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원화 캠퍼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원화 캠퍼스는 대학의 기존 정원을 분리하거나 타 대학을 인수하는 방식으로 설립되며, 교육부의 신규 정원 인가 없이 운영된다. 분교와 달리 학문 및 교육 체계, 행정상 업무에서 본교와 큰 차이가 없으며, 각 캠퍼스에 특성화된 단과대학이나 학과를 배치하여 대학 경쟁력을 높이는 시스템으로 평가받는다. 이원화 캠퍼스 체제를 운영하는 대학은 한국교육개발원의 고등교육통계조사 지침을 따라야 하며, 법적으로 분리 공시되거나 통합 공시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형별 대학 - 의과대학
의과대학은 의사를 양성하는 고등 교육기관으로, 국가별로 다양한 교육 시스템과 기간을 가지며, 기초 및 임상 의학 교육을 포함한 과정을 거쳐 졸업 후 국가 의료 면허 시험을 통해 의사 자격을 취득하게 된다. - 유형별 대학 - 대학원대학
대학원대학은 학부 과정 없이 대학원 과정만 운영하는 대학으로, 일본 「학교교육법」에 따라 설립되며, 2003년 전문직대학원 설치 인정 이후 일본에서 증가하는 추세이고, 일본 외 프랑스, 미국 등 여러 국가에서 각국의 교육 시스템에 맞춰 운영되며, 설립과 운영은 각국의 교육 정책 및 사회적 요구와 관련이 있다.
이원화 캠퍼스 | |
---|---|
캠퍼스 정보 | |
캠퍼스 형태 | 이원화 캠퍼스 |
설명 | 두 개 이상의 물리적으로 분리된 캠퍼스를 운영하는 형태 교육, 연구, 행정 기능 분담 가능 |
특징 | |
장점 | 다양한 지역사회와의 연계 강화 특성화된 교육 및 연구 환경 조성 캠퍼스 간 자원 공유 및 협력 증진 |
단점 | 캠퍼스 간 이동의 불편함 행정 및 관리의 복잡성 증가 캠퍼스 간 불균형 문제 발생 가능성 |
고려 사항 | |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 고려할 점 | 캠퍼스 간 명확한 역할 분담 및 협력 체계 구축 효율적인 행정 및 관리 시스템 구축 캠퍼스 간 이동 편의성 증진 캠퍼스 간 균형 발전 도모 |
사례 | |
국내 대학 | 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 (송도) 성균관대학교 자연과학캠퍼스 (수원)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수원)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용인) 중앙대학교 다빈치캠퍼스 (안성)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글로컬) |
해외 대학 |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케임브리지 대학교 옥스퍼드 대학교 |
2. 설립 및 운영 방식
이원화 캠퍼스는 분교와 달리 교육부의 신규 정원 인가 없이, 대학의 기존 정원을 분리하거나 타 대학을 인수하는 방식으로 설립된다.[3][4] 분교가 본교와 별도로 관리되는 반면, 이원화 캠퍼스는 학문 및 교육 체계, 행정상의 업무 등에서 본교와 큰 차이가 없다.
이원화 캠퍼스 제도는 각 캠퍼스에 특성화된 단과대학이나 학과를 배치하여 캠퍼스별 학문 분야 역량을 강화하고 대학 경쟁력을 높이는 시스템으로 평가받는다.[4] 따라서 캠퍼스별로 유사 학과가 존재하는 경우는 드물다.
2. 1. 분교와의 차이점
3. 제2 캠퍼스 일람
이원화캠퍼스 체제를 운영하는 대학은 한국교육개발원이 매년 발표하는 고등교육통계조사 지침을 따라야 한다. 이 지침은 대학설립·운영규정 제5조(교지)에 해당하지 않을 경우 분리된 교지로 분류하도록 명시하고 있다. 교지가 분리되면 캠퍼스 코드도 분리해야 하므로, 캠퍼스가 나뉘어 있음에도 1개의 코드만 운영하는 대학은 지침을 위반한 것이다.(예: 성균관대학교)
3. 1. 고등교육기관 기본통계조사 지침
2023년 하반기부터 캠퍼스 분리 조사와 통합 조사 대학의 혼재로 인한 일관성 저하 및 지역별 자료 왜곡을 해소하기 위해 [https://hi.kedi.re.kr/download/guide#%7C2023년 하반기 고등교육기관 교육기본통계조사 지침서]가 발표되었다. 2023년부터 대학설립·운영규정 제5조 4항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이 지침서에 따라 기존 통합 공시 해왔던 대학도 분리 공시하고 있는 대학처럼 분리 조사해야 한다. 차후 통합 코드도 분리될 예정이다.학과가 개설되어 실제 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캠퍼스는 모두 입력해야 하며, 실제 수업을 진행하지 않는 캠퍼스(산학협력단 또는 연구소만 있는 캠퍼스 등)는 제외된다. 대학설립·운영규정 제5조 4항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분리하여 조사하되, 각 교지 간 최단거리가 20km 이하더라도 기초지방자치단체(시·군·구)가 상이한 경우 분리하여 조사해야 한다.
