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 (프로이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는 1795년 프로이센에서 태어나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의 아들로 성장했다. 그는 1840년 프로이센 국왕으로 즉위하여 건축과 예술에 대한 관심을 보였으며, 쾰른 대성당 완공을 지원하는 등 종교 정책에서도 적극적인 면모를 드러냈다. 1848년 혁명 당시에는 처음 군대를 동원하려 했으나, 이후 자유주의 정부를 수립하고 헌법 제정을 명령했지만, 프랑크푸르트 국민회의가 제안한 독일 황제 칭호를 거부하며 보수적인 입장을 고수했다. 말년에는 뇌졸중으로 섭정을 거쳐 1861년 사망했으며, 동생 빌헬름 1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48년 독일 혁명 - 프랑크푸르트 국민의회
    프랑크푸르트 국민의회는 1848년 혁명 시기 독일의 통일과 자유주의 헌법 제정을 목표로 소집되었으나, 프로이센 국왕의 거부와 각국 정부의 반발로 해산되었지만 독일 민주주의 발전에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
  • 1848년 독일 혁명 - 바덴 혁명
    바덴 혁명은 1848년 프랑스 혁명의 영향으로 바덴 대공국에서 시작되어 독일 연방 내 다른 지역으로 확산된 혁명 운동으로, 프리드리히 헤커와 구스타프 슈트루베 등의 지도하에 민주 공화국 수립을 목표로 했으나 프로이센 군대에 의해 진압되었다.
  • 프로이센 국왕 - 프리드리히 3세 (독일 황제)
    프리드리히 3세는 1888년에 99일간 독일 제국 황제 겸 프로이센 국왕으로 재위했으며 자유주의 성향으로 독일 역사에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었으나 후두암으로 짧게 재위하여 독일 자유주의 쇠퇴에 영향을 주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 프로이센 국왕 - 빌헬름 2세
    빌헬름 2세는 군국주의적 성향으로 독일 제국의 마지막 황제이자 프로이센 왕국의 국왕로서, 개인 통치를 통해 독일을 강국으로 부상시키려 했으나 제1차 세계 대전의 발발과 독일의 패전으로 망명 후 사망했다.
  • 프로이센의 나폴레옹 전쟁 참전 군인 - 아델베르트 폰 샤미소
    아델베르트 폰 샤미소는 프랑스 출신의 시인이자 식물학자이며, 프로이센 군 복무와 세계 일주 탐험을 거쳐 소설 《페터 슐레미흘의 기이한 이야기》를 대표작으로 남겼고, 식물학 연구와 시 창작으로 명성을 얻었다.
  • 프로이센의 나폴레옹 전쟁 참전 군인 - 게프하르트 레베레히트 폰 블뤼허
    게브하르트 레베레히트 폰 블뤼허는 나폴레옹 전쟁에서 활약한 프로이센 왕국의 군인이자 원수로, 워털루 전투 승리에 기여했으며 '전진 원수'라는 별칭으로 불릴 정도로 용맹함과 불굴의 의지를 보여준 인물이다.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 (프로이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847년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 (1847년)
재위1840년 6월 7일 – 1861년 1월 2일
이전 군주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
다음 군주빌헬름 1세
왕위 계승프로이센 국왕
에르푸르트 연합 의장에르푸르트 연합
에르푸르트 연합 의장 재임 기간1849년 5월 26일 – 1850년 11월 29일
섭정빌헬름 왕자 (1858–1861)
독일 황제독일 황제
독일 황제 재임 기간1848년 5월 18일 – 1849년 5월 30일
배우자엘리자베트 루도비카 폰 바이에른
왕가호엔촐레른 가문
아버지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
어머니루이제 폰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출생일1795년 10월 15일
출생지크론프린첸팔레, 베를린, 프로이센 왕국
사망일1861년 1월 2일 (65세)
사망지상수시궁, 포츠담, 프로이센 왕국
매장지프리덴스키르헤의 지하실, 상수시 공원, 포츠담 (심장은 샤를로텐부르크 궁전 영묘에 안치, 베를린)
종교칼뱅주의 (프로이센 연합)
서명Friedrichwilhelmivkönigvonpreußen.svg
이름
독일어Friedrich Wilhelm IV.
일본어フリードリヒ・ヴィルヘルム4世
통치
포젠 대공포젠 대공

