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플레이오네 (항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플레이오네는 황소자리에 위치한 별로, '28 Tauri' 또는 'BU Tauri'로도 불리며, 그리스 신화 속 오케아니스 님프 플레이오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겉보기 등급이 +5.05로 맨눈으로 관측하기는 어렵지만, 플레이아데스 성단 내 다른 별들과 함께 10월 새벽 동쪽 하늘에서 관측할 수 있다. 이 별은 청백색의 B형 주계열성이며, 비이형 별의 특징을 보여주는 특이한 별로, 35년을 주기로 밝기 변화를 보인다. 플레이오네는 쌍성계의 일원이며, 지구와의 거리는 측정 방법에 따라 논쟁이 있어왔으며, 가이아 계획의 관측 결과로 정리될 것으로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시오페이아자리 감마형 변광성 - 황소자리 제타
    황소자리 제타는 황소자리에 있는 단선 분광 쌍성계로, 주성 황소자리 제타 A는 태양 질량의 11배가 넘는 거성이며 빠른 자전 속도, 특이한 화학적 특징, 방출선을 보이고 예로부터 중국 천문학에서 천관으로 불렸다.
  • 카시오페이아자리 감마형 변광성 - 고메이사
    고메이사는 지구에서 약 162광년 떨어진 작은개자리의 B8 분광형 주계열성으로, 맨눈으로 관측 가능하며 빠른 자전 속도와 가스 원반을 가진 Be 별이자 밝기가 변하는 SPBe 별이고, 170일 주기의 쌍성일 가능성이 있다.
  • 플레이아데스 성단 - 마이아 (항성)
    마이아는 황소자리에 위치하며 플레이아데스 자매의 이름을 딴 별로, 특정 원소 과잉과 흑점 활동에 의한 밝기 변화를 보이며 반사 성운에 둘러싸여 맨눈으로도 관측 가능한 항성이다.
  • 플레이아데스 성단 - 테이데 1
    테이데 1은 1994년 라파엘 레볼로 로페스, 마리아 R. 사파테로-오소리오, 에두아르도 L. 마르틴에 의해 테이데 천문대에서 발견된 갈색 왜성으로, 이듬해 윌리엄 허셜 망원경으로 차가운 특성이 확인되었다.
  • Be형 항성 - 아케르나르
    아케르나르는 에리다누스자리에서 가장 밝고 지구에서 아홉 번째로 밝게 보이는 청색 항성으로, 빠른 자전으로 편구체 모양을 하고 있으며 적도면에 가스 원반을 가지고 있고 동반성을 거느리고 있다.
  • Be형 항성 - 카시오페이아자리 감마
    카시오페이아자리 감마는 겉보기 등급이 불규칙하게 변하는 분출 변광성이자 카시오페이아자리 감마 변광성의 대표 별로, 빠른 회전 속도와 적도 팽창, 뜨거운 가스 원반을 특징으로 하며 X선 방출 메커니즘에 대한 논쟁이 있고, 분광 쌍성을 포함하는 다중성계이며 'Navi'라는 별칭으로도 알려져 있다.
플레이오네 (항성)
기본 정보
플레이아데스 성단의 이미지
플레이아데스 성단에서 플레이오네(원으로 표시)는 아틀라스 바로 위에 위치함
화성 이름플레이오네
기타 명칭황소자리 BU
28 타우리
봉 소천성표 +23° 558
HD 23862
HIP 17851
HR 1180
SAO 76229
GC 4587
별자리황소자리
겉보기 등급4.77 - 5.50 (변광)
변광성 유형카시오페이아자리 감마형 변광성
분광형B8Vne, B8 IVpe
B-V 색지수-0.08
U-B 색지수-0.28
R-I 색지수-0.07
시선 속도5.10 km/s
고유 운동 (적경)18.07 밀리초각/년
고유 운동 (적위)-47.20 밀리초각/년
연주시차8.54 밀리초각
절대 등급-0.33, -0.253
물리적 특징
반지름3.2 R☉
질량3.4 M☉
광도190 L☉
표면 온도12,000 K
자전 속도329 km/s, 290 km/s
나이1.15 × 10^8 년, 125 × 10^6 년

