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립 하비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필립 하비브는 미국의 외교관으로, 1949년 외교관으로 경력을 시작하여 캐나다, 뉴질랜드, 대한민국, 남베트남 등에서 근무했다. 그는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국무부 차관보, 파리 평화 회담 미국 대표단 참모장, 주한 미국 대사, 국무부 정무차관 등을 역임했다. 1973년 김대중 납치 사건 당시 김대중의 구명에 기여했으며, 중동 특사로 임명되어 베이루트에서 팔레스타인 해방기구의 철수를 위한 평화 협상을 감독하여 대통령 자유 훈장을 받았다. 또한 필리핀과 중앙아메리카에서 특사로 활동했으며, 1992년 프랑스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국무부 동아시아 태평양 차관보 - 리처드 홀브룩
리처드 홀브룩은 미국의 외교관이자 정치인으로, 여러 정부에서 주요 외교 현안에 관여하며 데이턴 평화 협정으로 보스니아 전쟁 종식에 기여하고 유엔 주재 미국 대사로서 미국의 유엔 분담금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 미국의 국무부 동아시아 태평양 차관보 - 리처드 아미티지 (정치인)
리처드 아미티지는 미국의 정치인이자 외교관으로, 해군 출신으로 레이건 및 부시 행정부에서 요직을 맡아 외교안보 분야에서 활동하며 아시아 정책, 특히 미일 동맹 강화에 기여했으나 플레임 사건에 연루되기도 했다. - 아이다호 대학교 동문 - 댄 오브라이언
미국의 육상 선수 댄 오브라이언은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10종 경기 금메달리스트이자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3회 우승자이며, 1992년에는 10종 경기 세계 신기록을 세웠고, 은퇴 후에는 저술, 모델, 방송 해설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 아이다호 대학교 동문 - 브래드 리틀 (정치인)
브래드 리틀은 2019년부터 현재까지 제33대 아이다호 주지사로 재직하며, 보수적인 정책을 추진하고 2018년과 2022년 주지사 선거에서 승리했다. - 대한민국 주재 미국 대사 - 리처드 스나이더
리처드 스나이더는 미국의 외교관이자 관료로, 국무부 외교관, NSC 수석보좌관, 주일 미국 대사관 수석 공사,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국무차관보 대리 등을 역임했으며 오키나와 반환 협상에 기여하고 주한 미국 대사로서 한미 관계에 관여했다. - 대한민국 주재 미국 대사 - 윌리엄 글라이스틴 주니어
윌리엄 글라이스틴 주니어는 미국의 외교관으로 국무부 동아태 부차관보와 주한 미국 대사를 지내며 한국 현대사의 격변기와 한미 관계의 주요 현안들을 다루었고 동아시아 문제 전문가로서 외교관계협의회 연구소장으로 활동했다.
필립 하비브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필립 찰스 하비브 |
출생일 | 1920년 2월 25일 |
출생지 | 브루클린, 뉴욕, 미국 |
사망일 | 1992년 5월 25일 |
사망지 | 퓔리니몽라셰, 프랑스 |
사망 원인 | 심장 부정맥 |
안장지 | 골든 게이트 국립묘지, 샌 브루노, 미국 |
거주지 | 벨몬트, 미국 |
배우자 | 마저리 W. 슬라이트햄 (1943년–1992년, 사망) |
자녀 | 딸 2명 |
부모 | 이스칸데르 (알렉스) 하비브 자무스 & 미리암 (메리) 스피리돈 하비브 |
학력 | |
모교 | 아이다호 대학교 (이학사)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철학 박사) |
직업 | |
직업 | 외교관 |
알려진 업적 | 셔틀 외교 |
군 복무 | |
소속 | 미국 육군 |
복무 기간 | 1942년–1946년 |
계급 | 대위 |
수상 | |
수상 | [[파일:President's Award for Distinguished Federal Civilian Service.png|24px]] 대통령 공훈 훈장 (1979년) 대통령 자유 훈장 (외교, 1982년) 레지옹 도뇌르 (프랑스, 1988년) |
미국 국무부 | |
제9대 | 정치 담당 국무차관 |
임기 시작 | 1976년 7월 1일 |
임기 종료 | 1978년 4월 1일 |
전임자 | 조지프 J. 시스코 |
