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스타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스타티는 고대 로마 군대의 초기 군단에서 사용된 보병 부대의 명칭이다. 로마 군사 체계 개혁을 통해 하스타티는 재산, 나이, 경험에 따라 분류되었으며, 창이나 검을 주 무기로 사용했다. 하스타티는 전투에서 첫 번째 전열을 담당했으며, 필요에 따라 후방의 부대와 교대하여 전투를 수행했다. 기원전 107년 마리우스 군제개혁으로 인해 하스타티를 포함한 계층별 부대 구분은 사라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로마의 부대 및 조직 - 프린키페스
프린키페스는 로마 군대의 주요 보병 부대로, 초기에는 부유한 계층으로 구성되어 하스타를 사용했으나, 포에니 전쟁 시기 폴리비우스식 군제개혁으로 베테랑 중보병 부대가 되어 글라디우스와 필룸을 사용했으며, 마리우스의 군제개혁 이후에는 다른 계급과 통합되어 중보병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했다. - 고대 로마의 부대 및 조직 - 트리아리이
트리아리이는 로마 공화정 시대 군단의 최정예 중장보병 부대로, 초기에는 재산에 따라 선발되었으나 후에는 베테랑으로 구성되어 하스타티와 프린키페스 패배 시 투입되는 예비대였으나, 마리우스의 군제개혁 이후 해체되었다. - 로마 공화정의 부대 및 조직 - 프린키페스
프린키페스는 로마 군대의 주요 보병 부대로, 초기에는 부유한 계층으로 구성되어 하스타를 사용했으나, 포에니 전쟁 시기 폴리비우스식 군제개혁으로 베테랑 중보병 부대가 되어 글라디우스와 필룸을 사용했으며, 마리우스의 군제개혁 이후에는 다른 계급과 통합되어 중보병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했다. - 로마 공화정의 부대 및 조직 - 트리아리이
트리아리이는 로마 공화정 시대 군단의 최정예 중장보병 부대로, 초기에는 재산에 따라 선발되었으나 후에는 베테랑으로 구성되어 하스타티와 프린키페스 패배 시 투입되는 예비대였으나, 마리우스의 군제개혁 이후 해체되었다. - 고대 로마의 보병부대 - 비길레스
비길레스는 고대 로마의 공공 소방대이자 야경꾼으로서 화재 진압, 치안 유지, 도망 노예 체포 등의 역할을 수행했으며, 아우구스투스 황제에 의해 창설되어 7개의 코호르트로 로마 시를 순찰하며 활동했다. - 고대 로마의 보병부대 - 프린키페스
프린키페스는 로마 군대의 주요 보병 부대로, 초기에는 부유한 계층으로 구성되어 하스타를 사용했으나, 포에니 전쟁 시기 폴리비우스식 군제개혁으로 베테랑 중보병 부대가 되어 글라디우스와 필룸을 사용했으며, 마리우스의 군제개혁 이후에는 다른 계급과 통합되어 중보병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했다.
| 하스타티 | |
|---|---|
| 지도 | |
| 개요 | |
| 종류 | 보병 |
| 소속 | 로마군 |
| 복무 시기 | 기원전 4세기 ~ 기원전 107년 |
| 역할 | 백병전, 창과 검 전투 |
| 장비 | |
| 무기 | 글라디우스 필룸 |
| 방어구 | 몬테포르티노 투구 키라쓰 스쿠툼 정강이받이 |
| 역사 | |
| 창설 시기 | 기원전 4세기 |
| 개혁 | 마리우스의 군제개혁 (기원전 107년) 이후 폐지 |
| 배치 | 마니풀루스 편제 제1열 배치 |
| 특징 | |
| 구성원 | 주로 젊고 경험이 적은 병사들 |
| 계급 | 부유한 시민, 기병대 출신 |
| 전술 | 투창으로 공격 후 백병전 |
| 기타 | |
| 어원 | '창병'을 의미하는 라틴어 'hasta'에서 유래 |
2. 역사와 사용

하스타티는 로마 왕정 시기 에트루리아 왕의 통치 아래 있던 군대의 옛 제3계층 잔재에서 등장했다.[1] 이들은 팔랑크스 뒤쪽 열에 속했고, 주로 고위 계층에 탄환 및 화살 등을 지원했지만 하스타티와 유사한 장비를 갖췄다. 펜로즈와 소던은 삼니움인과의 교전, 갈리아군 지휘관 브렌누스에 의한 괴멸 등을 통해 로마인들이 소규모 부대 단위의 유연성과 이탈리아 중부의 험준한 지형에서 팔랑크스의 부적절함을 깨달았을 것이라 추측한다.[2][3]
기원전 4세기, 로마는 에트루리아인에게서 물려받은 군대를 사용했다. 기원전 390년 갈리아인의 에트루리아 침략 때 파견된 소규모 로마 부대는 알리아 전투에서 패배했고, 이는 마르쿠스 푸리우스 카밀루스의 군제 개혁을 촉발했다.[7] 새 체제에서 병사들은 재산에 따라 분류되었고, 하스타티는 세 번째로 가난한 계급이었다. 이들은 최대 1.8m 길이의 하스타 창으로 무장했고, 여기서 이름을 따왔다. 보통 큰 직사각형 스쿠타 방패와 청동 투구를 착용했고, 키를 커 보이게 하려고 깃털을 꽂았다. 가벼운 갑옷과 "심장 보호대"라 불리는 작은 흉갑을 착용했다.[4]
