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는 철근 콘크리트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콘크리트에 미리 압축 응력을 가하여 인장 응력을 상쇄하거나 감소시킨 콘크리트 구조이다. 고강도 강재와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재료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균열 발생을 억제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프리텐션 방식과 포스트텐션 방식의 두 가지 주요 시공 방법이 있으며, 교량, 건축물, 댐, 탱크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된다. 프리스트레스 손실, 콘크리트 강도, 내구성 등이 중요한 요소이며, 관련 사고도 발생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 |
|---|---|
| 개요 | |
![]() | |
| 설명 | 건설에 사용되는 콘크리트의 한 형태 |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종류 | |
| 비 프리스트레스트 빔 (하중 없음) | 하중이 없는 비 프리스트레스트 빔 |
| 비 프리스트레스트 빔 (하중 있음) | 하중이 있는 비 프리스트레스트 빔 |
| 프리텐션 | 콘크리트가 굳기 전에 콘크리트에 묻힌 강선을 당김 |
| 포스트텐션 | 콘크리트가 굳은 후 강선이 콘크리트에 압축 응력을 가함 |
| 프리스트레스트 빔 (하중 없음) | 하중이 없는 프리스트레스트 빔 |
| 프리스트레스트 빔 (하중 있음) | 하중이 있는 프리스트레스트 빔 |
2.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개념 및 원리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SC)는 콘크리트에 미리 압축 응력(프리스트레스)을 가하여 인장 응력에 대한 저항성을 높인 것이다. 이는 철근 콘크리트(RC)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철근 콘크리트 보에서 발생하는 인장 응력을 상쇄하도록 설계되었다.
일반적으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는 PC, 철근 콘크리트는 RC라고 부른다. 건축 분야에서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PC,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를 PS라고도 하며, 구분할 때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PCa로 표기하기도 한다.
콘크리트는 압축력에는 강하지만 인장력에는 약하다. PSC는 PC강재를 사용하여 하중이 작용하기 전에 콘크리트 부재에 미리 압축력을 가함으로써(프리스트레스), 하중을 받을 때 콘크리트에 인장 응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거나 최소화한다. 이를 통해 철근 콘크리트에 비해 인장 응력에 의한 균열을 방지할 수 있지만, 비용은 증가한다.
PC 교량은 국내 신설 콘크리트 교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경간을 크게 할 수 있어 대규모 구조물에 적합하다. 전주, 콘크리트 파일, 건축 부재, 건축물의 보, 저수용 PC탱크, 난형소화조 등에 사용된다. 아파트 바닥 슬래브에도 채택되어 바닥 처짐을 지지하기 위한 소보를 없앨 수 있어 선호된다.
기존 철근 콘크리트 구조는 내부 철근의 약 2할이 녹스는 데 약 40년이 걸리지만, PSC는 PC 압착 공법을 통해 2~3세기 동안 견딜 수 있는 구조를 만들 수 있다.[67]
| 구분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 철근 콘크리트 |
|---|---|---|
| 사용 재료 | 고강도 강재와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하며, 높은 응력 수준에서 재료를 효율적으로 활용한다. | 일반 콘크리트, 일반 강재를 사용한다. |
| 역학적 성질 | 전 단면이 유효하게 이용된다. | 중립축을 경계로 인장측 콘크리트는 무시하고 설계한다. |
| 사용성 | 사용 하중에서는 균열이 발생하지 않으며, 초과 하중 제거 시 균열이 복원된다. 내구성과 수밀성이 우수하며, 충격 및 반복 하중에 대한 저항력이 크다. | 사용 하중에서 균열이 발생하며, PSC 구조에 비해 내구성과 수밀성이 좋지 않다. 충격 및 반복 하중에 대한 저항력이 작다. |
| 안전성 | 프리스트레싱 작업 중 최대 응력 상태를 경험하여 사용 중 안정성이 높지만, 고강도 강재는 고온에서 강도가 급격히 감소하여 RC 구조에 비해 내화성이 작다. | PSC 구조에 비해 내화성이 크다. |
| 경제성 | 고강도 재료 사용으로 재료량은 감소하지만 단가가 높고, 정착 장치, 쉬스관 등 부속 재료와 그라우팅 비용이 추가된다. | 해당사항 없음 |
2. 1. 철근 콘크리트(RC)의 단점
철근 콘크리트(RC)는 콘크리트의 인장 강도가 낮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철근을 사용하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균열 발생: 철근 콘크리트 보는 하중을 받으면 인장 측에 미세한 균열이 발생한다. 콘크리트는 균열이 발생하면 힘을 받지 못하므로, 철근 콘크리트 보 설계에서는 콘크리트의 인장 응력을 무시하고 철근이 모든 인장력을 받도록 한다.
- 내구성 저하: 균열은 점차 커지고, 이를 통해 수분, 염분 등이 침투하여 철근을 부식시킨다. 철근 부식은 구조물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주요 원인이다.[67]
- 재료 비효율성: 인장 측 콘크리트는 하중을 받지 못하므로 재료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한다.
- 자중 증가: 구조물이 대형화될수록 자중이 증가하여 구조물에 부담을 준다.
