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난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이난어는 송나라 말기 민남인들이 하이난섬에 정착하면서 유입된 민남어에서 기원한 언어이다. 오랜 기간 주변 언어와 중원 관화의 영향을 받아 음운 체계 등에서 민남어와 큰 차이를 보이며, 하이난섬 전역에서 다양한 방언 형태로 사용된다. 하이난어는 부성, 문창, 쭝하이, 툰창, 딩안, 완닝, 야현, 창간 구역 등으로 분류되며, 5개의 모음과 내파음을 특징으로 한다. 하이난어는 6~8개의 성조를 가지며, 로마자 표기법으로 하이난 로마자와 하이난어 병음이 사용된다. 하이난어는 민남어와 자음, 모음, 성조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하이난방송텔레비전방송국에서 하이난어로 방송하며, 싼야시와 충하이시에서 하이난어 신문이 발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하이난어 | |
---|---|
언어 정보 | |
언어 이름 | 하이난어 |
다른 이름 | Qiongwen (충원) 하이난 민어 |
고유 이름 | 海南話 (중국어 간체) Hhai3 nam2 ue1 (하이난어 라틴 문자) Hái-nâm-oe (하이난어) |
발음 (하이크어 방언) | /hai˨˩˧ nam˨˩ ue˨˧/ |
사용 국가 | 중국 싱가포르 태국 |
사용 지역 | 하이난 |
사용자 | 하이난족 |
사용자 수 (중국) | 약 5백만 명 (2002년) |
언어 분류 | |
어족 | 중국티베트어족 |
어파 | 중국어파 |
어족 | 중국어 |
분파 | 민어 |
하위 분파 | 연해 민어 |
어군 | 충-레이 |
조상 언어 | 원시 중국티베트어 |
조상 언어 | 상고한어 |
조상 언어 | 원시 민어 |
방언 | |
주요 방언 | 하이크어 원창어 충하이 완닝 링수이 산야 |
문자 체계 | |
문자 | 한자 |
표기법 | 하이난어 병음 하이난어 로마자 표기 |
언어 코드 | |
ISO 639-3 | hnm |
Glottolog | hain1238 |
Glottolog 참조 | 하이난 |
LinguaList | 79-AAA-k |
기타 정보 | |
관련 링크 | 시나-티베트어족 |
관련 링크 | 시나어파 |
관련 링크 | 중국어 |
관련 링크 | 민어 |
관련 링크 | 연해 민어 |
관련 링크 | 충-레이어 |
2. 역사
송나라 말기의 전란을 피해 많은 민남인들이 남쪽으로 이동하였다. 이들은 차오산 평원, 주강 삼각주를 거쳐 레이저우 반도와 하이난섬까지 이르렀으며, 이 과정에서 민남어가 하이난섬에 전파되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하이난섬의 민남어는 주변 소수 민족의 언어와 중원 지방의 관화로부터 지속적인 영향을 받았다. 그 결과, 하이난어는 음운 체계를 비롯한 여러 면에서 기존 민남어와 상당한 차이를 보이게 되었다. 결국 민남어 화자와의 상호 의사소통이 어려워지면서 하이난어는 독자적인 언어로 발전하게 되었다.
하이난어는 하이난섬 전역에 걸쳐 다양한 방언 형태로 사용된다. 주요 사용 지역은 다음과 같다.
3. 분포
행정 구역 사용 범위 원창 시 전역 딩안 현 전역 완닝 현 동부·중부 지역 하이커우 시 시가지 지역 우즈산 시 시가지 지역 충하이 시 대부분 지역 (남서부 일부 제외) 청마이 현 대부분 지역 (북부 해안, 남서부 일부 제외) 툰창 현 대부분 지역 (서부 주변 지역의 교외 제외) 링수이 리족 자치현 남부 해안 싼야 시 남부와 동부의 해안 러둥 리족 자치현 남서부와 서부 해안, 현청 소재지 바오유전 일부 지역 둥팡 시 서부 해안 창장 리족 자치현 북부 해안 몇몇 촌, 현청 소재지 스루전 일부 지역 충중 리족 먀오족 자치현 동북부, 현청 소재지 잉건전, 홍다오향 바이사 리족 자치현 야차전, 북부의 몇몇 촌 바오팅 리족 먀오족 자치현 바오청전
이 외에 단저우 시와 린가오 현에도 하이난어가 사용되는 지역이 있다.
