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코네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코네산은 가나가와현 하코네에 위치한 제4기 화산이다. 약 50만 년 전부터 시작된 화산 활동으로 고기 외륜산, 신기 외륜산, 중앙 화구구의 세 시기로 나뉘며, 약 3,000년 전 가미산 북서쪽의 수증기 폭발로 오와쿠다니가 형성되고 센고쿠하라와 아시호가 칼데라에 생겼다. 하코네산은 지질학적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으며, 2015년 화산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분화 경계 레벨이 상향 조정되기도 했다. 하코네산은 온천, 관광, 리조트 개발 등으로 유명하며, 오와쿠다니 자연 연구로와 같은 시설이 갖춰져 있다. 또한, 하코네산은 산악성 기후와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곳으로, 주요 산과 고개, 그리고 이를 배경으로 한 작품들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산 - 하코네 고개
    하코네 고개는 가마쿠라 시대부터 방어 요충지이자 교통로였으며, 에도 시대에는 하코네 세키쇼가 설치되었고, 현재는 국도 1호선이 통과하며 세키쇼 복원 후 관광지로 활용된다.
  • 시즈오카현의 화산 - 후지산
    후지산은 혼슈 중앙부 태평양 연안에 위치한 3,776.24m의 활화산이자 일본의 상징적인 산으로, 신성시되는 신앙의 중심지이자 예술 작품의 소재로 활용되어 일본 문화에 깊은 영향을 미쳤으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국제적인 관광지이지만 과잉 관광 및 화산 활동에 대한 우려도 존재한다.
  • 시즈오카현의 화산 - 아시타카산
    아시타카 산은 필리핀해판과 유라시아판 경계 부근에 위치한 제4기 성층 화산으로, 에치젠다케를 최고봉으로 하는 복합 화산체이며, 아시타카철쭉과 너도밤나무 원시림 등 특유의 식생이 자생하고, 과거에는 아시다카 산으로 표기되었다.
하코네산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하코네 산
위치하코네, 가나가와현, 혼슈, 일본
높이1,438 m
산 종류복합 화산
활화산 등급B
지리 정보
좌표35.230° N 139.024° E
화산 활동
마지막 분화2015년 6월 ~ 7월
기타 정보
신사하코네 신사

2. 역사

하코네산은 제4기에 형성된 화산으로, 지질학적으로 복잡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2007년에는 '하코네 화산'이라는 이름으로 일본의 지질 백선(日本の地質百選)에 선정되었고, 2012년 9월에는 하코네 지오파크(箱根ジオパーク)로서 일본 지오파크(日本ジオパーク) 인정을 받았다.

2. 1. 지질학적 역사

하코네산(箱根山)은 약 40만 년 전에 활동을 시작한 제4기 화산이다.[3][4] 가나가와현 하코네에 위치하며, 그 지질학적 역사는 히사시 구노(Hisashi Kuno) 박사 등에 의해 연구되었다. 하코네산은 이중의 외륜산과 중앙화구구, 그리고 칼데라로 구성되며, 칼데라 안에는 아시호가 형성되어 있다.

하코네산의 활동 시기는 오래된 순서대로 크게 세 단계로 나뉜다: "고기 외륜산", "신기 외륜산", "중앙 화구구".[8]

1. 고기 외륜산 형성 (약 50만 년 전 ~ ): 약 50만 년 전의 분출로 현재의 "구 외륜산"에 해당하는 긴토키산, 묘진가타케, 묘죠가타케 등이 형성되었다.

2. 용암돔 형성 (약 30만 년 전 ~ ): 후타고산과 같은 용암돔이 출현했다.

3. 신기 외륜산 형성 (약 16만 년 전 ~ ): 약 16만 년 전의 분출로 "신 외륜산"이 형성되었으며, 여기에는 센겐산(浅間山)과 다카노스산(鷹巣山)이 포함된다.

4. 중앙 화산구 형성 (약 5만 년 전 ~ ): 새로운 분출이 시작되어 "중앙 화산구"에 하코네 최고봉인 가미산(神山), 고마산(駒ヶ岳) 등 여러 봉우리가 생성되었다.