결전에서 레베스(Leves)는 레기온 전면에 형성되어 하스타티 진격을 엄호하며 창으로 적을 공격했다. 하스타티가 적을 돌파 못하면 프린키페스가 맡고, 이들도 실패하면 트리아리(Triarii) 창병이 교전했다. 에퀴테스(Equites) 기병은 측면 공격과 패주하는 적 추격에 사용되었다.[7]
기원전 3세기 포에니 전쟁 시기, 카밀루스식 조직은 비효율적이었다. 폴리비우스식 체계에선 보병이 재산이 아닌 나이와 경험에 따라 분류되었고, 하스타티는 가장 젊고 경험 적은 병사였다.[8] 이전과 역할은 유사했지만, 창 대신 글라디우스 검과 필룸 투창을 휴대했다.[9]
하스타티는 군단당 1,200명으로, 120명씩 10개 마니플루스를 구성했다.[10] 로라리(Rorarii), 악센시(Accensi)는 해산, 레베스(Leves)는 벨리테스(Velites)로 대체되었다. 전투 방식은 벨리테스가 전면에 집결해 투창으로 하스타티 진격을 지원하고, 하스타티가 적 돌파에 실패하면 프린키페스가, 이들도 실패하면 트리아리가 교전하는 방식이었다.[11]
이 전투 서열은 그란디 평원 전투, 자마 전투를 제외하면 거의 항상 따랐다. 그란디 평원 전투에선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가 하스타티 교전 시작 후 프린키페스와 트리아리를 측면 공격 부대로 사용해 카르타고군을 격파했다.[12][13] 자마 전투에선 스키피오가 병사들을 넓게 배치해 카르타고 코끼리를 벨리테스가 격파하게 하고, 이후 트리아리와 프린키페스를 중앙에, 하스타티를 측면에 배치해 카르타고 보병과 교전했다.[13]
기원전 107년, 가이우스 마리우스의 개혁으로 기존 부대 유형은 완전히 해체되었다.[14] 보조군이 궁수, 척후병, 기병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15]
2. 1. 카밀루스 체계
''하스타티''는 마르쿠스 푸리우스 카밀루스가 개혁한 로마 왕정 군대의 옛 제3계층 잔재에서 등장했다.[16] 제3계급은 매우 커다란 팔랑크스 뒤쪽 열에 속했고, 하스타티와 유사한 장비를 갖췄지만, 직접 교전하기보다는 고위 계층에 탄환 및 화살 등을 지원하는 역할을 맡았다. 펜로즈와 소던은 삼니움인과의 교전과 갈리아군 지휘관 브렌누스에게 궤멸당한 것 등을 통해 로마인들이 소규모 부대 단위의 유연성과 이탈리아 중부의 험준한 지형에서 팔랑크스의 부적절함을 깨달았을 것이라 추측한다.[17][18]
기원전 4세기, 로마 군사 체계는 에트루리아인들에게서 물려받은 것이었다. 기원전 390년, 갈리아가 에트루리아를 침략하자 주민들은 로마에 도움을 요청했다. 로마는 소규모 파견군을 보냈으나, 이는 로마에 대한 대규모 침략을 유발했다. 알리아 전투에서 로마군 전체가 궤멸적인 패배를 당했고, 이는 마르쿠스 푸리우스 카밀루스의 군사 개혁을 촉발했다.[22] 새로운 체계에서 로마인들은 재산에 따라 계층이 분류되었고, ''하스타티''는 로라리이보다는 부유하고 프린키페스보다는 가난한, 세 번째로 가난한 자들이었다.[19] 하스타티는 1.8m 길이의 짧은 창 또는 명칭이 유래한 ''하스타이''를 장비했다.[20] 이들은 5엽 배열 진형에서 싸웠으며, 보통 넓은 직사각형 방패 스쿠타를 들고, 신장을 높이기 위해 깃털을 고정한 청동 투구를 썼다. 이들은 가벼운 무장을 했고, 대개 “심장 보호대”라 불린 작은 브레스플레이트를 착용했다.[19]
카밀루스 체계 군단에서 900명의 ''하스타티''는 60명 단위의 마니풀루스 15개로 구성되었다. 각 마니풀루스에는 재블린으로 무장한 경무장 보병 ''레베스'' 20명이 소속되었다.[21] ''하스타티''는 두 번째 전열인 ''프린키페스''와 세 번째 전열 ''트리아리이'' 앞, 첫 번째 전열에 위치했다.[19] 회전에서 ''레베스''는 군단 앞에 대열을 이루어 재블린으로 적을 괴롭히며 ''하스타티''의 진군을 엄호했다. ''하스타티''가 적을 무너뜨리지 못하면, ''프린키페스''에게 맡기고 물러났다. ''프린키페스''도 실패하면, 창병 ''트리아리이'' 뒤로 물러나 차례로 적과 교전했다. 기병 ''에퀴테스''는 측면 방어와 후퇴하는 적 추적에 사용됐다. 마지막 전열의 ''로라리이''와 ''아켄시''는 가장 신뢰도가 낮은 부대로, 병력 수를 늘리고 흔들리는 전열을 강화하는 보조 역할을 했다.[22]
2. 2. 폴리비우스 체계