후임자 | 데이비드 D. 뉴섬 |
대통령 | 제럴드 포드 지미 카터 |
제12대 | 동아시아 및 태평양 담당 국무차관보 |
임기 시작 | 1974년 9월 27일 |
임기 종료 | 1976년 6월 30일 |
전임자 | 로버트 S. 잉거솔 |
후임자 | 아서 W. 험멜 주니어 |
대통령 | 제럴드 포드 |
대한민국 주재 미국 대사 | |
제9대 | 주한 미국 대사 |
임기 시작 | 1971년 10월 10일 |
임기 종료 | 1974년 8월 19일 |
전임자 | 윌리엄 J. 포터 |
후임자 | 리처드 스나이더 |
대통령 | 리처드 닉슨 제럴드 포드 |
2. 초기 생애 및 교육
필립 하비브는 뉴욕주 브루클린에서 레바논계 마론파 가톨릭 신자 부모 사이에서 태어나 벤슨허스트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5] 그의 아버지는 식료품점을 운영했다.[6] 뉴 유트렉트 고등학교를 졸업하고,[7] 배송 직원으로 일하다 아이다호 대학교에서 임학을 전공했다.[4][7] 1942년 아이다호 대학교 임학대학(현 자연자원대학)을 졸업했다.[7][9][10]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 육군에 복무하여 대위까지 진급했으며, 1946년 제대했다.[11] 이후 G.I. 법안을 통해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농업경제학 박사 과정을 밟아 1952년 박사 학위를 받았다.[11][10] 1947년 미국 외교관 채용 시험에 합격하여 외교관의 길을 걷게 되었다.[12]
2. 1. 출생 및 성장 배경
필립 하비브는 1920년 뉴욕주 브루클린에서 레바논 출신 마론파 가톨릭 신자 부모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는 벤슨허스트 지역의 유대인이 주로 거주하는 곳에서 성장했다.[5] 그의 아버지는 식료품점을 운영했다.[6]하비브는 뉴 유트렉트 고등학교를 졸업하고,[7] 배송 직원으로 일하다가 아이다호 대학교에서 임학을 전공했다.[4][7] 1942년 아이다호 대학교 임학대학(현 자연자원대학)을 졸업한 후,[7][9][10]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 육군에 복무하여 대위까지 진급했다. 1946년 제대 후, G.I. 법안을 통해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농업경제학 박사 과정을 밟아 1952년 박사 학위를 받았다.[11][10]
1947년, 미국 외교관 채용 담당자들이 버클리 캠퍼스를 방문했을 때, 하비브는 외교관 시험에 응시하여 전국 상위 10% 안에 들었다.[12]
2. 2. 학력
뉴욕주 뉴욕 브루클린에서 태어나 벤슨허스트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배달원으로 일하며 1942년 아이더호 대학교 임학과를 졸업했다.[7] 1946년까지 미국 육군에서 복무하며 대위로 전역했다.[11] 1952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농업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11][10]3. 외교관 경력
1981년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은 하비브를 중동 특사로 임명하여 레바논 내전 종식에 기여하게 했다.[21][22] 하비브는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가 포위된 베이루트에서 철수하도록 평화 협상을 이끌었다. 1982년 이러한 공로로 대통령 자유훈장을 받았다.[23]
1986년 초 레이건은 하비브를 필리핀에 보내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의 사퇴를 설득했다. 같은 해 3월에는 중앙아메리카 특사로 임명되어 니카라과 분쟁에서 미국의 이익을 증진하려 했다.[24] 오스카 아리아스 코스타리카 대통령의 민주화 계획을 지원했고, 1987년 8월 7일 중앙아메리카 5개국 대통령들이 아리아스 계획에 합의하는 데 기여했다. 그러나 추가 협상을 위해 다니엘 오르테가 니카라과 대통령과 만나려 했으나 레이건 대통령의 반대로 무산되자, 하비브는 특사직을 사임했다.[26][27][28]
3. 1. 초기 경력

