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수시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상수시 궁전은 프로이센 왕국 시대인 1745년부터 1747년까지 프리드리히 2세의 명으로 건설된 궁전이다. 프리드리히 2세는 "근심 없는" 삶을 추구하며 궁전 설계에 직접 참여했고, 건축가 게오르크 벤체슬라우스 폰 크노벨스도르프가 왕의 의견을 반영하여 설계를 진행했다. 궁전은 로코코 양식으로 지어졌으며, 정원에는 테라스, 바로크 양식 정원, 상수시 공원이 조성되었다. 1990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으며, 독일 재통일 이후 프리드리히 2세의 묘가 정원에 이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공원 - 무스카우 공원
독일과 폴란드 국경에 위치한 무스카우 공원은 19세기 초 헤르만 폰 퓌클러-무스카우 공이 영국식 정원 기법으로 조성한 풍경식 정원으로, 다양한 건축물과 함께 자연과의 조화를 이루며 유럽 통합과 평화의 상징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상수시궁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Schloss Sanssouci |
다른 이름 | Palais de Sanssouci |
위치 | 포츠담 |
국가 | 독일 |
좌표 | 52° 24′ 14.2″ N, 13° 4′ 12.5″ E |
지정 | 유네스코 세계유산 |
세계유산 등재 연도 | 1990년 (14차 회의) |
세계유산 기준 | (i), (ii), (iv) |
세계유산 지역 | 유럽 및 북아메리카 |
상세 정보 | |
유형 | 궁전 |
건축 양식 | 로코코 |
의뢰인 | 프리드리히 대왕 |
소유주 | 프로이센 베를린-브란덴부르크 궁전 및 정원 재단 |
착공 | 1745년 |
완공 | 1747년 |
건축가 | 게오르크 벤체슬라우스 폰 크노벨스도르프 |
공식 웹사이트 | 상수시 궁전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프로이센 왕국 시대인 1745년부터 1747년에 걸쳐, 프리드리히 2세의 명으로 불과 2년 만에 상수시 궁전이 지어졌다.[26] 프리드리히 2세는 "음울한 베를린 왕궁"[27]을 떠나 개인적, 예술적 관심사를 추구하며 "근심 없는(sans souci)" 삶을 영위하고자 했다. 프리드리히 2세는 궁전 설계에 직접 참여했으며, 건축가 게오르크 벤체슬라우스 폰 크노벨스도르프는 왕의 의견을 반영하여 설계를 진행했다.
제2차 슐레지엔 전쟁 중에 건설된 이 궁전은 오스트리아에 대한 도전적인 행위로도 해석될 수 있었다.[26] 결과적으로 상수시 궁전은 별궁이 아닌 프리드리히 2세의 거처로 기능했다.
7년 전쟁 이후, 프리드리히 2세는 프로이센의 국력을 과시하기 위해 인근에 바로크 양식의 신궁전(Neues Palais)을 건설했다. 그러나 프리드리히 2세는 신궁전보다 상수시 궁전을 선호했으며, 외교관 접대 등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상수시 궁전에 주로 머물렀다.
2. 1. 프리드리히 2세 시대 (18세기)
프로이센 왕국 시대인 1745년부터 1747년에 걸쳐, 프리드리히 2세의 명으로 불과 2년 만에 상수시 궁전이 지어졌다.[26] 프리드리히 2세는 베를린 왕궁을 떠나[27] 개인적, 예술적 관심사를 추구하며 "근심 없는(sans souci)" 삶을 영위하고자 했다. 프리드리히 2세는 궁전 설계에 직접 참여했으며, 건축가 게오르크 벤체슬라우스 폰 크노벨스도르프는 왕의 의견을 반영하여 설계를 진행했다.[7]
제2차 슐레지엔 전쟁 중에 건설된 이 궁전은 오스트리아에 대한 도전적인 행위로도 해석될 수 있었다.[26]
7년 전쟁 이후, 프리드리히 2세는 프로이센의 국력을 과시하기 위해 인근에 바로크 양식의 신궁전(Neues Palais)을 건설했다.[4] 그러나 프리드리히 2세는 신궁전보다 상수시 궁전을 선호했으며, 외교관 접대 등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상수시 궁전에 주로 머물렀다.