''하스타티''는 로마 왕정 시기 마르쿠스 푸리우스 카밀루스의 군제 개혁으로 등장했으며, 에트루리아 왕의 통치 시절 군대의 옛 제3계층의 잔여물에서 비롯되었다.[16] 이들은 팔랑크스의 뒤쪽 열에 속했으며, 주로 고위 계층에 탄환 및 화살 등을 지원하는 역할을 맡았지만, 하스타티와 유사한 장비를 갖췄다. 펜로즈와 소던은 삼니움인과의 교전과 갈리아군 지휘관 브렌누스에 의한 괴멸 등을 통해 로마인들이 유연성의 중요성과 이탈리아 중부의 거칠고 언덕이 많은 지형에서 팔랑크스의 부적절함을 깨달았을 것이라 추측한다.[17][18]기원전 3세기의 포에니 전쟁 시기에 카밀루스의 조직 체계는 비효율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새로운 폴리비우스 체계에서 보병들은 재산보다는 나이와 경험에 따라 계층이 분류되었고, ''하스타티''는 가장 어리고 경험이 적은 이들이 되었다.[23] 이들은 창 대신 검(글라디우스)을 사용했으며, 이전 체계와 역할은 매우 유사했다. 각 ''하스타투스''는 무거운 재블린 ''필룸'' 두 개를 휴대했는데, 골즈워티에 따르면 “깊숙히 박힌다는 신화에 반하여” 방패에 박혀 쓸모없게 하거나 다시 아군에게 던져지는 것을 방지하는 등 충돌 시에 구부러지지 않았다. 필라의 무게와 갈고리만으로 방패를 관통하여 충분히 방해를 주었고 (자주 방패 뒤에 있는 병사를 공격하기 위해 방패를 관통했다), 필라의 강철도 충분히 단단하여, 보병과 기병 모두에 맞서 한손 창 용도로 자주 사용됐다. 필라의 일제 사격이 적들의 전열에 도달하면 (일반적으로 최대 효과를 위해 약 13m (15 야드) 거리였다), 군단병들은 그들의 검을 갖고 빠르게 달려들었다. 적들이 필룸을 다시 쓰는 경우는 드물었다.[24]
''하스타티''는 군단 당 1,200명으로 증가되었고, 각 120명으로 된 10개의 마니풀루스가 만들어졌다.[25] ''로라리이''와 ''아켄시''는 해산되었다. ''레베스''는 유사한 역할을 가진 ''벨리테스''로 대체되었고 ''프린키페스''와 ''트리아리이''에 배속되었다.[25] 회전은 비슷한 방식으로 이뤄졌다. ''벨리테스''가 앞쪽에 모여 ''하스타티''의 전진을 지원하기 위해 재블린을 던졌다. ''하스타티''가 적을 무너트리는데 실패하면, 이들은 그들과 마찬가지로 검으로 재무장한 ''프린키페스''에게 물러났다. ''프린키페스''가 적들을 무너트리는데 실패하면, 이들은 그때 적들과 교전하는 ''트리아리이''의 배후로 물러난다.[26]
이 교전 순서는 바스그라데스 전투, 자마 전투 같은 특이한 일부 경우를 제외하면 거의 대부분은 이뤄졌다. 바스그라데스 전투에서 로마의 장군 스키피오는 평범한 방식으로 그의 병사들을 구성했지만, ''하스타티''가 적들과 교전을 시작하자, ''프린키페스''와 ''트리아리이''들을 적 카르카고군에 보내 측면 병력으로 사용했다.[27][28]
자마 전투에선 스키피오는 그의 병력들을 서로 사이가 넓은 틈을 가진 열로 배열시켰다. 카르타고 전투코끼리들을 이 틈으로 끌어들여 로마군에 많은 사상자를 입히지 못 하고 ''벨리테스''에게 많은 이들이 사망했다. 살아남은 코끼리들이 달아나자, 스키피오는 카르타고 보병대와 교전에 대비하여 가운데에 ''프린키페스''와 ''트리아리이''로 된 긴 전열과 측면에는 ''하스타티''를 배치하였다.[28]
2. 3. 마리우스 군제개혁
기원전 107년 가이우스 마리우스의 군사 개혁으로, 아프리카의 유구르타와 북방의 게르만 부족들과 맞선 전쟁에서의 인력 부족에 대처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전의 다른 계층의 부대는 완전히 해체되었고, 재산과 나이 요구사항들은 폐지되었다.[29] 병사들은 도시에서 활동하기 보다는 직업 군인으로서 군단에 입대하는 것으로 정해졌고, 같은 상태로 구입된 장비를 갖춘 중보병으로서 모두 무장되었다. 지방의 비정규 병력 보조군들은 궁병, 척후병, 기병 등의 다른 역할을 수행했다.[30]참조
[1]
서적
The Roman Army: A Social and Institutional History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
서적
Rome and Her Enemies: An Empire Created and Destroyed by War
Osprey Publishing
[3]
서적
The Roman Army: A Social and Institutional History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4]
서적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Antiquities
Little, Brown, and Co.
[5]
서적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Antiquities
Little, Brown, and Co.
[6]
서적
The Roman Army: A Social and Institutional History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7]
서적
The History of Rome, Book II: From the Abolition of the Monarchy in Rome to the Union of Italy
