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기술교육대학교는 1992년 개교한 충청남도 천안시에 위치한 사립 대학이다. 1980년대 직업훈련교사 양성을 목표로 설립이 추진되었으며, 산업 현장의 요구에 맞춰 실무 중심의 교육을 제공한다. 현재 7개 학부, 3개의 대학원, IPP(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 실사구시 교육 이념 등을 특징으로 하며, 제1캠퍼스와 제2캠퍼스를 운영하고, 서울에 부속기관인 직업능력심사평가원을 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북구 - 유관순체육관
    충청남도 천안시에 있는 유관순체육관은 여러 프로 스포츠 구단의 홈구장으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남자프로배구 천안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의 홈구장이다.
  • 서북구 - 남서울대학교
    남서울대학교는 1994년 개교한 사립 종합대학교이며, 충청남도 천안시에 위치하고 5개의 단과대학과 3개의 대학원을 운영한다.
  • 대한민국의 직업 교육 - 한국폴리텍대학
    한국폴리텍대학은 국민 평생 직업능력 개발법에 따라 설립된 직업 교육 훈련 기관으로, 기능사 양성을 목표로 취업 희망자, 미취업자, 실직자 등을 교육하며, 국가 기간 산업 및 신산업 분야의 기술 인력 양성에도 힘쓴다.
  • 대한민국의 직업 교육 - 전문대학
    전문대학은 직업 및 전문 기술 교육을 제공하는 고등 교육 기관으로, 대한민국에서는 전문학사 학위와 학사 학위 전공심화과정, 전문기술석사 과정 등을 운영하며 교명 자율화에도 불구하고 2020년 기준 137개 대학이 운영되고 있다.
  • 공공기관 (고용노동부 소관) - 근로복지공단
    근로복지공단은 1977년 설립된 고용노동부 산하 공공기관으로, 산재보험, 임금채권보장, 퇴직연금, 일자리 안정자금 지원 등 근로자 복지 사업을 수행하며 전국에 지역본부와 병원을 운영한다.
  • 공공기관 (고용노동부 소관) - 한국폴리텍대학
    한국폴리텍대학은 국민 평생 직업능력 개발법에 따라 설립된 직업 교육 훈련 기관으로, 기능사 양성을 목표로 취업 희망자, 미취업자, 실직자 등을 교육하며, 국가 기간 산업 및 신산업 분야의 기술 인력 양성에도 힘쓴다.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한국기술교육대학교
영어 이름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한글 이름한국기술교육대학교
한자 이름韓國技術敎育大學校
로마자 표기Hanguk Gisul Gyoyuk Daehakgyo
개정 로마자 표기Hanguk Gisul Gyoyuk Daehakgyo
설립일1991년 11월 2일
개교일1991년 11월 2일
건학 이념실사구시(實事求是)
종류사립(국책대학)
설립자대한민국 고용노동부
총장유길상
부총장남병욱
국가대한민국
위치제1캠퍼스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충절로 1600
제2캠퍼스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과수원길 18
규모2캠퍼스, 1대학, 3대학원
웹사이트한국기술교육대학교 공식 홈페이지
상징
교색주황
파랑
학부생5,923명(2022년)
대학원생608명(2022년)
교직원 수전임교원: 192명(2022년)
기타교원: 256명(2022년)
학교법인한국기술교육대학교
기타 정보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대학본부

2. 역사

1980년대 초, 산업 현장에서는 직업훈련교사 수요와 기술인재에 대한 요구가 높아졌고, 이에 정부는 직업훈련교사 양성을 위한 기관 설립을 추진하였다.[4][5] 1982년 국립중앙훈련원의 직업훈련교사 양성과정이 폐지되자,[6] 노동부는 4년제 대학 형태의 '한국산업기술대학' 설립을 준비했다.[7] 그러나 정부 방침이 과학 영재 육성을 목표로 변경되면서 과학기술부로 소관이 이전되었고, 직업훈련교사기관 설립안은 폐지되었다.[8]