2. 2.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 시대 (18세기 말)
2. 3.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 시대 (19세기)
2. 4. 20세기 이후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 군주제가 종식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상수시궁은 호엔촐레른 왕조의 소유로 남았다. 1927년 4월 1일, 프로이센의 "국립 궁전 및 정원 관리국"(Verwaltung der Staatlichen Schlösser und Gärten)의 보호를 받게 되었다.[20]제2차 세계 대전 중 베를린 공습이 시작되자, 주요 예술 작품들은 라인스베르크(브란덴부르크)와 베른테로데(보르비스 근처)(보르비스 근처, 튀링겐)로 옮겨졌다. 1945년 격렬한 전투에도 불구하고 궁전 자체는 손상되지 않았으나, 프레데리크가 보존했던 고대 풍차는 파괴되었다.[21] 종전 후, 소련으로 옮겨졌던 예술 작품 일부가 1958년에 반환되었고, 미국 군인들이 찾아낸 예술 작품들은 샬로텐부르크 궁전(서베를린)으로 옮겨졌다.[22]
동독 공산 정권하에서 상수시궁은 비교적 잘 관리되었다. 1990년, 상수시는 "프러시아의 베르사유"로 묘사되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6]

1991년, 독일의 재통일 이후, 프리드리히의 관은 그의 유언에 따라 상수시 포도원의 테라스에 있는 지하 묘지에 안치되었다.[23] 1992년에는 프리드리히의 도서관이 상수시로 반환되었고, 1993년에서 1995년 사이에는 36점의 유화가 돌아왔다. 1995년, 베를린-브란덴부르크의 프로이센 궁전 및 정원 재단이 설립되어 상수시와 베를린 및 브란덴부르크의 다른 전 왕궁을 관리하고 있다.[24]
3. 건축 양식
프리드리히 2세는 당시 유행하던 로코코 건축 양식을 상수시 궁전에 채택했다. 이는 가볍고 유쾌한 궁전의 용도에 부합했다.[8][9] 로코코 양식은 바로크 양식의 연장선상에서 18세기 초 프랑스에서 등장했으며, 풍요, 우아함, 유쾌함, 가벼움을 강조했다. 로코코 모티프는 자연과 외부 환경을 중시했는데, 이는 자연과 디자인의 조화를 추구한 프리드리히 2세의 이상과 일치했다.[8][9]
궁전 정면은 조각된 아틀라스와 여상으로 장식되어 있다.[10] 이들은 사암으로 제작되었으며, 바칸트를 나타내고, 조각가 프리드리히 크리스티안 글룸의 작품이다.[10]
프리드리히 2세의 개인적 취향이 반영된 이러한 로코코 양식을 "프리드리히 로코코"라고 칭한다. 그는 상수시에서 여성 없이(''sans femmes'')[12] 철학을 논하고 음악을 연주하며 검소하게 살고자 했다.[11]
3. 1. 로코코 양식 (프리드리히 로코코)
프리드리히 2세는 당시 유행하던 로코코 건축 양식을 상수시 궁전에 채택했다. 이는 가볍고 유쾌한 궁전의 용도에 부합했다.[8][9] 로코코 양식은 바로크 양식의 연장선상에서 18세기 초 프랑스에서 등장했으며, 풍요, 우아함, 유쾌함, 가벼움을 강조했다. 로코코 모티프는 자연과 외부 환경을 중시했는데, 이는 자연과 디자인의 조화를 추구한 프리드리히 2세의 이상과 일치했다.[8][9]궁전 정면은 조각된 아틀라스와 여상으로 장식되어 있다.[10] 이들은 사암으로 제작되었으며, 바칸트를 나타내고, 조각가 프리드리히 크리스티안 글룸의 작품이다.[10]
프리드리히 2세의 개인적 취향이 반영된 이러한 로코코 양식을 "프리드리히 로코코"라고 칭한다. 그는 상수시에서 여성 없이(''sans femmes'')[12] 철학을 논하고 음악을 연주하며 검소하게 살고자 했다.[11]
3. 2. 건물 구조
상수시 궁전은 단층 건물로, 중앙 블록과 양쪽에 두 개의 부속 윙으로 구성되어 있다.[8][9] 건물은 거의 전체 상단 테라스를 차지하며, 중앙에는 돔이 있고, 돔 아래 아치에는 금색 청동 문자로 "Sans, Souci."가 새겨져 있다.[8][9]
남쪽 정원 파사드는 아틀라스와 여상 조각상으로 장식되어 있는데, 이들은 사암으로 제작되었으며, 바쿠스의 동반자를 나타낸다.[10] 이 조각상들은 프리드리히 크리스티안 글룸의 작업실에서 제작되었다.[10]
북쪽 입구 파사드는 88개의 코린트식 기둥으로 된 분할된 열주로 장식되어 있으며, 반원형의 ''명예의 안뜰''을 둘러싸고 있다. 남쪽과 마찬가지로, 난간에는 사암 화병이 장식되어 있다.