2. 명칭

플레이오네는 '28 Tauri'라는 명칭과 'BU Tauri'라는 명칭을 가지고 있다. '플레이오네'라는 이름은 그리스 신화의 플레이아데스 일곱 자매의 어머니인 님프 플레이오네에서 유래했다.[11][12][13] 2016년 국제천문연맹(IAU)은 이 별의 고유 명칭을 '플레이오네'로 공식 승인했다.[13]

3. 관측

플레이오네는 겉보기 등급이 +5.05로 맨눈으로 관측하기 어렵다. 특히, 3.7배 더 밝은 아틀라스가 5분각 이내 거리에 있어 식별이 더욱 어렵다.[84] 매년 10월 새벽, 해가 뜨기 전 동쪽 하늘에서 플레이아데스성단의 다른 별들과 함께 떠오르는 것을 볼 수 있다.[85] 12월부터 해 질 녘에 관측 가능하며, 2월 중순까지는 남위 66도 아래 지역을 제외한 지구 대부분 지역에서 볼 수 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케이프타운에서도 플레이오네는 지평선 위로 약 32도까지 떠오른다. 4월 말에는 서쪽 지평선 부근에서 해가 진 직후 잠시 보이다가 진다.[86]

플레이오네는 카시오페이아자리 감마형 변광성으로 분류되며, 밝기는 4.8에서 5.5 등급 사이에서 변한다.[87] SIMBAD 천체 데이터베이스에는 분광형을 B8IVev로 표기하고 있으나,[79]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B8IVpe로 약간 다르다.[80][107][104] "ev"는 '분광 방출량이 강해졌다가 약해지는 것을 반복함'을 뜻하며, "pe"는 '특이성을 보이는 방출선'을 의미한다. 플레이오네의 pe 방출선은 별주위 원반 때문에 생기는 것으로, 이 원반을 이루는 물질은 별로부터 뿜어져 나온 것이다.

플레이아데스성단과 지구 사이 거리에는 논란이 있는데, 플레이오네도 이 논쟁에서 예외는 아니다. 시차를 이용한 측정법이 가장 보편적이지만, 측광학적·분광학적 관측법도 중요하다.[82][88] 히파르코스 위성 이전에는 약 440 광년(135 파섹)으로 예상되었으나, 히파르코스 자료에 따르면 388 ± 3.2 광년(119 ± 1.0 파섹)으로 나타나 논쟁이 일어났다.[82][89][90] 2004년 허블 우주 망원경 측정 결과는 440 광년이 맞다고 주장했지만,[90] 2009년 연구 결과는 392.0 ± 6.0 광년(120.2 ± 6.0 파섹)으로 히파르코스에 더 근접했다.[82] 이 논란은 가이아 계획의 관측 결과로 정리될 것으로 보인다.[91]

4. 물리적 특징

플레이오네는 청백색의 B형 주계열성으로, 표면 온도는 약 12,000,000이다.[95] 분광형은 SIMBAD에서는 B8Vne으로 분류하지만, 최근 연구에서는 B8IVpe 또는 B8Vpe로 분류한다.[68][65] 여기서 "n"은 "굵은 선", "e"는 "휘선", "p"는 "특이"를 의미하며, 플레이오네의 경우 "특이한" 휘선은 항성에서 방출된 물질로 만들어진 주변 가스 원반에서 유래한다.

복사 광도는 별까지의 거리를 대략 120 파섹으로 가정할 경우 태양의 약 190배이다.[83] 반지름은 태양의 약 3.2배, 질량은 태양의 약 3.4배로, 플레이아데스성단 내 다른 밝은 별들에 비해 작고 어두운 편이다.[83] 예를 들어, 바로 옆에 있는 알키오네는 반지름이 태양의 10배, 광도는 태양의 2,400배로 플레이오네보다 훨씬 크다.[93]

4. 1. 비이형 별 (Be Star)

플레이오네는 비이형 별 중에서도 특이한 성질을 보인다. 오토 슈트루페는 1942년 플레이오네를 "플레이아데스성단에서 가장 흥미로운 구성원"이라고 평가했다.[92]