2. 2.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SC)의 장점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restressed Concrete, PSC)는 고강도 강재와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재료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얇고 가벼운 구조물을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1] 또한 프리스트레싱 작업 중에 이미 최대 응력 상태를 경험하므로, 사용 중에는 안전성이 높다고 평가된다.[7]| 구분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PSC) | 철근 콘크리트 (RC) |
|---|---|---|
| 사용 재료 | 고강도 강재 및 고강도 콘크리트 사용, 높은 응력 수준에서 재료의 효율적 활용 | 일반 콘크리트 및 일반 강재 사용 |
| 역학적 성질 | 전 단면 유효하게 이용 | 중립축 기준 인장측 콘크리트 무시 |
| 사용하중에서 균열 없음, 초과하중 제거 시 균열 복원 | 사용하중에서 균열 발생 | |
| 사용성 | 균열이 없어 내구성과 수밀성 우수 | PSC에 비해 내구성과 수밀성 낮음 |
| 충격 및 반복하중에 대한 저항력 높음 | PSC에 비해 충격 및 반복하중에 대한 저항력 낮음 | |
| 전 단면 활용, 긴장재 배치로 전단력 감소, 얇고 가벼운 구조물 제작 가능 | 해당사항 없음 | |
| RC에 비해 강성이 낮아 변형 및 진동 발생 쉬움 | PSC에 비해 변형 및 진동 발생 적음 | |
| 안전성 | 프리스트레싱 작업 중 최대 응력 상태 경험, 사용 중 안정성 높음 | 해당사항 없음 |
| 고강도 강재는 고온에서 강도 급감, RC에 비해 내화성 낮음 | PSC에 비해 내화성 높음 | |
| 경제성 | 고강도 재료 사용으로 재료량 감소, 단가 높음, 정착장치, 쉬스관 등 부속재료 및 그라우팅 비용 추가 | 해당사항 없음 |
2. 3. PRC (Prestressed Reinforced Concrete) 및 PPC (Partially Prestressed Concrete)
PRC (Prestressed Reinforced Concrete, 프리스트레스트 철근 콘크리트)는 균열 발생을 전제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RC)에 보조적으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균열 발생을 유해하지 않은 범위 내로 제어하는 방식이다.[67] PRC는 장기 하중에 대해서는 균열을 허용하지 않지만, 일시적인 큰 하중에 대해서는 균열을 허용하는 설계법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철도교처럼 자체 무게(장기 하중)와 열차 하중(일시 하중)의 차이가 큰 구조물에 적합하며, 최근 건설되는 철도교는 대부분 PRC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일본의 고속도로에서도 과거에 건설된 중소규모 RC 교량 바닥판에서 다수의 균열이 발생한 것을 계기로, PRC 도로교의 채택이 증가하고 있다.PPC (Partially Prestressed Concrete, 부분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는 PRC와 유사한 개념으로, 세계적으로 더 일반적인 명칭이다. PRC가 균열을 허용하는 구조인 반면, PPC는 인장 응력을 허용하는 구조의 총칭이며, 균열을 허용하는 경우와 허용하지 않는 경우 모두 포함된다. 일본에서는 균열을 허용하지 않고 인장 응력 발생을 허용하는 구조는 PC (Prestressed Concrete,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로 취급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PPC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경우는 적다.
RC, PRC, PC의 성질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 구분 | 특징 |
|---|---|
| RC | 균열을 허용하는 콘크리트 |
| PRC | 균열 발생을 일정 폭으로 억제하는 콘크리트 |
| PC | 균열 발생을 허용하지 않는 콘크리트 |
콘크리트는 압축강도에 비해 인장강도가 매우 작기 때문에, 철근 콘크리트 보에서는 인장측에 철근을 넣어 인장응력을 부담하도록 한다. 그러나 철근 콘크리트 보는 사용하중에 의해 인장측에 미세한 균열이 발생하고, 이 균열은 구조물의 내구성을 저하시킨다.[10] 이러한 철근 콘크리트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SC)가 사용된다. PSC는 콘크리트에 미리 압축응력을 주어 인장응력을 상쇄시키는 방식으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점을 보완한다.
3.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와 철근 콘크리트의 비교
구분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PSC) 철근 콘크리트 (RC) 사용 재료 고강도 강재, 고강도 콘크리트 일반 콘크리트, 일반 강재 역학적 성질 전 단면 유효 인장측 콘크리트 무시 사용하중에서 균열 없음 (초과하중 제거 시 균열 복구) 사용하중에서 균열 발생 사용성 내구성 및 수밀성 우수 내구성 및 수밀성 비교적 낮음 충격/반복하중에 대한 저항력 큼 충격/반복하중에 대한 저항력 비교적 작음 얇고 가벼운 구조물 제작 가능 강성 작음 (변형, 진동 발생 쉬움) 변형, 진동 발생 비교적 적음 안전성 프리스트레싱 작업 중 안정성 확보 시 사용 중에도 안정 내화성 작음 내화성 큼 경제성 고강도 재료 사용 (재료량 감소, 단가 높음), 부속재료 및 그라우팅 비용 추가
접합식과 비접합식 후텐션 기술은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며, 시스템 선택은 지역적 선호도, 시공업체의 경험, 대체 시스템의 가용성에 따라 결정된다. 두 가지 모두 설계자의 구조적 강도 및 사용성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규정 준수, 내구성 있는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10]
접합식 후텐션은 비접합식 시스템에 비해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진다.
비접합식 후텐션은 접합식 시스템에 비해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진다.
4. 프리스트레싱 방법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를 주는 방법은 크게 기계적인 방법과 화학적인 방법이 있다. 기계적인 방법으로는 프리텐션 방식과 포스트텐션 방식이 대표적이다.[1] 프리텐션 방식은 콘크리트 타설 전에 PC 강재를 긴장시키는 방식이며, 포스트텐션 방식은 콘크리트 타설 후에 PC 강재를 긴장시키는 방식이다. 화학적인 방법으로는 팽창재를 사용하여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를 가하는 방법이 있다.[36][37]
4. 1. 기계적인 장치를 활용하는 방법
고강도 강재를 긴장시켜 콘크리트에 정착시키는 방법으로, 프리텐션 방식과 포스트텐션 방식이 있다.[1]- '''프리텐션 방식''' :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PC 강재를 긴장시키는 방법이다.
- '''포스트텐션 방식''' :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에* PC 강재를 긴장시키는 방법이다.
