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대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강대교는 서울특별시를 관통하는 한강에 건설된 다리로, 1917년 10월 7일 '한강인도교'라는 이름으로 처음 개통되었다. 일제강점기 시대에 건설되어 을축년 대홍수로 파괴된 후 복구되었으며, 한국 전쟁 중 폭파되었다가 재건되었다. 1970년대부터 '한강대교'라는 명칭으로 불리며, 1984년 한강종합개발사업으로 공식 명칭이 되었다. 2017년 완공 100주년을 맞이했으며, 2020년 서울특별시 시도등록문화재 제1호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특별시의 시도등록문화유산 - 경향신문 (1906년)
1906년 대한제국 시기에 프랑스 선교사들이 천주교 전파와 신자 보호를 목적으로 창간한 경향신문은 시사 신문으로서 국민 계몽에 기여했으나 일제강점기에 강제 폐간되었고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 서울 동작구의 건축물 - 한강철교
한강철교는 경부선 등 주요 철도 노선을 잇는 서울 한강의 철교로, A, B, C, D선의 4개 교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 철도 역사와 전쟁의 역사, 그리고 산업 발전의 상징으로 평가받고 있다. - 서울 동작구의 건축물 - 동작대교
동작대교는 1984년 개통한 대한민국 최초의 랭거아치 형식 다리이며, 서울 지하철 4호선 통과를 고려하여 건설되었으나, 초기 민간 투자 방식의 자금난과 용산 미군기지 이전 계획 무산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한강대교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이름 | 한강대교 |
다른 이름 | 한강대교 (Hangang Bridge) |
로마자 표기 | Hangang daegyo |
한자 표기 | 漢江大橋 |
위치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로3가 ~ 동작구 본동 |
횡단 | 한강 |
섬 통과 | 노들섬 |
관리 | 서울특별시청 |
명명 유래 | 한강 ("Hangang") |
구조 | |
종류 | 거더교, 아치교 |
길이 | 1,005m |
너비 | 8차로 |
차선 수 | 8 |
설계 및 건설 | |
건설 시작 | 1916년 3월 |
완공 | 1917년 10월 |
개통 | 1917년 10월 7일 |
재건축 | 1954년 |
파괴 | 1950년 |
교통 | |
기타 | |
문화재 지정 | 서울특별시의 시도등록문화재 제1호 (2020년 9월 10일 지정) |
공식 웹사이트 | 한강사업본부 |
이미지 | |
![]() | |
![]() | |
![]() | |
![]() |
2. 역사
현대적인 다리가 놓이기 전, 이 자리에는 배를 이어 만든 다리인 폰툰교가 있었다. 1900년 한강철교가 완공되었지만, 한강을 건너는 고정된 도로 시설은 없었다.[2] 자동차가 도입되면서 도로교 건설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조선총독부 주도로 1917년 10월 처음으로 사람과 차가 건널 수 있는 한강 인도교가 개통되었다. 이 다리는 노량진 쪽의 긴 다리(대교)와 용산 쪽의 짧은 다리(소교)로 이루어져 있었다.
1925년 7월 큰 홍수로 소교가 일부 파괴되었고, 복구 과정에서 다리 폭이 확장되었다. 1935년에는 대교도 다시 건설되었고, 다리 위로 전차가 다닐 수 있게 되었다.
한국 전쟁이 발발한 직후인 1950년 6월 28일 새벽, 북한군의 남하를 막기 위해 대한민국 국군이 예고 없이 다리를 폭파했다(한강대교 폭파). 당시 한강을 건널 수 있는 유일한 도로였던 이 다리의 폭파로, 피난길에 올랐던 수많은 민간인을 포함하여 적게는 500명에서 많게는 1,000명에 이르는 사람들이 희생되었다.[3] 전쟁 중 임시 복구를 거쳐 1958년에야 다리가 완전히 복구되었다.
1982년에는 교통량 증가에 따라 기존 다리 옆에 새로운 다리를 건설하여 기존 4차선에서 8차선으로 확장했으며, 이때 공식 명칭이 한강대교로 변경되었다.[3]
2. 1. 일제강점기
1900년 한강 최초의 다리인 한강철교가 건설될 때, 철교 한쪽에 보도를 만들자는 의견이 있었으나 당시 철도 부설권을 가진 일본 제국은 공사비를 이유로 이를 수용하지 않았다. 당시에는 민간용 차량이 거의 없었고 도보 이용자들은 배를 이용했기에 다리 건설 수요가 크지 않았다.[2]
그러나 자동차가 도입되고 한강을 건너려는 수요가 늘자 조선총독부는 1912년 도로 건설 계획의 일환으로 인도교 건설 계획을 세웠다. 공사는 한강철교, 수풍댐 등을 건설했던 하자마구미(間組)가 맡아 1916년 3월 착공하여 1917년 7월 9일 완공했고, 같은 해 10월 7일 개통했다. 다리 건설 과정에서 기초를 설치한 한강의 모래섬은 나카노시마(中之島)라 불렸는데, 이곳이 현재의 노들섬이다.
완성된 다리는 노량진과 노들섬을 잇는 길이 440m의 한강교(경간 60m 7련)와, 노들섬에서 용산까지 백사장을 가로지르는 길이 188m의 한강소교(경간 60m 3련)로 구성되었다. 이 둘을 합쳐 한강인도교라 불렀으며[4], 이로써 사람과 차량이 한강을 걸어서 건널 수 있게 되었다. 개통식에는 당시 조선 총독이던 하세가와 요시미치(長谷川好道, 1850~1924)를 비롯한 내빈과 시민들이 참석하여 다리를 처음 건너는 도교식(渡橋式)을 가졌고, 이완용이 내빈 대표로 연설했다. 한강교와 한강소교에는 하세가와 총독이 쓴 현판이 걸렸다. 당시 조선일보나 동아일보 창간 전이라 매일신보가 주로 개통 소식을 보도했으며, 다리 모습과 개통식 풍경 사진을 다수 실었다.[5] 다리에는 전등이 설치되고 양편에는 아까시나무를 심어 경관을 꾸몄다.