2. 어린 시절

1795년 10월 15일 베를린왕세자궁에서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와 그의 왕비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의 루이제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 루이제는 그를 가장 아끼는 아들이었다.[4]

어린 시절 그는 개인 교사들에게 훈련을 받았는데, 그들 중에는 역사학자이자 정치가인 프리드리히 안칠론과 같은 경험 많은 문관들도 있었다.[4] 1810년, 프리드리히 빌헬름이 14세였을 때 루이제 여왕이 사망하자 그는 이를 신의 징벌로 여기고 자신의 인생관과 직접 연결시켰다. 그는 신을 더 기쁘게 하는 삶을 살아야만 그녀의 죽음에 대한 죄책감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믿었다.[4]

프리드리히 빌헬름의 어린 시절은 유럽 군주국들이 프랑스 혁명의 혁명적 도전에 직면한 시기에 해당했다. 왕조 전통에 의문을 제기한 1793년 루이 16세의 처형은 프리드리히 빌헬름이 이후 역사적 연속성과 전통을 향한 정치적 지향을 갖도록 하는 조건을 만드는 데 일조했다.[5]

프로이센이 1806년 10월 14일 예나-아우어슈테트 전투에서 패배한 후, 그와 그의 동생인 빌헬름이 프랑스군에게 체포될 위험이 있었기에, 그들은 1806년 10월 17일 동프로이센쾨니히스베르크로 옮겨졌다. 그들의 부모가 1806년 12월 9일에 도착한 후,[6] 그들은 진격하는 군대로부터 멜멜로 함께 피신했다.

1810년경 추정되는 왕세자 프리드리히 빌헬름의 초상화


프로이센의 패배와 왕가의 베를린 귀환 이후, 프리드리히 빌헬름의 교육은 그가 통치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데 더 맞춰졌다. 그는 당시 국가를 내부로부터 현대화하려는 목표로 진행 중이던 프로이센 개혁에 대해 전반적으로 무시했다. 그의 가정교사 프리드리히 델브뤼크는 그에게 혁명가들에 대한 혐오감을 심어주었기에, 그는 카를 아우구스트 폰 하르덴베르크가 프로이센을 "위로부터의 혁명"을 통해 재편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에 동정심을 느끼지 못했다. 프리드리히 빌헬름에게 "하르덴베르크의 관료적 절대주의"는 그가 옹호한 "신분의 원칙"에서 벗어나는 것을 의미했다.[7]

청소년기 가장 큰 사건은 프랑스군을 독일에서 몰아낸 1813/1814년의 해방 전쟁에서 나폴레옹에 맞서 싸운 것이다. 그는 전쟁 경험을 통해 무관심한 군인임을 보여주었으며, 애국심과 종교적 열정 사이의 경계가 모호해졌다. 그는 이 갈등을 계몽주의와 프랑스 혁명의 사상에 대한 십자군 전쟁으로 보았다.[8] 그는 이 시기의 많은 서신에서, 신에 대한 주관적인 경험, 개인 기도의 힘, 구원과 속죄를 위한 개인적 노력을 포함하는 경건주의 부흥 운동의 요소들을 사용하여 종교적 경험에 대해 썼다.[9]

그는 낭만주의자였으며, 독일 국가에서 중세 시대에 대한 향수를 특징으로 하는 이 운동에 대한 그의 헌신은 그가 어린 나이에 보수적인 세계관을 발전시키는 데 일조했다. 1815년, 그가 스무 살이었을 때, 왕세자는 1815년의 새로운 헌법을 제정하려는 그의 영향력을 행사하여 토지 귀족이 가장 큰 권력을 갖도록 했다.[10] 그는 독일의 자유화를 반대했으며, 1806년 나폴레옹에 의해 해체된 신성 로마 제국의 고대 법과 관습에서 영감을 받아 역사적으로 정당하다고 여겨지는 틀 안에서 여러 국가들을 통합하려 했다.