4. 1. 1. 프리텐션(Pre-tension) 방식
프리텐션 방식은 콘크리트 타설 ''전에'' 텐던을 긴장시키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한 종류이다.[1] 콘크리트가 양생되는 과정에서 텐던에 결합되고, 텐던의 끝부분 고정장치가 해제되면서 텐던의 장력이 정지 마찰에 의해 콘크리트에 압축력으로 전달된다.[6]

프리텐션은 일반적인 프리패브리케이션 기법으로, 콘크리트 요소는 최종 구조물 위치에서 떨어진 곳에서 제작되어 양생이 완료되면 현장으로 운반된다. 이 방식은 텐던이 늘어나는 강하고 안정적인 끝 고정 지점을 필요로 하며, 이러한 고정 장치는 제작되는 콘크리트 요소 길이의 여러 배에 달할 수 있는 "주형대"의 끝을 형성한다. 이를 통해 하나의 프리텐션 작업에서 여러 요소를 연속적으로 제작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 향상과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수 있다.[6][8]
신선하게 타설된 콘크리트와 텐던 표면 사이의 결합(또는 부착력)은 텐던 고정 장치를 안전하게 해제할 수 있는 시기를 결정하기 때문에 프리텐션 공정에 매우 중요하다. 초기 콘크리트의 결합 강도가 높으면 생산 속도가 빨라지고 보다 경제적인 제작이 가능해진다. 이를 위해 프리텐션된 텐던은 일반적으로 단일 와이어 또는 스트랜드로 구성되며, 이는 번들형 스트랜드 텐던보다 더 큰 표면적을 제공하여 결합을 촉진한다.[6]

포스트텐션 콘크리트와 달리 프리텐션 콘크리트 요소의 텐던은 일반적으로 끝 고정 장치 사이에 직선을 형성한다. "프로파일된" 또는 "하프된" 텐던[9]이 필요한 경우, 텐던의 끝 사이에 하나 이상의 중간 ''편향기''가 위치하여 텐셔닝 중에 텐던을 원하는 비선형 정렬로 유지한다.[1][6] 이러한 편향기는 일반적으로 상당한 힘에 작용하므로 견고한 주형대 기초 시스템이 필요하다. 직선 텐던은 얕은 보, 중공 슬래브와 같은 "선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요소에 사용되는 반면, 프로파일된 텐던은 더 깊은 프리캐스트 교량 보와 거더에서 더 일반적으로 볼 수 있다.
프리텐션 콘크리트는 구조용 보, 바닥 슬래브, 중공 슬래브, 발코니, 인방, 굴착식 말뚝, 물탱크 및 콘크리트 관 제작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4. 1. 2. 포스트텐션(Post-tension) 방식
포스트텐션(Post-tension) 방식은 콘크리트가 굳은 후에 PC 강재를 긴장시키는 방법이다.[1] 이 방식은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에 텐던(tendon)을 긴장시켜 콘크리트에 압축력을 가한다.[1][6]텐던은 콘크리트와 직접 닿지 않도록 보호 슬리브나 덕트 안에 넣어져 있으며,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되거나 옆에 배치된다. 텐던의 양 끝에는 콘크리트에 단단히 고정된 앵커리지(정착 장치)가 있다. 콘크리트가 굳으면 앵커리지에서 텐던 끝을 당겨 텐던을 긴장시키고, 콘크리트에 압축력을 가한다. 텐던을 긴장시키는 데 필요한 큰 힘은 텐던이 앵커리지에 고정된 후 콘크리트에 상당한 영구적인 압축력을 가하게 한다.[1][6] 텐던 끝을 앵커리지에 고정하는 방법은 텐던 구성에 따라 다르며, 주로 사용되는 시스템은 "버튼 헤드" 앵커링(와이어 텐던), 쐐기 앵커링(스트랜드 텐던), 나사 앵커링(바 텐던)이다.[1]

텐던을 감싸는 시스템은 플라스틱이나 아연도금 강철로 만들어지며,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하나는 응력을 가한 후 덕트 내부에 그라우트를 채워 텐던을 주변 콘크리트와 결합시키는 본드(Bonded)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텐던에 그리스를 발라 콘크리트와 영구적으로 분리시키는 언본드(Unbonded) 방식이다.[1][6]

콘크리트에 텐던 덕트나 슬리브를 미리 설치하면, 텐던을 수직이나 수평으로 곡률을 주어 원하는 모양으로 쉽게 만들 수 있다. 텐던에 긴장을 가하면 이러한 모양 때문에 굳은 콘크리트에 반작용 힘이 생기고, 이는 구조물에 가해지는 하중을 상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2][6]

본드(Bonded) 방식본드 방식은 텐던을 외부 덕트에 넣고, 텐던을 긴장시킨 후 그라우팅하여 주변 콘크리트와 영구적으로 결합시킨다.[10] 그라우팅은 텐던을 부식으로부터 보호하고, 텐던의 긴장력을 영구적으로 고정하며,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동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10]
본드 방식은 일반적으로 여러 개의 스트랜드나 와이어를 하나의 텐던 덕트에 넣어 사용하며, 바(bar)는 예외적으로 묶지 않고 사용한다. 이러한 묶음은 텐던 설치와 그라우팅 작업을 효율적으로 만들어 준다. 덕트는 플라스틱(예: 폴리에틸렌)이나 아연도금 강철과 같이 내구성이 좋고 부식에 강한 재료로 만들어지며, 단면은 원형이나 직사각형/타원형일 수 있다.[2] 사용되는 텐던의 크기는 용도에 따라 다르며, 건축물에는 텐던당 2~6개의 스트랜드를, 댐과 같은 특수 공사에는 텐던당 최대 91개의 스트랜드를 사용한다.