플레이오네는 '활발하고 뜨거운 항성'으로 불리는 전형적인 비이형 별이다.[95] 주계열과 비슷하지만 스펙트럼에 흡수선 대신 방출선('''e'''mission line)이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96] 이 방출선은 별 주위에 가스 원반이 존재한다는 증거이며, 별주위 원반에서 나오는 전자기 복사가 플레이오네의 밝기 변화에 영향을 준다.[97][103]

플레이오네의 자전 속도는 초당 329 킬로미터로 매우 빠르며, 이는 항성이 파괴되는 속도에 근접한 수치이다.[99][100] 태양의 자전 주기가 25.3일인데 비해, 플레이오네는 11.8시간 만에 한 바퀴 회전한다.[101]

플레이오네는 일반적인 B형 주계열성, 비이형 별, 껍질별의 세 가지 형태를 번갈아 보여주는 특이한 별이다.[83] 이는 별주위 원반이 나타났다가 사라지기를 반복하기 때문으로 보이며, 때로는 여러 개의 원반이 동시에 존재하기도 한다.[104] 1972년에 생성된 원반과 2005년에 생성된 새로운 원반이 서로 다른 각도로 기울어져 있는 이중 원반 구조를 보인다.[104][106]

5. 항성계

플레이오네는 쌍성으로, 짝별의 존재가 확인되었지만 궤도 요소는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107][36][68] 1996년 일본·프랑스 천문학자들은 플레이오네가 단선(single-lined) 분광 쌍성으로 공전주기 218.0일에 궤도이심률은 0.6임을 알아냈다.[104][108][33][37][65][69] 워싱턴 이중성 목록에는 플레이오네 구성원 둘 사이의 각거리를 0.2 초각으로 기록하고 있는데, 지구로부터의 거리를 391광년으로 가정하면 주인별과 짝별 사이는 약 24 천문단위(AU) 떨어져 있다.[109][38][70]

6. 지구와의 거리

플레이오네와 지구 사이 거리는 측정 방법에 따라 논쟁이 있어 왔다. 시차를 이용한 측정법이 가장 보편적이지만 측광학적·분광학적 관측법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82][88] 히파르코스 위성을 쏘아올리기 전 플레이오네와 지구 사이 예상거리는 약 135pc이었다. 그러나 히파르코스 자료로 1997년 출판된 목록에 따르면 그 값은 훨씬 줄어들어 약 119pc이었고 이 차이는 천문학자들 사이에 격렬한 논쟁이 일어나게 만들었다.[82][89][90] 일부 천문학자들 주장처럼 만약 히파르코스의 측정값이 정확하다면 플레이아데스 성단 내 별들은 태양과 같은 보편적인 주계열 모형보다 어두워지며 이는 항성 구조 이론의 기초적 개념을 흔들게 된다.

2004년 허블 우주 망원경이 파인 가이던스 센서로 찍은 간섭계 측정값을 칼테크와 미국 항공 우주국 제트 추진 연구소가 합동연구한 결과에 따르면 거리는 원래 알고 있던 135pc이 맞다고 한다.[90] 그런데 2009년 연구결과에 따르면 시차는 8.32 ± 0.13 밀리초각으로(이 오차범위는 매우 작은 값이다.) 거리로 환산하면 120.2pc으로 앞의 두 값과는 또 다르나 히파르코스에 보다 근접한 자료이다.[82] 이 거리 논란은 2012년 말 발사한 가이아 계획의 관측 결과로 정리될 것으로 보인다.[91]

7. 문화 속 플레이오네

플레이오네를 오케아니스 님프로 묘사한 그림. 프랑스 화가 귀스타브 도레 작품.


그리스 신화에서 플레이오네는 그리스 킬레네 산에 사는 오케아니스 중 한 명으로, 바다의 님프이자 아틀라스의 아내이자 휘아스, 휘아데스, 플레이아데스의 어머니였다.

