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렌치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렌치롤은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불리며, 각기 다른 특징을 가진 빵을 지칭한다. 홍콩과 마카오에서는 '쥐자이바우' 또는 '뒨팟바우'로 불리며 돼지고기 찹 번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스페인 마요르카에서는 '파네트 프란세스' 또는 '룡게트'라고 불린다. 라틴 아메리카에서는 '판 프란세스' 또는 '팡 프란세스'로 불리며, 멕시코, 중앙아메리카, 볼리비아, 칠레, 페루, 브라질,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등 다양한 지역에서 각기 다른 종류의 빵을 지칭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롤빵 - 판데살
판데살은 필리핀의 대표적인 아침 식사 빵으로, 스페인어에서 유래했으나 단맛이 강하며, 식민지 시대를 거치며 발전했고, 어려움 속에서 다양한 변형이 등장했으며, 현재는 필리핀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즐겨 먹고 영양을 강화한 종류도 있어 한국인의 입맛에 맞게 발전할 가능성도 모색되고 있다. - 롤빵 - 마라케타
마라케타는 19세기 후반 칠레 발파라이소에서 유래하여 칠레와 볼리비아에서 소비되는 빵으로, 프랑스 이민자 영향으로 시작되었으며 밀가루, 물, 효모, 소금으로 만들어 바삭한 껍질이 특징이다. - 밀빵 - 베이글
베이글은 밀가루 반죽을 끓는 물에 데친 후 구워 쫄깃한 식감을 내는 둥근 모양의 빵으로, 뉴욕과 몬트리올 등 유대인 지역에서 아침 식사로 인기가 높다. - 밀빵 - 추레키
추레키는 튀르키예어 '최레크'에서 유래하여 그리스, 아르메니아, 튀르키예 등에서 부활절에 먹는 빵으로, 밀가루, 설탕, 버터, 우유, 향신료 등을 넣어 만들며 각 지역별로 고유한 특징을 가진다.
프렌치롤 - [음식]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종류 | 롤빵 |
주요 재료 | 밀가루 물 소금 빵효모 |
세부 정보 | |
종류 | 빵 |
영양 정보 (추정치) |
2. 지역별 프렌치롤
홍콩과 마카오에서는 뒨팟바우(短法包|뒨팟바우yue)라고도 불리는 쥐자이바우( 豬仔包|주자이바우yue)를 먹는데, 이는 "짧은 프랑스빵"이라는 뜻이다. 광둥어에서 "프랑스빵(팟바우)"이 바게트를 가리키기 때문에 "짧은 바게트"라는 뜻이기도 하다.[1] 돼지고기 찹 번을 만들 때도 사용된다.[1]
유럽의 스페인 마요르카에서는 룡게트를 카탈루냐어로 "작은 프랑스빵" 또는 "프랑스 롤빵"을 뜻하는 파네트 프란세스라고 부르기도 한다.[1] 포르투갈의 전통 빵으로는 카르카사와 파푸 세쿠가 있다.
라틴 아메리카 여러 지역에서는 "프랑스빵"이라는 뜻의 '''판 프란세스'''(pan francéses)나 '''팡 프란세스'''(pão francêspt) 등으로 불리는 여러 가지 롤빵이 있다. 라틴 아메리카 전역에서 "프랑스 빵"을 의미하는 '''''판 프란세스'''''(스페인어) 또는 '''''파웅 프란세스'''''(포르투갈어)는 밀가루, 소금, 물, 효모로 만든, 바게트와 유사한 다양한 빵 롤을 가리킨다.