1925년 7월, 을축년 대홍수로 노들섬 부근 제방이 무너지면서 다리 통행이 중단되었다. "한강 다리가 떠내려갔다"는 말이 이때 나왔다.[6] 유실된 한강인도교 소교(용산 방면)는 1929년 9월 18일 폭 18m로 확장되어 다시 개통되었다. 이후 1935년 10월에는 대교(노량진 방면)도 재건축하여 개통했는데, 이때 사용된 기존 다리의 부재는 양수대교 건설에 재활용되었다. 또한 이 시기에 경성전차 노선이 한강교 위로 노량진까지 부설되었고, 중지도에 공원을 만들고 전차 정류장을 설치했다.
2. 2. 해방 이후

1950년 6월 28일 새벽, 한국 전쟁 발발 직후 북한군의 남진을 저지한다는 명분으로 대한민국 국군이 한강대교를 폭파하는 한강 인도교 폭파 사건이 발생했다.[2][3] 당시 한강의 유일한 도로 교량이었던 이 다리의 갑작스러운 폭파는 한강 방어선 구축에는 기여했을지 모르나, 폭파 계획을 알지 못했던 수많은 피난민의 희생을 야기했으며 강북 주민들의 피난길을 막는 결과를 낳았다. 이 사건으로 적게는 500명에서 많게는 1,000명에 이르는 인명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3]
전쟁 중 폭파된 한강대교는 1950년 10월에 임시 복구되어 1개 차선만 통행이 가능해졌다가, 1957년 11월 30일 미군과 육군 133공병대대가 배다리를 가설하여 임시 복구 작업을 진행했다.[7][8] 이후 완전 복구 공사를 거쳐 1958년 5월 15일 오전 11시에 준공식을 열고 통행을 재개했다.[9][10]
1962년에는 제2한강교인 양화대교가 건설되면서 기존 한강 인도교는 '''제1한강교'''로 불리게 되었다. 1968년에는 한강소교 아래쪽의 넓은 백사장이 준설 등을 통해 제거되면서 노들섬이 완전한 하중도(河中島)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늘어나는 교통량을 감당하기 위해 1979년 1월부터 기존 다리 옆에 새로운 다리를 놓아 차로를 확장하는 공사가 시작되었다. 1981년 12월에 완공되어 1982년 2월 27일 개통하면서 기존 4차선에서 8차선으로 확장되었고, 나란히 놓인 두 개의 다리 모습 때문에 '''쌍둥이다리'''라는 별칭을 얻었다.
한편, 제2한강교 건설 이후 한강에 새로 건설되는 다리들을 '제3한강교', '제4한강교' 등으로 부르면서 '한강대교'라는 이름이 여러 다리를 통칭하는 의미로 쓰이기도 했으나, 1970년대부터는 점차 제1한강교를 특정하여 부르는 이름으로 굳어졌다. 이에 따라 1984년 한강종합개발사업 추진 과정에서 제1한강교의 명칭은 공식적으로 '''한강대교'''로 변경되었다.
1996년 7월 1일에는 국도 노선 변경에 따라 국도 제1호선 구간에서 해제되었다.[13] 2020년 9월 10일에는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서울특별시의 시도등록문화재 제1호로 등록되었는데, 이는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도가 국가등록문화재와 시·도등록문화재로 이원화된 이후 최초로 등록된 시·도등록문화재이다.[12][14]
3. 대중 문화
1999년 1월에 발표된 토이의 노래 〈여전히 아름다운지〉의 뮤직비디오가 촬영되었다.
참조
[1]
뉴스
White on time
http://mengnews.join[...]
2012-01-15
[2]
뉴스
Seoul plans renaissance of Han River
2010-07-07
[3]
백과사전
한강대교
http://100.naver.com[...]
[4]
웹인용
第1期 治道工事 및 漢江橋 落成式
http://db.history.go[...]
2021-01-17
[5]
뉴스인용
한강보교는 금월준공, 규모와 설비가 경기남편의 장관
https://www.nl.go.kr[...]
매일신보
1917-08-14
[6]
뉴스인용
쇠다리걸린지 61년... 몇개나 더 놓이게될까 漢江다리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1978-11-01
[7]
뉴스인용
이권(利權)다툼으로 인도교보수(人道橋補修)가 지연(遲延) 자재확보(資材確保)한지 벌써 반년(半年)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2020-10-11
[8]
웹인용
대한뉴스 제 164호-한강 인도교 복구 준공 - YouTube
https://www.youtube.[...]
2021-01-17
[9]
뉴스인용
제모습갖춘한강인도교(漢江人道橋)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2020-10-11
[10]
웹인용
대한뉴스 제 164호-한강 인도교 복구 준공 - YouTube
https://www.youtube.[...]
2021-01-17
[11]
뉴스
영욕의 100년 한강대교...기능개선 손 놓은 서울시
http://weekly.chosun[...]
주간조선
2017-10-03
[12]
뉴스인용
한강대교, 서울시 등록문화재 1호로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20-09-10
[13]
간행물
대통령령 제1510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96-07-01
[14]
간행물
서울특별시고시 제2020-375호
http://event.seoul.g[...]
2020-09-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