'플레이오네'라는 이름은 '항해하다'라는 뜻의 그리스어 단어 'πλεῖν' (''pr. ple'-ō'')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 다른 설로는 '풍부함', '더', '가득 참'을 뜻하는 그리스어 'Πλειόνη'에서 왔다는 설과, 비둘기 떼를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 '플레이아데스'(Πελειάδες)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이 별은 플램스티드 명칭으로 ''28 토리''이며, 변광성 명칭으로는 ''BU 토리''이다. 국제천문연맹(IAU)은 2016년 별의 고유 이름을 목록화하고 표준화하기 위해 별 이름 워킹 그룹(WGSN)을 조직했는데, '플레이오네'가 승인되어 현재 IAU 별 이름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

7. 1. 신화

그리스 신화에서 플레이오네는 그리스 킬레네 산에 사는 오케아니스 중 한 명이다. 오케아니스는 티탄족 오케아노스와 테튀스 사이에서 태어난 3,000명의 딸들이다.[110][115]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님프는 자연물의 정령으로, 이 중 오케아니스는 바다의 정령이다.[111] 오케아니스는 하급 신임에도 자연계의 수호자로 크게 존경받았다. 이들은 각자 바다, 강, 호수, 시냇물, 구름 등 물로 이루어진 것들을 보호하고 그 활동을 관리했다. 플레이오네는 바다의 님프이자 아틀라스의 아내이자 휘아스, 휘아데스, 플레이아데스의 어머니였다.

7. 2. 어원

'플레이오네'라는 이름의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가장 유력한 설은 '항해하다'라는 뜻의 그리스어 단어 'πλεῖν' (''pr. ple'-ō'')에서 유래했다는 것이다.[112][113] 이는 고대 그리스가 바다와 친화적인 문화를 가졌고, 플레이오네가 그리스 신화에서 바다의 님프인 오케아니스로 등장한다는 점에서 설득력이 있다. 이 때문에 플레이오네는 '항해하는 여왕'으로, 그녀의 딸들은 '항해하는 자들'로 불리기도 한다. 또한, 이 별들은 고대 항해철에 하늘에 나타났는데, 뱃사람들은 액운을 피하고자 플레이아데스가 밤하늘에 보일 때만 배를 몰았다.[114]

다른 설로는 '풍부함', '더', '가득 참'을 뜻하는 그리스어 'Πλειόνη'[115]에서 왔다는 설이 있다. 이는 구약성서에 나오는 '키마(Kīmāh)'와 플레이아데스를 뜻하는 아랍어 단어 '알 투라야'와 같은 의미이다.

마지막으로, 비둘기 떼를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 '플레이아데스'(Πελειάδες)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이는 제우스오케아노스의 딸들을 비둘기로 바꾸었고, 이를 오리온이 밤하늘을 가로지르며 따라다닌다는 그리스 신화에서 비롯된 것이다.[116]

이 별은 플램스티드 명칭으로 ''28 토리''이며, 변광성 명칭으로는 ''BU 토리''이다. 국제천문연맹(IAU)은 2016년 별의 고유 이름을 목록화하고 표준화하기 위해 별 이름 워킹 그룹(WGSN)[11]을 조직했는데, WGSN이 승인한 첫 번째 이름 목록에 '플레이오네'가 포함되어 현재 IAU 별 이름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13]