동쪽 윙에는 비서, 정원사, 하인 방이 있었고, 서쪽 윙에는 궁전 주방, 마구간, 레미스가 있었다. 프리드리히 시대에는 이 단층 윙들이 잎으로 덮여 있었다. 1840년에서 1842년 사이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에 의해 두 윙 모두에 중이층 바닥이 추가되는 등 확장 공사가 이루어졌다.
궁전 중앙부는 대리석으로 만들어진 넓은 방인 "타원형 방"으로, 이곳에서는 만찬회나 음악회가 열렸다. 양쪽 끝에는 "원형 방"이 있다. 서쪽 별관은 손님용으로 사용되었으며, 동쪽 별관에는 프리드리히 2세의 사적인 공간이 있었다.
상스시 궁전은 평면 단층 건물로 장식 면이 비교적 적으며, 외장은 베르사유 궁전 등과 비교하면 간소하다. 지붕은 청색, 벽은 밝은 황색으로 칠해져 있다. 건축 후방에는 쌍둥이 기둥이 반원을 그리며 늘어선 열주랑을 거느리고 있다. 정원을 면한 파사드에는 개구부가 넓게 트여 있으며, 돔형 지붕에는 "소의 눈"(oeil de boeuf)형 창문이 설치되어 있다.
3. 3. 실내 장식
상수시 궁전의 주요 방들은 모두 1층(피아노 노빌레)에 위치하며, "앙필라드(enfilade)" 구조로 배열되어 있어 궁전 내부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다.[13] 입구 홀, 대리석 홀, 음악실, 서재, 침실, 도서관, 갤러리 등 각 방은 프리드리히 2세의 개인적인 취향에 따라 "프리드리히 로코코" 양식으로 화려하게 장식되었다.[13]'''입구 홀'''은 고전적인 외부 열주와 대비되는 코린트식 기둥과 금색 두겁, 흰색 회반죽 대리석으로 장식되어 있다. 천장에는 여신 플로라를 묘사한 그림이 그려져 있다.[14]
'''대리석 홀'''(마르모르잘)은 궁전의 주요 접견실로, 흰색 카라라 대리석 기둥과 금색 장식, 이탈리아 대리석 상감 세공 바닥으로 꾸며져 있다. 비너스 우라니아와 아폴로 조각상이 설치되어 있다.[14]
'''음악실'''은 로카유 장식이 풍부하게 사용되었으며, 조각가이자 장식가인 요한 미하엘 호펜하우프트 (장로)가 주로 작업했다. 1746년 제작된 포르테피아노가 놓여 있다.[13] 아돌프 폰 멘젤의 1852년작 "상수시의 플루트 콘서트"는 프리드리히 대왕이 상수시의 음악실에서 플루트를 연주하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왕의 서재'''와 침실은 1786년 프리드리히 빌헬름 폰 에르트만스도르프에 의해 고전주의 양식으로 개조되었으나, 프리드리히 대왕이 사용하던 책상과 의자는 19세기에 다시 방으로 돌아왔다.