1949년부터 외교관 생활을 시작하여 캐나다, 뉴질랜드, 대한민국(두 번), 남베트남 등에서 근무했다. 1967년부터 1969년까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국무부 차관보를 역임했고, 1968년부터 1971년까지 파리 평화 회담 미국 대표단의 참모장을 지냈다.[13] 1969년에는 록펠러 공공봉사상을, 1970년에는 전국 공무원 연맹의 공로상을 수상했다.[13]
주한 미국 대사(1971~1974),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국무차관보(1974~1976), 국무부 정무차관(1976~1978) 등 요직을 거쳤다.[14] 미국 외교관 협회 회장을 역임하기도 했다.[13]
1973년 주한 미국 대사 시절, 김대중 납치 사건이 발생하자 김대중의 구명에 적극적으로 나섰다.[15][16] 당시 한국 주재 CIA 국장이었던 도널드 P. 그레그는 하비브가 박정희 정권에 김대중을 계속 감금하는 것은 미국과 한국의 관계를 손상시킬 것이라고 강력하게 경고했다고 회상했다. 하비브는 이 사건을 "어리석은 정부의 폭력 행위"라고 비판했다.[18] 김대중은 훗날 한국 최초의 야당 출신 대통령이 되었고, 북한과의 화해 노력으로 2000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하비브는 워싱턴 복귀 후에도 한국의 인권 신장을 위해 노력했으며, 1974년에는 정치 탄압 종식을 요구하다 헨리 키신저 국무장관에게 질책을 받기도 했다.[18]
1977년 1월 국무장관 대행을 역임했다.[19] 키신저 국무장관으로부터 "미국 외교 정책 발전과 해외에서 국가 이익 증진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공로로 명예훈장을 받았다.[13]
1978년 캠프 데이비드 협정 체결을 위한 협상을 지원했다.[20] 같은 해 심장마비로 인해 국무부 정무차관직에서 사퇴했다.[13]
3. 2. 베트남 전쟁
1949년부터 외교관 생활을 시작한 하비브는 캐나다, 뉴질랜드, 대한민국(두 번), 남베트남 등에서 근무했다. 1967년부터 1969년까지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를 역임했고, 1968년부터 1971년까지 파리 평화 회담 미국 대표단의 일원으로 참여했다.[13]3. 3. 주한 미국 대사 시절 (1971-1974)
하비브는 1971년부터 1974년까지 주한 미국 대사를 역임했다.[14] 1973년 주한 미국 대사 시절, 한국의 야당 지도자 김대중이 납치되었는데, 하비브는 자신의 개입이 김대중의 목숨을 구했다고 말했다.[15][16] 윌리엄 H. 글레이스틴도 이와 같은 견해를 밝혔다.[17] 당시 한국 주재 CIA 국장이었던 도널드 P. 그레그는 하비브가 박정희 정권에 김대중을 계속 감금하는 것은 미국과 한국의 관계를 손상시킬 것이라고 강력하게 강조했다고 회상했다. 하비브는 이 납치 사건을 "어리석은 정부의 폭력 행위"라고 불렀다.[18] 김대중은 이후 한국 최초의 야당 출신 대통령이 되었고, 북한과의 화해 노력으로 2000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워싱턴으로 돌아온 후에도 하비브는 한국의 인권 신장을 위해 강력하게 옹호했다. 1974년 하비브는 정치 탄압 종식을 계속 요구한 것에 대해 국무장관 헨리 키신저로부터 질책을 받았다.[18]3. 4. 국무부 요직 역임
1967년부터 1969년까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국무부 차관보를 역임했고, 1968년부터 1971년까지 파리 평화 회담 미국 대표단의 참모장을 지냈다. 1969년에는 록펠러 공공봉사상을, 1970년에는 전국 공무원 연맹의 공로상을 수상했다.[13] 주한 미국 대사(1971~1974),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국무차관보(1974~1976), 국무부 정무차관(1976~1978)을 역임했다.[14] 미국 외교관 협회 회장을 역임하기도 했다.[13]1973년 주한 미국 대사로 재임하던 중, 한국의 야당 지도자 김대중이 납치되었을 때, 하비브는 자신의 개입이 김대중의 목숨을 구했다고 말했다.[15][16] 윌리엄 H. 글레이스틴도 이러한 견해를 공유했다.[17] 당시 한국 주재 CIA 국장이었던 도널드 P. 그레그는 하비브가 박정희 정권에 김대중을 계속 감금하는 것은 미국과 한국의 관계를 손상시킬 것이라고 강력하게 강조했다고 회상했다. 하비브는 이 납치 사건을 "어리석은 정부의 폭력 행위"라고 불렀다.[18] 김대중은 이후 한국 최초의 야당 출신 대통령이 되었고, 북한과의 화해 노력으로 2000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워싱턴으로 돌아온 후에도 하비브는 한국의 인권 신장을 위해 강력하게 옹호했다. 1974년 하비브는 정치 탄압 종식을 계속 요구한 것에 대해 국무장관 헨리 키신저로부터 질책을 받았다.[18]