- (예시1) A대학교의 경우
- * 서울 ○○구에 위치한 ○○캠퍼스: 대부분의 학과(본부 위치, 10개 학과)가 운영 중 → 본교(제1캠퍼스)
- * 서울 △△구에 위치한 △△캠퍼스: 일부 학과(2개 학과)가 운영 중 → 본교(제2캠퍼스)
- * 서울 □□구에 위치한 □□캠퍼스: 연구소와 산학협력단 등 위치 → 조사대상 아님 →고등교육통계조사에서 ○○캠퍼스는 A대학교_본교(제1캠퍼스), △△캠퍼스는 A대학교_본교(제2캠퍼스) 두 개의 캠퍼스로 각각 조사(□□캠퍼스는 조사대상 아님)
- (예시2) B대학교의 경우
- * 1학년은 본교(제1캠퍼스)에서, 2~4학년은 본교(제2캠퍼스)에서 교육과정이 이루어짐 → 각각 분리하여 조사해야 함. (단, 1~2개의 과목만 타캠퍼스에서 수업하는 경우 분리조사 대상 아님.)
캠퍼스가 2개 이상인 대학의 경우, 소재지에 따라 대학원 캠퍼스명을 정하나 대학원 소재지에 학부가 없는 경우에는 학부 기준 캠퍼스로 입력해야 한다.
- (예시1) 서울시 ☆☆구 소재 C대학교 경영대학원 - 학부는 경기도 ◇◇시(본교(제1캠퍼스))와 서울시 ☆☆구 (본교(제2캠퍼스))에 각각 존재 → 고등교육통계조사에서 C대학교 경영대학원은 소재지에 따라 본교(제2캠퍼스)로 조사
- (예시2) 충청도 ♤♤군 소재 D대학교 통계대학원 -충청도 ♤♤군에 위치한 캠퍼스에는 통계대학원 이외의 학부나 대학원이 존재하지 않고, D대학교 학부 소속 통계학과는 서울시 ♡♡구 (본교(제1캠퍼스))에 있음. →고등교육통계조사에서 D대학교 통계대학원은 본교(제1캠퍼스)로 하여 조사하되, 학교개황 주소지에는 충청도 ♤♤군으로 입력
3. 1. 1. 대학설립·운영규정 제5조(교지) ④
대학설립·운영규정 제5조(교지) ④에 따르면, 교지가 도로·하천 등으로 부득이하게 나뉘어 인접한 경우, 교지 간 최단거리가 20킬로미터 이하인 경우 등은 교지가 분리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한다.3. 2. 분리 공시
법적으로 구분할 필요성이 인정되어 제1캠퍼스와 제2캠퍼스로 나뉜 경우이다. 타 대학과의 통합이나, 교지 신설 형식으로 현재의 캠퍼스가 확정되었다.가톨릭대학교의 경우 성심여자대학교와의 통합으로 현재의 캠퍼스 체제가 완성되었다.[5] 구 성심여자대학교 부지인 성심교정이 본캠퍼스가 되었고, 구 가톨릭대학교 부지가 이원화 캠퍼스가 되었다.
분교 개념이 없는 국립대학인 강릉원주대학교, 강원대학교, 전남대학교 역시 각 대학들이 통합하여 이원화 캠퍼스 체제가 완성되었다. 강릉원주대학교는 강릉대학교와 원주대학이 통합하여 원주에 이원화캠퍼스를 두고 있다.[6] 강원대학교는 삼척대학교와 통합하여 삼척에 이원화 캠퍼스를 설치했으며,[7] 전남대학교는 여수대학교와 통합하여 여수에 캠퍼스를 추가로 두었다.[8] 경인교육대학교의 경우 인천교육대학교에서 교명을 변경하며, 교지 분할 형식으로 경기캠퍼스가 신규 설치되며 이원화 캠퍼스 체제가 되었다.