4. 방언
5. 음운
하이난어의 음운 체계는 방언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9] 일반적으로 원창 방언이 표준으로 여겨지며 참고 자료로 자주 사용된다.[10] 모음의 수는 자료에 따라 5개에서 7개 사이로 기술된다. 자음 체계의 특징으로는 주변 흘라이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일련의 내파음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5. 1. 모음
하이난어의 모음 체계에 대해서는 자료에 따라 다르게 기술되기도 한다. 일부 자료에서는 5개의 기본 모음을 제시한다.
다른 자료에서는 7개의 음소 모음을 가진다고 설명하기도 한다.(출처 필요)
5. 2. 자음
하이난어는 일련의 내파음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주변 흘라이어와의 영향을 받아 획득된 것으로 추정된다.하이난어의 다양한 방언들의 음운론은 매우 다르며,[9] 원창 방언이 표준 방언으로 여겨져 종종 참고 자료로 사용된다.[10] 다음은
5. 3. 성조
성조 번호 | 성조 이름 | 성조 윤곽 | 예시 |
---|---|---|---|
1 | 음평 (阴平) | ˨˦ (24) | 诗 (시) |
2 | 양평 (阳平) | ˨˩ (21) | 时 (시) |
3 | 음상 (阴上) | ˨˩˩ (211) | 死 (사) |
4 | 음거 (阴去) | ˧˥ (35) | 四 (사) |
5 | 양거 (阳去) | ˧ (33) | 是 (시) |
6 | 음입 (阴入) | ˥ (5) | 失 (실) |
7 | 양입 (阳入) | ˧ (3) | 实 (실) |
8 | 장입 (长入) | ˥ (55) | 视 (시) |
6. 민남어와의 비교
송나라 말기 전란을 피해 남쪽으로 이동한 많은 민남인들은 차오산 평원을 거쳐 주강 삼각주, 레이저우 반도, 하이난섬까지 이르렀고, 이 과정에서 민남어가 해당 지역으로 퍼져나갔다. 오랜 시간 동안 주변 소수 민족 언어와 중원 지방의 관화 영향을 받으면서, 하이난어의 음운 체계는 민남어와 큰 차이를 보이게 되었다. 이로 인해 민남어 화자와의 상호 의사소통이 어려워져 독립된 언어로 발전하게 되었다.
하이난어는 자음에서 유기음과 무기음의 대립이 없다는 특징을 가지는데, 이는 전체 중국어 방언 체계에서 드문 현상이다.
민남어와 하이난어의 주요 음운 변화는 다음과 같다.
자음 변화
민남어 자음 | 하이난어 자음 | 비고 |
---|---|---|
/pʰ/, /tʰ/, /t͡sʰ/, /kʰ/ (유기음) | /f/, /h/, /s/, /x/ (마찰음) | 유기음/무기음 대립 소실 |
/p/, /t/ | /ɓ/, /ɗ/ | 내파음으로 변화 |
/s/, /ts/ | /t/ | 이 변화는 민남어(특히 취안장어, 차오산어 등)와의 의사소통을 어렵게 만드는 주요 요인 중 하나이다. |
/m/ | /b/ 또는 /v/ | 북부 동편 및 동남편 방언(원창, 슝하이, 완닝, 링수이, 싼야 동부)에서는 /b/로 유지되나, 북부 서편 방언(하이커우, 딩안, 덩마이, 툰창 등)에서는 /v/로 변화했다. |
고대 /tʰ/ | /h/ 또는 /x/ | 북부 서편 방언에서는 /h/, 북부 동편 방언에서는 /x/로 변화했다. |
모음 변화민남어의 비모음은 하이난어에서 일반 모음으로 변화하였다.
운미 변화
- 하이난어 북부 방언군은 입성 운미 /-p/, /-t/, /-k/를 유지하고 있다.
- 남부 방언군에서는 입성 운미가 성문 파열음 꼬리 /-h/로 변화하였다.