본드형 텐던은 보통 현장에서 제작되며, 앵커 장치를 거푸집에 설치하고, 텐던 덕트를 원하는 곡선 형태로 배치한 후, 스트랜드나 와이어를 덕트 안에 넣는다.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텐션을 조정한 후에는 덕트에 압력 그라우팅을 하고 텐던 응력 부분은 부식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밀봉한다.[6]
언본드(Unbonded) 방식언본드 방식은 콘크리트에 대한 텐던의 세로 방향 이동을 영구적으로 허용한다는 점에서 본드 방식과 다르다. 이는 주로 텐던을 부식 방지 그리스(리튬 기반 그리스)로 채워진 플라스틱 피복으로 감싸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텐던 양 끝의 앵커는 장력을 콘크리트로 전달하며, 구조물의 수명 동안 이 역할을 안정적으로 수행해야 한다.[10]
언본드 방식은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 콘크리트 구조물(예: 건물, 지상 슬래브)에 직접 배치된 개별 스트랜드 텐던
- 개별적으로 윤활 및 피복 처리된 스트랜드를 묶어 콘크리트 내부나 옆에 배치되는 캡슐형 덕트 안에 넣어 만든 단일 텐던 (예: 재긴장 가능 앵커, 외부 포스트텐션)
개별 스트랜드 텐던의 경우, 본드 방식과 달리 추가적인 텐던 덕트가 필요 없고, 그라우팅 작업도 필요 없다. 스트랜드의 영구적인 부식 방지는 그리스, 플라스틱 피복, 그리고 주변 콘크리트의 결합된 층에 의해 제공된다. 스트랜드를 묶어 단일 언본드 텐던을 만드는 경우, 플라스틱이나 아연도금 강철 캡슐 덕트를 사용하고, 내부 공간은 스트레싱 후 그라우팅한다. 이를 통해 그리스, 플라스틱 피복, 그라우트, 외부 피복, 주변 콘크리트 층을 통해 추가적인 부식 방지가 이루어진다.[10]
개별적으로 윤활 및 피복 처리된 텐던은 주로 압출 공정을 통해 현장 밖에서 제작된다. 강철 스트랜드를 윤활 챔버에 넣은 후, 용융 플라스틱으로 압출하여 연속적인 외부 코팅을 만든다. 완성된 스트랜드는 길이에 맞게 자르고, 필요에 따라 "데드 엔드" 앵커 장치를 부착할 수 있다.
본드 방식과 언본드 방식의 비교본드 방식과 언본드 방식은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며, 어떤 방식을 선택할지는 지역적 선호도, 시공 경험, 시스템의 가용성에 따라 달라진다. 두 방식 모두 설계자의 구조적 강도 및 사용성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내구성 있는 구조물을 만들 수 있다.[10]
본드 방식이 언본드 방식에 비해 가지는 장점은 다음과 같다.
- 앵커 장치 무결성에 대한 의존도 감소: 텐션을 가하고 그라우팅한 후, 본드형 텐던은 고강도 그라우트에 의해 전체 길이에 걸쳐 주변 콘크리트에 연결된다. 경화된 그라우트는 매우 짧은 거리(약 1미터) 내에서 전체 텐던 장력을 콘크리트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텐던이 우발적으로 절단되거나 앵커 장치가 파손되어도 텐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작으며, 앵커에서 텐던이 빠져나오는 일은 거의 없다.[2][10]
- 극한 강도 증가(휨): 본드형 텐던은 구조물의 휨에 직접 저항하며, 변형률 재분배가 일어나지 않는다. 이로 인해 텐던의 인장 변형률이 높아져 텐던의 항복 강도를 최대한 활용하고 더 높은 극한 하중 용량을 낼 수 있다.[2][6]
- 균열 제어 개선: 콘크리트에 균열이 생기면, 본드형 텐던은 기존 철근과 유사하게 작용한다. 균열 양쪽에서 텐던이 콘크리트에 고정되어 있어 균열 확장에 대한 저항성이 더 크므로, 많은 설계 기준에서 본드형 텐던에 대한 철근 요구량을 줄일 수 있다.[10][11]
- 내화 성능 개선: 본드형 텐던은 변형률 재분배가 없어 국부적인 과열이 전체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드형 구조는 언본드형 구조보다 화재에 대한 저항력이 더 높을 수 있다.[12]
언본드 방식이 본드 방식에 비해 가지는 장점은 다음과 같다.
- 프리패브 가능성: 언본드형 텐던은 앵커 장치와 함께 현장 밖에서 쉽게 제작할 수 있어 시공 속도가 빨라진다. 다만, 제작에 추가적인 리드 타임이 필요할 수 있다.
- 현장 생산성 향상: 본드형 구조물에 필요한 그라우팅 공정이 없어 언본드형 텐던의 현장 노동 생산성이 향상된다.[10]
- 설치 유연성 향상: 언본드형 단선 텐던은 설치 중 본드형 덕트보다 다루기 쉬워 서비스 관통부나 장애물 주변으로 쉽게 우회할 수 있다.[10]
- 콘크리트 피복 두께 감소: 언본드형 텐던은 크기가 작고 부식 방지 성능이 뛰어나 콘크리트 표면에 더 가깝게 배치할 수 있어 콘크리트 두께를 줄일 수 있다.[2]
- 간편한 교체 및/또는 조정: 콘크리트와 영구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언본드형 텐던은 손상되었거나 힘 조절이 필요한 경우 쉽게 응력을 해제하거나, 다시 긴장시키거나, 교체할 수 있다.[10]
- 우수한 과부하 성능: 극한 강도는 본드형 텐던보다 낮지만, 언본드형 텐던은 전체 길이에 걸쳐 변형률을 재분배할 수 있어 붕괴 전 연성이 우수하다. 극단적인 경우, 언본드형 텐던은 사슬선 형태로 작용하여 구조적 파괴 전에 더 큰 변형을 허용할 수 있다.[13]
포스트텐션 방식은 현장 시공에 유리하며, 곡선 배치 등 다양한 형태를 적용할 수 있어 널리 사용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공법이다.
4. 2. 화학적인 방법을 사용하는 방법
팽창재를 사용하여 콘크리트에 화학적인 프리스트레스를 가하는 방법이다.[36][37]5. 프리스트레스 손실
콘크리트의 탄성 변형, 콘크리트 크리프, 콘크리트 건조 수축, 긴장재 릴랙세이션, 긴장재와 쉬스 사이의 마찰 등 여러 요인에 의해 가해진 프리스트레스에 손실이 발생한다.[14] 장기적인 내구성은 널리 사용되는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의 필수적인 요구사항이다. 현장에서 사용되는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의 내구성 성능에 대한 연구는 1960년대부터 진행되어 왔으며, 최초의 시스템이 개발된 이후로 텐던 보호를 위한 부식 방지 기술은 지속적으로 개선되어 왔다.[15]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의 내구성은 주로 프리스트레싱 텐던 내 고강도 강재 요소에 제공되는 부식 방지 수준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비결합 텐던 또는 케이블-스테이 시스템의 말단 고정 어셈블리에 대한 보호도 중요한데, 이는 두 가지 모두의 고정 장치가 프리스트레싱력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성 요소 중 어느 하나라도 손상되면 프리스트레싱력이 해제되거나 스트레싱 텐던이 물리적으로 파열될 수 있다.
