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피토 튜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토 튜브는 유체의 유속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로, 이중관 구조를 통해 정체 압력과 정압의 차이를 측정하여 유속을 계산한다. 피토 튜브는 항공기 속도 측정에 널리 사용되며, 특히 고속 항공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항공기에서는 피토 튜브와 정압공을 통해 속도, 고도 등의 정보를 얻으며, 항공기 기수, 측면, 날개 밑 등 다양한 위치에 설치된다. 피토 튜브의 결빙이나 막힘은 항공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예방 조치가 중요하다. 산업 분야에서는 덕트 내 유속 측정에 활용되며, 기상 관측소에서는 풍속계로 개조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체동역학 - 항력
    항력은 유체 내에서 움직이는 물체에 작용하여 물체의 운동을 방해하는 유체 저항력이며, 유체의 밀도, 물체의 속도, 기준 면적, 항력 계수 등에 의해 결정된다.
  • 유체동역학 - 비점성 흐름
    비점성 흐름은 유체 역학에서 점성을 무시할 수 있는 유체의 흐름을 의미하며, 레이놀즈 수가 무한대에 가까울 때 나타나 오일러 방정식으로 설명되고, 프란틀의 경계층 가설을 통해 실제 유체 흐름 모델링에 활용하며, 초유체는 점성이 없는 물질의 상태로 헬륨-4가 2.2K 이하로 냉각될 때 나타난다.
  • 항공기 - 비행기
    비행기는 엔진 추진력과 날개 양력을 이용해 하늘을 나는 운송 수단으로, 라이트 형제의 동력 비행 성공 이후 제트 엔진 등의 발전으로 기술이 발전했으며, 여객, 화물, 군사, 레저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고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전기 비행기 개발도 진행 중이다.
  • 항공기 - 여객기
    여객기는 승객 수송을 주 목적으로 하는 항공기로, 군용기 개조를 통해 본격적인 수송이 시작된 후 제트 여객기 시대를 거쳐 현재는 안전성과 경제성을 중시하며 보잉과 에어버스가 시장을 양분하고 있다.
  • 항공전자 - 무인 항공기
    무인 항공기는 조종사 없이 자율 또는 원격 조종으로 비행하는 동력 비행체로,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되어 군사 및 민간용으로 활용되지만 안전 및 보안 위협, 사이버 공격, 악의적 사용 가능성 등의 문제점도 존재한다.
  • 항공전자 - TACAN
    TACAN(태켄)은 항공기의 방위와 거리를 동시에 측정하는 항법 시스템으로, UHF 대역을 사용하여 VOR/DME 시스템의 기능을 통합했으며, 함선이나 차량에도 설치 가능하고, 거리 측정 기능은 민간에서 VORTAC으로 사용되지만, GPS 기술 발전으로 중요성은 감소하고 백업 시스템으로서의 역할이 유지될 전망이다.
피토 튜브
개요
이름피토관
분야유체역학
목적유속 측정
원리 및 구조
작동 원리정체압과 정압의 차이를 측정하여 유속 계산
구조유체가 흐르는 방향으로 향하는 관
측면에 정압을 측정하는 구멍이 있는 관
측정정체압과 정압의 차이를 측정
활용
응용 분야항공기의 속도 측정
풍동 실험
유체 흐름 연구
사용 예시항공기 날개에 장착되어 속도 측정
강이나 하천의 유속 측정
배의 속도 측정
주의 사항관이 유체의 흐름 방향과 정확히 정렬되어야 함
유체의 밀도와 온도를 고려해야 함
역사
발명앙리 피토 (1732년)
개선앙리 다르시 (1858년)
공헌루드비히 프란틀의 공헌

2. 원리

피토 튜브는 유체가 흐르는 방향에 설치되어 유체의 정체 압력을 측정한다. 정체 압력만으로는 유속을 알 수 없지만, 베르누이 방정식을 이용하면 유속을 계산할 수 있다. 베르누이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정체 압력 = 정압 + 동압'''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p_t = p_s + \left(\frac{\rho u^2}{2}\right)

여기서


  • u유속이다.
  • p_t는 정체 압력(총압)이다.
  • p_s는 정압이다.
  • \rho는 유체 밀도이다.


위 식을 유속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u = \sqrt{\frac{2 (p_t - p_s)}{\rho}}

이 방정식은 비압축성 유체에만 적용 가능하다. 액체는 대부분 비압축성으로 간주되며, 기체도 특정 조건에서는 비압축성으로 근사할 수 있다.

동압은 정체 압력과 정압의 차이로, 밀폐 용기 속 다이어프램을 이용해 측정할 수 있다. 다이어프램 한쪽이 정압, 다른 쪽이 정체 압력이면 변위는 동압에 비례한다.