1977년 1월 국무장관 대행을 역임했다.[19] 키신저 국무장관으로부터 "미국 외교 정책 발전과 해외에서 국가 이익 증진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공로로 명예훈장을 받았다.[13]
3. 5. 중동 특사 (1981-1986)
1978년 캠프 데이비드 협정 체결을 위한 협상을 지원했다.[20] 같은 해 심각한 심장마비로 인해 국무부 정무차관직에서 사퇴해야 했다.[13] 1981년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은 그를 중동 특사로 임명했다.[21][22] 하비브는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가 포위된 베이루트에서 철수할 수 있도록 하는 평화 협상을 감독했다. 1982년 이러한 노력으로 미국 정부가 미국 시민에게 수여하는 최고의 공식 훈장인 대통령 자유훈장을 받았다.[23]3. 6. 필리핀 민주화 지원
1986년 초,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은 하비브를 필리핀으로 보내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에게 사퇴를 설득했다.[24]3. 7. 중앙아메리카 특사 (1986-1987)
1986년 3월,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은 하비브를 중앙아메리카 특사로 임명하여 니카라과 분쟁에서 미국의 이익을 증진시키려 했다.[24] 행정부 강경파는 그의 명성과 지위를 이용하여 군사적 해결책, 즉 콘트라에 대한 추가 자금 지원을 추진하려 했다.[25]오스카 아리아스 신임 코스타리카 대통령은 민주화에 초점을 맞춘 계획을 세웠다. 하비브는 아리아스 계획에 허점이 많다고 생각했지만, 계획 개정을 돕고 다른 중앙아메리카 정부에 이를 홍보했다.
1987년 8월 7일, 중앙아메리카 5개국 대통령들이 아리아스 계획에 원칙적으로 동의했다. 추가 협상을 위해서는 하비브가 다니엘 오르테가 니카라과 대통령과 직접 만나야 했지만, 레이건 대통령은 그에게 여행을 금지했다. 하비브는 더 이상 대통령의 신임을 얻지 못했다고 판단하고 사임했다.[26][27][28]
4. 사망 및 유산
1992년 프랑스 프리니-몽라셰에서 휴가 중 심장 부정맥으로 쓰러져 72세의 나이로 5월 25일 사망했다.[29]
4. 1. 평가

조지 슐츠 전 국무장관은 캘리포니아주 벨몬트에서 열린 그의 장례식에서 하비브를 "...정말로 변화를 가져온 사람"이라고 묘사했다.[6] 그는 샌프란시스코 남쪽에 위치한 샌브루노의 골든 게이트 국립묘지에 안장되었다.[30] 다음 주 워싱턴의 국립 대성당에서 열린 추모식에는 헨리 키신저와 사이러스 밴스 전 국무장관, 그리고 미래의 국무장관이자 그의 동료였던 로렌스 이글버거를 포함한 여러 인사들이 참석했다.[31]
2006년 하비브는 저명한 외교관들을 기리는 6개의 미국 우표 중 하나에 등장했다.[32] 2013년 레바논 주니예시는 우정 광장에 있는 다른 "국민 영웅들" 사이에 하비브의 흉상을 공개했다.[33]
하비브는 1982년 워렌 제본의 노래 "The Envoy"의 주제가 되었다.[34]
4. 2. 기타
1992년 프랑스 휴가 중 프리니-몽라셰에서 심장 부정맥으로 쓰러져 72세의 나이로 5월 25일 사망했다.[29]
조지 슐츠 전 국무장관은 캘리포니아주 벨몬트에서 열린 그의 장례식에서 하비브를 "...정말로 변화를 가져온 사람"이라고 묘사했다.[6] 그는 샌프란시스코 남쪽에 위치한 샌브루노의 골든 게이트 국립묘지에 안장되었다.[30] 다음 주 워싱턴의 국립 대성당에서 열린 추모식에는 헨리 키신저와 사이러스 밴스 전 국무장관, 그리고 미래의 국무장관이자 그의 동료였던 로렌스 이글버거를 포함한 여러 인사들이 참석했다.[31]
2006년 하비브는 저명한 외교관들을 기리는 6개의 미국 우표 중 하나에 등장했다.[32] 2013년 레바논 주니예시는 우정 광장에 있는 다른 "국민 영웅들" 사이에 하비브의 흉상을 공개했다.[33]
하비브는 1982년 워렌 제본의 노래 "The Envoy"의 주제가 되었다.[34]
참조
[1]
뉴스
Profile – Philip Habib, Mideast envoy
https://news.google.[...]
