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오저우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차오저우어는 중국 광둥성 차오산 지역을 중심으로 사용되는 민난어의 일종이다. 18세기부터 동남아시아 화교 사회로 확산되었으며, 태국과 말레이시아 등지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지닌다. 싱가포르에서도 사용되지만, 표준 중국어 보급으로 젊은 세대는 영어와 표준 중국어를 주로 사용한다. 차오저우어는 다양한 방언으로 나뉘며, 한자를 사용한 표기법과 로마자 표기법이 존재한다. 문법은 다른 민어와 유사하며, 어휘는 범중국어, 고대 중국어, 민어 특유의 단어 등으로 구성된다. 차오저우어 사용 지역에서는 일상 대화에 주로 사용되며, 공적인 자리나 방송에서는 표준어가 사용된다. 지방극인 조극과 대중가요에서도 사용되며, 버스 안내 방송에도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차오저우어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언어 이름 | 潮州語 (차오저우어), 潮汕話 (차오산어), 潮語 (차오어) |
다른 이름 | 차오저우, 차오산, 테오-스와 |
사용 지역 | 차오산 광둥성 동부 (차오산) 태국 남부 베트남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잠비주 및 서칼리만탄주) 싱가포르 |
사용 민족 | 차오저우족 |
화자 수 | 차오산 지역: 약 1,400만 명 (2004년) 해외: 500만 명 이상 |
언어 계통 | 중국티베트어족 - 중국어파 - 중국어 - 민어 - 연해민어 - 민남어 |
방언 | 차오저우 방언 (테오추어 고유 방언) 산터우 방언 (산터우) 제양 방언 차오양 방언 푸닝 방언 후이라이 방언 방콕 테오추어 |
조상 언어 | 원시 중국티베트어 고대 중국어 원시 민어 |
Glottolog | chao1238 |
Glottolog 참조 이름 | 차오저우 |
Lingua | 79-AAA-ji |
ISO 639-3 | nan |
![]() | |
문자 체계 | 한자 테오추어 로마자 표기법 팽임 |
언어 이름 (원어) | |
중국어 간체 | 潮州话 |
중국어 정체 | 潮州話 |
광둥어 | Ciu4 zau1 waa2 |
표준 중국어 | Cháozhōu huà |
오어 | zau tseu ghae ho |
테오추어 (Peng'im) | Diê⁵ ziu¹ uê⁷ / Dio⁵ ziu¹ uê⁷ |
테오추어 (POJ) | Tiô-chiu-ōe / Tiô-chiu-ōa |
푸셴어 | Dièu-ciŭ-uâ |
하카어 | Tshèu-chû-fa |
기타 정보 | |
로마자 표기 | Tiê-tsiu-uē / Tiô-tsiu-uē |
로마자 표기 (팽임) | Diê5 ziu1 uê7 / Dio5ziu1 uê7 |
다른 이름 (로마자) | Tiê-suaⁿ-uē / Tiô-suaⁿ-uē |
다른 이름 (팽임) | Diê5 suan1 uê7 / Dio5suan1 uê7 |
관련 링크 | 학습 차오어, 사랑의 씨앗을 심다 |
ISO 언어 코드 | |
nan (차오산) | nan-cha nan-teo nan-chs |
2. 역사와 지리
차오저우어는 민난어의 일종으로, 광둥성 차오산 지역(차오저우시, 산터우시, 제양시)을 중심으로 사용된다. "차오저우어"는 좁게는 차오저우시 중심 방언을, 넓게는 산터우시, 제양시 등 주변 민난어계 방언을 포함하며, 이 넓은 분류는 "차오산어"(潮汕話)라고도 불린다.
차오저우어는 민난어의 일종으로, 다양한 방언으로 이루어져 있다. 좁은 의미로는 차오저우시 중심에서 사용되는 특정 방언만을 가리키지만, 넓은 의미로는 산터우시, 제양시 등 주변 지역의 민난어계 방언까지 포함한다. 이들을 통틀어 "차오산어"(潮汕話)라고 부르기도 한다.[7]
18세기부터 20세기까지 차오산 지역은 중국인 이민의 주요 근원지 중 하나였으며, 이로 인해 동남아시아 (캄보디아, 태국, 라오스, 베트남,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에 상당한 규모의 차오저우어 사용 화교 공동체가 형성되었다. 특히, 캄보디아, 태국, 라오스에서 가장 큰 중국어 방언 집단을 형성했다.[18] 베트남, 싱가포르, 말레이시아(특히 조호르, 말라카, 페낭, 케다, 셀랑고르주와 사라왁) , 인도네시아(특히 서칼리만탄)의 중국계 공동체에도 많은 차오저우어 사용자가 있다.
싱가포르에서는 객가어계 중국인이 복건인 다음으로 큰 중국계 집단을 구성하며, 차오저우어는 많은 싱가포르 중국인의 조상 언어로 남아있다. 그러나 싱가포르 정부의 이중 언어 정책(영어와 표준 중국어 장려)으로 인해 젊은 세대는 영어와 표준 중국어를 주로 사용하며, 일부는 복건어 공동체에 동화되어 복건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일본과 서구 세계(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의 화교 공동체에서도 차오저우어 사용자가 발견된다.[18]
광둥성의 차오산 지역의 차오저우어는 발음 차이 등에 따라 2개의 하위 그룹으로 나뉜다.
# 조걸 그룹 - 산터우시(금평구, 용호구, 호강구, 정해구, 남오현), 차오저우시(향교구, 조안현, 요평현), 제양시(걸동구, 걸서현), 매주시(풍순현)
# 조포 그룹 - 산터우시(조양구, 조남구), 제양시(포녕시, 혜래현)
차오저우, 산터우, 제양은 진나라 이후 광둥성과 같은 행정 구역에 속했지만, 그 이전에는 푸젠성과 마찬가지로 민월(閩越)의 땅이었으며, 하문, 장저우 등에서 민남 조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광둥성에 편입되면서 광둥어의 영향을 받았고, 북쪽의 객가어 사용자와의 접촉으로 푸젠과의 단절이 생겨 독자적인 방언이 되었다고 생각된다.
차오저우, 산터우 지역에서는 오래전부터 동남아시아로 이민을 갔으며, 특히 19세기 이후 태국, 싱가포르, 말레이시아를 중심으로 많은 이민이 발생했다. 태국의 화교 사회와 말레이시아 일부 지역에서는 차오저우어 화자가 우세하여 현지어(태국어, 말레이시아어 등)에 차용어가 나타나는 등의 영향을 미쳤다.