5. 칼데라 함몰 및 후기 활동 (약 3천 년 전 ~ ): 약 3,000년 전, 가미산 북서쪽에서 발생한 수증기 폭발로 인한 산사태로 오와쿠다니가 생성되었다. 이 과정에서 형성된 거대한 칼데라에는 센고쿠하라(仙石原) 분지와 아시호가 만들어졌다.[3][4]

현재도 오와쿠다니 등지에서는 분연과 유황 분출 등 화산 활동이 관찰되며, 일부 지역에서는 치명적인 화산가스가 분출되기도 한다. 하코네 화산의 열원인 마그마 덩어리의 정확한 규모와 크기는 불분명하지만, 지진 관측 결과에 따르면 마그마 덩어리의 상단은 지하 5km 이하에 위치하는 것으로 추정된다.[5] 산의 남쪽에는 크게 침식된 유가와라 화산(湯河原火山)이 인접해 있다.

일본 기상청의 화산분화예지연락회는 하코네산을 화산 방재를 위해 감시 및 관측 체제를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는 화산으로 선정하였다.[6]

2007년에는 '하코네 화산'이라는 이름으로 일본의 지질 백선에 선정되었으며, 2012년 9월에는 하코네 지오파크로서 일본 지오파크로 인정받았다.

2. 2. 활동사

하코네산은 가나가와현 하코네에 위치한 제4기 화산으로, 약 40만 년 전에 활동을 시작했다.[5] 지질학적 역사는 구노 히사시 박사 등에 의해 연구되었다. 하코네산은 이중의 외륜산과 중앙화구구, 그리고 칼데라로 구성되며, 칼데라 안에는 아시노코가 형성되어 있다.

화산 활동은 약 50만 년 전 현재의 "고기 외륜산"에 해당하는 킨토키산과 묘진가타케 등을 형성한 분출로 시작되었다. 약 16만 년 전의 분출로 "신기 외륜산"(센겐산, 다카노스산 등)이 형성되었고, 5만 년 전부터는 "중앙 화산구"에서 새로운 분출이 일어나 하코네 최고봉인 가미산, 고마가타케, 후타고산 등의 용암돔 봉우리들이 만들어졌다. 약 3,000년 전에는 가미산 북서쪽에서 수증기 폭발산사태가 발생하여 오와쿠다니가 생성되었고, 이 과정에서 센고쿠하라 평원과 아시노코가 형성되는 데 영향을 미쳤다.[3][4]

현재도 오와쿠다니 등지에서는 분연과 황 등이 관찰되는 화산 활동이 이어지고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치사성의 화산가스가 분출되기도 한다. 하코네 화산의 열원인 마그마 덩어리의 정확한 규모와 크기는 불명확하지만, 지진 관측 결과 상단부가 지하 5km 이하에 위치하는 것으로 추정된다.[5] 하코네산은 화산분화예지연락회(火山噴火予知連絡会)에 의해 화산 방재를 위한 감시 및 관측 체제 강화가 필요한 화산으로 선정되었다.[6]

산기슭 곳곳에서는 온천이 솟아나 예로부터 탕치장(湯治場)으로 하코네 온천(箱根温泉)이 발달했다. 헤이안 시대 초기까지 도카이도(東海道)는 하코네산 북쪽의 아시가라 고개(足柄峠)를 넘었으나, 후지산의 엔랴쿠 분화(800년-802년)로 통행이 어려워지면서 남쪽의 하코네 고개(箱根峠)를 넘는 길이 정비되어 교통의 요지가 되었다. 에도 시대에는 하코네 관소가 설치되어 중요한 검문소 역할을 했다.[7]

메이지 유신 이후 하코네는 고급 리조트지로도 발전했으며, 후지야호텔(富士屋ホテル) 본관 등은 당시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전후에는 관광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져 리조트 시설, 별장, 호텔, 미술관 등 다양한 위락 시설이 들어섰다. 이 과정에서 하코네산 전쟁(箱根山戦争)이라 불리는 대기업 간의 치열한 관광객 유치 경쟁이 벌어지기도 했다. 현재도 온천 테마파크 등이 건설되며 많은 관광객이 찾고 있다.