1981-05-08
[2]
뉴스
Phillip Habib was a diplomat's diplomat
https://news.google.[...]
2015-07-03
[3]
서적
One Brief Miracle: The Diplomat, the Zealot, and the Wild Blundering Siege
[4]
뉴스
Man in the News; Tireless trouble-shooter for the U.S.
https://www.nytimes.[...]
2014-03-06
[5]
뉴스
Philip C. Habib, a leading U.S. diplomat, dies at 72
https://www.nytimes.[...]
2014-03-06
[6]
뉴스
Habib 'really made a difference'
https://news.google.[...]
1992-06-02
[7]
간행물
Seniors
http://issuu.com/uid[...]
Gem of the Mountains, University of Idaho yearbook
[8]
뉴스
Diplomatic trouble-shooter Philip Habib dies
https://news.google.[...]
1992-05-27
[9]
뉴스
Habib recalls 'poor and happy' UI days
https://news.google.[...]
1987-04-25
[10]
뉴스
Habib habits: Facts, humor, pressure, honesty
https://news.google.[...]
1987-04-25
[11]
뉴스
Philip Habib; U.S. envoy, trouble-shooter
https://www.latimes.[...]
2014-03-06
[12]
서적
Cursed Is the Peacemaker
[13]
학술지
Habib resigns No. 3 post; Newsom chosen
https://babel.hathit[...]
1978-04
[14]
뉴스
Habib's mark: quiet competence
https://news.google.[...]
1982-08-21
[15]
서적
One Brief Miracle
[16]
뉴스
Saving Kim Dae-jung: A tale of two dissident diplomats
http://www.boston.co[...]
2009-08-24
[17]
서적
Massive Entanglement, Marginal Influence: Carter and Korea in Crisis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2-01
[18]
서적
From Selma to Moscow: how human rights activists transformed U.S. foreign policy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8
[19]
웹사이트
Philip Charles Habib (1920–1992)
https://history.stat[...]
2021-11-13
[20]
웹사이트
The Political Graveyard: Arabic ancestry Politicians
https://politicalgra[...]
2024-10-18
[21]
뉴스
When Philip Habib talks peace—with his hands—Israel and the Arabs pay heed
http://www.people.co[...]
2014-03-06
[22]
서적
One Brief Miracle
[23]
뉴스
Habib awarded highest civilian medal
https://news.google.[...]
1982-09-08
[24]
뉴스
Habib's new stand is in Nicaragua
https://news.google.[...]
1986-03-08
[25]
서적
Necessary illusions: thought control in democratic societies
https://books.google[...]
[26]
뉴스
Habib resigns; frustration on Latin talks cited
https://news.google.[...]
1987-08-15
[27]
뉴스
Latin policy spat tied to Habib resignation
https://news.google.[...]
1987-08-15
[28]
뉴스
Habib resigns as special aide; rift is reported
https://news.google.[...]
1987-08-15
[29]
뉴스
Diplomat Philip Habib dies
https://news.google.[...]
1992-05-27
[30]
웹사이트
Golden Gate National Cemetery: Philip Habib
http://interment.net[...]
Interment.net
2014-03-06
[31]
뉴스
Habib remembered as a blunt diplomat who defied clichés
https://www.nytimes.[...]
2014-03-06
[32]
보도자료
SIX DISTINGUISHED DIPLOMATS HONORED ON U.S. POSTAGE STAMPS
http://www.prnewswir[...]
United States Postal Service
2015-05-08
[33]
서적
One Brief Miracle
[34]
뉴스
Song Inspired by Habib Urges, 'Send the Envoy'
https://www.nytimes.[...]
1982-11-03
[35]
서적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64-1968. Vietnam
United States Government Printing Office
[36]
서적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69-1976. Southeast Asia
United States Government Printing Office
[37]
웹사이트
Saving Kim Dae-jung: A tale of two dissident diplomats
http://www.boston.co[...]
The Boston Globe
2009-08-24
[38]
서적
Necessary Illusions: Thought Control in Democratic Societies
South End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