참조

[1] 논문 Pleione (BU Tau): IR Fading of the Star in 1999 - 2007
[2] 논문 Catalogue of homogeneous data in the UBV photoelectric photometric system. 1978
[3] 논문 VizieR Online Data Catalog: General Catalogue of Variable Stars (Samus+ 2007-2013)
[4] 논문 Pulkovo Compilation of Radial Velocities for 35 495 Hipparcos stars in a common system
[5] 논문 Probing the Galactic thick disc vertical properties and interfaces
[6] 논문 The Revised TESS Input Catalog and Candidate Target List
[7] 논문 Fundamental parameters and infrared excesses of Tycho-Gaia stars
[8] 논문 Critical study of the distribution of rotational velocities of be stars. I. Deconvolution methods, effects due to gravity darkening, macroturbulence, and binarity
[9] 논문 Debris Disk Evolution around a Stars
[10] 문서 Pronounced {{IPAc-en|'|p|l|ai|@|n|iː}} {{respell|PLY|anee}} or {{IPAc-en|'|p|l|iː|@|n|iː}} {{respell|PLEE|ənee}}
[11] 웹사이트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https://www.iau.org/[...] 2016-05-22
[12] 웹사이트 Bulletin of the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No. 1 http://www.pas.roche[...] 2016-07-28
[13] 웹사이트 IAU Catalog of Star Names http://www.pas.roche[...] 2016-07-28
[14] 문서 The brightness ratio of Atlas versus Pleione is derived from the [[Apparent magnitude#Calculations|formula for apparent magnitude]] and is based on their respective [[UBV photometric system|visual]] [[apparent magnitude|magnitude]]s: Atlas '''({m_A})''' at 3.62 and Pleione '''({m_P})''' at 5.05. Therefore:
[15] 웹사이트 All About The Pleiades http://www.eso.org/p[...] European Southern Observatory 2002
[16] 웹사이트 See Mercury, the Moon, and the Pleiades together in the night sky http://www.astronomy[...] 2009-04-22
[17] 논문 Parallaxes and proper motions for 20 open clusters as based on the new Hipparcos catalogue 2009
[18] 웹사이트 Finding Stellar Distances http://imagine.gsfc.[...] NASA 1997-04-15
[19] 논문 The Hipparcos Catalogue 1997
[20] 웹사이트 Hubble Refines Distance to Pleiades Star Cluster http://hubblesite.or[...] Hubblesite Newscenter 2004-06-01
[21] 간행물 66529975427235712
[22] 논문 The Story of Pleione 1943
[23] 문서 The relative size of Alcyone (''V''A) compared to Pleione (''V''P) is determined by comparing their [[Volume of a sphere|volumes]]. It is assumed that the volume of each star is reasonably approximated by the formula for a [[sphere]]:
[24] 웹사이트 Classical Be Stars http://www.lehigh.ed[...] Lehigh University
[25] 웹사이트 What is a Be star? http://www.oca.eu/st[...]
[26] 웹사이트 To B[e] or not to B[e] http://blogs.discove[...] 2009-08-05
[27] 논문 Classical Be Stars 2003
[28] 웹사이트 Be Stars http://www.shelyak.c[...] Shelyak Instruments
[29] 웹사이트 HR 20472 http://vizier.u-stra[...] VizieR,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30] 문서 The time it takes for Achernar (''T''A) and Pleione (''T''P) to rotate on its own axis is determined by taking the star's radius in solar units, multiplying by the Sun's radius in kilometers, then calculating the star's circumference at the equator and dividing by its speed of rotation ''per hour''. Therefore:
[31] 간행물 To Be or Not to Be: Is It All About Spinning? http://www.eso.org/p[...] European Southern Observatory 2006-09-20
[32] 웹사이트 Glasgow astronomers explain hot star disks http://www.spaceref.[...] SpaceRef 2002-11-01
[33] 논문 Dramatic Spectral and Photometric Changes of Pleione (28 Tau) between 2005 November and 2007 April http://pasj.asj.or.j[...] 2007
[34] 논문 Interpretation of the Long-Term Variation in Late-Type Active Be Stars 1995
[35] 논문 Disk Precession in Pleione 2007
[36] 논문 ICCD speckle observations of binary stars. IV – Measurements during 1986–1988 from the Kitt Peak 4 M telescope 1989