1987년, 정부는 창원에 별도의 직업훈련교사 양성을 위한 대학을 신설하기로 결정하고, 법인을 설립하여 노동부 전액 출자 구조로 운영되는 사립대학으로 운영하기로 하였다.[9] 하지만 창원에는 이미 직업훈련교사 양성기관이 있었고, 창원 지역 대학들의 반발로 인해[10] 현재의 제1캠퍼스가 있는 충남 천안으로 위치를 변경하였다. 또한 예산 삭감으로 인해 학교 설립을 위한 기반 시설 확충이 지연되어 개교가 늦어졌다.

1991년 11월, 교육부는 '한국산업기술대학'의 설립을 인가하였다. 개교 당시 학과는 산업기계공학과 등 8개 학과였으며,[11] 12월에 제1회 신입생 240명을 선발하였다. 같은 시기에 산업자원부에서 '산업기술대학'이라는 이름으로 대학 설립을 준비하고 있었기 때문에[12] 1992년 3월 '한국기술교육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여 개교하게 되었다.[1]

2. 1. 설립 배경 (1980년대 ~ 1991년)

1980년대 초, 산업 현장에서는 직업훈련교사 수요와 기술인재에 대한 요구가 높아졌고, 이에 정부는 직업훈련교사 양성을 위한 기관 설립을 추진하였다.[4][5] 1982년 국립중앙훈련원의 직업훈련교사 양성과정이 폐지되자,[6] 노동부는 4년제 대학 형태의 '한국산업기술대학' 설립을 준비했다.[7] 그러나 정부 방침이 과학 영재 육성을 목표로 변경되면서 과학기술부로 소관이 이전되었고, 직업훈련교사기관 설립안은 폐지되었다.[8]

1987년, 정부는 창원에 별도의 직업훈련교사 양성을 위한 대학을 신설하기로 결정하고, 법인을 설립하여 노동부 전액 출자 구조로 운영되는 사립대학으로 운영하기로 하였다.[9] 하지만 창원에는 이미 직업훈련교사 양성기관이 있었고, 창원 지역 대학들의 반발로 인해[10] 현재의 제1캠퍼스가 있는 충남 천안으로 위치를 변경하였다. 또한 예산 삭감으로 인해 학교 설립을 위한 기반 시설 확충이 지연되어 개교가 늦어졌다.

1991년 11월, 교육부는 '한국산업기술대학'의 설립을 인가하였다. 개교 당시 학과는 산업기계공학과 등 8개 학과였으며,[11] 12월에 제1회 신입생 240명을 선발하였다. 같은 시기에 산업자원부에서 '산업기술대학'이라는 이름으로 대학 설립을 준비하고 있었기 때문에[12] 1992년 3월 '한국기술교육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여 개교하게 되었다.[1]

2. 2. 설립 이후 (1992년 ~ 현재)

1995년 5월 '''한국기술교육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고 이듬해인 1996년 2월 제1회 학위수여식을 거행했다.[13] 1996년 3월에 제2대 권원기 총장이 선임되었으며,[13] 학과당 입학정원은 30명에서 40명으로 증원, 9월에 산학협동연구센터를 설치했다. 1997년 3월 기계공학과 및 전기·전자공학과 대학원 석사과정을 신설하고 통상산업부 지원으로 '반도체장비기술교육센터'를 세웠다. 5월에 대강당을 준공하고 9월에는 다산정보관(도서관)을 개관했으며, 기계금형, 컴퓨터, 건축, 금속·재료, 응용화학 5개의 공학과를 신설했다. 1998년 9월 능력개발교육원을 개원했다.[14]

1999년 3월 학교법인 한국기술교육대학교로 법인 명칭을 변경하고 학과당 입학정원을 40명에서 45명으로 증원했다. 또한 산업경영학부(기술경영·인력경영 전공)를 신설(90명)하고 어학교육센터를 운영했다. 4월에는 인력 기술·경영연구소 설치했으며, 9월에는 중소기업청 지정 창업보육센터를 설치 및 운영하고 12월에 개소했다. 2000년 3월에는 권원기 총장이 제3대 총장으로 재선임되었으며[15], 4개 계열 1개 학부에서 5개학부 5개학과로 학부 및 학과를 변경했다.