3. 분류
차오저우어는 크게 북부와 남부 방언으로 나뉘며, 일부에서는 해륙풍 방언을 세 번째 갈래로 간주하기도 한다. 방언 간에는 음운론적 차이가 존재하며, 특히 모음 /ɯ/의 유무가 주요 기준이다. 산터우 방언은 다른 방언 사용자들에게 "활기차고", "온화하지만", "스노비"하거나 "허세 부리는" 것으로 인식되는 등, 다양한 고정관념과 문화적 특성이 서로 다른 차오저우어 방언과 관련되어 있다.[10]
3. 1. 북부 차오저우어
차오저우어 방언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7]
차오저우어의 표준 방언은 모두 북부 계열에 속한다. 북부 차오저우어 방언들은 서로 알아들을 수 있지만, 남부 계열과는 그렇지 않다.[10]
모음 의 유무는 차오저우어 방언 분류의 주요 기준이다. 북부 차오저우어에서는 ''hṳ̂'' 魚 (물고기)와 ''sṳ̄'' 事 (일, 문제)와 같은 단어에서 발견된다.[7]
3. 2. 남부 차오저우어
남부 차오저우어 또는 차오양-푸닝 방언 ()에는 다음이 포함된다:[7]
남부 차오저우어는 모음 대신 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물고기'는 ''hû'' 魚 (), '일'은 ''sū'' 事 ()와 같이 발음한다.[7] 남부 차오저우어는 음조 윤곽에 따라 후이라이-푸닝 방언과 타오예 방언으로 더 세분될 수 있다.[7]
북부 차오저우어 방언들은 서로 상호 이해 가능하지만, 남부 계열과는 그렇지 않다.[10] 타오예 방언은 "거칠고", "공격적이고", "시골스러운" 것으로 인식된다.[10]
4. 문자 체계
차오저우어는 한자를 사용하여 표기할 수 있으며, 고대 중국어에서 유래한 어휘가 많다. 어원적으로 명확히 연관된 한자가 없는 단어는 의미가 같거나 음이 비슷한 한자를 빌려 쓰거나, 새로운 한자를 만들거나, 원래의 한자를 찾으려고 시도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표기한다. 차오저우어는 방언인 호키엔어와 공통 조어 단어에 대해 한자를 공유하지만, 광동어 표기 전통의 영향도 받는다. 로마자 표기법으로는 백화자(Pe̍h-ūe-jī)와 펑임(Peng'im)이 주로 사용된다.
주로 사용되는 두 가지 차오저우 방언 로마자 표기 체계는 다음과 같다.[1]
- 백화자(Pe̍h-ūe-jī): 19세기에 푸젠성 방언인 호건어를 위해 만들어졌고, 차오저우 방언(특히 사토우 방언)에 적용되었다.[1]
- 펑임(Peng'im): 1960년대에 만들어졌으며, 중국어 표준어인 한어병음(Hanyu Pinyin)을 기반으로 한다.[1]
펑임(Peng'im)은 중국 본토에서 출판되는 학술 논문에 일부 사용되지만, 많은 차오저우 관련 출판물에서는 자체적으로 만든 IPA 기반 로마자 표기를 사용한다.[2]
IPA | 백화자(Pe̍h-ūe-jī) | 펑임(Peng'im) |
---|---|---|
p | b | |
ph | p | |
b | bh | |
m | m | |
t | d | |
th | t | |
l | l | |
n | n | |
h | h | |
k | g | |
kh | k | |
g | gh | |
ng | ng | |
ts | z | |
tsh | c | |
z | r | |
s | s |
IPA | 백화자(Pe̍h-ūe-jī) | 펑임(Peng'im) |
---|---|---|
a | a | |
ia | ia | |
ua | ua | |
ai | ai | |
au | ao | |
uai | uai | |
iau | iao | |
o | o | |
io | io | |
oi | oi | |
ou | ou | |
iou | iou | |
or | e | ê |
or | ie | iê |
or | ue | uê |
or | ṳ | e |
i | i | |
u | u | |
ui | ui | |
iu | iu |
IPA | 백화자(Pe̍h-ūe-jī) | 펑임(Peng'im) |
---|---|---|
-ng | -ng | |
-k | -g | |
-h | -h | |
-ⁿ | -n | |
-m | -m | |
-p | -b | |
-n | — | |
-t | — |
중화인민공화국의 문자는 간체자가 법률의 표기로 되어 있으며, 차오저우어도 간체자로 쓰는 경우가 많다.[6] 일부 방언자는 유니코드 등에 수록되어 있지 않아 컴퓨터나 인터넷에서 사용하기 어려운 상황이다.[6]
5. 음성 및 음운
차오저우어는 다른 남방 민어 방언들과 마찬가지로 유성 파열음([b], [ɡ])과 유성 측음([l])을 가지는 몇 안 되는 현대 중국어 방언 중 하나이다. 이들은 무성 전비음화 자음([ᵐ̥b], [ᵑ̊ɡ], [ⁿ̥ɺ])으로 나타난다.[11] 해외 거주 젊은 화자들은 유성 파찰음 를 [z]로 완화하기도 한다.
차오저우어의 음절은 성모, 운모, 성조로 나눌 수 있다.[7] 발음 표기는 1960년 9월 광둥성 교육부문이 발표한 로마자 표기 시안을 사용한다.
5. 1. 자음
차오저우어는 18개의 자음을 가진다.[11] 이는 유성음(마찰음 제외), 무성 파열음(기음/무기음), 무성 파찰음(기음/무기음), 마찰음 등으로 구성된다.colspan="2"| | 양순음 | 치경음 | 경구개음 | 성문음 | |
---|---|---|---|---|---|
유성 (마찰음 없음) | 비음 | 毛 | 年 | 雅 | |
파열음 또는 측음 | 米 | 來/內 | 鵝/牙 | ||
무성 파열음 | 기음 | 皮 | 台 | 可 | |
무기음 | 比 | 都 | 歌 | ||
무성 파찰음 | 기음 | 菜/樹 | |||
무기음 | 書/指/食 | ||||
마찰음 | 士/速 | rowspan="2" | | 海/系 | ||
爾/貳 |
다른 남방 민어 방언들과 마찬가지로, 차오저우어는 현대 중국어 방언 중에서 유성 폐쇄음(파열음, 마찰음, 파찰음)을 가지는 몇 안 되는 방언 중 하나이다. 하지만 우어나 향어와는 달리, 차오저우어의 유성 파열음과 마찰음은 중국 중세음의 유성 폐쇄음에서 유래한 것이 아니라 비음에서 유래했다.[11] 유성 파열음 와 , 그리고 은 각각 무성 전비음화 , , 이다.[11]
차오저우어 남방 방언에서는 순음 초성(/p/, /pʰ/, /b/, /m/)이 /-u-/ 앞에서 순치음 동소이음([pf], [pfʰ], [bv], [mv~ɱ])을 갖는다.[11]
한자 | Pe̍h-ūe-jī | Peng'im | 산터우 방언 | 터우예우 방언 |
---|---|---|---|---|
pù | ||||
puaⁿ | ||||
phuâ | ||||
phuè | ||||
bú | ||||
bué | ||||
muē | ||||
muá |
5. 2. 음절
차오저우어의 음절은 음절 시작 자음, 중간 활음, 핵(보통 모음의 형태이나 유성 자음 [ŋ]과 같은 음절 자음이 올 수도 있음), 그리고 음절 끝 자음으로 구성된다.[7] 핵을 제외한 모든 음절 요소는 선택적이므로, 모음이나 음절 자음만으로도 완전한 음절을 이룰 수 있다.차오저우어의 음절은 다른 중국어와 마찬가지로 성모, 운모, 성조로 나눌 수 있다.