상명대학교와 홍익대학교는, 이원화 캠퍼스 설립 당초부터 교지 분할로 신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교육부는 행정 절차 오류와 캠퍼스간 먼 거리로 인해 오해가 생겨 분교로 분류했던 실수를 인정하고, 이원화 캠퍼스로 정정하였다.[9]
가톨릭대학교, 강릉원주대학교, 강원대학교, 건양대학교, 경기대학교, 경북대학교, 경희대학교, 경동대학교, 경인교육대학교, 단국대학교, 동아대학교, 공주대학교, 동양대학교, 부산대학교, 서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연세대학교, 우석대학교, 유원대학교, 인천대학교, 중부대학교, 차의과학대학교, 총신대학교, 한국교통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한서대학교, 호서대학교, 명지대학교, 상명대학교, 신한대학교, 안양대학교, 영산대학교, 예원예술대학교, 을지대학교, 인제대학교, 인천가톨릭대학교, 전남대학교, 중앙대학교, 홍익대학교는 이원화 캠퍼스로 운영되고 있다.
3. 2. 1. 분리 공시 대학 목록
가톨릭대학교, 강릉원주대학교, 강원대학교, 건양대학교, 경기대학교, 경북대학교, 경희대학교, 경동대학교, 경인교육대학교, 단국대학교, 동아대학교, 공주대학교, 동양대학교, 부산대학교, 서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연세대학교, 우석대학교, 유원대학교, 인천대학교, 중부대학교, 차의과학대학교, 총신대학교, 한국교통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한서대학교, 호서대학교, 명지대학교, 상명대학교, 신한대학교, 안양대학교, 영산대학교, 예원예술대학교, 을지대학교, 인제대학교, 인천가톨릭대학교, 전남대학교, 중앙대학교, 홍익대학교는 이원화 캠퍼스로 운영되고 있다.3. 3. 통합 공시
대학설립 운영규정 제5조 4항을 충족하는 대학들은 2023년도 이후에도 통합공시 한다.'''일반대학'''
경상국립대학교는 가좌캠퍼스를 본교로, 칠암캠퍼스와 내동캠퍼스를 이원화 캠퍼스로 운영하고 있다. 칠암캠퍼스는 경상남도 진주시에, 내동캠퍼스는 경상남도 진주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1910년에 설립되었다. 2014년에는 내동캠퍼스가 추가되었다.
부경대학교는 대연캠퍼스를 본교로, 용당캠퍼스를 이원화 캠퍼스로 운영하고 있다. 두 캠퍼스 모두 부산광역시 남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1924년에 설립되었다.
부산가톨릭대학교는 지산교정을 본교로, 메리놀교정과 신학교정을 이원화 캠퍼스로 운영하고 있다. 모든 캠퍼스는 부산광역시 금정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1964년에 설립되었다.
세한대학교는 영암캠퍼스를 본교로, 당진캠퍼스를 이원화 캠퍼스로 운영하고 있다. 당진캠퍼스는 충청남도 당진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2013년에 설립되었다.
인천대학교는 송도캠퍼스를 본교로, 미추홀캠퍼스를 이원화 캠퍼스로 운영하고 있다. 미추홀 캠퍼스는 인천광역시 연수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1979년에 설립되었다.
청주대학교는 제1캠퍼스를 본교로 제2캠퍼스를 이원화캠퍼스로 운영하고 있다. 제2캠퍼스는 울산광역시 남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1947년에 설립되었다.
한국공학대학교는 제1캠퍼스를 본교로, 제2캠퍼스를 이원화 캠퍼스로 운영하고 있다. 제2캠퍼스는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1997년에 설립되었다.
'''전문대학'''
전문대학의 경우 실질적으로 분리된 이원화 캠퍼스 체제를 유지하고 있지만, 법적으로 단일 체제로 공시하고 있다.