2001년 3월 멀티미디어 및 e-Business 전공을 신설(135명)하고 대학원 3개학과(건축공학과, 신소재공학과, 응용화학공학과)를 신설했다. 2002년 3월 제4대 문형남 총장이 취임했으며[16] 인터넷소프트웨어공학 전공(45명), 인터넷미디어공학부(분리), 정보보호공학 전공(45명)을 신설했다. 또한 일반대학원 석사과정(30명)을 증원하고 테크노인력개발대학원(석사과정 30명), 산업대학원(석사과정 30명)을 신설했다. 2004년 3월에는 기계정보공학부 IT응용전공(45명)을 신설했다.

2006년 3월 정병석 박사가 제5대 총장으로 취임하였으며[17] 대학은 6학부(18전공), 3학과, 대학원은 3대학원, 15학과가 된다. 9월에는 '산학협력' 특화에 초점을 둔 두정동 제2캠퍼스를 개원했다.[18] 2007년 3월 「KUT · 삼성전자 첨단기술교육센터」를 설치하였으며[19] 9월에는 美 캔자스대학과 대학원 복수학위과정을 설치했다.[14] 2008년 9월 제6대 전운기 총장이 취임했다.[20]

2009년 3월 노동행정연수원(舊 한국노동교육원)을 설치하였으며,[21] 대학은 7개 학부(18전공)로, 대학원은 3개 대학원 5개 클러스터(11개 학과)가 된다. 2011년 11월 개교 20주년을 맞아 영문 브랜드명을 'KUT'에서 '코리아텍(KOREA TECH)'으로 변경했다.[22]

연혁
20163월평행형 일학습병행제 전문대학 개설
20154월IPP 허브센터 설립 – IPP(일학습병행) 시스템 구축
4월한국기술자격평가원 설립
201410월온라인 평생교육원 설립
20148월전국 취업률 85.9% 달성 (교육부)
20145월CK-1 사업 5년간 176억 원 지원
20123월교육부 LINC 사업 선정
201111월20주년 기념 영문 브랜드 ‘KOREATECH’ 선포
20103월글로벌교육센터(GEC) 설립
20096월교육부 주관 전국 경제자유구역 선도산업 인력양성사업 선정


3. 대학 및 개설 학과

3. 1. 학부

한국기술교육대학교는 단과대학 설치 없이 7개 학부를 편성하고 있다. 7개 학부는 기계공학부, 메카트로닉스공학부, 전기전자통신공학부, 컴퓨터공학부, 디자인·건축공학부, 에너지신소재화학공학부, 산업경영학부이다.[23] 이들 학부에는 18개 전공이 편성되어 있다.[23] 한편, 고용서비스정책학과와 HDR학과는 학부 편성 없이 독립 학과로 편제하고 있다.[23]

3. 2. 대학원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대학원은 일반대학원 1개, 전문대학원 1개, 특수대학원 1개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대학원은 석사 10개 학과, 박사 10개 학과를 운영한다.[24] 전문대학원으로는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이 있으며, 인력개발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 과정을 운영한다.[24] 특수대학원으로 IT융합과학경영산업대학원이 있다.[24]

4. 교육 방침 및 특징

담헌실학관 앞에 위치한 교육이념 상징물 (실사구시)


한국기술교육대학교는 대학 설립의 취지와 특성 상, 전체 수업시간의 약 50%를 실험실습교육에 배정하고 졸업 요건으로 졸업연구실적물을 제출하도록 요구하며[25] 매년 졸업작품전시회를 실시하는 특징이 있다.