align="center" | | 0 | -n | -m | -ng | -h | -b | -g |
0 | a 亞 | an 噯 | am 庵 | ang 按 | ah 鴨 | ab 盒 | ag 惡 |
i- | ia 呀 | ian 營 | iam 淹 | iang 央 | iah 益 | iab 圧 | iag 躍 |
u- | ua 娃 | uan 鞍 | uam 凡 | uang 汪 | uah 活 | uab 法 | uag 獲 |
0 | ê 唖 | ên 楹 | | | êng 英 | êh 厄 | | | êg 液 |
i- | (iê 腰) | (iên 羊) | | | (iêng 焉) | | | | | (iêg 噎) |
u- | uê 鍋 | uên 横 | | | (uêng 冤) | uêh 劃 | | | (uêg 越) |
0 | o 窩 | | | | | ong 翁 | oh 学 | | | og 屋 |
i- | io 腰 | ion 羊 | | | iong 雍 | ioh 約 | | | iog 育 |
0 | u 汚 | | | | | ung 温 | | | | | ug 熨 |
0 | i 衣 | in 丸 | im 音 | ing 因 | ih 裂 | ib 邑 | ig 乙 |
0 | e 余 | en 秧 | | | eng 恩 | | | | | eg 乞 |
0 | ai 哀 | ain 愛 | | | | | | | | | | |
u- | uai 歪 | uain 果 | | | | | | | | | | |
0 | oi 鞋 | oin 閑 | | | | | oih 狭 | | | | |
0 | ui 威 | uin 畏 | | | | | | | | | | |
0 | ao 欧 | aon 好 | | | | | aoh 樂 | | | | |
0 | ou 烏 | oun 虎 | | | | | | | | | | |
i- | iou 夭 | | | | | | | | | | | | |
0 | iu 憂 | iun 幼 | | | | | | | | | | |
0 | | | | | m 唔 | ng 黄 | ngh 夗 | | | | |
5. 2. 1. 음절 시작(Onsets)
성문 폐쇄음 /ʔ/을 제외한 모든 자음은 음절 시작 부분 역할을 할 수 있지만, 음절 시작 부분이 반드시 채워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7]5. 2. 2. 음절 끝(Finals)
철저우 방언의 종지음(Finals)은 중모음, 핵모음, 종성으로 구성된다. 중모음은 /i-/ 또는 /u-/가 될 수 있으며, 핵모음은 단모음 또는 이중모음, 종성은 비음 또는 파열음이 될 수 있다. 대부분의 철저우 방언에서, 역사적인 종성 /-n/과 /-t/는 /-ŋ/과 /-k/로 합쳐졌다.[12] 음절은 최소한 모음 핵 또는 유성 비음으로 구성되어야 한다.핵모음 | ∅- | - | - | - | - | - | -ai- | -au- | -oi- | -ou- | -ui- | -iu- | ∅- | ||||||||
---|---|---|---|---|---|---|---|---|---|---|---|---|---|---|---|---|---|---|---|---|---|
중모음 | ∅- | i- | u- | ∅- | i- | u- | ∅- | i- | ∅- | ∅- | ∅- | ∅- | u- | ∅- | i- | ∅- | ∅- | i- | ∅- | ∅- | |
종성 | -∅ | | | rowspan="3" style="background: #aaa;"| | ||||||||||||||||||
- | | | ||||||||||||||||||||
- | | | ||||||||||||||||||||
- | colspan="9" rowspan="4" style="background: #aaa;" | | ||||||||||||||||||||
- | | | ||||||||||||||||||||
- | rowspan="2" style="background: #aaa;"| | ||||||||||||||||||||
- |
조주 방언의 /ieng/과 /iek/는 이전에 /ien/과 /iet/을 가졌던 음절에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顯은 조주 방언에서는 響와 다르다(/hieŋ˥˧/과 /hiaŋ˥˧/). 이는 객가어(/[h]ien˥˧/과 /[h]iaŋ˥˧/)와는 다르지만, 산터우 방언(/[h]iaŋ˥˧/)과는 같다.
위에서 언급한 운율 외에도, 성문 폐쇄음과 비음화를 모두 가진 몇 가지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종지음이 있는데, 이는 주로 의성어와 의태어에서 발견된다. 예: ''he̍hⁿ'' /hẽʔ˥˦/ "흥분한; 혼란스러운", ''hauhⁿ'' /hãũʔ˧˨/ "큰 입으로 먹다", ''khuàhⁿ-ua̍hⁿ'' /kʰũãʔ˨˩˨꜒꜔.ũãʔ˥˦/ "편안한".