[37] 논문 Period Analysis of the Radial Velocity in PLEIONE 1996
[38] 웹사이트 Pleione http://www.alcyone.d[...] Alcyone (Star Information Tool) 2010-09-21
[39] 서적 The Seven Sisters of the Pleiades – Stories from around the world https://books.google[...] Spinifex Press 2010-10-07
[40] 뉴스 Nymphs http://www.paleothea[...] 2010-10-07
[41] 웹사이트 Star Names: Their Lore and Meaning https://penelope.uch[...] Dover Publications 2010-06-11
[42] 웹사이트 Pleiades Mythology http://www.naic.edu/[...] National Astronomy and Ionosphere Center 2010-06-18
[43] 웹사이트 Book 3, Chapter 10, Section 1 https://www.perseus.[...] 2010-06-17
[44] 웹사이트 Ple'one https://www.perseus.[...] John Murray 2010-06-17
[45] 웹사이트 Pleione http://www.theoi.com[...] Theoi Greek Mythology 2010-06-14
[46] 서적 Works and Days http://www.sacred-te[...] The Internet Sacred Text Archive 2010-10-13
[47] 서적 The World We Live In Simon & Schuster 1955
[48] 웹사이트 Team Pleione http://ww.marblehead[...] Marblehead International One Design Class 2010-10-07
[49] 웹사이트 Fast Boats in the 'Spirit of Tradition' http://www.tayloryac[...] 2010-10-07
[50] 웹사이트 Paul Andreu – The Oriental Arts Centre in Shanghai http://www.archinnov[...] Archinnovations 2010-10-07
[51] 문서
[52] 웹사이트 Finding Stellar Distances http://imagine.gsfc.[...] NASA 2010-09-14
[53] 논문 The Hipparcos Catalogue
[54] 웹사이트 Hubble Refines Distance to Pleiades Star Cluster https://web.archive.[...] Hubblesite Newscenter 2010-09-13
[55] 웹사이트 Gaia overview http://www.esa.int/e[...] European Space Agency 2010-09-14
[56] 논문 The Story of Pleione
[57] 웹사이트 What is a Be star? http://www.oca.eu/st[...] 2010-06-20
[58] 웹사이트 To B[e] or not to B[e] http://blogs.discove[...] 2010-09-20
[59] 논문 Classical Be Stars
[60] 웹사이트 Be Stars http://www.shelyak.c[...] Shelyak Instruments 2010-06-20
[61] 웹사이트 Classical Be Stars http://www.lehigh.ed[...] Lehigh University 2010-09-16
[62] 웹사이트 HR 20472 https://vizier.cds.u[...] VizieR, Centre de Donne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0-06-20
[63] 간행물 To Be or Not to Be: Is It All About Spinning? https://www.eso.org/[...] European Southern Observatory 2010-09-16
[64] 웹사이트 Glasgow astronomers explain hot star disks http://www.spaceref.[...] SpaceRef 2010-06-20
[65] 논문 Dramatic Spectral and Photometric Changes of Pleione (28 Tau) between 2005 November and 2007 April http://pasj.asj.or.j[...] 2010-06-13
[66] 논문 Interpretation of the Long-Term Variation in Late-Type Active Be Stars
[67] 논문 Disk Precession in Pleione
[68] 논문 ICCD speckle observations of binary stars. IV - Measurements during 1986-1988 from the Kitt Peak 4 M telescope
[69] 논문 Period Analysis of the Radial Velocity in PLEIONE
[70] 웹사이트 Pleione http://www.alcyone.d[...] Alcyone (Star Information Tool) 2010-09-21
[71] 서적 The Seven Sisters of the Pleiades - Stories from around the world https://books.google[...] Spinifex Press 2010-10-07
[72] 웹사이트 Nymphs http://www.paleothea[...] 2010-10-07
[73] 웹사이트 Star Names: Their Lore and Meaning https://penelope.uch[...] Dover Publications 2010-06-11
[74] 웹사이트 Pleiades Mythology http://www.naic.edu/[...] National Astronomy and Ionosphere Center 2010-06-18
[75] 웹사이트 Book 3, Chapter 10, Section 1 http://www.perseus.t[...] 2010-06-17
[76] 웹사이트 Plei'one http://www.perseus.t[...] John Murray 2010-06-17
[77] 웹사이트 Pleione http://www.theoi.com[...] Theoi Greek Mythology 2010-06-14
[78] 서적 Works and Days http://www.sacred-te[...] The Internet Sacred Text Archive 2010-10-13
[79] 웹인용 SIMBAD query result: PLEIONE -- Be Star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0-06-12