현대 프리스트레싱 시스템은 다음 영역을 다루어 장기적인 내구성을 제공한다.
- 텐던 그라우팅(결합 텐던): 결합 텐던은 주변 콘크리트 내에 위치한 덕트 내부에 배치된 번들 스트랜드로 구성된다. 번들 스트랜드에 대한 완벽한 보호를 보장하기 위해, 스트랜드 장력을 가한 후에 덕트를 공극 없이 부식 억제 그라우트로 압력 주입해야 한다.
- 텐던 코팅(비결합 텐던): 비결합 텐던은 부식 방지 그리스 또는 왁스로 코팅되고 내구성이 있는 플라스틱 기반의 전체 길이 슬리브 또는 시스가 장착된 개별 스트랜드로 구성된다. 슬리빙은 텐던 길이 전체에 걸쳐 손상되지 않아야 하며, 텐던 양단의 고정 장치로 완전히 연장되어야 한다.
- 이중층 캡슐화: 스테이 케이블 및 재스트레싱 가능한 댐 앵커와 같이 영구적인 모니터링 및/또는 힘 조정이 필요한 프리스트레싱 텐던은 일반적으로 이중층 부식 방지 기능을 사용한다. 이러한 텐던은 그리스 코팅 및 슬리브 처리된 개별 스트랜드로 구성되며, 스트랜드 번들로 모아져 캡슐화된 폴리에틸렌 외부 덕트 내부에 배치된다. 덕트 내부의 나머지 공극 공간은 압력 그라우팅되어 각 스트랜드에 대해 다층 폴리에틸렌-그라우트-플라스틱-그리스 보호 장벽 시스템을 제공한다.
- 고정 장치 보호: 모든 후장력 설치에서 말단 고정 장치의 부식 방지는 필수적이며, 비결합 시스템의 경우에는 특히 중요하다.
다음은 내구성과 관련된 여러 사건이다.
| 사건 | 발생 위치 | 발생 연도 | 내용 |
|---|---|---|---|
| 이니스이그와스 교량 붕괴 | 웨일스 웨스트글러모건 | 1985 | 1953년에 건설된 프리캐스트 분절 구조물. 부식이 분절 간 현장 조인트를 가로지르는 부족하게 보호된 텐던을 공격하여 붕괴.[15] |
| 쉘트 강 교량 파손 | 벨기에 멜레 | 1991 | 1950년대에 건설된 프리스트레스 캔틸레버 구조물. 측면 교대의 부적절한 콘크리트 피복으로 인해 고정 케이블 부식이 발생하여 주교량 경간의 점진적인 파손과 1명 사망.[16] |
| 영국 고속도로청의 건설 중단 조치 | 잉글랜드 | 1992 | 여러 다리에서 텐던 부식이 발견된 후, 고속도로청은 내부 그라우팅된 후장력 다리의 신규 건설에 대한 건설 중단 조치를 내리고 기존 후장력 다리 재고에 대한 5년간의 검사 프로그램을 시작. 건설 중단 조치는 1996년에 해제.[17][18] |
| 보행자 교량 붕괴 |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샬럿 모터 스피드웨이 | 2000 | 1995년에 건설된 다경간 강철 및 콘크리트 구조물. 건설 속도를 높이기 위해 텐던 그라우트에 무단으로 화학 물질이 첨가되어 프리스트레싱 스트랜드의 부식과 한 경간의 붕괴로 이어져 많은 관중이 부상.[19] |
| 해머스미스 플라이오버 폐쇄 | 잉글랜드 런던 | 2011 | 1961년에 건설된 프리스트레스 구조물. 도로 제빙염으로 인한 부식이 일부 프리스트레싱 텐던에서 감지되어 추가 조사가 진행되는 동안 도로가 처음으로 폐쇄. 그 후 외부 후장력을 사용한 수리 및 보강이 수행되어 2015년에 완료.[20][21] |
| 페트룰라 고가도로 붕괴 | 이탈리아 시칠리아 | 2014 | 후장력 텐던의 부식으로 인해 12경간 고가도로의 한 경간이 붕괴되어 4명이 부상.[22] |
| 제노아 다리 붕괴 | 이탈리아 제노아 | 2018 | 기둥, 철탑 및 상판에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스테이 교량. 경간당 스테이가 매우 적었고,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쉘을 타설한 강철 케이블로 구성된 하이브리드 시스템. 콘크리트는 10 MPa까지만 프리스트레스되었기 때문에 균열과 침수가 발생하기 쉬웠고, 이로 인해 매립된 강철이 부식. |
| 처칠 웨이 플라이오버 철거 | 잉글랜드 리버풀 | 2018 | 검사 결과 저품질 콘크리트, 텐던 부식 및 구조적 문제 징후가 발견된 후 플라이오버가 폐쇄. 2019년에 철거.[23] |
6. 콘크리트 강도
대한민국 표준시방서 KCS 14 20 53 :2018에서는 프리스트레싱할 때 콘크리트 강도가 다음 조건을 만족하도록 규정하고 있다.[53]
- 프리스트레싱 직후 콘크리트 최대 압축응력의 1.7배 이상
- 프리텐션 방식: 30MPa 이상. 단, 소형 부재나 건축물 부재처럼 안전성이 검증된 경우 25MPa까지 낮출 수 있다.
KCS 24 10 00 :2018 콘크리트교량공사에서는 프리스트레스 도입 시 압축강도를 특별한 규정이 없으면 다음과 같이 적용한다.