5. 3. 성조
차오저우어는 성조 언어이며, 8개의 성조를 가진다. 이는 중국 중세의 네 성조가 두 개의 성조 높이(어두운 성조와 밝은 성조)로 분화된 것이다.[7]colspan="2" style="border-left:hidden;border-top:hidden;background-color:white;" | | 平중국어 평성 | 上중국어 상성 | 去중국어 거성 | 入중국어 입성 | |
---|---|---|---|---|---|
陰중국어 어두운 | 성조 번호 (Peng'im) | ①중국어 | ②중국어 | ③중국어 | ④중국어 |
성조 표기 (Pe̍h-ūe-jī) | 없음 | ́ | ̀ | 없음 (-p, -t, -k, -h로 끝나는 경우) | |
성조 이름 | 陰平중국어 Im-phêⁿ "어두운 평성" | 陰上중국어 Im-siăng "어두운 상성" | 陰去중국어 Im-khṳ̀ "어두운 거성" | 陰入중국어 Im-ji̍p "어두운 입성" | |
陽중국어 밝은 | 성조 번호 (Peng'im) | ⑤중국어 | ⑥중국어 | ⑦중국어 | ⑧중국어 |
성조 표기 (Pe̍h-ūe-jī) | ̂ | ̃ | ̄ | ̍ (-p, -t, -k, -h로 끝나는 경우) | |
성조 이름 | 陽平중국어 Iâng-phêⁿ "밝은 평성" | 陽上중국어 Iâng-siăng "밝은 상성" | 陽去중국어 Iâng-khṳ̀ "밝은 거성" | 陽入중국어 Iâng-ji̍p "밝은 입성" |
성조는 구절에서 단어의 위치에 따라 변하고 광범위한 성조 변화를 보일 수 있다.[7]
5. 3. 1. 북부 차오저우어의 성조
차오저우어의 북부 방언들은 음조가 크게 다르지 않다. 음조 ⑦의 발음은 방언과 화자에 따라 저하강(21 ˨˩)과 저평(22 ˨) 사이에서 다를 수 있다.[7][13]rowspan="2" | | 표준 음조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Silver;" | | 사이음절 음조 | ||||||
---|---|---|---|---|---|---|---|---|---|
平중국어 평성 | 上중국어 상성 | 去중국어 거성 | 入중국어 입성 | 平중국어 평성 | 上중국어 상성 | 去중국어 거성 | 入중국어 입성 | ||
차오저우시, 청하이 | |||||||||
陰중국어 음(陰) | ① 33 ˧ | ② 53 ˥˧ | ③ 212 ˨˩˨ | ④ 32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Silver;" | | 34 ˧˦ | 35 ˧˥ | 53 ˥˧ | 54 ˥˦ |
陽중국어 양(陽) | ⑤ 55 ˥ | ⑥ 35 ˧˥ | ⑦ 21 ˨˩ ~ 22 ˨ | ⑧ 54 ˥˦ | 23 ˨˧ | 21 ˨˩ ~ 22 ˨ | 23 ˨˧ | 32 ˧˨ | |
제양 | |||||||||
陰중국어 음(陰) | ① 33 ˧ | ② 53 ˥˧ | ③ 212 ˨˩˨ | ④ 32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Silver;" | | 33 ˧ | 35 ˧˥ | 53 ˥ | 54 ˥˦ |
陽중국어 양(陽) | ⑤ 55 ˥ | ⑥ 35 ˧˥ | ⑦ 22 ˨ ~ 21 ˨˩ | ⑧ 54 ˥˦ | 22 ˨ ~ 21 ˨˩ | 21 ˨˩ ~ 22 ˨ | 32 ˧˨ | ||
산터우, 라오핑 | |||||||||
陰중국어 음(陰) | ① 33 ˧ | ② 53 ˥˧ | ③ 212 ˨˩˨ | ④ 32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Silver;" | | 33 ˧ | 35 ˧˥ | 55 ˥ | 54 ˥˦ |
陽중국어 양(陽) | ⑤ 55 ˥ | ⑥ 35 ˧˥ | ⑦ 21 ˨˩ ~ 22 ˨ | ⑧ 54 ˥˦ | 21 ˨˩ ~ 22 ˨ | 22 ˨ ~ 21 ˨˩ | 32 ˧˨ |
북부 차오저우 방언들 사이에는 음조의 사이음절 변화(Tone Sandhi)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13]
-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음(陰) 거성(③)이 차오저우와 제양에서는 고하강(53 ˥˧)이 되고, 산터우와 라오핑에서는 고평(55 ˥)이 된다는 것이다.
- 차오저우에서는 두 평성(①과 ⑤)이 사이음절에서 약간 상승하는 경향(각각 34 ˧˦와 23 ₂˧)을 보이는 반면, 다른 방언에서는 평평한 음조(33 ˧와 22 ˨ ~ 21 ˨˩)를 유지한다.
- 제양, 청하이, 차오저우에서는 ②, ③, ④ 음조의 사이음절이 두 가지 발음을 가지는데, 하나는 고음 시작 음절(⑤ 55 ˥, ② 53 ˥˧, ⑧ 54 ˥˦) 앞에서 사용되는 약간 높은 음조(35 ˧˥, 53 ˥˧, 54 ˥˦)이고, 다른 하나는 다른 모든 음조 앞에서 사용되는 약간 낮은 음조(24 ˨˦, 42 ˦˨, 43 ˦˧)이다. 산터우와 라오핑에서는 다음 음절의 음조에 관계없이 이러한 음조들은 동일한 사이음절 값을 갖는다.
- 제양, 청하이, 차오저우에서는 하강 음조의 동화 현상으로 인해 ② 음조의 사이음절 뒤에 ②, ③, ④ 음조의 사이음절이 오면 ② 음조의 발음이 저평(21 ˨˩)이 된다.[14]
사이음절 이후의 양(陽) 거성(⑦)은 방언에 따라 일반적으로 사이음절 음조 ⑤ 또는 ⑥과 합쳐진다. 편의상, 그 차이가 아직 크지 않으므로, 사이음절 이후의 세 가지 양성(陽) 음조는 모두 동일하고 사이음절 이전의 음조 ⑦과 같다고 설명할 수 있다. 북부 차오저우 방언의 사이음절 규칙은 다음과 같이 간소화할 수 있다.
rowspan="2" | | 표준 음조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Silver;" | | 사이음절 음조 | ||||||
---|---|---|---|---|---|---|---|---|---|
平중국어 평성 | 上중국어 상성 | 去중국어 거성 | 入중국어 입성 | 平중국어 평성 | 上중국어 상성 | 去중국어 거성 | 入중국어 입성 | ||
陰중국어 음(陰) | ①중국어 | ②중국어 | ③중국어 | ④중국어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Silver;" | | ①중국어 | ⑥중국어 | ②|차오저우|청하이|제양중국어 또는 ⑤|산터우|라오핑중국어 | ⑧중국어 |
陽중국어 양(陽) | ⑤중국어 | ⑥중국어 | ⑦중국어 | ⑧중국어 | ⑦중국어 | ④중국어 |
5. 3. 2. 남부 차오저우어의 성조
남부 차오저우어의 음조는 상당히 다양하다. 음조를 기준으로 남부 차오저우어 방언은 크게 두 지역, 즉 조여(Teoyeo)와 회포(Hui-Pou)로 나눌 수 있다.[7] 현재 조여 방언에서는 음조 변화가 진행 중이다.차오저우어는 성조 언어이며, 8개의 성조를 가진다.