항공기에서는 보통 동체 측면 정압구로 정압을 측정한다. 측정된 동압은 지시 속도를 결정하는 데 쓰인다. 속도계는 다이어프램 배열을 통해 동압을 기계적 레버로 속도 값으로 변환한다.

별도 피토 포트와 정압 포트 대신, 피토-정압관(프란틀 튜브[4])을 사용할 수 있다.

액체 기둥 마노미터로 압력 차이(\Delta p \equiv p_t - p_s)를 측정하는 경우,

:\Delta h = \frac{\Delta p}{\rho_l g}

여기서

  • \Delta h는 기둥 높이 차이다.
  • \rho_l는 마노미터 액체 밀도이다.
  • g는 표준 중력이다.


따라서,

:u = \sqrt{\frac{2 \, \Delta h \, \rho_l g}{\rho}}

2. 1. 기본 구조

피토관은 이중관 구조로 되어 있다. 안쪽 관은 유체의 흐름 방향으로 구멍이 뚫려 있고, 바깥쪽 관은 측면으로 구멍이 뚫려 있다. 두 관은 안쪽에서 압력계를 통해 연결되어 압력 차이를 측정할 수 있다.[11]

피토 정압관의 개념도. 노란색 부분에는 정압이, 흰색 부분에는 전압이 걸리고, 그 차압을 적색 센서부(다이어프램 등)에서 검출한다.


피토관은 유체의 흐름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바깥쪽 관의 측면 구멍은 흐름의 영향을 받지 않아 정압이 걸린다. 안쪽 관의 앞쪽 구멍은 정체점이 되어 전압(총압)이 걸린다. 이 전압에서 정압을 뺀 차이, 즉 동압을 측정하고 베르누이 방정식을 적용하여 유속을 계산한다.[11]

이처럼 측면 구멍(정압공)을 통해 전압과 정압을 모두 측정하는 피토관을 피토 정압관 또는 프란틀의 정압관[12]이라고 한다. 좁은 의미의 피토관은 측면에 정압공이 없고 전압만 측정한다. 이 경우 정압은 별도의 정압공에서 측정된다.

2. 2. 작동 원리

피토 튜브의 기본 구조는 이중관 형태이다. 안쪽 관은 앞부분에, 바깥쪽 관은 측면에 구멍이 있다. 두 관은 안쪽에서 압력 센서로 연결되어 압력 차이를 측정한다.

피토 튜브(Pitot tube) 안쪽, 유체흐름 (바깥쪽), u: 유체속도(Fluid velocity), h: 압력차(차압)피토관은 속도와 압력의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예시이다.



센서 앞부분을 흐름 방향에 맞추면 측면 구멍(바깥쪽 관)은 흐름의 영향을 받지 않아 정압이 생성된다. 앞부분 구멍(안쪽 관)에는 정압과 흐름에 의한 동압을 합한 정체 압력이 걸린다.[4] 이처럼 측면 구멍(정압구멍)을 통해 전체 압력과 정압을 모두 측정하는 방식을 피토 정압 튜브(프란틀 튜브)라고 한다. 좁은 의미의 피토관은 측면에 정압용 구멍이 없이 전체 압력만 측정한다. 이때 정압은 다른 위치에 설치된 정압구멍을 통해 측정된다.

피토관은 앞부분을 흐름에 정면으로 향하게 하여 사용한다. 측면 구멍(바깥쪽 관)은 흐름의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정압 ''P''s가 걸린다. 앞부분 구멍(안쪽 관)은 정체점이므로 전압(총압) ''P''t가 걸린다. 전압에서 정압을 뺀 차압(동압 ''P''d)을 측정하고, 베르누이 방정식을 적용하여 유속 ''V''를 계산한다.[11]

:V = \sqrt{\frac{2P_\mathrm{d}}{\rho}} = \sqrt{\frac{2(P_\mathrm{t}-P_\mathrm{s})}{\rho}}

여기서 ρ는 유체의 밀도이다.

단독으로 전압과 정압을 모두 측정하는 피토관을 '''피토 정압관''' 또는 '''프란틀 정압관'''[12]이라고 한다. 좁은 의미의 피토관은 전압만 측정하며, 정압은 별도 위치의 정압공에서 센서 등으로 가져온다.

실제로는 개구부 형상이 유체에 영향을 주므로, 정확한 속도 계산을 위해 보정 계수가 필요하다. 속도 V는 다음과 같다.

:V = C\sqrt{\frac{2P_\mathrm{d}}{\rho}} = C\sqrt{\frac{2(P_\mathrm{t}-P_\mathrm{s})}{\rho}}

이때 보정 계수 C는 피토 계수라고 한다. 표준 피토관은 이 계수가 1이 되도록 설계되어,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가 많다.