- 프리텐션: 30MPa
- 포스트텐션: 28MPa
KDS 24 14 21 :2019 콘크리트교 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에서는 콘크리트 강도가 다음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53]
- 포스트텐션 부재: 설계기준압축강도 30MPa 이상
- 프리텐션 부재: 설계기준압축강도 35MPa 이상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는 원자로 용기, 방호벽, 석유화학 탱크 폭발 방지벽과 같이 높은 압력을 견뎌야 하는 구조물에 사용된다. 콘크리트에 미리 압축력을 가하면 균열과 누출에 대한 저항성이 높아진다.[53][54][55]
7.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적용 분야
PC강재를 사용하여 하중이 작용하기 전에 콘크리트 부재에 압축력을 가하는(프리스트레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C)는, 철근 콘크리트에 비해 인장응력에 의한 균열을 방지할 수 있지만 비용이 증가한다.[67]
보통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를 PC, 철근콘크리트를 RC라고 부르지만, 건축 분야에서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PC,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를 PS라고 부르기도 한다. (구분할 때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는 PCa로 표기)
PC 콘크리트는 고강도 강재와 현대식 콘크리트의 조합으로, 매우 다용도 건설 재료이다.[1] 건물, 교량, 댐, 기초, 포장, 파일, 경기장, 사일로, 탱크 등 구조 및 토목 공학의 대부분 분야 설계 기준에 포함되어 있다.[7]
PC 교량은 국내 신설 콘크리트 교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교량 등 보 부재에서 경간을 크게 할 수 있어 대규모 구조물에 적합하다.
전주, 콘크리트 파일, 건축 부재 및 건축물 보 등에 자주 쓰이며, 저수용 PC탱크, 난형소화조 등에도 사용된다. 아파트 바닥 슬래브에 채택되면 바닥 처짐을 지지하기 위한 소보를 없앨 수 있어 선호된다.
기존 철근콘크리트 구조는 철골 녹스는 기간이 약 40년 정도이며, 콘크리트가 이산화탄소와 결합하여 산화해 녹이나 박리 현상이 발생하기 쉽다.[67] 반면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는 PC 압착 공법으로 2~3세기 동안 견딜 수 있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된다.
7. 1. 교량
PC 교량이라고도 하며, 장경간 교량 건설에 유리하다. 대한민국에서 신설되는 콘크리트 교량의 대부분이 이 유형이다.[36][37]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는 1940년대부터 교량 건설에 활용되기 시작했는데, 기존 설계 방식보다 시공 속도가 빠르고 경제적이며, 수명이 길고 진동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38][39] 영국에서는 1960년대부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가 철근 콘크리트 교량을 대체하기 시작했으며, 박스 거더가 주된 형태가 되었다.[41]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는 교량의 경간(다리 기둥 사이의 거리)에 따라 다양한 공법으로 적용된다.
| 경간 | 공법 |
|---|---|
| 10m ~ 40m | 프리캐스트 프리텐션 거더(girder) 또는 판자 형태 |
| 40m ~ 200m |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현장 균형 캔틸레버, 점진적 발진 설계 |
| 가장 긴 교량 | 케이블 지지 설계의 필수적인 부분 |
7. 2. 건축물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는 건축물의 바닥 슬래브, 보, 기둥 등에 적용되어 층고를 낮추고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서 층간 소음 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1]콘크리트에 미리 압축력을 가하는 프리스트레싱(prestressing)은 사용 중 하중에 대응하기 위해 구조물에 "하중 균형" 힘을 도입할 수 있게 한다. 이는 건축 구조물에 많은 이점을 제공한다.
- 더 긴 경간 확보: 동일한 구조 깊이에서 하중 균형은 사용 중 처짐을 줄여 경간을 늘리고 지지대 수를 줄일 수 있다.
- 구조 두께 감소: 주어진 경간에 대해 사용 중 처짐이 감소하면 더 얇은 구조 단면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층고를 낮추거나 건물 서비스 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다.
- 빠른 거푸집 해체 시간: 일반적으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건축 요소는 5일 이내에 완전히 응력을 받고 자립한다. 이 시점에서 거푸집을 해체하여 건물의 다음 구역에 재배치하여 건설 "주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 재료비 절감: 구조 두께 감소, 기존 철근량 감소, 빠른 시공의 조합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가 다른 구조 재료에 비해 건축 구조물에서 상당한 비용 절감 효과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로 건설된 주목할 만한 건축 구조물은 다음과 같다.
| 건물 | 위치 | 높이 | 완공 연도 |
|---|---|---|---|
| ICC 타워 | 홍콩 | 484m | 2010 |
| 구오코 타워 | 싱가포르 | 290m | 2016 |
|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 | 시드니 | 1973 | |
| 개탁 터미널 | 홍콩 | 2013 | |
| 월드 타워 | 시드니 | 230m | 2004 |
| 오션 하이츠 2 | 두바이 | 335m | 2016 |
| 유레카 타워 | 멜버른 | 297m | 2006 |
| 토레 에스파시오 | 마드리드 | 230m | 2008 |
| 캐피탈 게이트 | 아부다비 | 2010 |
[24][25][26][27][28][29][30][31][32][33][34][35]
7. 3. 댐
콘크리트 댐은 1930년대 중반 이후로 압력을 상쇄하고 전반적인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프리스트레싱(예압)을 사용해 왔다.[45][46] 프리스트레싱은 구조 강화, 댐 크레스트(상단부) 또는 스필웨이(방수로) 높이 증가와 같은 댐 보수 공사의 일환으로도 자주 시행된다.[47][48]댐 프리스트레싱은 보통 댐의 콘크리트 구조물 및/또는 기저암 지층에 시추된 후텐션 앵커(후장식 앵커)의 형태를 취한다. 이러한 앵커는 일반적으로 고장력 번들형 강연선 또는 개별 나사선형 강봉의 텐던(힘줄)으로 구성된다. 텐던은 먼(내부) 끝에서 콘크리트 또는 암석에 그라우팅되며, 텐셔닝(장력) 중에 텐던이 늘어날 수 있도록 외부 끝에 상당한 "탈본드" 자유 길이를 갖는다. 텐던은 장력이 가해진 후 주변 콘크리트 또는 암석에 완전히 접합되거나(더 일반적임), 장기간 하중 모니터링 및 재응력을 허용하기 위해 자유 길이에 부식 방지 그리스로 영구적으로 캡슐화된 강연선을 가질 수 있다.[49]
7. 4. 탱크 및 사일로
사일로와 탱크와 같은 원형 저장 구조물은 프리스트레싱(미리 압축력을 가하는 것) 힘을 사용하여 저장된 액체나 벌크 고체가 발생시키는 바깥쪽으로 작용하는 압력에 직접 저항할 수 있다. 수평으로 곡선을 이루는 텐던(강연선)을 콘크리트 벽 내부에 설치하여 구조물을 따라 수직으로 간격을 두고 고리 형태를 만든다. 이러한 텐던에 장력을 가하면 구조물에 축방향(압축) 힘과 반경 방향(내향) 힘이 작용하여, 이후에 가해지는 저장 하중에 직접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미리 주는 압축력의 크기를 하중으로 인해 발생하는 인장 응력보다 항상 크게 설계하면, 벽 콘크리트에 영구적인 잔류 압축이 발생하여 누수가 없고 균열이 없는 구조물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50][51][52]7. 5. 원자로 격납 건물 및 폭발 방지벽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는 원자로 용기 및 방호벽, 석유화학 탱크 폭발 방지벽과 같이 높은 압력을 견뎌야 하는 구조물에 사용되는 신뢰성 있는 건축 자재이다.[53][54][55] 이러한 구조물에 미리 응력을 가하여 초기 이축 또는 삼축 압축 상태로 만들면 콘크리트의 균열 및 누출 저항성이 높아진다. 또한, 사전에 하중을 가하고 이중화하여 모니터링 가능한 압력 방호 시스템을 제공한다.원자로 및 방호 용기는 일반적으로 원자로 중심부를 완전히 감싸도록 수평 또는 수직으로 구부러진 별도의 후장력 텐던 세트를 사용한다. 액화천연가스(LNG) 탱크와 같은 폭발 방지벽은 일반적으로 축 방향 벽에 사전 응력을 가하기 위해 수직으로 루프된 텐던과 함께 폭발 방지를 위해 수평으로 구부러진 후프 텐던 층을 사용한다.