2. 1. 아시아
홍콩과 마카오에서는 '''뒨팟바우'''(短法包|뒨팟바우yue)라고도 불리는 쥐자이바우( 豬仔包|주자이바우yue)를 먹는다. "뒨팟바우"는 "짧은 프랑스빵"이라는 뜻이며, 광둥어에서 "프랑스빵(팟바우)"이 바게트를 가리키기 때문에 "짧은 바게트"라는 뜻이기도 하다.[1] 돼지고기 찹 번을 만들 때도 사용된다.[1]2. 1. 1. 홍콩·마카오
홍콩과 마카오에서는 '''뒨팟바우'''(短法包|뒨팟바우yue)로도 불리는 쥐자이바우(豬仔包|주자이바우yue)를 먹는다. "뒨팟바우"는 "짧은 프랑스빵"이라는 뜻이며, 광둥어에서 "프랑스빵(팟바우)"이 "바게트"를 가리키기 때문에 "짧은 바게트"라는 뜻이기도 하다.[1] 돼지고기 찹 번을 만들 때도 사용된다.[1]2. 2. 유럽
유럽의 스페인 마요르카에서는 룡게트를 "작은 프랑스빵" 또는 "프랑스 롤빵"을 뜻하는 카탈루냐어인 파네트 프란세스라고 부르기도 한다.[1] 포르투갈의 전통 빵으로는 카르카사와 파푸 세쿠가 있다.2. 2. 1. 스페인
마요르카에서는 룡게트(llonguetca)를 '''파네트 프란세스'''(panet francèsca)라고도 부르는데, 이는 카탈루냐어로 "작은 프랑스빵" 또는 "프랑스 롤빵"을 의미한다.[1]2. 2. 2. 포르투갈
카르카사와 파푸 세쿠는 포르투갈의 전통 빵이다.2. 3. 아메리카
라틴 아메리카 여러 지역에서는 "프랑스빵"이라는 뜻의 '''판 프란세스'''(pan francéses)나 '''팡 프란세스'''(pão francêspt) 등으로 불리는 여러 가지 롤빵이 있다. 라틴 아메리카 전역에서 "프랑스 빵"을 의미하는 '''''판 프란세스'''''(스페인어) 또는 '''''파웅 프란세스'''''(포르투갈어)는 밀가루, 소금, 물, 효모로 만든, 바게트와 유사한 다양한 빵 롤을 가리킨다.2. 3. 1. 멕시코·중앙아메리카
멕시코 북동부 코아우일라, 두랑고 등 라구네라 지역에서는 "판 프란세스(pan francéses)"를 즐겨 먹는다. 이 지역의 프렌치롤은 "판 프란세스 라구네로(pan francés laguneroes)"라고 구분해 부르기도 한다.[5] 멕시코와 중앙아메리카에서는 "볼리요(bolilloes)"를 "판 프란세스"라고 부르기도 한다.2. 3. 2. 볼리비아·칠레·페루
볼리비아와 칠레에서는 마라케타(marraquetaes)를 "판 프란세스(pan francéses)"라고도 부른다.[2]페루에서도 마라케타를 먹지만, "판 프란세스(pan francéses)"는 마라케타와 다른 빵이다. 페루식 프렌치롤은 "판 프란세스 페루아노(pan francés peruanoes)"라고 구분한다.[2]
2. 3. 3. 브라질
브라질에서 "팡 프란세스()"로 불리는 프렌치롤은 포르투갈에서 "카르카사(carcaça)"나 "파푸세쿠(papo-seco)"라 불리는 빵과 비슷하며, 가볍고 바삭바삭하다. "팡 카세치뉴()"나 "카세치뉴()"로도 불리며, "작은 빵"이라는 듯의 "팡지뉴()", "소금빵"이라는 뜻의 "팡 지 사우()", "밀빵"이라는 뜻의 "팡 지 트리구()", "물빵"이라는 뜻의 "팡 지 아구아()", 그 외에 "아구아두()", "카레카()", "자코()" 등으로도 불린다.[3][4]브라질에서 가장 인기 있는 빵으로, 브라질 전역의 델리 및 빵집에서 흔히 볼 수 있다.