한편, 한국기술교육대학교는 설립 당초 직업훈련교사 양성을 목적으로 하였기 때문에 모든 학부 과정에 대하여 직업훈련교사 3급 자격을 부여하고 있다.

4. 1. 실사구시 교육 이념

한국기술교육대학교는 대학 설립 취지와 특성상, 전체 수업 시간의 약 50%를 실험실습교육에 배정하고 졸업 요건으로 졸업연구실적물을 제출하도록 요구하며[25] 매년 졸업작품전시회를 실시하는 특징이 있다.

한편, 한국기술교육대학교는 설립 당초 직업훈련교사 양성을 목적으로 하였기 때문에 모든 학부 과정에 대하여 직업훈련교사 3급 자격을 부여하고 있다.

4. 2. IPP(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

한국기술교육대학교는 산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실무 중심 인재 양성을 목표로 IPP(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영어,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제도를 시행한다.[26] 학부 등 교과 과정의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4개월에서 1년에 걸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정규, 해외, 개별 등의 유형으로 나누어 실시하고 있다.[27]

정규 IPP는 국내 기업체, 관공서, 연구소에서 실시하며, 3학년 6개월, 4학년 4개월, 총 1년 동안 이수한다. 해외 IPP는 해외 연구기관, 기업체에서 실시하며, 4개월 또는 6개월 동안 이수한다. 개별 IPP는 학생이 기업을 발굴하여 해당 기업에서 실습하는 유형으로, 4개월 또는 6개월 동안 이수한다.

4. 3. 장학 제도

wikitext

최근 5년간 등록금 및 1인당 장학금 현황(학부)[28]
연도평균 등록금재학생 1인당 장학금
20124,677,000원1,367,000원
20134,616,000원1,979,000원
20144,556,000원2,797,000원
20154,535,000원3,402,000원
20164,517,000원3,753,000원


5. 학생 활동

학내 언론이 입주한 학생회관 뒷편


한국기술대학교 신문사(KOREA TECH PRESS영어)는 1998년 대학 산하 비법정 부속기관으로 신설되었다.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양방송국 KCBS는 1992년 총학생회 산하 방송부로 개설되어 1997년 교양 방송국으로 승격되었다. 평일 점심과 저녁 시간 대 두 차례 라디오 방송을 진행하며, 교내소식을 전하는 뉴스 영상을 주 1회, 3개의 기사를 포함하여 제작 및 송출한다. 기타 가요제 및 방송제를 주관하고 취재한다.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지인 《한기인(韓技人)》을 편찬한다.

5. 1. 학내 언론



한국기술대학교 신문사(KOREA TECH PRESS영어)는 1998년 대학 산하 비법정 부속기관으로 신설되었다.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양방송국 KCBS는 1992년 총학생회 산하 방송부로 개설되어 1997년 교양 방송국으로 승격되었다. 평일 점심과 저녁 시간 대 두 차례 라디오 방송을 진행하며, 교내소식을 전하는 뉴스 영상을 주 1회, 3개의 기사를 포함하여 제작 및 송출한다. 기타 가요제 및 방송제를 주관하고 취재한다.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지인 《한기인(韓技人)》을 편찬한다.

6. 캠퍼스

wikitext

제1캠퍼스 담헌실학관 전경


제1캠퍼스 공학 1관 전경


제1캠퍼스 다산정보관 전경


제1캠퍼스 인문경영관 전경


제1캠퍼스 학생회관 전경


한국기술교육대학교충청남도 소재 사립 대학으로, 천안시에 모든 캠퍼스가 있다. 제1캠퍼스의 경우 동남구, 제2캠퍼스의 경우 서북구에 위치한다.

오른쪽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제1캠퍼스는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가전리에 있다. 1990년에 조성되었으며, 대학본부 역할을 수행하는 만큼 약 35동의 건축물이 있다.