프로이센의 루이제 여왕


그는 건축과 조경에 모두 관심이 있었고, 건축가 카를 프리드리히 싱켈과 작곡가 펠릭스 멘델스존을 포함한 여러 위대한 독일 예술가들의 후원자였다. 1823년 그는 바이에른의 엘리자베스 루도비카와 결혼했다. 그녀가 로마 가톨릭 신자였기 때문에 결혼 준비에는 어려운 협상이 포함되었고, 결국 그녀는 루터교로 개종했다. 두 번의 결혼식이 거행되었는데, 하나는 가톨릭 의식에 따라 뮌헨에서 대리 결혼으로, 다른 하나는 베를린에서 직접 거행되었다. 부부는 조화로운 결혼 생활을 했지만, 1828년 루이제가 유산을 한 후,[11] 아이를 갖지 못했다.[12]

3. 결혼

1823년 11월 29일,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는 바이에른 국왕 막시밀리안 1세의 딸이자 그의 육촌 재종조모(할머니가 자매)인 바이에른의 엘리자베트 루도비카와 결혼했다. 이 결혼은 호엔촐레른 가문과 비텔스바흐 가문의 유대를 강화하려는 의도였다. 바이에른 왕가의 공주가 프로이센 왕가의 청혼을 받아들여 베를린으로 장기간 여행을 하는 것에 황태자는 많은 배려를 보였다.

정치적인 면에서 이 결혼을 이해했음에도 불구하고, 프로이센 측과 바이에른 측 모두 결혼에 앞서 양 왕가의 종교적 차이가 장애가 되었다. 프로이센 국왕이 가톨릭교회 신앙의 왕비를 받아들이는 것은 불가능했기 때문에, 왕비의 개종이 필요했다. 그러나 결혼을 앞두고 엘리자베트 루도비카는 가톨릭 신앙에서 개신교 신앙으로의 개종을 거부했다. 이 어려운 상황에서, 프로이센 황태자는 신앙에 관한 왕비의 확고한 태도를 존중하겠다고 밝혔다.

이후, 양측의 외교적 노력으로 타협점을 찾게 되었다. 왕비 엘리자베트 루도비카는 당분간 가톨릭 신앙을 유지하되, 개신교 신앙의 교리에 대한 강의를 듣는 것이 의무화되었다. 게다가, 일상생활에서의 가톨릭 신앙 실천도 약속되었다. 프로이센 궁정에서의 오랜 생활을 거쳐, 최종적으로 호엔촐레른 가문의 개혁 교회 신앙으로의 개종이 엘리자베트의 자유 의지로 이루어졌다.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와 엘리자베트 루도비카의 결혼 생활은 행복했다고 모든 사람들이 증언하지만, 아이는 없었다. 당시 의사 크리스토프 빌헬름 후펠란트에 의해, 왕위 계승자였던 황태자 시절 발기 부전으로 진단받았다고 한다.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와 왕비 엘리자베트 루도비카 (1847년)

4. 계승과 통치

1840년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는 부왕이 사망하면서 프로이센 국왕으로 즉위했다. 그는 개인 연합을 통해 스위스 뇌샤텔 공국의 주권 왕자이기도 했다.

즉위 후 구 국립미술관, 신 박물관 건설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추진했다.[12] 1848년 제1차 슐레스비히 전쟁에서는 프로이센 군을 이끌고 덴마크로 진격했지만, 유럽 열강의 압력으로 철수해야 했다.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의 즉위는 자유주의자들에게 큰 기대를 안겨주었다. 그는 화해 정책의 일환으로 사면령을 내려 정치범을 석방하고 언론 검열을 완화하는 등 유화적인 조치를 취했다.[15] 그러나 그는 신분제에 기반한 국가를 추구하며 입헌 군주제를 거부했다. 1847년 프로이센 지방 의회 대표들을 소집하여 쾨니히스베르크까지의 철도 건설을 위한 채권 발행을 논의했지만, 의회가 국왕의 권한을 제한하려 하자 해산했다.[25]

조지 헤이터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 초상화

4. 1. 종교 정책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는 낭만주의와 경건주의 부흥 운동의 영향을 받은 독실한 종교인이었다. 그는 기독교 국가를 구상했으며, 기독교만이 자신의 신민들을 혁명적 유토피아로부터 보호하고 세속화와 물질주의 등 근대화 과정을 되돌릴 수 있다고 믿었다. 그는 종교와 정치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고 보았다.[20]

아버지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와는 달리,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는 가톨릭에 우호적이었다.[21] 1825년 혼인법을 둘러싼 갈등으로 쾰른 대주교가 체포된 사건 이후, 가톨릭 인구와의 화해를 위해 1840년 쾰른 대성당 건축 협회 설립을 승인하고 쾰른 대성당 완공을 지원했다. 쾰른 대성당 건축 자금의 절반은 프로이센 국고에서 나왔다. 로마 교황청과의 협상을 위해 1840년 6월, 문화부 내에 가톨릭 문제 부서를 설치하고, 이 부서를 전적으로 가톨릭 의원으로 구성할 것이라고 발표했다.[22]

쾰른 대성당은 건설이 시작된 지 600년이 넘어서야 완공되었으며,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 국왕이 그 추진력을 제공했다.