관광지로서 발달하면서 철도 교통도 잘 갖추어져 오다큐 전철(小田急電鉄)의 특급열차(特別急行列車)인 오다큐 로망스카(小田急ロマンスカー)가 도쿄 도심에서 하코네유모토 역(箱根湯本駅)까지 직통 운행하는 등 접근성이 좋다. 한편, 국도 1호(国道1号)는 여전히 중요한 교통로이지만, 도메이 고속도로(東名高速道路)와 국도 246호(国道246号) 개통 이후 간선도로로서의 기능은 다소 약화되었다. 그럼에도 관광객 차량으로 인해 교통량이 많으며, 국도 138호(国道138号)와 여러 유료도로(有料道路)가 하코네산을 통과한다.

2007년 하코네 화산은 일본의 지질 백선(日本の地質百選)에 선정되었고, 2012년 9월에는 하코네 지오파크(箱根ジオパーク)로서 일본 지오파크(日本ジオパーク) 인정을 받았다.

하코네산의 활동 시기는 크게 "고기 외륜산", "신기 외륜산", "중앙 화구구" 형성의 세 단계로 나뉜다.[8] 각 시기별 자세한 형성 과정은 하위 섹션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2. 2. 1. 고기 외륜산 (古期外輪山)

하코네 화산의 활동은 약 50만 년 전에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이 초기 분출로 현재의 "고기 외륜산" 지역에 킨토키산과 묘죠가타케(明星ヶ岳) 등이 형성되었다.[3][4] 이후 약 40만 년 전부터 본격적인 화산 활동이 이어졌다.[5]

여러 차례의 화산 분화를 거쳐 약 25만 년 전에는 '고하코네화산(古箱根火山)'이라 불리는, 당시 추정 해발고도 2700m에 달하는 후지산 형태의 거대한 성층화산이 형성되었다. 그러나 약 18만 년 전, 대규모 분화 후 지하의 마그마가 빠져나가면서 산 중심부가 거대하게 함몰하는 칼데라가 형성되었다.[8]

이때 함몰되지 않고 주변에 남겨진 산들이 현재의 '고기 외륜산(古期外輪山)'을 이루게 되었다. 여기에는 다이라노미네(塔ノ峰), 묘죠가타케(明星ヶ岳), 묘진가타케(明神ヶ岳), 마루다케(丸岳), 미쿠니산(三国山), 다이칸산(大観山), 시라가네산(白銀山) 등 해발고도 1000m 전후의 봉우리들이 포함된다. 한편, 킨토키산은 외륜산의 일부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고하코네화산 시절 산 중턱에서 분출하여 형성된 측화산이다.[8]

2. 2. 2. 신기 외륜산 (新期外輪山)

하코네산의 활동 시기는 크게 고기 외륜산, 신기 외륜산, 중앙 화산구의 세 단계로 나뉜다.[8] 칼데라가 형성된 후 약 13만 년 전부터 화산 활동이 다시 활발해지면서 칼데라 내부에 작은 순상화산들이 만들어졌다.

약 5만 2천 년 전, 이 순상화산이 대분화를 일으켜 다시 함몰되었고, 이때 동쪽에서 남쪽에 걸쳐 반달 모양으로 남은 지형이 '''신기 외륜산'''이다. 신기 외륜산은 아사마산, 타카스산, 병풍산 등으로 구성된다. 이 폭발적인 분화로 인해 발생한 화쇄류는 서쪽으로는 후지가와 유역, 동쪽으로는 현재의 요코하마시 교외 지역까지 광범위하게 퍼져나갔으며, 그 양은 약 50억m3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9] 이때 퇴적된 화산쇄설물은 '''도쿄 경석'''(東京軽石|도쿄 가루이시일본어)[10] 또는 '''하코네 도쿄 경석'''(箱根東京軽石|하코네 도쿄 가루이시일본어)이라고 불린다.

2. 2. 3. 중앙 화구구 (中央火口丘)

약 5만 년 전, 칼데라 내부에서 다시 화산 활동이 시작되어 중앙 화구구 시대가 열렸다. 먼저 선신산(pre-Kamiyama)이 형성되었는데, 이 산의 활동은 분연주를 형성하며 부석을 분출하는 단계, 유질 암편을 많이 분출하는 단계, 그리고 산의 일부가 붕괴하여 하야카와 이류(泥流) CC2를 형성하는 단계로 변화했다.[11]