캠퍼스는 텔레토비 동산이라고 불리는 잔디밭을 중심으로 'ㅅ'자를 이루고 있다. 북서부에는 정문 및 주요 교육 시설이, 남동부에는 기숙사 시설과 복지시설이, 남서부에는 대학 외부와 교류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시설들이 주로 들어서 있다.

  • 대학본부(A): 대학 운영에 필요한 대부분의 부서가 입주해 있다.
  • 담헌실험관(5): 2012년 7월 준공되었으며, 담헌홀과 각종 대학 부서 등이 입주해 있다. 실학자 홍대용의 호를 따서 명명되었다.[29][30]
  • 공학1관(1): 1993년 준공된 이후 두 차례 증축되었으며, 기계공학부, 메카트로닉스공학부, 전기전자통신공학부에서 사용하고 있다.
  • 다산정보관(L): 2009년 8월 준공되었으며, 도서관, 다산홀 등이 입주해있다.
  • 인문경영관(K): 1991년 준공되었으며, 본래 대학본부 건물로 사용되다가 현재는 교양학부와 산업경영학부가 사용 중이다.
  • 국제교육센터(G): 1997년 준공되어 2010년부터 외국어 학습 및 유학생을 위한 시설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 학생회관(S): 학생 편의시설, 학생식당, 교직원식당, 연수원식당 등이 있다.
  • 중앙공원: 1999년에 조성된 텔레토비 동산은 캠퍼스 중심부에 위치하며 잔디와 수목이 식재되어 있다.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제2캠퍼스는 부대동에 위치한 이원화 캠퍼스이다. 2006년에 설립되었으며, 능력개발교육원과 산학협력단이 입주해 있다.

2006년 천안시 불당동에 건립된 능력개발교육원(부지면적: 33,781m², 건축면적: 20,826m²)은 국내 최초로 산학협력 기능을 수행하는 시설이었다.

  • 직업훈련교사 양성
  • 전문 엔지니어 및 기술인 양성
  • 한국기술교육대학교-삼성전자 첨단기술교육센터
  • 삼성 및 협력업체 엔지니어 교육


산학협력단은 2003년 산업훈련 및 산학협력 촉진법에 따라 설립된 대학 부속 연구소 중 하나이다. 현장 중심의 직무 교육 시스템을 바탕으로 포괄적인 산학협력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 산업체 및 대학 직원을 위한 평생 직무능력 개발 프로그램 운영
  • 새로운 산학협력 프로젝트 추진
  • 현장 중심의 학생 교육을 통한 취업 기회 확대


2006년에는 삼성전자, 삼성SDI와 공동으로 첨단기술교육센터를 설립하였다.

한국기술교육대학교가 설립·소유·운영 등에 있는 시설에는 캠퍼스 외부에 위치한 시설도 있다. 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 일대에 부속기관으로 둔 직업능력심사평가원이 입주해 있다. 직업능력심사평가원(KSQA)은 2015년 4월 1일 고용노동부 산하에 설립된 직업교육훈련(VET) 분야의 규제 기관이다. 호주 직업능력개발청(ASQA)의 성공 사례와 시스템이 한국 VET 시스템 개혁의 기준이 되었다. KSQA 설립으로 기존에 세 개의 다른 기관에서 수행하던 훈련 승인, 규제, 품질 관리 등의 기능이 KSQA로 통합되었다. 따라서 KSQA는 현재 등록훈련기관(RTO)을 규제하고 국가 차원의 품질 관리 서비스를 수행함으로써 VET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KSQA는 훈련기관평가센터, 집합훈련평가센터, 원격훈련평가센터, 훈련성과평가센터, 불법훈련관리센터의 다섯 개의 센터를 운영한다.