흐름이 초음속이면 피토관 전방에 충격파가 형성된다. 이때는 다음 '''레이리의 피토관 공식'''[13]을 사용하여 마하 수 ''M''1을 구한다.

:\frac{p_{02}}{p_1} = \left(\frac{(\gamma+1)M_1^2}{2}\right)^{\frac{\gamma}{\gamma-1}} \left(\frac{\gamma+1}{2\gamma M_1^2-(\gamma-1)}\right)^\frac{1}{\gamma-1}


  • ''p''1: 충격파 상류의 정압
  • ''p''02: 충격파 하류의 전압 (피토관으로 직접 측정)
  • ''γ'': 비열비

3. 항공기의 피토관

보잉 777의 피토 튜브 위치


어느 정도 이상 고속의 항공기에서 피토 튜브는 가장 일반적인 속도 계측 수단이다(비행선 정도의 저속이 측정 하한). 다른 항공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양력이 적은 제트기에서는 특히 착륙 시의 대기 속도를 알 수 없는 것은 치명적이므로, 이륙 전에 피토 튜브 커버 제거 확인 작업이 중요하다.[5]

피토-정압 시스템은 항공기의 대기 속도, 마하 수, 고도, 고도 추세를 결정하기 위해 가장 자주 사용되는 압력 감지 시스템이다. 피토-정압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피토관, 정압 포트 및 피토-정압 계측기로 구성된다. 피토-정압 시스템 판독값의 오류는 매우 위험할 수 있다.[6]

1996년 아에로페루 603편 추락 사고는 기체 세척 시 피토 튜브에 장착된 마스킹 테이프를 제거하지 않은 채 이륙하여 정확한 고도와 속도를 감지할 수 없어 발생했다.

피토 정압관 또는 순수한 피토 튜브와 동체 측면 등에 설치된 정압공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속도나 고도(정압은 고도 지시에도 이용된다)와 같은 매우 중요한 시스템에서는 여러 개의 피토 튜브와 여러 개의 계기를 서로 독립적으로 설치하여 중복성을 향상시키는 경우가 많다.

또한, 정확한 속도를 측정할 수 없으므로 전압을 피토 튜브에서 센서나 계기로 이끄는 튜브나 호스에는 누설(샘)이 있어서는 안 된다.

3. 1. 설치 위치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 피토 튜브는 항공기 경계층의 외측이면서 흐름의 산란이 작은 장소에 설치된다.

  • 기수 앞단: 현대의 전투기다소 미라주 F1에 많이 사용되는 방식이다. 시험 비행을 실시하는 프로토 타입의 항공기에서는 한층 더 정확한 계측이 요구되기 때문에 긴 붐(막대) 형태로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 기수 측면: 여객기헬리콥터에 주로 사용되는 방식이다. 측풍의 영향도 고려해서 보통 기수의 양측면에 설치된다.
  • 날개 밑: 단발의 소형 프로펠러기 등에서 기수에 설치할 수 없는 경우, 동체로부터 약간 떨어진 날개 아래쪽 면에 놓이는 일이 있다.


기수 측면과 날개 밑의 경우, 유속이 늦은 항공기 경계층으로부터 거리를 얻기 위해서 보통 L자형으로 굽힐 수 있다. 정압구멍을 따로 가지는 시스템의 경우, 측풍에 의한 오차를 경감하기 위해 정압구멍은 보통 동체 양측면에 설치된다.

기수 끝에 피토 튜브를 장착한 F-16. 보호 덮개에서 늘어진 빨간색 태그(스트리머)에는 "REMOVE BEFORE FLIGHT(비행 전에 제거)"라고 적혀 있다


F-18의 피토 튜브


세콰이어 팔코 F8L. 좌익 하단


세스나 182. 좌익 하단


F-104J. 기수 선단

3. 2. 항공 사고 사례

아우스트랄 항공 2553편, 노스웨스트 항공 6231편, 버겐에어 301편 추락 사고, 그리고 두 대의 X-31 중 한 대에서 발생한 사고 등이 피토-정압 시스템 고장으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6]