이후 화산 활동은 점성이 높은 용암의 대규모 유출을 동반하는 방식으로 바뀌어, 용암돔 형성과 용암돔 붕괴형 화쇄류 발생이 주를 이루었다. 이 과정에서 하코네의 최고봉인 가미산, 고마가타케, 다이가타케, 가미후타고산, 시모후타고산 등 여러 용암돔 봉우리들이 중앙 화구구를 형성했다.[11] 이때 발생한 화쇄류는 옛 하야카와를 막아, 현재의 센고쿠하라(仙石原) 지역에 '센고쿠하라호'라고 불리는 칼데라 호수를 만들었다.[11]

약 3,000년 전에는 가미산 북서쪽에서 수증기 폭발이 일어나 산사태를 유발했고, 이로 인해 오와쿠다니(大涌谷)가 생성되었다.[3][4] 현재도 오와쿠다니(大涌谷) 등지에서는 분연과 황 등이 관찰되는 화산 활동이 이어지고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치사성 화산가스가 분출되기도 한다.

2. 2. 4. 최근 1만 년간의 활동

최근 1만 년간의 활동은 칼데라 내 후기 중앙 화산구(中央火口丘群)에 한정되어 나타난다. 이 시기 활동의 주요 특징은 마그마 분출로 인한 용암 또는 용암돔 형성과, 용암돔이 붕괴하며 발생하는 화쇄류(블록앤애쉬플로우형)이다.[11]

주요 마그마 분출은 다음과 같이 확인된다.

  • 약 8000년 전: 신산(가미산) 정상 부근에서 분출 발생.
  • 약 5700년 전: 이고산(후타고산) 용암돔 형성.
  • 약 3200년 전: 신산(가미산)에서 분출 발생. 이때 신산 북쪽의 산체가 붕괴하며 관가다케(칸무리가타케)가 형성됨.


약 3000년 전에는 신산(가미산) 북서쪽 사면에서 큰 수증기 폭발이 발생했다. 이 폭발로 산의 많은 부분이 붕괴하면서 오와쿠다니가 생성되었다. 또한, 수증기 폭발로 발생한 토석류는 당시 존재했던 센가하라 호수의 절반 이상을 메워 현재의 센고쿠하라를 만들었으며, 하야카와(早川) 상류(현재의 코지리 부근)를 막아 아시노코(아시호)를 형성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에도 약 2000년 전에 수증기 폭발이 발생한 기록이 있다.

2. 2. 5. 역사 시대 이후의 활동

역사 시대 이후 하코네산의 화산 활동은 주로 오와쿠다니(大涌谷) 주변에서 발생한 수증기 분화에 한정된다. 기록에 따르면 12세기 후반부터 13세기에 걸친 짧은 기간 동안 세 차례의 분화가 있었으며, 21세기 들어서도 한 차례의 활동이 관측되었다.

2015년에는 화산 활동이 다시 활발해지는 양상을 보였다. 5월 6일, 일본 기상청은 분화경계레벨을 1단계(활화산임에 유의)에서 2단계(화구 주변 규제)로 상향 조정했다.[12] 이어 6월 30일에는 오와쿠다니에서 매우 작은 규모의 분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어 분화경계레벨이 3단계(입산 규제)로 추가 상향되었다.[12] 이에 따라 하코네정은 오와쿠다니 주변 반경 1km 이내 지역에 대해 피난 지시를 내렸다.[13] 다행히 이후 화산 활동은 점차 수그러들었고, 같은 해 11월 20일에는 분화경계레벨이 다시 1단계로 하향 조정되었다.

3. 교통

하코네산은 관광지로서 발전하면서 험준한 지형에도 불구하고 교통 또한 발달했다. 특히 철도 교통이 잘 갖추어져 있어 전철 등을 이용하여 아시노코(芦ノ湖)까지 접근할 수 있다. 도심에서는 오다큐 전철(小田急電鉄)이 특급열차(特別急行列車)인 오다큐 로망스카(小田急ロマンスカー)를 하코네유모토 역(箱根湯本駅)까지 직접 운행하여 접근성이 매우 뛰어나다. 이러한 교통 발달 과정에서 하코네산 전쟁(箱根山戦争)이라 불리는 대기업 그룹 간의 치열한 관광객 유치 및 수송 경쟁이 벌어지기도 했다.