1842년, 고딕 건축을 대표하는 쾰른 대성당의 건설 재개를 축하하는 식전에서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는 프로이센 국왕으로서 연설했다. 그는 1840년에 대성당 건설을 위한 쾰른 대성당 중앙 건축 협회 설립을 허가했다. 그는 미완성인 "독일 통일"의 중요한 상징으로 대성당 건설 재개 축제를 환영하며 쾰른 대주교와 함께 건축 재개를 위한 초석을 놓았다. 쾰른 대성당의 건설 재개는 복음주의 신앙을 가진 프로이센 국왕의 재정 지원으로 가능했으며, 프로이센 왕국의 위신을 높이기 위한 국가적 사업이었다.

1817년 프로이센 개신교회가 설립되어 칼뱅주의와 루터교가 통합되면서,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는 국왕을 ''수무스 에피스코푸스''(최고 주교)로 하는 개신교 기관을 만들었다. 이에 구 루터교인들은 1830년 자신들이 "진정한" 루터교회를 대표한다고 주장하며 자체 교회를 결성하여 국가의 박해를 받았다.[23] 1845년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는 구 루터교회 설립 금지를 해제하고 투옥된 목사들을 석방했다.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는 1817년에 프로이센 왕국에서 루터파와 개혁파를 합동한 프로이센 복음주의 교회를 설립하라는 부왕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의 명령을 받았다. 이 합동 교회에는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에 의해 작성된 예배식문이 하사되었다. 그 식문은 뉘른베르크의 루터파 교회 예배식에 따른 것으로, 로마 가톨릭교회의 미사에 준거한 것이었다. 라틴어로 진행되던 당시 로마 가톨릭교회의 미사와는 달리, 독일어로 된 예배식문이었지만(축제일에는 라틴어식 문구를 삽입하는 것도 쉬웠다), 프로이센 영방 교회의 예배는 종교 개혁 이전의 미사 양식으로 돌아갔다. 이러한 교회에서 종교 생활을 한 국왕에게 로마 가톨릭 교회는 친근하게 느껴졌다.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는 예술, 특히 네오고딕 양식을 좋아했다. 그는 포츠담의 상수시 정원에서 프리덴(평화) 교회의 건설을 제안했다. 이 교회는 초기 기독교적–로마 가톨릭 교회의 건축 양식을 본보기로 건설되었다. 특히 로마에 있는 성 클레멘테 교회와 산타 마리아 인 코스메딘 교회를 조합하여 건축되었다.

4. 2. 1848년 혁명

1848년 프로이센에서 혁명이 일어났을 때, 국왕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는 처음에는 군대를 동원하여 진압하려 했으나, 결국 군대를 철수시켰다.[30] 그는 독일 통일에 전념하며 자유주의 정부를 구성하고 국회를 소집하여 헌법 제정을 명령했다. 그러나 자신의 지위가 확고해지자 군대를 이끌고 베를린을 점령했으며, 1848년 12월 국회를 해산했다.[30]

3월 혁명 중 베를린 바리케이드 전투에서 300명의 시위대가 프로이센 군대에 의해 희생되었지만, 국왕은 책임을 회피하고 외국 음모라는 거짓 보고를 퍼뜨렸다.[31][32] 1848년 3월 21일, 국왕은 혁명의 색깔인 검정, 빨강, 금색 완장을 차고 도시를 행진하며 독일 통일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33] 그러나 다음 날 동생에게 보낸 비밀 편지에서 "모든 것을 구하기 위해 어제 자발적으로 제국 색깔을 올려야 했다. 도박이 성공하면 ... 다시 내릴 것이다!"라고 썼다.[33]

1848년 3월 21일 베를린 거리를 행진하는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 캡션에는 "프로이센 국왕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가 수도 거리에서 독일 국가의 통일을 선포한다"라고 적혀 있다.