8.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역사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SC) 기술은 19세기 후반 미국과 유럽에서 처음 개발되기 시작했다. 대한민국에는 1950년대 후반에 도입되어 교량 건설 등에 활용되기 시작하였다.
8. 1. 세계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1872년 미국의 P.H.Jackson이 프리스트레싱 시스템을 착상하였다.[1] 1888년 독일의 C.W.Doehring이 프리스트레스트 슬래브를 개발하였으나, 시간 경과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의 감소로 실패하였다.[2] 1900년대 초반 미국의 R.E.Dill은 응력 손실을 극복하기 위해 고강도 강재가 필요하며, 콘크리트의 건조 수축 및 크리프로 인해 응력 손실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알아내고, 포스트 텐셔닝(Post Tensioning)의 개념을 제시하였다.[3]1926~1928년 프랑스의 프레시네는 연성이 큰 고강도 강재로 응력 손실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4] 1940년 프레시네는 원추형 쐐기로 된 PS강재 정착 장치를 포함한 프레시네(Freyssinet) 시스템을 발표하였다.[5]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전후 복구 과정에서 PSC 교량 건설이 급속하게 증가하였다.[6]
8. 2. 대한민국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1956년 중앙산업(주)에서 BBRV공법으로 PSC침목을 제조한 것이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시작이다.[1] 1961년 BBRV공법으로 길이 23m의 PSC 보를 시험제작하였다.[2] 1962년 3월 대한민국 최초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교량인 구운교(거더길이 16m, 6경간, 가평군 외서면 대성리)가 협화실업(주)에 의해 프레시넷(Freyssinet) 공법으로 착공되었다.[3]9.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관련 사고
PSC 시공 시 오류나 과도한 하중, 또는 내진 성능 부족 등으로 인해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인장강도 계산 오류나 시공 실수로 과도한 장력이 가해지면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는 스스로 휘어져 파괴될 수 있다. 또한, 하중이나 자중에 비해 강도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도 휘어짐으로 인해 파괴될 수 있다.
이러한 사고는 드물지만, 실제로 발생한 사례가 있다. 삿포로-오타루 자동차도 공사에서는 철근에 과도한 장력을 가해 시공하는 바람에 고가교가 휘어져 두 동강 나면서 낙하하는 사고가 발생했다.[1] 오래된 고속도로의 경우, 과적된 화물자동차의 통행으로 설계 이상의 하중이 가해져 도로가 물결치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내진 성능이 부족해지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한신·아와지 대지진 당시 고가도로 붕괴 사고를 계기로 이러한 문제점이 밝혀졌으며, 전국적으로 내진 보강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1]
참조
[1]
서적
Design of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s
http://www.slideshar[...]
John Wiley & Sons
2016-08-24
[2]
서적
fib Bulletin 31: Post-tensioning in Buildings
http://www.civil.ist[...]
FIB
2016-08-26
[3]
웹사이트
CT-13: ACI Concrete Terminology
https://www.concrete[...]
ACI
2016-08-25
[4]
서적
The Tower and the Bridge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5]
서적
Concrete Structures
Addison Welsley Longman
1988
[6]
서적
Prestressed Concrete
Longman Cheshire
1988
[7]
서적
Post-Tensioning Manual
https://archive.org/[...]
PTI
2006
[8]
웹사이트
CFCC Pre-tensioning Manual
http://www.maine.gov[...]
2016-08-19
[9]
기타
[10]
학술지
Unbonded and bonded post-tensioning systems in building construction
http://www.post-tens[...]
Post-Tensioning Institute
2016-08-23
[11]
학술지
Nonprestresed Bonded Reinforcement in Post-Tensioned Building Design
http://www.adaptsoft[...]
2016-08-25
[12]
학술지
Comparison of unbonded and bonded post-tensioned concrete slabs under fire conditions
https://www.istructe[...]
2016-08-22
[13]
학술지
Two way post-tensioned slabs with bonded tendons
http://www.kenbondy.[...]
Post-Tensioning Institute
2016-08-25
[14]
학술지
Survey on the Durability of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s
http://www.pci.org/u[...]
2016-09-07
[15]
학술지
Corrosion of Prestressing Steels and its Mitigation
http://www.pci.org/u[...]
2016-09-07
[16]
서적
Damage to Concrete Structures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6-09-07
[17]
서적
Bridge Management 4: Inspection, Maintenance, Assessment and Repair
https://books.google[...]