성조 번호 | 성조 명칭 | 성조 패턴 | 원조 값 | 전변조 값 | 후변조 값 | 비고 |
---|---|---|---|---|---|---|
1 | 음평성 | 중평조 | 33 | 33 | 31 | 차오저우의 후변조 값은 23 |
2 | 음상성 | 고강조 | 53 | 24 | 213 | 차오저우의 후변조 값은 24 |
3 | 음거성 | 저강조 | 213 | 55 | 31 | 차오저우의 후변조 값은 53 |
4 | 음입성 | 저촉조 | 2 | 5 | 2 | 차오저우는 낮은 1과 4 |
5 | 양평성 | 고평조 | 55 | 31 | 31 | 차오저우의 후변조 값은 213 |
6 | 양상성 | 고승조 | 35 | 31 | 31 | 차오저우의 변조 값은 21 |
7 | 양거성 | 저평조 | 31 | 31 | 31 | 차오저우는 원조 11, 변조 12 |
8 | 양입성 | 고촉조 | 5 | 2 | 2 |
여기서 보여주는 조치는 5도식이며, 5가 가장 높고 1이 가장 낮음을 나타낸다.
차오저우어는 다른 와 마찬가지로 성조 변화가 심한 언어이다. 원조는 단음절 어휘를 단독으로 발음할 때 나타나는 성조이다. 단음절이라도 목적어가 되는 경우 등 문장 속에서는 변조가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전변조는 뒤에 다른 음절이 붙었을 때 변화하는 것으로, 뒤의 음절은 원조 그대로이다. 후변조는 앞에 다른 음절이 붙었을 때 변화하는 것으로, 앞의 음절은 원조 그대로이다. 전변조가 될지 후변조가 될지는 어휘에 따라 다르며 불규칙적이다. 또한 3음절의 경우 전변조 + 원조 + 후변조로 변화하는 예도 있다.
5. 3. 3. 중성(Neutral tone)
에는 해학어와 마찬가지로 중성(Neutral tone)이 존재한다. 발음상으로 중성은 해당 방언의 가벼운 하강조(⑦)와 동일하게 여겨지지만, 음절의 원래 톤이 어두운 상승조(②)였을 경우 중성은 어두운 하강조(③)와 동일하며, 원래 톤이 들어가는 톤(④ 또는 ⑧)이었을 경우 중성은 어두운 들어가는 톤(④)과 동일하다.[17]rowspan="2" style="border-left:hidden;border-top:hidden;background-color:white;" | | 인용 톤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Silver;" | | 중성 | ||||||
---|---|---|---|---|---|---|---|---|---|
平|평성중국어 | 上|상성중국어 | 去|거성중국어 | 入|입성중국어 | 平|평성중국어 | 上|상성중국어 | 去|거성중국어 | 入|입성중국어 | ||
陰|음중국어 | ①|1중국어 | ②|2중국어 | ③|3중국어 | ④|4중국어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Silver;" | | ⑦|7중국어 | ③|3중국어 | ⑦|7중국어 | ④|4중국어 |
陽|양중국어 | ⑤|5중국어 | ⑥|6중국어 | ⑦|7중국어 | ⑧|8중국어 | ⑦|7중국어 |
일부 연구에서는 중성을 "좌우성 톤 사디"라고 부른다. 그러나 일반적인 ("우우성") 조어 톤 사디는 규칙적인 음운 변화인 반면, 중성은 어휘적이며 그 발생을 예측할 수 없다. 다음 예시에서 어휘 형태소 ''nî'' (年|년중국어)을 비교해 보면, 일부 단어는 중성을 가지는 반면, 다른 단어는 원래의 톤을 유지한다.[17]
- ''tsâiⁿ--nî'' (前年|재작년중국어)
- ''ău--nî'' (後年|내후년중국어)
- ''tuā-tsâiⁿ--nî'' (大前年|3년 전중국어)
- ''jĭ-káu--nî'' (二九年|29년중국어)
그러나,
- ''kim-nî'' (今年|올해중국어)
- ''kū-nî'' (舊年|작년중국어)
- ''mê-nî'' (明年|내년중국어)
- ''jĭ-tsa̍p-ngŏu-nî'' (二十五年|25년중국어)
6. 문법
차오저우어의 문법은 다른 민어들과 유사하며, 특히 객가어, 월어, 우어를 포함한 일부 남부 중국어 방언과도 유사하다. 주어-동사-목적어(SVO) 어순이 표준관화처럼 일반적이지만, 조사를 사용하면 주어-목적어-동사(SOV) 어순도 가능하다.
기본 어순은 SVO형이다.
- 我 食 下昼 (wǒ shí xiàzhòu): 나는 점심을 먹는다 (주어 + 동사 + 목적어)
차오저우어는 형태론적으로 다양한 특징을 보인다. 특히 숫자를 표현할 때 문어체와 구어체 두 가지 형태가 있다는 점이 두드러진다.[1] 수사에서 더 자세히 다루겠지만, 일반적으로 구어체가 널리 쓰인다. 문어체는 三國|삼국|Sam-kok중국어, 五金|오금|ngóu-kim중국어처럼 특정 단어나 관용구에 한정되어 사용된다.[1] 一|일|중국어과 二|이|중국어의 경우, 문어체가 합성수의 마지막 자릿수, 십의 자리(백, 천의 자리는 제외), 서수, 요일 이름, 날짜 등에 더 일반적으로 사용된다.[1] 예를 들어 "스물하나"는 二十一|이십일|ri6 zab8 ig4중국어 (문어체 "이십일")로 표현된다.
수동태 구성에서, 목적어 구 '~에 의해'는 항상 존재해야 하며, 전치사 'khṳh'() 또는 'pung'()으로 도입된다. 이 두 단어는 모두 문자 그대로 "주다"라는 의미를 가진다. 행위자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으면, 그 자리에 'nâng'() (문자 그대로 "사람; 하나; 누군가")가 온다.
비교 구문은 광동어와 마찬가지로 "X ADJ kuè (過 guê3) Y" 구문을 사용하여 비교를 표현한다. 예를 들어 "그녀는 너보다 아름답다"는 "伊 雅 過 汝 (i ngiá kuè lṳ́)"와 같이 표현된다.[1]
동등 구문에서 평등의 개념은 'pêⁿ'() 또는 'pêⁿ-iōⁿ'()이라는 단어로 표현된다.
최상급 구문에서 최상급을 표현하기 위해 부사 'siăng'() 또는 'siăng-téng'()을 사용한다. 'siăng-téng'은 보통 칭찬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6. 1. 형태론
차오저우어는 형태론적으로 다양한 특징을 보인다. 특히 숫자를 표현할 때 문어체와 구어체 두 가지 형태가 있다는 점이 두드러진다.[1]하위 섹션인 "수사"에서 더 자세히 다루겠지만, 일반적으로 구어체가 널리 쓰인다. 문어체는 三國|삼국|Sam-kok중국어, 五金|오금|ngóu-kim중국어처럼 특정 단어나 관용구에 한정되어 사용된다.[1]
一|일|중국어과 二|이|중국어의 경우, 문어체가 합성수의 마지막 자릿수, 십의 자리(백, 천의 자리는 제외), 서수, 요일 이름, 날짜 등에 더 일반적으로 사용된다.[1] 예를 들어 "스물하나"는 二十一|이십일|ri6 zab8 ig4중국어 (문어체 "이십일")로 표현된다.