Scribner
[8]
서적
The Roman Army: A Social and Institutional History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9]
서적
Caesar: Life of a Colossus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10]
서적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Antiquities
Little, Brown, and Co.
[11]
서적
Rome and Her Enemies: An Empire Created and Destroyed by War
Osprey Publishing
[12]
서적
Lectures on the history of Rome Georg
https://archive.org/[...]
Taylor, Walton, and Maberly
[13]
서적
Republican Roman Army 200-104 BC
Osprey Publishing
[14]
서적
The Roman Army: A Social and Institutional History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5]
서적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Antiquities
Little, Brown, and Co.
[16]
서적
The Roman Army: A Social and Institutional History
https://archive.org/[...]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사
[17]
서적
Rome and Her Enemies: An Empire Created and Destroyed by War
https://archive.org/[...]
Osprey Publishing
[18]
서적
The Roman Army: A Social and Institutional History
https://archive.org/[...]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사
[19]
서적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Antiquities
Little, Brown, and Co.
[20]
서적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Antiquities
Little, Brown, and Co.
[21]
서적
The Roman Army: A Social and Institutional History
https://archive.org/[...]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사
[22]
서적
The History of Rome, Book II: From the Abolition of the Monarchy in Rome to the Union of Italy
Scribner
[23]
서적
The Roman Army: A Social and Institutional History
https://archive.org/[...]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사
[24]
서적
Caesar: Life of a Colossus
예일 대학교 출판사
[25]
서적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Antiquities
Little, Brown, and Co.
[26]
서적
Rome and Her Enemies: An Empire Created and Destroyed by War
https://archive.org/[...]
Osprey Publishing
[27]
서적
Lectures on the history of Rome Georg
Taylor, Walton, and Maberly
[28]
서적
Republican Roman Army 200-104 BC
https://archive.org/[...]
Osprey Publishing
[29]
서적
The Roman Army: A Social and Institutional History
https://archive.org/[...]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사
[30]
서적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Antiquities
Little, Brown, and 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