Thomas Telford
2016-09-07
[18]
웹사이트
Post-Tensioning Systems
http://www.ukcares.c[...]
CARES
2016-09-07
[19]
웹사이트
Corrosdion Failures: Lowe's Motor Speedway Bridge Collapse
http://www.nace.org/[...]
NACE
2016-09-07
[20]
뉴스
TfL report warned of Hammersmith Flyover collapse risk
https://www.bbc.co.u[...]
BBC News, London
2012-12-03
[21]
웹사이트
Extending the Life of Hammersmith Flyover
http://www.freyssine[...]
Freyssinet
2016-09-07
[22]
뉴스
Giù il viadotto Petrulla, panico sulla Statale 626
https://qds.it/16684[...]
2014-07-08
[23]
웹사이트
Churchill Way Flyovers Deconstruction Scheme
https://www.liverpoo[...]
2021-04-08
[24]
웹사이트
An Engineering Walk around the Sydney Opera House
http://ashet.org.au/[...]
ASHET
2016-09-01
[25]
웹사이트
Structural Design of the 84 Storey World Tower in Sydney
http://global.ctbuh.[...]
Council on Tall Buildings and Urban Habitat
2016-09-01
[26]
웹사이트
The Tower, One St. George Wharf, London, UK
http://www.cclint.co[...]
CCL
2016-09-01
[27]
학술지
Prestressing the CN Tower
http://www.pci.org/u[...]
2016-09-02
[28]
웹사이트
Kai Tak Cruise Terminal Building - Hong Kong
http://www.vslvietna[...]
VSL
2016-09-01
[29]
웹사이트
International Commerce Centre (ICC)
http://www.arup.com/[...]
ARUP
2016-09-02
[30]
웹사이트
Ocean Heights 2, Dubai UAE
http://www.cmecs.co/[...]
CMECS
2016-09-01
[31]
웹사이트
Eureka Tower, Melbourne Victoria Australia
http://www.designbui[...]
Design Build Network
2016-09-01
[32]
학술지
Torre Espacio. Building Structure
http://e-ache.com/mo[...]
2016-09-01
[33]
학술지
Reaching for the Skies
http://www.bbrnetwor[...]
2016-09-02
[34]
학술지
Gateway to South Eastern Europe
http://www.bbrnetwor[...]
2016-09-02
[35]
학술지
Case Study: Capital Gate, Abu Dhabi
http://global.ctbuh.[...]
2016-09-02
[36]
논문
Evolution of Bridge Technology
http://www.ciccp.es/[...]
2016-09-05
[37]
서적
Prestressed Concrete bridges: design and Construction
https://books.google[...]
ICE
2016-09-02
[38]
서적
Railway Age
Simmons-Boardman Publishing Company
2018-08-25
[39]
웹사이트
History of Prestressed Concrete in UK
http://www-civ.eng.c[...]
Cambridge University
2018-08-25
[40]
NHLE
2018-08-25
[41]
웹사이트
History of Concrete Bridges
https://www.cbdg.org[...]
2024-02-22
[42]
웹사이트
Structures Engineering Design Manual
https://www.mainroad[...]
MRWA
2016-09-02
[43]
서적
Bridge Construction Practices Using Incremental Launching
http://onlinepubs.tr[...]
AASHTO
2016-09-07
[44]
논문
Cable Stayed Bridges with Prestressed Concrete
https://www.pci.org/[...]
2016-09-07
[45]
논문
Prestressed Concrete Dams: 1936–1964
http://www.pci.org/u[...]
2016-09-02
[46]
논문
Rock-engineering design of post-tensioned anchors for dams - A review
2015-02
[47]
웹사이트
Catagunya Dam Tasmania
https://www.engineer[...]
IEAust
2016-09-02
[48]
논문
Strengthening of existing concrete dams using post-tensioned anchors: A state-of-the-art review
https://www.research[...]
2016-09-02
[49]
논문
Very High capacity Ground Anchors Used in Strengthening Concrete Gravity Dams
Institution of Civil Engineers
1997-03-20
[50]
논문
Analysis and Design of Prestressed Circular Concrete Storage Tanks
http://www.pci.org/u[...]
2016-09-05
[51]
서적
Circular Storage Tasnks and Silos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6-09-05
[52]
서적
Design of Prestressed Concrete to AS3600-2009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6-09-05
[53]
서적
Structures for Nuclear Facilities – Analysis, Design and Construct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6-09-05
[54]
서적
Construction of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6-09-05
[55]
서적
Prestressed Concrete
http://clghub.com/wp[...]
Tata McGraw Hill
2006-12-01
[56]
웹사이트
Building Post-Tensioned Slabs on Grade
http://www.concretec[...]
Concrete Construction
2016-09-05
[57]
서적
Construction of a Precast Prestressed Concrete Pavement Demonstration Project on Interstate 57 near Sikeston, Missouri
https://www.fhwa.dot[...]
US DOT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2016-09-05
[58]
웹사이트
Design of the Main Spans, Second Gateway Bridge, Brisbane
http://www.cmnzl.co.[...]
2016-09-02
[59]
웹사이트
Incheon Bridge, Seoul, South Korea
https://www.dywidag-[...]
DYWIDAG
2016-09-02
[60]
웹사이트
SRG Remote Projects
http://www.srglimite[...]
SRG Limited
2016-09-06
[61]
논문
1300-Ton-Capacity Prestressed Anchors Stabilize Dam
http://www.pci.org/u[...]
2016-09-06
[62]
웹사이트
Precast/Prestressed Concrete Institute
https://web.archive.[...]
[63]
웹사이트
Canadian Precast/Prestressed Concrete Institute
http://www.cpci.ca/
2016-09-12
[64]
웹사이트
Post-Tensioning Association
http://www.posttensi[...]
2016-09-12
[65]
웹사이트
Post Tensioning Institute of Australia
http://www.ptia.org.[...]
2016-09-12
[66]
웹사이트
South African Post Tensioning Association
http://www.sapta.co.[...]
2016-09-12
[67]
웹사이트
基礎コンクリートの寿命は?放置するとこんな状態に
https://www.astro-h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