도로 교통 역시 발달하여 국도 1호(国道1号), 국도 138호(国道138号) 및 여러 유료도로(有料道路)가 운행 중이지만, 행락철에는 관광객 증가로 정체(渋滞)가 발생하기도 한다. 자세한 철도 및 도로 정보는 하코네정(箱根町)#교통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주요 도로

헤이안 시대 초기 이전에는 도카이도(東海道)가 하코네산 서쪽을 북상하여 긴토키산(金時山) 북쪽의 아시가라 고개(足柄峠)를 넘었으나, 후지산(富士山)의 엔랴쿠 분화(800년-802년)로 통행이 불가능해지면서 하코네산 남쪽의 하코네 고개(箱根峠)를 지나는 길이 정비되어 교통의 요충지가 되었다. 에도 시대에는 하코네 관소가 설치되어 엄격한 통행 관리가 이루어지기도 했다.[7]

현재 하코네산을 통과하는 주요 도로는 다음과 같다.

  • 국도 1호: 과거 도카이도(東海道)의 일부로 동서를 잇는 중요한 교통로였으며, 하코네산 구간은 표고가 가장 높아 예로부터 교통의 큰 어려움이 따르는 곳이었다. 그러나 도메이 고속도로(東名高速道路)와 국도 246호가 개통된 이후 간선 도로로서의 중요성은 다소 줄어들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광객 등의 차량 통행이 많아 여전히 교통량이 많은 편이다.
  • 국도 138호
  • 각종 유료도로


행락철에는 하코네산 전역에서 차량 정체가 발생하기도 한다. 철도 및 도로에 대한 더 자세한 목록은 하코네정(箱根町)#교통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4. 관광 및 문화

하코네산은 풍부한 온천 자원을 바탕으로 예로부터 탕치장(湯治場)으로 유명했으며, 하코네 온천(箱根温泉)으로 발전했다. 과거 도카이도(東海道)의 주요 경로였으며, 후지산(富士山) 분화 이후 하코네 고개(箱根峠)가 주요 교통로로 정비되었다. 에도 시대에는 하코네 관소(箱根関所)가 설치되어 교통의 요충지 역할을 했다.[7]

메이지 유신(明治維新) 이후 고급 리조트로 개발되기 시작했으며, 전후 활발한 관광 개발을 통해 호텔, 미술관 등 다양한 시설이 들어섰다. 이 과정에서 기업 간 경쟁인 '하코네산 전쟁(箱根山戦争)'이 벌어지기도 했으며, 현재도 인기 있는 관광지로 많은 이들이 찾는다.

관광지 발달과 함께 철도도로 교통망이 확충되어 접근성이 좋다. 오다큐 로망스카(小田急ロマンスカー) 등이 운행되어 도심에서도 편리하게 방문할 수 있다.

하코네산은 지질학적 가치를 인정받아 일본의 지질 백선(日本の地質百選) 및 일본 지오파크(日本ジオパーク)로 지정되었다. 또한, 북부 아시가라야마(足柄山) 지역은 킨타로 설화의 배경지로도 알려져 있다.

4. 1. 온천

하코네산의 산 중턱과 기슭 여러 곳에서 온천이 솟아나와, 예로부터 탕치장으로 온천 마을이 형성되어 하코네 온천으로 발전했다. 메이지 유신 이후에는 고급 리조트로서의 면모도 갖추게 되었으며, 후지야 호텔 본관 등은 당시의 모습을 현재까지 간직하고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관광지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져 리조트 시설, 별장, 호텔, 미술관 등 다양한 오락 시설이 건설되었다. 이 과정에서 거대 기업 그룹 간의 관광객 유치 경쟁인 이른바 '하코네산 전쟁'이 벌어지기도 했다. 전성기 정도는 아니지만, 최근에도 온천 테마파크와 같은 시설이 건설되어 많은 관광객과 휴양객들이 방문하고 있다.

4. 2. 리조트 개발

메이지 유신(明治維新) 이후 하코네산은 고급 리조트로서의 성격을 갖추기 시작했다. 후지야 호텔(富士屋ホテル) 본관 등은 당시의 모습을 잘 보여주는 예시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관광지 개발이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져 리조트 시설, 별장, 호텔, 미술관 등 다양한 오락 시설이 건설되었다. 이 과정에서 거대 기업 그룹 간의 치열한 관광객 유치 경쟁인 이른바 '하코네산 전쟁(箱根山戦争)'이 벌어지기도 했다.