6. 1. 1. 수사
차오저우어의 숫자는 문어체와 구어체 두 가지 변형이 있다.[1]값 | 문어체 | 구어체 | 참고 | |||||||||||||||||||||||||||||||||||||||||||||||||||||||||||||||||||||||||||||||||||||||||||||||||||||||||||||||||||||||||||||||||||||||||||||||||||||||||||||||||||||||||||||||||||||||||||||||||||||||||||||||||||||||||||||||||||||||||||||||||||||||||||||||||||||
---|---|---|---|---|---|---|---|---|---|---|---|---|---|---|---|---|---|---|---|---|---|---|---|---|---|---|---|---|---|---|---|---|---|---|---|---|---|---|---|---|---|---|---|---|---|---|---|---|---|---|---|---|---|---|---|---|---|---|---|---|---|---|---|---|---|---|---|---|---|---|---|---|---|---|---|---|---|---|---|---|---|---|---|---|---|---|---|---|---|---|---|---|---|---|---|---|---|---|---|---|---|---|---|---|---|---|---|---|---|---|---|---|---|---|---|---|---|---|---|---|---|---|---|---|---|---|---|---|---|---|---|---|---|---|---|---|---|---|---|---|---|---|---|---|---|---|---|---|---|---|---|---|---|---|---|---|---|---|---|---|---|---|---|---|---|---|---|---|---|---|---|---|---|---|---|---|---|---|---|---|---|---|---|---|---|---|---|---|---|---|---|---|---|---|---|---|---|---|---|---|---|---|---|---|---|---|---|---|---|---|---|---|---|---|---|---|---|---|---|---|---|---|---|---|---|---|---|---|---|---|---|---|---|---|---|---|---|---|---|---|---|---|---|---|---|---|---|---|---|---|---|---|---|---|---|---|---|---|---|---|---|---|---|---|
0 | 零|lêng|lêng5중국어 | 空|khàng|kang3중국어 | 零|lêng|lêng5중국어은 {{lang|zh|〇|} | }으로도 쓸 수 있다.
유형 | 차오저우어 | 하문어(廈門語) | 해남어(海南語) | 복주어(福州語) | 베이징어(北京語) | 객가어(客家語) | 오어(吳語) | 광동어(廣東語) | 일본어 |
---|---|---|---|---|---|---|---|---|---|
중국어 공통 | 한자 | 한자 | 한자 | 한자 | 한자 | 한자 | 한자 | 한자 | 한자 |
두부(豆腐) | 두부(豆腐) | 두부(豆腐) | 두부(豆腐) | 두부(豆腐) | 두부(豆腐) | 두부(豆腐) | 두부(豆腐) | 두부 | |
민어 공통 | 젓가락(箸) | 젓가락(箸) | 젓가락(箸) | 젓가락(箸) | 젓가락(筷子) | 젓가락(筷只・箸只) | 젓가락(箸・筷) | 젓가락(筷子) | 젓가락 |
달걀(鷄卵) | 달걀(鷄卵) | 달걀(鷄卵) | 달걀(鷄卵) | 달걀(鷄蛋・鷄子兒) | 달걀(鷄卵) | 달걀(鷄蛋) | 달걀(鷄蛋・鷄春) | 달걀 | |
차오저우어 독특 | 율무(薏米仁・金黍米) | 보리이삭(麥穗) | 진주쌀(珍珠米) | 옥수수(油天炮) | 옥수수(老玉米) | 옥수수(包粟) | 옥수수(六穀・包米) | 옥수수(粟米) | 옥수수(玉蜀黍) |
오이(吊瓜) | 오이(刺瓜) | 오이(青瓜) | 오이(菜瓜) | 오이(黄瓜) | 오이(黄瓜) | 오이(青瓜(紹)・黄瓜) | 오이(青瓜・黄瓜) | 오이(胡瓜) | |
呾중국어 | 말하다(講) | 말하다(講) | 말하다(講) | 말하다(説) | 말하다(講・話) | 말하다(講・話) | 말하다(講・話) | 말하다(言う) |
7. 1. 문어 및 구어 독법
차오저우어는 민남어와 마찬가지로, 한자에 대해 문어적 독법과 구어적 독법, 두 가지 독법이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1] 예를 들어 '兩'(량), '三'(삼), '浴'(욕) 등의 한자는 문어적 독법과 구어적 독법이 다르다.[1] 차오저우어는 구어적 독법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경향이 있어, 이러한 이중 독법의 수가 호키엔어(복건어)보다 다소 적다.[1]한자 | 문어적 독법 | 구어적 독법 |
---|---|---|
兩 | liang2 | no6 |
三 | sam1 | san1 |
浴 | iog8 | êg8 |
8. 호키엔어(복건어)와의 관계
차오저우어와 호키엔어(복건어)는 모두 민남어에 속한다. 푸젠성 남부에서 사용되는 호키엔어는 차오저우어와 음운적으로 유사하지만, 어휘는 차이가 있다. 차오저우어와 호키엔어는 일부 단어를 공유하지만, 모음, 자음, 성조에서 차이가 있다.[7]
차오저우어는 호키엔어의 동안 하문 방언과 51%의 상호 이해도를 보인다 (Cheng 1997). 이는 러시아어와 우크라이나어의 상호 이해도와 비슷하며, 호키엔어의 다른 방언과는 더 낮다.
대부분의 차오저우어 화자는 호키엔어를 사용하지 않으며, 대다수의 호키엔어와 차오저우어 화자는 자신들을 별개의 민족/국가로 여긴다. 모어로 호키엔어를 사용하는 소수의 차오저우어 화자들은 대부분 현재 남푸젠인, 원래 차오저우어 사용 지역이었던 세 개의 현(현재는 푸젠성에 편입됨)과 가깝거나 친척이 있는 사람들이다. 이 지역들은 초기 당나라 시대에 푸젠성에 할양되었고 이후 호키엔 인구에 동화되었다. 이러한 호키엔어를 사용하는 차오저우어 화자들은 차오저우어를 호키엔어의 사투리로 여기는 경향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강한 호키엔 정체성을 갖고 있다.