- 하이커우어, 완닝어, 취안저우어 등 일부 방언에서는 /-n/, /-t/ 운미가 각각 /-ŋ/, /-k/로 합류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성조 변화하이난어는 방언에 따라 6개에서 8개의 성조를 가진다. 북부 방언은 8개, 남부 방언은 7개, 싼야의 깡먼(港門) 지역 방언은 6개의 성조를 가진다.
7. 로마자 표기
하이난어 병음()은 1960년 9월 광둥성 교육행정부에서 발표한 음성학 체계이다. 이 체계는 숫자로 성조를 표시한다.
IPA | 하이난어 병음 | Bǽh-oe-tu | 예시 |
---|---|---|---|
ɓ | b | b | |
p | b | p | |
pʰ | p | ph | |
ɸ | p | f | |
m | m | m | |
b | v | b | ? |
v | v | v | |
t | d | t | |
ɗ | dd | d | |
n | n | n | |
l | l | l | |
k | g | k | |
ŋ | ng | g | |
x | h | kh | |
h | hh | h | |
ɠ | gh | g | |
ts | z | c | |
s | s | s | |
z | y | j | |
IPA | 하이난어 병음 | Bǽh-oe-tu | 예시 |
---|---|---|---|
a | a | a | |
o | o | o | |
ɛ | e | e | |
i | i | i | |
u | u | u | |
ai | ai | ai | |
ɔi | oi | oi | |
au | ao | au | |
ia | ia | ia | |
iɔ | io | io | |
ua | ua | oa | |
ue | ue | oe | |
ui | ui | oi | |
uai | uai | oai | |
ɔu | ou | ou | |
iu | iu | iu | |
iau | iao | iau | |
iam | iam | iam | |
im | im | im | |
am | am | am | |
an | an | an | |
in | in | in | |
un | un | un | |
uan | uan | oan | |
aŋ | ang | ag | |
eŋ | eng | eg | |
ɔŋ | ong | og | |
iaŋ | iang | iag | |
uaŋ | uang | oag | |
iɔŋ | iong | iog | |
ip | ib | ib | |
iap | iab | iab | |
at | ad | at | |
it | id | it | |
ut | ud | ut | |
uat | uad | oat | |
ak | ag | ak | |
ek | eg | ek | |
ok | og | ok | |
iok | iog | iok | |
uak | uag | oak | |
-ʔ | -h | -h |
8. 미디어
텔레비전 방송의 경우, 하이난방송텔레비전방송국에서 표준 중국어(보통화)와 하이난어(원창어) 두 가지 언어로 프로그램을 송출하고 있다. 또한 하이난성의 싼야시와 충하이시에서는 하이난어로 된 신문이 발행되고 있다.
참조
[1]
서적
Xiàndài Hànyǔ fāngyán gàilùn
Shanghai Educational Press 上海教育出版社
[2]
논문
Tones and prosody in Middle Chinese and the origin of the rising tone
[3]
서적
Middle Chinese: A study in Historical Phonology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ress
[4]
웹사이트
Glottolog 4.8 - Min
https://glottolog.or[...]
Max Planck Institute for Evolutionary Anthropology
2023-07-10
[5]
웹사이트
为新加坡琼属"寻根"的热心人——王振春
http://www.hainan.go[...]
中新海南网
2020-03-22
[6]
서적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SIL International
[7]
서적
Chinese Language(s): A Look Through the Prism of "The Great Dictionary of Modern Chinese Dialects"
Walter de Gruyter
[8]
서적
Xiàndài Hànyǔ fāngyán gàilùn
Shanghai Educational Press 上海教育出版社
[9]
학회발표
Contact-induced changes in the languages of Hainan
https://www.academia[...]
University of Hawaii
[10]
웹사이트
《文昌县志·第二十九编 社会习俗·第三章 方言》
http://www.hnszw.org[...]
2023-10-23
[11]
웹사이트
Amaravati: Abode of Amritas: 08.6.20.23:50: HAINANESE 缩气音 'SHRUNKEN BREATH SOUNDS'
http://www.amritas.c[...]
[12]
서적
中国語言地図集
香港朗文(遠東)出版公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