  • 훈련기관평가센터(CTOA)는 훈련기관의 신뢰성, 운영 능력 및 수련생 만족도를 평가하여 VET 시장 진입을 관리 및 결정하며, 정책 입안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궁극적으로 RTO의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지속적인 정책 연구를 수행한다.
  • 집합훈련평가센터(CCTE)는 매년 RTO에서 제출하는 10만 건 이상의 과정 등록 신청을 심사한다. 또한 CCTE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기반하여 개발된 모범적인 훈련 과정을 선정하여 RTO가 지역 및 산업의 요구에 부응하고 NCS 기반 산업 구현에 참여하도록 장려한다.
  • 원격훈련평가센터(CDTE)는 RTO의 과정 개발 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새로운 훈련 방법을 구현하고 도입하는 역할을 한다. CDTE는 매년 2만 건 이상의 원격 훈련 과정 등록 신청을 심사하고 다양한 훈련 방식의 구현을 장려하기 위해 지속적인 연구를 수행한다.
  • 훈련성과평가센터(CTPA)는 RTO 및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훈련 과정을 수료한 수련생의 성과를 검토하여 VET 프로그램과 양질의 훈련의 지속적인 개선을 보장한다. 또한 CTPA는 VET 개발을 담당하는 중앙 정부 기관의 성과를 검토하고 피드백과 정책 방향을 제시한다.
  • 불법훈련관리센터(CITA)는 통계 분석 시스템을 통해 RTO가 제공하는 훈련 및 평가를 모니터링하고 분석한다. 또한 CITA는 부패가 의심되는 곳에서 등록 후 감사를 실시한다. CITA는 부패 및 비윤리적인 사건을 예방함으로써 VET 분야의 윤리적인 분위기를 조성하는 책임을 진다.


KSQA는 이러한 다섯 가지 핵심 기능을 통해 VET 분야의 통합 시스템 구축을 주도하고 역량 중심 사회 구축이라는 비전으로 VET 시스템의 질적 향상을 목표로 한다. 역량 개발 훈련 프로젝트 및 불법 훈련 센터에 대한 합동 감독 상담 등도 수행한다.

6. 1. 제1캠퍼스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제1캠퍼스는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가전리에 위치한다. 1990년에 조성되었으며, 대학본부 역할을 수행하는 만큼 약 35동의 건축물이 있다.

캠퍼스는 텔레토비 동산이라고 불리는 잔디밭을 중심으로 'ㅅ'자를 이루고 있다. 북서부에는 정문 및 주요 교육 시설이, 남동부에는 기숙사 시설과 복지시설이, 남서부에는 대학 외부와 교류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시설들이 주로 들어서 있다.

  • 대학본부(A): 대학 운영에 필요한 대부분의 부서가 입주해 있다.
  • 담헌실험관(5): 2012년 7월 준공되었으며, 담헌홀과 각종 대학 부서 등이 입주해 있다. 실학자 홍대용의 호를 따서 명명되었다.[29][30]
  • 공학1관(1): 1993년 준공된 이후 두 차례 증축되었으며, 기계공학부, 메카트로닉스공학부, 전기전자통신공학부에서 사용하고 있다.
  • 다산정보관(L): 2009년 8월 준공되었으며, 도서관, 다산홀 등이 입주해있다.
  • 인문경영관(K): 1991년 준공되었으며, 본래 대학본부 건물로 사용되다가 현재는 교양학부와 산업경영학부가 사용 중이다.
  • 국제교육센터(G): 1997년 준공되어 2010년부터 외국어 학습 및 유학생을 위한 시설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 학생회관(S): 학생 편의시설, 학생식당, 교직원식당, 연수원식당 등이 있다.
  • 중앙공원: 1999년에 조성된 텔레토비 동산은 캠퍼스 중심부에 위치하며 잔디와 수목이 식재되어 있다.


6. 2. 제2캠퍼스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제2캠퍼스는 부대동에 위치한 이원화 캠퍼스이다. 2006년에 설립되었으며, 능력개발교육원과 산학협력단이 입주해 있다.