1848년 3월 29일,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는 루돌프 캄프하우젠을 총리로 하는 자유주의 정부를 임명했지만, 다음 날 비밀리에 캄프하우젠 정부에 대항하는 세력을 만들었다.[34] 오토 폰 비스마르크도 이 그룹에 합류했다.

프로이센 국왕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가 프랑크푸르트 국민의회 의원들이 건넨 제국 왕관을 손에 들고, 재킷 단추를 세며 이를 수락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모습: "받아야 할까? 말아야 할까? 해야 할까?! 단추들아, 넌 내가 하길 바라는구나! 바로 그래서 안 하겠다!!"


프랑크푸르트 국민회의가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에게 독일의 왕관과 "독일인의 황제" 칭호를 제안했을 때, 그는 "밑바닥 삶으로부터 왕관"을 원하지 않는다며 거절했다.[40][41] 그는 황제의 지위가 1806년까지 그랬던 것처럼 군주 또는 선거인단에 의해서만 수여될 수 있다고 생각했으며, 국민의 대표들이 제공한 왕관은 왕권신수설에 기반한 그의 군주적 자아상과 맞지 않았다.[41]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가 폰 랑겔 장군의 도움을 받아, 헌법에 대한 국민 의회의 요구에 저항하는 모습의 풍자화: "나와 내 백성 사이에는 종이 한 장도 끼어들 수 없다." 1848년 Satyrische Zeitbilder #28에서


국왕은 국민 의회를 베를린 거리의 압박에서 벗어나게 한다는 구실로, 11월 9일에 브란덴부르크 안 데어 하펠로 이동할 것이며, 11월 27일까지 휴회할 것이라고 통보했다. 과반수가 이에 따르기를 거부하자, 국왕은 프리드리히 폰 랑겔 장군에게 군대를 이끌고 진입하도록 명령했다. 12월 5일, 국왕은 프로이센 국민 의회를 해산하고 1848년 헌법을 강제했다. 이후 1850년 헌법이 공포되었는데, 이는 군주, 귀족, 군대가 대부분의 권력을 유지하는 보수적인 형태의 정부였다.

5. 이후의 세월과 사망

1857년 7월부터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는 일련의 뇌졸중을 겪었다.[46] 그는 부분적으로 마비되었고, 정신적으로도 무능력해졌다.[46] 당시 의학 지식으로는 그 증상이 "정신 질환"으로 보였으나,[46] 현재 의학 지식에 따르면 "뇌혈관 질환", "뇌 동맥 경화증"을 앓았으며, 이는 "정신 질환으로 묘사될 수 없다".[46]

1858년 10월부터 그의 동생 빌헬름이 섭정으로 지내기 시작하였다.[47] 섭정 빌헬름은 반동적인 재상 오토 폰 만토이펠을 해임하고 자유주의-민족주의 진영에서 카를 안톤을 영입했다.[48]

1861년 1월 2일,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는 마지막 뇌졸중을 겪고 사망하였다. 그의 동생이 빌헬름 1세로서 왕좌를 계승하였다.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는 자신의 소원대로 포츠담 상수시궁에 있는 평화의 교회 아래 자신의 부인과 함께 지하실에 안치되었다. 그의 심장샤를로텐부르크성에서 그의 부모와 함께 묻혔다.

포츠담 평화교회의 지하실에 있는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와 그의 아내 엘리자베스의 석관