[80] 웹인용 Bright Star Catalogue http://vizier.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0-09-14
[81] 저널 Catalogue of homogeneous data in the UBV photoelectric photometric system. 1978
[82] 저널 Parallaxes and proper motions for 20 open clusters as based on the new Hipparcos catalogue 2009
[83] 웹인용 PLEIONE (28 Tauri) http://stars.astro.i[...] University of Illinois 2010-06-11
[84] 문서 아틀라스와 플레이오네의 밝기 비율은 두 별의 [[실시 등급]]을 [[절대 등급]] 공식에 대입하여 얻을 수 있다. 아틀라스의 실시등급'''({m_A})'''은 3.62, 플레이오네'''({m_P})'''는 5.05이다. 두 별의 밝기 비율은 다음과 같다.\n:\frac{m_A}{m_P}=2.512^{(5.05-3.62)}=3.73
[85] 웹인용 All About The Pleiades http://www.eso.org/p[...] European Southern Observatory 2010-09-15
[86] 웹인용 See Mercury, the Moon, and the Pleiades together in the night sky http://www.astronomy[...] 2010-09-14
[87] 웹인용 Hipparcos Input Catalogue, Version 2 (Turon+ 1993) http://vizier.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0-06-20
[88] 웹인용 Finding Stellar Distances http://imagine.gsfc.[...] NASA 2010-09-14
[89] 저널 The Hipparcos Catalogue 1997
[90] 웹인용 Hubble Refines Distance to Pleiades Star Cluster http://hubblesite.or[...] Hubblesite Newscenter 2010-09-13
[91] 웹인용 Gaia overview http://www.esa.int/e[...] European Space Agency 2010-09-14
[92] 저널 The Story of Pleione https://archive.org/[...] 1943
[93] 문서 알키오네의 부피(''V''A)가 플레이오네(''V''P)의 몇 배인지를 구하려면 두 별의 구체 부피를 이용하면 된다. 태양의 부피를 1로 가정하면 알키오네와 플레이오네의 부피는 다음과 같이 나온다.\n\n:''V''A ≈ {{frac|4|3}}π × 103 ≈ 4,188.79 ''V''Sun\n:''V''P ≈ {{frac|4|3}}π × 3.23 ≈ 137.26 ''V''Sun\n\n여기에서 알키오네의 부피는 플레이오네와 비교하면 4,188.79 ÷ 137.26 ≈ 30.52(또는 반올림해서 31)로 플레이오네의 약 31배이다.\n
[94] 웹인용 Classical Be Stars http://www.lehigh.ed[...] Lehigh University 2010-09-16
[95] 웹인용 What is a Be star? http://www.oca.eu/st[...] 2010-06-20
[96] 웹인용 To B'e' or not to B'e' http://blogs.discove[...] 2010-09-20
[97] 저널 Classical Be Stars 2003
[98] 웹인용 Be Stars http://www.shelyak.c[...] Shelyak Instruments 2010-06-20
[99] 웹인용 Bright Star Catalogue http://vizier.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0-06-20
[100] 웹인용 HR 20472 http://vizier.u-stra[...] VizieR,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0-06-20
[101] 문서 아케르나르가 자전축을 따라 1회 도는 데 걸리는 시간(''T''A)과 플레이오네의 1 자전시간(''T''P)은 다음과 같다.
[102] 웹인용 To Be or Not to Be: Is It All About Spinning? http://www.eso.org/p[...] European Southern Observatory 2010-09-16
[103] 웹인용 Glasgow astronomers explain hot star disks http://www.spaceref.[...] SpaceRef 2010-06-20
[104] 저널 Dramatic Spectral and Photometric Changes of Pleione (28 Tau) between 2005 November and 2007 April http://pasj.asj.or.j[...] 2010-06-13
[105] 저널 Interpretation of the Long-Term Variation in Late-Type Active Be Stars 1995
[106] 저널 Disk Precession in Pleione 2007
[107] 저널 ICCD speckle observations of binary stars. IV - Measurements during 1986-1988 from the Kitt Peak 4 M telescope 1989
[108] 저널 Period Analysis of the Radial Velocity in PLEIONE 1996
[109] 웹인용 Pleione http://www.alcyone.d[...] Alcyone (Star Information Tool) 1996
[110] 서적 The Seven Sisters of the Pleiades - Stories from around the world http://books.google.[...] Spinifex Press 2004
[111] 웹인용 Nymphs http://www.paleothea[...] 2010-07-08
[112] 웹인용 Star Names: Their Lore and Meaning http://penelope.uchi[...] Dover Publications 1963
[113] 웹인용 Pleiades Mythology http://www.naic.edu/[...] National Astronomy and Ionosphere Center 2007-04-05
[114] 웹인용 Book 3, Chapter 10, Section 1 http://www.perseus.t[...] 1921
[115] 웹인용 Plei'one http://www.perseus.t[...] John Murray 1873
[116] 서적 Works and Days http://www.sacred-te[...] The Internet Sacred Text Archive 19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