2006년 천안시 불당동에 건립된 능력개발교육원(부지면적: 33,781m², 건축면적: 20,826m²)은 국내 최초로 산학협력 기능을 수행하는 시설이었다.

  • 직업훈련교사 양성
  • 전문 엔지니어 및 기술인 양성
  • 한국기술교육대학교-삼성전자 첨단기술교육센터
  • 삼성 및 협력업체 엔지니어 교육


산학협력단은 2003년 산업훈련 및 산학협력 촉진법에 따라 설립된 대학 부속 연구소 중 하나이다. 현장 중심의 직무 교육 시스템을 바탕으로 포괄적인 산학협력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 산업체 및 대학 직원을 위한 평생 직무능력 개발 프로그램 운영
  • 새로운 산학협력 프로젝트 추진
  • 현장 중심의 학생 교육을 통한 취업 기회 확대


2006년에는 삼성전자, 삼성SDI와 공동으로 첨단기술교육센터를 설립하였다.

6. 3. 기타 시설

한국기술교육대학교가 설립·소유·운영 등에 있는 시설에는 캠퍼스 외부에 위치한 시설도 있다. 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 일대에 부속기관으로 둔 직업능력심사평가원이 입주해 있다. 직업능력심사평가원(KSQA)은 2015년 4월 1일 고용노동부 산하에 설립된 직업교육훈련(VET) 분야의 규제 기관이다. 호주 직업능력개발청(ASQA)의 성공 사례와 시스템이 한국 VET 시스템 개혁의 기준이 되었다. KSQA 설립으로 기존에 세 개의 다른 기관에서 수행하던 훈련 승인, 규제, 품질 관리 등의 기능이 KSQA로 통합되었다. 따라서 KSQA는 현재 등록훈련기관(RTO)을 규제하고 국가 차원의 품질 관리 서비스를 수행함으로써 VET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KSQA는 훈련기관평가센터, 집합훈련평가센터, 원격훈련평가센터, 훈련성과평가센터, 불법훈련관리센터의 다섯 개의 센터를 운영한다.

  • 훈련기관평가센터(CTOA)는 훈련기관의 신뢰성, 운영 능력 및 수련생 만족도를 평가하여 VET 시장 진입을 관리 및 결정하며, 정책 입안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궁극적으로 RTO의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지속적인 정책 연구를 수행한다.
  • 집합훈련평가센터(CCTE)는 매년 RTO에서 제출하는 10만 건 이상의 과정 등록 신청을 심사한다. 또한 CCTE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기반하여 개발된 모범적인 훈련 과정을 선정하여 RTO가 지역 및 산업의 요구에 부응하고 NCS 기반 산업 구현에 참여하도록 장려한다.
  • 원격훈련평가센터(CDTE)는 RTO의 과정 개발 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새로운 훈련 방법을 구현하고 도입하는 역할을 한다. CDTE는 매년 2만 건 이상의 원격 훈련 과정 등록 신청을 심사하고 다양한 훈련 방식의 구현을 장려하기 위해 지속적인 연구를 수행한다.
  • 훈련성과평가센터(CTPA)는 RTO 및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훈련 과정을 수료한 수련생의 성과를 검토하여 VET 프로그램과 양질의 훈련의 지속적인 개선을 보장한다. 또한 CTPA는 VET 개발을 담당하는 중앙 정부 기관의 성과를 검토하고 피드백과 정책 방향을 제시한다.
  • 불법훈련관리센터(CITA)는 통계 분석 시스템을 통해 RTO가 제공하는 훈련 및 평가를 모니터링하고 분석한다. 또한 CITA는 부패가 의심되는 곳에서 등록 후 감사를 실시한다. CITA는 부패 및 비윤리적인 사건을 예방함으로써 VET 분야의 윤리적인 분위기를 조성하는 책임을 진다.