'''도서관'''은 삼나무 패널과 아치형 책장으로 장식되어 있으며, 약 2,100권의 그리스 및 로마 저술, 프랑스 문학 컬렉션이 소장되어 있다.
'''갤러리'''는 북쪽을 향하고 있으며, 그리스-로마 신들의 대리석 조각상과 니콜라 랑크레, 장-밥티스트 파테르, 앙투안 와토의 그림이 전시되어 있다.
서쪽의 '''객실''' 중 '''로텐부르크 룸'''은 로텐부르크 백작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고, '''볼테르 룸'''은 볼테르가 자주 사용했던 방으로, "꽃의 방"이라고도 불릴 정도로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다.[15] 요한 크리스티안 호펜하우프트가 설계했다.
궁전 중앙부는 대리석으로 만들어진 넓은 방인 "타원형 방"으로 만찬회나 음악회가 열렸다. 양쪽 끝에는 "원형 방"이 있다.
4. 정원
18세기 당시와 마찬가지로 현재도 궁전 앞에는 6단으로 이어진 테라스가 펼쳐져 있으며, 그 좌우에는 정연하게 늘어선 가로수들이 심어져 있다. 정원은 직각으로 교차하는 산책로를 갖추고 있으며, 나무와 조각상들이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는 볼레비콩트 성이나 베르사유 궁전의 정원에 대표되는 평면 기하학식 정원, 이른바 프랑스 바로크 정원 양식의 특징이다.
한편, 독일 재통일 이후인 1991년, 상수시 궁전 정원의 잔디밭에 프리드리히 2세의 묘가 이장되었다.
4. 1. 테라스 정원

상수시 정원의 파노라마 전망은 프리드리히 대왕이 보른슈테트 언덕의 남쪽 경사면에 계단식 포도원을 만들기로 결정한 결과이다.[16] 이 지역은 원래 숲이었지만, "병정왕"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 통치 기간 동안 포츠담 시 확장을 위해 나무가 베어졌다.[16]
1744년 8월 10일, 프리드리히는 헐벗은 언덕에 계단식 포도원을 만들라고 명령했다. 햇빛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볼록한 중심을 가진 세 개의 넓은 테라스가 만들어졌다. 지지벽에는 168개의 유약을 바른 벽감이 뚫려 있다.[16] 포르투갈, 이탈리아, 프랑스 등지에서 가져온 덩굴과 Neuruppin의 덩굴이 벽돌 벽에 심어졌고, 무화과는 벽감에서 자랐다. 테라스의 개별 부분은 잔디밭으로 나뉘었고, 그 위에는 주목이 심어졌다. 낮은 사철나무 울타리가 덩굴 과일을 둘러싸고 원형의 장식적인 파르테르를 형성했다. 이 "바퀴"의 중앙에는 132개의 계단이 아래로 이어져 테라스를 여섯 개로 더 나눴다.
언덕 아래에는 베르사유의 파르테르를 본떠 만든 바로크 양식의 장식 정원이 1745년에 건설되었다. 1748년에는 이 정원의 중앙에 '''대 분수'''가 건설되었으나, 프리드리히는 건설 기술자들의 수력학 지식 부족으로 분수가 작동하는 것을 보지 못했다. 1750년부터 분수 주변에 대리석 조각상이 배치되었다. 비너스, 머큐리, 아폴로, 다이아나, 주노, 유피테르, 마르스와 미네르바 조각상, 불, 물, 공기, 흙의 고대 원소를 의인화한 조각상 등은 베르사유를 본뜬 것이다. 장 밥티스트 피갈의 작품인 비너스와 머큐리, 프랑스 루이 15세가 제공한 사냥꾼 두 그룹은 베르사유에서 가져왔다. 나머지 조각상은 프랑수아 가스파르 아담의 작업장에서 가져온 것이다. 1764년까지 '''프랑스 론델'''이 완성되었다.[16]
근처에는 부엌 정원이 있었는데,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가 1715년 이전에 조성했다. 그는 이 정원에 마를리르후아의 정원을 언급하며 "나의 마를리"라는 이름을 붙였다.[16]
프리드리히는 장식 정원과 실용 정원의 조합에 큰 중요성을 부여하여 예술과 자연이 결합되어야 한다는 자신의 신념을 보여주었다.[16]
18세기 당시와 마찬가지로 현재도 궁전 앞에는 6단으로 이어진 테라스가 펼쳐져 있으며, 그 좌우에는 정연하게 늘어선 가로수들이 심어져 있다. 정원은 직각으로 교차하는 산책로를 갖추고 있으며, 나무와 조각상들이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는 볼레비콩트 성이나 베르사유 궁전의 정원에 대표되는 평면 기하학식 정원, 이른바 프랑스 바로크 정원 양식의 특징이다.