사고명발생 날짜내용
버겐에어 301편 추락 사고1996년 2월 6일보잉 757 여객기 301편이 이륙 직후 기장 측 속도계는 작동하지 않고, 정상이었던 부조종사 측 속도계도 고장이라고 오인하여 속도 초과를 피하려다 실속하여 추락했다. 25일간 주기하면서 피토관 덮개를 씌우지 않아 벌이 들어가 둥지를 지은 것으로 추정된다.
아에로페루 603편 추락 사고1996년 10월 2일보잉 757 여객기 603편이 이륙 직후 고도계 및 속도계가 작동하지 않는다고 관제소에 알리고 리마로 회항했다. 그러나 야간 해상 비행 중 지상 참조물이 없어 초저고도 비행 상태에서 주 날개를 해면에 접촉시켜 추락, 탑승자 전원이 사망했다. 원인은 출발 전 기체 세척 시 피토관의 정압공을 보호하기 위해 붙인 마스킹 테이프를 제거하지 않고 이륙했기 때문이다.
아우스트랄 항공 2553편 추락 사고1997년 10월 10일DC-9 여객기가 우루과이강 연안 늪지에 추락했다. 피토관 결빙으로 속도계 수치가 떨어지자 조종사가 추력을 높인 후 슬랫을 전개했다. 슬랫으로 인해 날개 기류가 교란되어 기체가 통제 불능 상태로 시속 1200km로 추락, 탑승자 74명 전원이 사망했다.
중화항공 사가 공항 활주로 이탈 사고2007년 10월중화항공 보잉 737 여객기가 사가 공항 활주로를 이탈하여 이륙한 후 계기 이상으로 회항하는 문제가 발생했다. 원인은 피토관 내부에 벌레가 들어갔기 때문이다. 이 항공기는 당일 왕복 비행 예정으로 덮개를 준비하지 않았고, 덮개 없이 주기했던 것이 문제였다.
에어 프랑스 447편 추락 사고2009년 6월 1일에어버스 A330 여객기가 대서양에 추락했다. 원인은 피토관 결빙으로 속도계가 멈췄을 때 실속 경고가 울렸음에도 불구, 경험 부족한 부조종사가 조종간을 기수 상승 방향으로 당겼기 때문이다. 기체는 제어 불능으로 해면에 추락, 탑승자 전원이 사망했다.[7]



프랑스 항공 안전 당국 BEA는 피토관 결빙이 에어 프랑스 447편 추락의 기여 요인이라고 밝혔다.[7] 2008년 에어 카리브는 A330 항공기에서 피토관 결빙 고장으로 인한 두 건의 사고를 보고했다.[8]

4. 산업 응용

산업 분야에서 측정되는 유속은 종종 덕트와 튜빙 내에서 흐르는 유속이며, 풍속계로 측정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측정에는 피토 튜브가 가장 실용적이다. 피토 튜브는 덕트의 작은 구멍을 통해 삽입되며, U자형 수주계 또는 기타 차압 압력계에 연결되어 덕트 내 풍동의 유속을 결정한다. 이 기술은 조정된 공간으로 전달되는 공기의 양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덕트 내 유체 흐름 속도는 다음을 사용하여 추정할 수 있다.


  • 부피 유량 (1m3/초) = 덕트 면적 (1m2) × 유속 (1m/초)
  • 부피 유량 (약 28.32L3/분) = 덕트 면적 (1ft2) × 유속 (약 0.30m/분)


항공 분야에서 항공기 속도는 일반적으로 노트로 측정된다.

풍속이 높은 기상 관측소에서는 피토 튜브를 개조하여 피토 튜브 정압 풍속계라는 특수한 유형의 풍속계를 만든다.[9]

마운트 워싱턴 천문대의 기상 장비. 피토 튜브 정압 풍속계가 오른쪽에 있다.

참조

[1] 논문 Description d'une machine pour mesurer la vitesse des eaux courantes et le sillage des vaisseaux http://gallica.bnf.f[...] 2009-06-19
[2] 논문 Note relative à quelques modifications à introduire dans le tube de Pitot http://gallica.bnf.f[...] 2009-07-31
[3] 간행물 Venturi effect and Pitot tubes {{!}} Fluids {{!}} Physics {{!}} Khan Academy https://www.youtube.[...] 2019-12-15
[4] 뉴스 How Aircraft Instruments Work. https://books.google[...] Popular Science 1944-03
[5] 서적 Guided Flight Discovery - Private Pilot Jeppesen Sanderson
[6] 웹사이트 NASA Dryden news releases. (1995) http://www.nasa.gov/[...]
[7] 뉴스 Training flaws exposed in Rio-Paris crash report https://www.reuters.[...] 2012-10-05
[8] 웹사이트 Air Caraibes Atlantique memo details pitot icing incidents http://www.flightglo[...] 2012-02-19
[9] 웹사이트 Instrumentation: Pitot Tube Static Anemometer, Part 1 http://www.accuweath[...] Mount Washington Observatory 2014-07-14
[10] 서적 空気力学の歴史 京都大学学術出版会
[11] 서적 流体力学 培風館
[12] 서적 流体力学 シュプリンガー・ジャパン
[13] 서적 圧縮性流体力学 理工学社
[14] 문서 これによって得られる正確な対気速度が位置誤差較正に必要であるた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