2. 3. 4. 아르헨티나·우루과이·파라과이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파라과이에서는 "판 펠리페(pan felipe|판 펠리페es)"를 먹는다.[1]우루과이 사람들이 먹는 "판 마르세예스(pan marsellés|판 마르세예스es)"는 "마르세유 빵"이라는 뜻으로, 조금 더 단단하고 밀도 있는 빵이다.[1] 우루과이에서 ''판 마르세예스''라고 불리는 마르세유 빵은 브라질의 파웅 프란세스와는 다르게, 밀도가 높은 빵 반죽으로 만들어져 더 단단하고(이탈리아 빵과 유사) 굽기 전에 껍질에 옥수수 가루를 덮는다.[1] 반면 브라질식은 밀도가 낮고 가벼우며 더 바삭하다.[1]
3. 사진
3. 1. 지역별 프렌치롤 사진
3. 1. 1. 아시아
홍콩과 마카오에서는 '''뒨팟바우'''(短法包|dyun2 faat3 baau1yue, 짧은 프랑스빵) 또는 쥐자이바우(豬仔包)를 먹는다. 광둥어에서 '프랑스빵(팟바우)'은 바게트를 가리키므로, 뒨팟바우는 '짧은 바게트'라는 뜻도 된다.[1]3. 1. 2. 유럽
마요르카에서는 룡게트(llonguetca)를 파네트 프란세스(panet francèsca)라고도 부르는데, 이는 카탈루냐어로 "작은 프랑스 빵" 또는 "프렌치 롤"을 의미한다.[1] 카르카사와 파푸 세쿠는 포르투갈의 전통 빵이다.3. 1. 3. 아메리카
멕시코 북동부 코마르카 라구네라 지역에서는 "판 프란세스(pan francéses)"를 즐겨 먹으며, 이 지역의 프렌치롤을 "판 프란세스 라구네로(pan francés laguneroes)"라고 부르기도 한다.[5] 멕시코와 중앙아메리카에서는 볼리요를 "판 프란세스(pan francéses)"라고 부르기도 한다.볼리비아와 칠레에서는 마라케타를 "판 프란세스(pan francéses)"라고 부르기도 한다.
페루에서는 마라케타를 먹지만, "판 프란세스(pan francéses)"라고 부르는 빵은 마라케타가 아니며, 페루식 프렌치롤을 "판 프란세스 페루아노(pan francés peruanoes)"라고 구분해 부르기도 한다.[2]
브라질에서 "팡 프란세스()"로 불리는 프렌치롤은 포르투갈에서 "카르카사(carcaçapt)"나 "파푸세쿠(papo-secopt)"라 불리는 빵과 비슷하며, 가볍고 바삭바삭하다. "팡 카세치뉴()"나 "카세치뉴()"로도 불리며, "작은 빵"이라는 뜻의 "팡지뉴()", "소금빵"이라는 뜻의 "팡 지 사우()", "밀빵"이라는 뜻의 "팡 지 트리구()", "물빵"이라는 뜻의 "팡 지 아구아()", 그 외에 "아구아두()", "카레카()", "자코()" 등으로도 불린다.[3][4]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파라과이에서는 "판 펠리페(pan felipees)"를 먹는다.
우루과이 사람들이 먹는 "판 마르세예스(pan marselléses)"는 조금 더 단단하고 밀도 있는 빵이다. "마르세유 빵"이라는 뜻이다.
3. 2. 프렌치롤 활용 음식 사진
참조
[1]
뉴스
10 foods you can't miss in Macau
https://edition.cnn.[...]
CNN
2023-10-17
[2]
뉴스
El pan que le ha quitado protagonismo al 'clásico' francés y cuáles son los nuevos productos con granos andinos
https://www.infobae.[...]
infobae
2023-10-17
[3]
웹사이트
A história de como o pão francês virou o favorito dos brasileiros
https://revistagalil[...]
2023-10-26
[4]
웹사이트
Dia do pão francês: saiba curiosidades da iguaria que nasceu no Brasil no século 20
https://g1.globo.com[...]
2023-10-26
[5]
뉴스
¡De La Laguna para el mundo! Aquí puedes encontrar pan francés en Durango
https://www.telediar[...]
Telediario México
2023-1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