한편, 독일 재통일 이후인 1991년, 상수시 궁전 정원의 잔디밭에 프리드리히 2세의 묘가 이장되었다.
4. 2. 바로크 양식 정원
테라스 아래에는 볼레비콩트 성이나 베르사유 궁전의 정원에 대표되는 평면 기하학식 정원, 이른바 프랑스 바로크 정원 양식으로 조성된 장식 정원이 있다. 정원은 직각으로 교차하는 산책로를 갖추고 있으며, 나무와 조각상들이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1748년에 건설된 대분수가 중앙에 위치하며, 주변에는 여신 플로라와 포모나를 묘사한 대리석 조각상, 오벨리스크 등이 배치되어 있다.4. 3. 상수시 공원
상수시 공원은 포도원의 계단식 정원이 완성되고 궁전이 완공된 후, 프리드리히 대왕이 궁전 주변의 더 넓은 지역을 조경하면서 조성되기 시작되었다.[17] 프리드리히 대왕은 노이루핀과 라인스베르크에서 시작한 것을 이어갔다.[17] 공원에는 3,000그루의 과일 나무가 심어졌고, 온실과 묘포가 조성되어 오렌지, 멜론, 복숭아, 바나나가 생산되었다. 여신 플로라와 포모나를 묘사한 조각상과 오벨리스크도 세워졌다.프리드리히 대왕은 궁전과 같은 로코코 양식으로 여러 개의 신전과 폴리를 세웠다. 그 예로는 1768년부터 1770년까지 카를 폰 곤타르트가 프리드리히 대왕이 가장 총애했던 누이인 바이로이트의 변경백작 빌헬미네를 기리기 위해 주요 가도 남쪽에 건설한 우정의 신전과, 1755년부터 1764년까지 요한 고트프리트 뷔링이 설계한 중국식 다원 등이 있다.[17]


프리드리히 대왕은 상수시 공원에 분수 시스템을 도입하기 위해 막대한 투자를 했지만, 당시 수력 공학의 기술 부족으로 분수 시스템은 100년 동안 작동하지 않았다.[18] 증기 기관의 발명으로 문제가 해결된 1842년경부터 프로이센 왕가는 포도원 계단 아래의 대분수가 38미터 높이로 물줄기를 뿜어내는 광경을 볼 수 있게 되었다.[18] 펌프실 자체는 터키 모스크로 위장한 또 다른 정자였으며, 굴뚝은 미나렛이 되었다.
공원은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와 그의 아들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 때 확장되었다. 건축가 카를 프리드리히 싱켈과 루트비히 페르지우스는 이전 농가 부지에 공원 내 샤를로텐호프 궁전을 건설했으며, 페터 요제프 레네는 정원 설계를 위임받았다.[19] 샤를로텐호프, 로마 욕장, 신궁전 사이에 넓은 초원이 시각적인 길을 만들었고, 프리드리히 대왕의 폴리인 우정의 신전과 같은 폴리를 통합했다.
18세기 당시와 마찬가지로 현재도 궁전 앞에는 6단으로 이어진 테라스가 펼쳐져 있으며, 그 좌우에는 정연하게 늘어선 가로수들이 심어져 있다. 정원은 직각으로 교차하는 산책로를 갖추고 있으며, 나무와 조각상들이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는 볼레비콩트 성이나 베르사유 궁전의 정원에 대표되는 평면 기하학식 정원, 이른바 프랑스 바로크 정원 양식의 특징이다.