과거 전성기 수준은 아니지만, 최근에도 온천 테마파크와 같은 새로운 시설이 들어서면서 많은 관광객과 리조트 이용객들이 하코네산을 찾고 있다.

하코네산이 관광지로서 발전하면서 교통 또한 발달했다. 험준한 산악 지형임에도 불구하고 전철 등을 이용해 아시노코까지 접근할 수 있다. 특히 도심에서 오다큐 전철(小田急電鉄)이 특급열차(特別急行列車)인 오다큐 로망스카(小田急ロマンスカー)를 하코네유모토 역(箱根湯本駅)까지 직접 운행하여 도심에서의 접근성이 매우 뛰어나다.

국도 1호(国道1号)인 도카이도(東海道)는 여전히 중요한 교통로이지만, 도메이 고속도로(東名高速道路)와 국도 246호(国道246号) 개통 이후 하코네산 구간의 간선도로 기능은 다소 약화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광객 차량 등으로 인해 교통량은 여전히 많으며, 휴가철에는 산 전체적으로 교통 정체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 외에도 국도 138호(国道138号)와 여러 유료도로(有料道路)가 하코네산을 통과한다.

2007년에는 '하코네 화산(箱根火山)'이라는 이름으로 일본의 지질 백선(日本の地質百選)에 선정되었고, 2012년 9월에는 하코네 지오파크(箱根ジオパーク)로서 일본 지오파크(日本ジオパーク) 인정을 받아 지질학적 가치와 관광 자원으로서의 중요성을 함께 인정받았다.

4. 3. 오와쿠다니 원지 (大涌谷園地)

하코네산 신산 북쪽에는 오와쿠다니 원지가 있다. 이 원지 안에는 약 600m 길이의 순환 코스인 '오와쿠다니 자연 연구로(大涌谷自然研究路)'가 정비되어 있다.[14]

2015년 5월 6일, 화산 분화 경계 레벨이 2단계로 상향 조정됨에 따라 안전상의 이유로 오와쿠다니 원지 전체의 출입이 통제되었다.[14] 이후 분화 경계 레벨이 다시 하향 조정되어 원지 일부가 재개방되기도 했으나, 오와쿠다니 자연 연구로는 안전 대책 시설이 완비될 때까지 출입 규제가 계속되고 있다.[14]

4. 4. 지오파크

2007년, '''하코네 화산'''으로서 일본의 지질 백선에 선정되었고, 2012년 9월에는 하코네 지오파크로서 일본 지오파크 인정을 받았다.

4. 5. 기상

(내용 없음 -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기상' 섹션에 해당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4. 6. 동식물

하코네산에는 작은 동물, 조류, 곤충류가 많이 서식한다. 다이칸산 근처에서는 일본원숭이의 모습이 확인되고 있다. 그 외에 멧돼지, 노토끼, 족제비 등이 서식하며, 여우너구리는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 조류는 200종 이상이 확인되었다. 온난하고 강수량이 많아 식물의 종류가 풍부하며, 양치식물 이상의 고등식물은 1800종 이상이 확인되었다.[15]

4. 7. 주요 산

명성가다케에서 본 명신가다케. 명성가다케는 등산객이 적어 조용한 산행을 즐길 수 있다.


하코네산의 활동 시기는 오래된 순서대로 “고기 외륜산”, “신기 외륜산”, “중앙 화구구”의 세 가지로 크게 나뉜다.[8]

  • 중앙 화구구
  • 관가다케(1409m)
  • 신산(1438m) - 하코네산 최고봉이다. 산 전체가 수목으로 뒤덮여 조망은 없지만, 하코네의 자연 그대로의 푸르름을 느낄 수 있다.[15]
  • 고마가다케(1356m) - 신산 옆에 솟아 있으며, 정상부는 바위가 드러나고 풀로 덮여 있다. 조망이 좋고 정상까지 로프웨이 이용이 가능하여 등산객이 많다.[15]
  • 상니고산(1091m)
  • 하니고산(1065m)
  • 소운산(1153m)
  • 신기 외륜산
  • 햐쿠산(948m)
  • 타카스야마(834m)
  • 아사마산(802m)
  • 고기 외륜산
  • 시라가네산(993m)
  • 다이칸산(1011m) - 동쪽 기슭에 항공로 감시 레이더가 있다.
  • 미쿠니산(1102m)
  • 마루다케(1156m)
  • 금시산(1212m[16][17]) - 실제로는 외륜산이 아닌 고하코네 화산의 측화산이다. 킨타로 전설, 정상의 찻집, 정상에서 보이는 후지산 조망으로 유명하다.[15]
  • 명신가다케(1169m) - 정상이 넓고 평탄하며, 후지산이나 금시산 등의 경치가 좋다.[15]
  • 명성가다케(924m) - 중턱에서 매년 8월 다이몬지야키가 열리는 것으로 유명하다. 정상은 능선 위에 있지만 조망은 좋지 않다.[15]
  • 타노미네(566m)