차오저우어는 차오저우어로는 “潮州話(티오치우웨, Dio7 ziu1 uê7)” 또는 “潮汕話(티오스아웨, Dio7 suan1 uê7)”라고 한다. 주로 중국 광둥성 동부에 위치한 차오저우, 산터우(산터우(Shantou / Swatow)) 주변 지역 사람들과 태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등 동남아시아 각국의 화교, 화인들이 사용하는 후손들이 있다. 이 방언의 가장 표준적인 지역은, 종래에는 역사적으로 문화의 중심지였던 차오저우에 있었기 때문에 “潮州語”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지만, 현재는 연안 지역에 있으며 경제력이 높은 산터우(Shantou / Swatow)로 이동하고 있기 때문에, 중국에서는 양자를 합쳐 “潮汕話”라고 불리는 경우가 늘고 있다.
차오저우어는 하문어, 대만어, 하이난어 등과 마찬가지로, 광의의 민난어중국어(민난어)에 속한다. 이들과 비교하면, 주로 발음에 어느 정도 차이가 있으며, 하문어 등의 화자는, 익숙하지 않으면 서로 듣고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지만, 어휘와 문법은 상당히 공통되기 때문에, 어느 정도 의사소통은 가능하다.
민어중국어 등 다른 남방 방언과 마찬가지로, 어휘와 발음에 고한어를 많이 남기고 있다. 이것은 진나라 이후, 전란을 피하거나, 병사로 파견되어 온 사람들이 집단으로 중원에서 이주한 결과로 생각된다. 동시에, 원래 살고 있던 월인의 말에서도 발음과 어휘의 영향을 받았다고 생각되며, 민어중국어 공통의 어휘와 차오저우어 특유의 어휘도 있다.
광둥성의 차오산 지역의 차오저우어는 발음의 차이 등에 따라, 더욱 2개의 하위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행정 지역별로 적으면 다음과 같다. 각 지역에서 발음에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의사소통은 용이하다.
# 차오저우-산터우 그룹 - 산터우시(금평구, 용호구, 호강구, 징해구, 남오현), 차오저우시(향교구, 조안현, 요평현), 제양시(게동구, 게서현), 메이저우시(풍순현)
# 차오양-푸닝 그룹 - 산터우시(조양구, 조남구), 제양시(보녕시, 혜래현)
그룹 내에서도 성조 등 발음의 차이가 있다. 산터우 시내에서도 다하오에서는 독특한 자음과 성조를 가진 말이 사용되는 예도 있다.
8. 1. 발음
복건어에서는 초성 자음의 비음화가 광범위하게 나타나지만, 차오저우어와 해락홍어에서는 덜 일반적이다.한자 | 차오저우어 | 복건어 |
---|---|---|
逆 '거스르다' | nge̍k | ge̍k |
玉 '옥' | ge̍k | |
宜 '적합한' | ngî | gî |
疑 '의심' | gî | |
紐 '손잡이; 손잡이' | niú | liú |
柳 '버들' | liú | |
儂 '사람' | nâng | lâng |
籠 '새장' | lâng | |
慢 '느린' | măng | bān |
萬 '만' | buāng | |
目 '눈' | ma̍k | ba̍k |
墨 '먹' | ba̍k |
복건어와 해락홍어에는 세 쌍의 종지음(-ng/-k, -m/-p, -n/-t)이 있지만, 대부분의 차오저우어 방언에서는 -n/-t가 -ng/-k와 합쳐졌다. 차오저우어(일부 남부 차오저우어 방언 제외)와 해락홍어는 8개의 표준 음조를 가지고 있는 반면, 대부분의 복건어 방언은 7개의 음조를 가지고 있다.[7]
8. 2. 문법
차오저우어의 문법은 민어와 유사하며, 특히 객가어, 월어, 우어를 포함한 일부 남부 중국어 방언과도 유사하다. 주어-동사-목적어 어순이 표준관화처럼 일반적이지만, 조사를 사용하면 주어-목적어-동사 어순도 가능하다.차오저우 방언의 문법은 광동어나 하카어의 영향을 일부 보인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차오저우 방언은 광동어처럼 '-kuè' ("초과하다, 능가하다")를 사용하여 비교 구문을 만드는 반면, 복건어는 'khah' ("더")와 같은 민남어 고유의 비교 구문을 사용한다.
- 차오저우 방언은 광동어처럼 측량사를 생략하여 "이것"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용법은 복건어에서는 일반적이지 않다.
- 차오저우 방언은 소유를 나타내는 데 관련 측량사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내 책"이라는 표현은 차오저우 방언에서 'uá púng tsṳ' (책을 위한 측량사 포함)와 'uá kâi tsṳ' (소유사 포함) 모두로 표현될 수 있지만, 복건어에서는 'góa ê tsṳ'만 사용된다.
차오저우 방언은 기능 의존어에서 복건어와 다르다.
차오저우 방언 | 해락홍 방언 | 복건어 | 설명 |
---|---|---|---|
소유사 | |||
(방언) | 진행상 표지 | ||
지속상 표지 | |||
수동 또는 사동의 목적어 전치사 | |||
"원하다" (조동사) | |||
"매우" (형용사 문장의 의미 없는 부사) |
조주, 산두, 게양은 진(秦)나라 이후로 광동성과 같은 행정 구역에 속했지만, 그 이전에는 현재의 복건성과 마찬가지로 민월의 땅이었으며, 하문, 장주 등에서 민남 조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광동성에 편입됨으로써 광동어의 영향을 받았고, 북쪽에 있는 각가어를 사용하는 사람들과의 접촉이 계속되면서 복건과의 일정한 단절이 있었던 결과, 독자적인 어휘와 발음을 가진 방언이 되었다고 생각된다.