1991년 독일 재통일 이후, 상수시 궁전 정원의 잔디밭에 프리드리히 2세의 묘가 이장되었다.
5. 주요 인물
6. 일화
상수시 궁전 정원 서쪽에는 큰 풍차 창고가 세워져 있다. 상수시 궁전 완성 후, 경관에 거슬리는 위치에 있었기 때문에 프리드리히 2세가 철거를 명했다. 그러나 소유하고 있던 농부가 생계를 빼앗지 말아 달라고 호소하여, 왕은 이 풍차 창고를 그대로 남겨두었다고 한다. 현재도 이 일화 때문인지, 당당하게 그 풍차 창고는 세워져 있다.
프리드리히 2세는 스스로를 "상수시 궁전의 철학자"라고 칭하며, 유언장 서명에도 "프로이센 국왕"이 아닌 이 호칭을 사용했다.
참조
[1]
뉴스
Spröde Fassadengeschichten
Berliner Zeitung
2003-02-19
[2]
웹사이트
Palaces and Parks of Potsdam and Berlin
https://whc.unesco.o[...]
2021-11-04
[3]
웹사이트
Potsdam from above
http://www.potsdam-t[...]
[4]
웹사이트
The New Palace in Sanssouci Park
http://www.spsg.de/i[...]
Stiftung Preussische Schlösser und Gärten Berlin–Brandenburg
[5]
서적
The New Palace at Sanssouci
Potsdam
2003
[6]
웹사이트
Schlösser und Parks von Potsdam-Sanssouci
http://www.unesco.de[...]
UNESCO
[7]
서적
Sanssouci
George Weidenfeld and Nicolson
1961
[8]
간행물
Picture Sans Souci
http://www.frieze.co[...]
Frieze (magazine)
2003-05
[9]
문서
Das Komma von Sans, Souci
2011
[10]
웹사이트
Schutz der Putten von Sanssouci
http://www.spsg.de/i[...]
Stiftung Preussische Schlösser und Gärten Berlin - Brandenburg
[11]
뉴스
Spröde Fassadengeschichten
Berliner Zeitung
2003-02-19
[12]
웹사이트
Frederick the Great
http://mars.wnec.edu[...]
[13]
웹사이트
Architecture in Berlin and Brandenburg
http://www.bbfc.mind[...]
Berlin Brandenburg Film Commission
[14]
서적
Frederick the Great
St. Martin's Griffin
1999
[15]
서적
The Works of Voltaire, A Contemporary Version
[16]
웹사이트
Was von Preußen blieb
http://www.jf-archiv[...]
Junge Freiheit Verlag GmbH & Co
2002-08-23
[17]
웹사이트
Gardens in Middle Germany
http://www.gardenvis[...]
Gardenvisit.com
[18]
웹사이트
Sanssouci Park
http://www.spsg.de/i[...]
Stiftung Preussische Schlösser und Gärten Berlin - Brandenburg
[19]
웹사이트
A Musical Tour of Potsdam Sanssouci and the Bach Museum in Leipzig
http://www.naxos.com[...]
Naxos
[20]
웹사이트
The foundation's history
http://www.spsg.de/i[...]
Stiftung Preussische Schlösser und Gärten Berlin - Brandenburg
[21]
웹사이트
The Historical Windmill in Sanssouci Park
http://www.spsg.de/i[...]
Stiftung Preussische Schlösser und Gärten Berlin - Brandenburg
[22]
웹사이트
Kriegsverluste der Stiftung
http://www.spsg.de/K[...]
Stiftung Preussische Schlösser und Gärten Berlin - Brandenburg
[23]
논문
Frederick the Great at Peace--Not Germany
https://www.latimes.[...]
1991
[24]
웹사이트
The foundation's history
http://www.spsg.de/T[...]
Stiftung Preussische Schlösser und Gärten Berlin - Brandenburg
[25]
웹사이트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の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07-14
[26]
서적
Panorama of the Enlightenment
Thames & Hudson
2006
[27]
문서
op. ci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