농 에 투아네트Toinon et Toinette오페라 코미크1767
르 두블르 데기즈망Le double déguisement오페라 코미크1767
레자그레망 드 일라스 에 실비Les agréments d'Hylas et Sylvie파스토랄1768
사비누스Sabinus서정 비극1773
베르트Berthe오페라1775 (현존하지 않음)
알렉시 에 다프네Alexis et Daphné파스토랄1775
필레몽 에 보키스Philémon et Baucis파스토랄1775
라 페트 드 빌라주La fête de village간주곡1778
테세Thésée서정 비극1782
니토크리스Nitocris오페라1783
로진, 또는 버려진 아내Rosine, ou L'épouse abandonnée오페라1786
공화국의 승리, 또는 그랑프레의 야영Le triomphe de la République, ou Le camp de Grandpré1막의 디베르티스망-리리크 (셰니에)1794
나막신과 벚나무Les sabots et le cerisier오페라1803


  • ''공화국의 승리''에는 유명한 ''탐부랭''이 포함되어 있다.

4. 혁신적인 음악 기법

고세크는 낭만주의 음악 시대의 오케스트라 확장, 공연에 동원되는 인원수의 팽창 경향, 무대 안팎의 공간 배치에 대한 고집 등을 앞서 보여주었다. 이는 고세크 개인에게서 일시적으로 끝난 것이 아니라 베를리오즈를 통해 이후, 특히 독일 낭만주의 음악의 전개에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7] 1790년 혁명 1주년을 기념하는 《테 데움》은 1200명의 성악가와 300명의 관악단을 필요로 했으며, 몇몇 오라토리오에서는 여러 합창단의 물리적인 배치와 분할이 지시되었고, 심지어 무대 뒤편에는 청중에게 보이지 않는 합창단도 사용되었다.[7] 《공화국의 승리》나 《자유의 선물》과 같은 프랑스 혁명 찬미 작품도 몇 점 남겼다.

참조

[1] 서적 Thematic catalogues in music: an annotated bibliography Pendragon 1997
[2] 서적 Notice biographique sur François-Joseph Gossé dit Gossec: compositeur de musique, né à Vergnies en Hainaut Impr. Dequesne-Masquillier
[3] 문서 Gossec, François Joseph
[4] 서적 W. A. Mozart Yale University Press 2007
[5] IMDB Porky’s Cafe https://m.imdb.com/t[...] IMDB
[6] 웹사이트 François Joseph Gosséc https://www.larousse[...] www.larousse.fr 2019-02-10
[7] 웹사이트 Sakari Oramo https://web.archive.[...] yle.fi 2019-02-10
[8] 문서 管弦楽のための交響曲ハ長調 作品2-2(RH47, Br85)の第1楽章を自ら編曲。リチャード・フランコ・ゴールドマンとロジャー・スミスによる現代編成のための版が『古典序曲』(Classic Overture in C)の名で広まった。 https://data.bnf.f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