하코네산 북부의 금시산에서 아시가라 고개에 이르는 지역은 '''아시가라야마'''(足柄山)라고도 불리며, 킨타로의 탄생지로 알려져 있다. 아시가라야마는 금시산의 다른 이름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4. 8. 주요 고개

헤이안 시대 초기 이전에는 도카이도(東海道)가 아시가라고개를 넘었으나, 후지산(富士山)의 엔랴쿠 분화(800년-802년)로 통행할 수 없게 되면서 하코네고개를 지나는 길이 정비되어 교통의 요충지가 되었다.[7]

하코네산 주변의 주요 고개는 다음과 같다.

5. 하코네산을 배경으로 한 작품

※발표 연도순

; 영화


  • 하코네산(1962년 9월 15일, 도호) - 하코네산 전투를 모티브로 한 사자문륙 원작을 가와시마 유조가 가야마 유조, 호시 유리코 콤비로 영화화.
  • 살인귀의 유혹(1963년 5월 19일, 도에이) - 클라이맥스에서 치바 신이치가 연기하는 주인공 기자가 범인을 추격하는 장면 촬영.

; 음악

  • 하코네 팔리(1901년) - 토리이 신 작사, 타키 렌타로 작곡의 동요.
  • 하코네 팔리의 한지로(2000년) - 히카와 키요시
  • 잠깐 쉬어가기(2008년) - 이이즈카 마모루

참조

[1] gvp 2015-05-07
[2] 웹사이트 Gods worshipped, origins, ceremony days http://hakonejinja.o[...] Hakone Shrine 2017-12-07
[3] 웹사이트 History of Mount Hakone (Hakone, Kanagawa) https://www.town.hak[...]
[4] 웹사이트 Chronology of Mount Hakone (Hakone, Kanagawa) https://www.town.hak[...]
[5] 웹사이트 箱根温泉の成因 http://www.onken.oda[...] 温泉地学研究所
[6] 웹사이트 火山防災のために監視・観測体制の充実等の必要がある火山 https://www.data.jma[...] 気象庁 2016-02-25
[7] 문서 箱根峠
[8] 논문 箱根火山新期軽石流期の TPf1(東京軽石流)について https://doi.org/10.1[...] 1990-04-05
[9] 웹사이트 伊豆東部火山群の時代(24)箱根火山最大の噴火 http://sk01.ed.shizu[...] 伊豆新聞 2008-11-16
[10] 논문 東京軽石流堆積物中の炭化木片の加速器質量分析計による放射性炭素年代 https://doi.org/10.5[...]
[11] 논문 箱根火山の最近5万年間のテフラ層序と噴火史 https://doi.org/10.4[...]
[12] 웹사이트 箱根山の活動状況 https://www.data.jma[...] 気象庁
[13] 웹사이트 箱根町周辺の火山・地震活動 http://www.town.hako[...] 箱根町
[14] 웹사이트 大涌谷自然研究路における噴石シェルター整備工事について https://www.pref.kan[...] 2022-01-29
[15] 웹사이트 箱根の山々・自然を知って登山を楽しむ・箱根アクセス情報 https://yamatabitabi[...] 2020-10-08
[16] 웹사이트 標高値を改定する山岳一覧 資料2 https://www.gsi.go.j[...] 国土地理院 2014-03-26
[17] 문서 GNSS測量等の点検・補正調査による2014年4月1日の国土地理院『日本の山岳標高一覧-1003山-』における改定値。なお、旧版での標高は1,213m。
[18] 웹인용 하코네산 https://ko.wikisourc[...] 2021-04-21
[19] 웹인용 하코네 https://terms.naver.[...] 2021-04-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