KSQA는 이러한 다섯 가지 핵심 기능을 통해 VET 분야의 통합 시스템 구축을 주도하고 역량 중심 사회 구축이라는 비전으로 VET 시스템의 질적 향상을 목표로 한다. 역량 개발 훈련 프로젝트 및 불법 훈련 센터에 대한 합동 감독 상담 등도 수행한다.

7. 학교 동문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출신 주요 동문은 분류:한국기술교육대학교 동문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참조

[1] 뉴스 4년제 職業훈련大 개교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92-03-03
[2] 웹인용 KOREATECH심볼 http://www.koreatech[...] 한국기술교육대학교
[3] 웹인용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대학정보공시시 https://academyinfo.[...] 2022
[4] 뉴스 노동청 「職業訓鍊大」설립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80-06-11
[5] 뉴스 내년 職業訓練公團 설치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81-11-12
[6] 뉴스 職業훈련원 폐지 閣議 法令의결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2-06-12
[7] 뉴스 오는 85년 開校(개교) 産業技術(산업기술)대학 大田(대전)에 건립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83-06-21
[8] 뉴스 科學(과학)기술大學(대학) 설립 大德(대덕)에┈내년3월부터 學生(학생)모집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84-08-31
[9] 뉴스 직업훈련大 90년 開校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88-06-25
[10] 뉴스 직업훈련대 설치 반대 농성 창원기능대학장,공권력 요청 http://newslibrary.n[...] 한겨레 1988-11-11
[11] 뉴스 職業훈련교사양성 4년제 大學 생긴다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1-09-30
[12] 뉴스 산업기술大(대) 빠르면 95년 첫 입학생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93-08-25
[13] 뉴스 權原基(권원기) 포항공대 교수 기술교육대 총장선임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6-02-29
[14] 뉴스 '新(신)기술의 요람'국내유일 대학부설 연수기관 http://newslibrary.n[...] 대전일보 1998-12-21
[15] 뉴스 한국기술교육대, 3대총장에 권원기 현총장 재선임 https://news.naver.c[...] 한국경제 2000-03-07
[16] 뉴스 기술교육대 총장 문형남씨 선출 https://news.naver.c[...] 파이낸셜뉴스 2002-02-25
[17] 뉴스 기술교육大총장 정병석씨 https://news.naver.c[...] 매일경제 2006-03-13
[18] 뉴스 한기대 2캠퍼스 천안시 부대동에 설립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4-11-09
[19] 뉴스 숙련 근로자 기술 ‘업그레이드’ https://news.naver.c[...] 대전일보 2007-03-27
[20] 뉴스 한기대 6대 총장에 전운기 서울지노위장 http://www.asiae.co.[...] 아시아경제 2008-08-19
[21] 뉴스 한국기술교육대 '노동행정연수원' 신설.운영 https://news.naver.c[...] 뉴시스 2009-03-01
[22] 뉴스 한기대 개교 20주년 맞아 영문브랜드 공개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1-11-01
[23] 웹인용 대학 https://www.koreatec[...]
[24] 웹인용 대학원별 모집요강(2023년 전기): 일반대학원 https://www.koreatec[...]
[25] 웹인용 졸업 http://www.koreatech[...] 한국기술교육대학교
[26] 뉴스 한기대 IPP제도 기업-학생 '윈윈' http://www.daejonilb[...] 대전일보 2014-03-05
[27] 저널 IPP 소개 http://ipp.koreatech[...] 한국기술교육대학교 IPP센터
[28] 저널 등록금 및 1인당 장학금 현황 http://search.academ[...] 대학알리미
[29] 뉴스 코리아텍 '담헌 홍대용 특별전시회' 열어 https://www.labortod[...] 매일노동뉴스
[30] 뉴스 코리아텍 개교 27주년 기념 '담헌 홍대용 특별 전시회' http://www.jbnews.co[...] 중부매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