8. 3. 어휘
차오저우어는 기본 어휘에서 호키엔어와 많은 차이점을 보인다. 일부 차이점은 광둥어의 영향 때문이지만, 다른 것들은 대안적인 토착 민남어이다.의미 | 차오저우어 | 광둥어 | 호키엔어 |
---|---|---|---|
"보다" | 睇|thóiⁿ중국어 | 睇|tái중국어 | 看|khòaⁿ중국어 |
"읽다" | 讀書|tha̍k-tsṳ중국어 | 讀書|duhksyū중국어 | 讀冊|tha̍k-chheh중국어 |
"자다" | 夗|n̍gh, ĭⁿ중국어 | 瞓|fan중국어 | 睏|khùn중국어 |
"아름다운" | 雅|ngiá중국어 | 靚|leng중국어 | 媠|súi중국어 |
"말하다" | 呾|tàⁿ중국어 | 講|góng중국어 | 講|kóng중국어 說|seh중국어 |
"무엇" | 乜個|mih-kâi중국어 | 乜嘢|mātyéh중국어 | 啥乜|siáⁿ-mi̍h중국어 |
"아이" | 孥囝|nou-kiáⁿ중국어 | 細路|sailouh중국어 | 囡仔|gín-á중국어 |
"검은" | 烏|ou중국어 | 黑|hāk중국어 | 烏|o͘중국어 |
차오저우어는 호키엔어가 문어적 발음을 선호하는 반면, 구어적 발음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호키엔어는 "감사합니다"를 多謝|to-siā중국어로 사용하는데, 이는 첫 번째 글자의 문어적 발음을 사용한 것이지만, 차오저우어는 구어적 발음인 ''tsōi-siā''로 읽는다. 安중국어이라는 글자는 문어적 발음(차오저우어 ''ang'', 호키엔어 ''an'')과 구어적 발음(둘 다 ''uaⁿ'')을 모두 가지고 있는데, 후자는 차오저우어에서 더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安全|uaⁿ-tshuâng중국어, 安心|uaⁿ-sim중국어, 安穩|uaⁿ-úng중국어, 治安|tī-uaⁿ중국어 등). 반면 호키엔어에서는 드물게 사용된다 (몇몇 지명에서 사용됨: 同安|Tâng-uaⁿ중국어, 南安|Lâm-uaⁿ중국어, 惠安|Hūi-uaⁿ중국어).
일부 글자의 경우, 문어적 발음은 호키엔어에만 존재하고(고전 중국어 텍스트 낭독에만 독점적으로 사용되는 경우라도), 많은 구어적 발음은 차오저우어에서만 사용된다.
차오저우어 어휘는 현대 어휘에서 중국어 공통 어휘를 제외하면, 민어중국어, 특히 민남어중국어와 공통되는 형태소를 가진 것이 많다. 이러한 민어중국어 공통 어휘에는 고대 중국어도 포함되지만, 비한어계 어휘도 적지 않다고 여겨지며, 옛 한자로 표기하기 어려워 가차(차자)나 방언자를 고안하여 한자화한 것도 있다.
유형 | 차오저우어 | 하문어(廈門語) | 해남어(海南語) | 복주어(福州語) | 베이징어(北京語) | 객가어(客家語) | 오어(吳語) | 광동어(廣東語) | 일본어 |
---|---|---|---|---|---|---|---|---|---|
중국어 공통 | 한자 | 한자 | 한자 | 한자 | 한자 | 한자 | 한자 | 한자 | 한자 |
두부(豆腐) | 두부(豆腐) | 두부(豆腐) | 두부(豆腐) | 두부(豆腐) | 두부(豆腐) | 두부(豆腐) | 두부(豆腐) | 두부 | |
민어 공통 | 젓가락(箸) | 젓가락(箸) | 젓가락(箸) | 젓가락(箸) | 젓가락(筷子) | 젓가락(筷只・箸只) | 젓가락(箸・筷) | 젓가락(筷子) | 젓가락 |
달걀(鷄卵) | 달걀(鷄卵) | 달걀(鷄卵) | 달걀(鷄卵) | 달걀(鷄蛋・鷄子兒) | 달걀(鷄卵) | 달걀(鷄蛋) | 달걀(鷄蛋・鷄春) | 달걀 | |
차오저우어 독특 | 율무(薏米仁・金黍米) | 보리이삭(麥穗) | 진주쌀(珍珠米) | 옥수수(油天炮) | 옥수수(老玉米) | 옥수수(包粟) | 옥수수(六穀・包米) | 옥수수(粟米) | 옥수수(玉蜀黍) |
오이(吊瓜) | 오이(刺瓜) | 오이(青瓜) | 오이(菜瓜) | 오이(黄瓜) | 오이(黄瓜) | 오이(青瓜(紹)・黄瓜) | 오이(青瓜・黄瓜) | 오이(胡瓜) | |
呾중국어 | 말하다(講) | 말하다(講) | 말하다(講) | 말하다(説) | 말하다(講・話) | 말하다(講・話) | 말하다(講・話) | 말하다(言う) |
9. 사용 현황
위에서 언급한 광둥성 차오저우어 사용 지역에서는 주민들 간의 일상 대화는 차오저우어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공적인 자리나 공영 방송에서는 표준어가 사용되고, 교육 또한 표준어로 이루어지므로, 기본적으로 차오저우어 사용자는 표준어와 바이링구얼이다.
광동TV의 위성 방송과 지역 TV, 라디오 방송에서는 차오저우어 프로그램이 있다. 해외 단파 방송이나 인터넷 방송에서도 차오저우어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사례가 있다.
지방극인 조극은 차오저우어로 공연된다. 차오저우 지역과 말레이시아의 가요에는 차오저우어로 부른 노래가 있다.
산터우 시내를 운행하는 버스의 자동 안내 방송은 표준어 다음으로 차오저우어로 방송된다.
참조
[1]
뉴스
學潮語,埋下愛的種子
https://www.sinchew.[...]
2021-01-09
[2]
서적
Language atlas of China (2nd edition)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3]
논문
Tones and prosody in Middle Chinese and the origin of the rising tone
[4]
서적
Middle Chinese: A study in Historical Phonology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ress
[5]
웹사이트
Glottolog 4.8 - Min
https://glottolog.or[...]
Max Planck Institute for Evolutionary Anthropology
2023-07-10
[6]
서적
Nominalization in Asian Languages: Diachronic and typological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7]
서적
Tono-types and Tone Evolution: The Case of Chaoshan
https://books.google[...]
Springer Nature
2021-01-04
[8]
논문
粵東閩南語的分布及方言片的劃分
https://www.airitili[...]
2010-03-01
[9]
서적
Guangdong Nan'ao Dao fang yan yu yin ci hui yan jiu
https://www.worldcat[...]
Zhonghua shu ju
2007
[10]
논문
LANGUAGE SITUATION IN THE CHAOSHAN COMMUNITY: A PILOT STUDY
https://sociolinguis[...]
2023-12-23
[11]
논문
粤东闽语存在齿唇音声母
[12]
서적
粤东闽语前后鼻音韵尾类型研究
曁南大学出版社
2013
[13]
서적
The Diachrony of Tone Sandhi: Evidence from Southern Min Chinese
Springer Singapore : Imprint: Springer
2019
[14]
서적
广东闽方言语音研究
汕头大学出版社
[15]
서적
粤东闽语语音研究
[16]
논문
潮陽地區四降調系統的變異及演化
https://benjamins.co[...]
2020-07-16
[17]
논문
Aspect of Chaozhou Grammar A Synchronic Description of the Jieyang Variety / 潮州話揭陽方言語法研究
https://www.jstor.or[...]
2007
[18]
서적
Southern Min: comparative phonology and subgrouping
Routledge
2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