참조

[1] 서적 Palaces and Gardens Prussian Palaces and Gardens Foundation Berlin-Brandenburg 2011-08-18
[2] 웹사이트 König Friedrich Wilhelm IV https://www.spsg.de/[...] Ministerium für Wissenschaft, Forschung und Kultur des Landes Brandenburg 2012-01-10
[3] 서적 A History of Prussi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4] 서적 Friedrich Wilhelm IV., 1795–1861: Psychopathologie und Geschichte Vandenhoeck & Ruprecht
[5] 서적 Friedrich Wilhelm IV. Der andere Preußenkönig Katz
[6] 서적 Luise von Preußen: Königin der Herzen C. H. Beck
[7] 서적 Friedrich Wilhelm IV., Künstler und König H.W. Fichter Edition
[8] 서적 Der Erzengel Michael in der deutschen Kunst des 19. Jahrhunderts Utz
[9] 서적 Friedrich Wilhelm IV. und das Staatsdenken der deutschen Romantik Colloquium-Verlag
[10] 웹사이트 Punctation of Olmütz https://www.britanni[...] 2023-11-22
[11] 서적 Berlin – eine Biografie. Menschen und Schicksale von den Askaniern bis Helmut Kohl und zur Hauptstadt Deutschlands Nünnerich Asmus
[12] 서적 Die preußischen Könige und Kaiser Kunstverlag Josef Fink
[13] 서적 Zwischen Preußen und Deutschland. Friedrich Wilhelm IV. Eine Biographie Siedler
[14] 서적 Anarchie und guter Wille. Friedrich Wilhelm IV. und die preußische Monarchie Siedler
[15] 서적 Deutschlands Ruhe, Sicherheit und Ordnung. Die Anfänge der politischen Polizei 1806–1866 De Gruyter
[16] 서적 Die Geschichte der Deutschen Campus-Verlag
[17] 서적 1848. Die ungewollte Revolution. Die revolutionären Bewegungen in Europa 1830–1849 Fischer Taschenbuch
[18] 서적 Preußen. Aufstieg und Niedergang 1600–1947 Pantheon
[19] 서적 Friedrich Wilhelm IV. von Preußen. Politik – Kunst – Ideal Lukas-Verlag
[20] 서적 Die Hohenzollern C. H. Beck
[21] 서적 Religion in Geschichte und Gegenwart. Band 6 Mohr Siebeck
[22] 서적 Von der Kirchengesellschaft zur Kirche in der Gesellschaft. Frömmigkeit, staatliches Handeln und die frühe Politisierung der preußischen Katholiken (1815–1871) de Gruyter
[23] 서적 Neues historisches Lexikon. Edition Vorpommern Haff-Verlag
[24] 서적 Der lange Weg nach Westen. Teil 1 C. H. Beck
[25] 서적 Deutsche Geschichte 1800–1866. Bürgerwelt und starker Staat C. H. Beck
[26] 서적 Die deutsche Revolution von 1848/49 Suhrkamp
[27] 서적 Berlin 1848. Eine Politik- und Gesellschaftsgeschichte der Revolution Dietz
[28] 서적 Friedrich Wilhelm IV., Künstler und König. Zum 200. Geburtstag Fichter Verlag
[29] 서적 Preußen. Geschichte eines Königreiches Piper
[30] 서적 Phantome des Terrors. Die Angst vor der Revolution und die Unterdrückung der Freiheit, 1789–1848 C. H. Beck
[31] 웹사이트 Proklamation Sr. Majestät des Königs von Preußen Friedrich Wilhelm IV. "An Meine lieben Berliner" http://www.documenta[...] 2023-12-21
[32] 서적 Geschichte Berlins. Band 2: Von der Märzrevolution bis zur Gegenwart C. H. Beck
[33] 서적 Zeit Reise – 1200 Jahre Leben in Berlin Zeit-Reise Verlag
[34] 서적 Auf dem Weg zum Grundgesetz. Beiträge zum Verfassungsverständnis des neuzeitlichen Protestantismus Lit Verlag
[35] 서적 Das Jahrhundert der Restaurationen: 1814–1906 Oldenbourg
[36] 서적 Die Revolution von 1848/49 C. H. Beck
[37] 간행물 The Constitution of the Kingdom of Prussia https://books.google[...] 1894-09
[38] 웹사이트 Das Preußische Dreiklassenwahlrecht https://www.dhm.de/l[...] 2023-04-03
[39] 문서 Constitution of the Kingdom of Prussia
[40] 서적 In Arkadien. Friedrich Wilhelm IV. von Preußen. Eine biographische Landvermessung Lukas Verlag
[41] 서적 Volk, Reich und Nation. Texte zur Einheit Deutschlands in Staat, Wirtschaft und Gesellschaft Université de la Sorbonne Nouvelle
[42] 서적 König Johann von Sachsen. Zwischen zwei Welten Stekovics
[43] 서적 Handbuch der Europäischen Geschichte Klett-Cotta
[44] 서적 Die große Chronik-Weltgeschichte: Industrialisierung und nationaler Aufbruch wissenmedia
[45] 서적 Otto von Bismarck Anaconda
[46] 서적 Der verkannte Monarch. Friedrich Wilhelm IV. in seiner Zeit Verlag für Berlin-Brandenburg
[47] 뉴스 Aus Preußen https://anno.onb.ac.[...] Wiener Zeitung 1858-10-11
[48] 서적 Industrielle Revolution und Nationalstaatsgründung (1849–1870er Jahre) Klett-Cotta
[49] 서적 Die Kirchen der Potsdamer Kulturlandschaft Lukas Verlag
[50] 문서 Hof- und Staats-Handbuch des Königreichs Preußen 2020-03-11
[51] 문서 'Liste der Ritter des Königlich Preußischen Hohen Ordens vom Schwarzen Adler' https://www.digitale[...] 1851
[52] 서적 Staats- und Adreß-Handbuch für die Herzogthümer Anhalt-Dessau und Anhalt-Köthen: 1851 https://books.google[...] Katz
[53] 문서 'Hof- und Staats-Handbuch des Großherzogtum Baden' https://digital.blb-[...] 1838
[54] 서적 Hof- und Staatshandbuch des Königreichs Bayern: 1858 https://archive.org/[...] Landesamt
[55] 문서 Braunschweigisches Adreßbuch für das Jahr 1858
[56] 문서 Adreß-Handbuch des Herzogthums Sachsen-Coburg und Gotha Meusel 2020-03-12
[57] 서적 Hof- und Staatshandbuch für das Königreich Hannover: 1837 https://books.google[...] Berenberg
[58] 서적 Hof- und Staatshandbuch für das Königreich Hannover: 1857 https://archive.org/[...] Berenberg
[59] 문서 Hof- und Staatshandbuch des Großherzogtums Hessen: für das Jahr ... 1858 2020-03-12
[60] 서적 Kurfürstlich Hessisches Hof- und Staatshandbuch: 1858 https://archive.org/[...] Waisenhaus
[61] 서적 Hof- und Adreß-Handbuch des Fürstenthums Hohenzollern-Sigmaringen: 1844 https://books.google[...] Beck und Fränkel
[62] 서적 Staats- und Adreß-Handbuch des Herzogthums Nassau: 1860 https://books.google[...] Schellenberg
[63] 서적 Hof- und Staatshandbuch des Großherzogtums Oldenburg: für ... 1858 https://books.google[...] Schulze
[64] 문서 Staatshandbuch für das Großherzogtum Sachsen / Sachsen-Weimar-Eisenach Böhlau 2020-03-11
[65] 서적 Staatshandbuch für den Freistaat Sachsen: 1860 https://books.google[...] Heinrich
[66] 서적 Königlich-Württembergisches Hof- und Staats-Handbuch: 1858 https://books.google[...] Guttenberg
[67] 웹사이트 "A Szent István Rend tagjai" http://tornai.com/re[...] 2010-12-22
[68] 서적 Almanach royal officiel, publié, exécution d'un arrête du roi
[69] 문서 Kongelig Dansk Hof-og Statscalender Statshaandbog for det danske Monarchie for Aaret 1860 2020-03-12
[70] 간행물 Liste chronologique des chevaliers de l'ordre du Saint-Esprit depuis son origine jusqu'à son extinction (1578–1830) https://gallica.bnf.[...] 2020-03-24
[71] 서적 Les Grand'Croix de la Légion d'honneur de 1805 à nos jours. Titulaires français et étrangers Archives & Culture 2009
[72] 웹사이트 Militaire Willems-Orde: Preussen, Friederich Wilhelm IV von https://www.defensie[...]
[73] 서적 Almanacco di corte https://books.google[...]
[74] 서적 Kawalerowie i statuty Orderu Orła Białego 1705–2008 2008
[75] 서적 Notizia storica del nobilissimo ordine supremo della santissima Annunziata. Sunto degli statuti, catalogo dei cavalieri https://books.google[...] Eredi Botta
[76] 서적 Guía de forasteros en Madrid para el año de 1835 http://hemerotecadig[...] En la Imprenta Nacional
[77] 서적 Kungliga Serafimerorden: 1748–1998
[78] 서적 The Knights of England https://archive.org/[...] 1906
[79] 문서
[80] 서적 クピッシュ『ドイツ教会闘争への道』 新教出版社 1967
[81] 간행물 ベルリン,ナショナル・ギャラリー : ナショナリズムとフリードリヒの受容 https://dl.ndl.go.jp[...] 2004-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