학교 | 본교 | 이원화 | 위치 | 설립 | 비고 |
---|---|---|---|---|---|
경남정보대학교 | 냉정캠퍼스 | 센텀캠퍼스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 2013년 | 센텀시티역 |
경복대학교 | 남양주캠퍼스 | 포천캠퍼스 | 경기도 포천시 | 1992년 | |
대경대학교 | 메인캠퍼스 | 서울한류캠퍼스 | 경기도 남양주시 | 2018년 | |
두원공과대학교 | 안성캠퍼스 | 파주캠퍼스 | 경기도 파주시 | 2008년 | 파주역 |
부천대학교 | 본교캠퍼스 | 소사캠퍼스 | 경기도 부천시 | 2016년 | 소새울역 |
서영대학교 | 광주캠퍼스 | 파주캠퍼스 | 경기도 파주시 | 2013년 | 월롱역 |
수원여자대학교 | 인제캠퍼스 | 해란캠퍼스 | 경기도 화성시 | 2000년 | 병점역 |
영진전문대학 | 복현캠퍼스 | 글로벌캠퍼스 | 경상북도 칠곡군 | 2007년 | |
울산과학대학교 | 동부캠퍼스 | 서부캠퍼스 | 울산광역시 남구 | 2000년 | 노포역 |
인천재능대학교 | 본교캠퍼스 | 송도캠퍼스 | 인천광역시 연수구 | 2015년 | 테크노파크역 |
3. 3. 1. 일반대학
경상국립대학교는 가좌캠퍼스를 본교로, 칠암캠퍼스와 내동캠퍼스를 이원화 캠퍼스로 운영하고 있다. 칠암캠퍼스는 경상남도 진주시에, 내동캠퍼스는 경상남도 진주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1910년에 설립되었다. 2014년에는 내동캠퍼스가 추가되었다.부경대학교는 대연캠퍼스를 본교로, 용당캠퍼스를 이원화 캠퍼스로 운영하고 있다. 두 캠퍼스 모두 부산광역시 남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1924년에 설립되었다.
부산가톨릭대학교는 지산교정을 본교로, 메리놀교정과 신학교정을 이원화 캠퍼스로 운영하고 있다. 모든 캠퍼스는 부산광역시 금정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1964년에 설립되었다.
세한대학교는 영암캠퍼스를 본교로, 당진캠퍼스를 이원화 캠퍼스로 운영하고 있다. 당진캠퍼스는 충청남도 당진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2013년에 설립되었다.
인천대학교는 송도캠퍼스를 본교로, 미추홀캠퍼스를 이원화 캠퍼스로 운영하고 있다. 미추홀 캠퍼스는 인천광역시 연수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1979년에 설립되었다.
청주대학교는 제1캠퍼스를 본교로 제2캠퍼스를 이원화캠퍼스로 운영하고 있다. 제2캠퍼스는 울산광역시 남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1947년에 설립되었다.
한국공학대학교는 제1캠퍼스를 본교로, 제2캠퍼스를 이원화 캠퍼스로 운영하고 있다. 제2캠퍼스는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1997년에 설립되었다.
3. 3. 2. 전문대학
전문대학의 경우 실질적으로 분리된 이원화 캠퍼스 체제를 유지하고 있지만, 법적으로 단일 체제로 공시하고 있다.학교 | 본교 | 이원화 | 위치 | 설립 | 비고 |
---|---|---|---|---|---|
경남정보대학교 | 냉정캠퍼스 | 센텀캠퍼스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 2013년 | 센텀시티역 |
경복대학교 | 남양주캠퍼스 | 포천캠퍼스 | 경기도 포천시 | 1992년 | |
대경대학교 | 메인캠퍼스 | 서울한류캠퍼스 | 경기도 남양주시 | 2018년 | |
두원공과대학교 | 안성캠퍼스 | 파주캠퍼스 | 경기도 파주시 | 2008년 | 파주역 |
부천대학교 | 본교캠퍼스 | 소사캠퍼스 | 경기도 부천시 | 2016년 | 소새울역 |
서영대학교 | 광주캠퍼스 | 파주캠퍼스 | 경기도 파주시 | 2013년 | 월롱역 |
수원여자대학교 | 인제캠퍼스 | 해란캠퍼스 | 경기도 화성시 | 2000년 | 병점역 |
영진전문대학 | 복현캠퍼스 | 글로벌캠퍼스 | 경상북도 칠곡군 | 2007년 | |
울산과학대학교 | 동부캠퍼스 | 서부캠퍼스 | 울산광역시 남구 | 2000년 | 노포역 |
인천재능대학교 | 본교캠퍼스 | 송도캠퍼스 | 인천광역시 연수구 | 2015년 | 테크노파크역 |
참조
[1]
뉴스
제2 캠퍼스 관련 보도기사 1
http://www.hankookil[...]
한국일보
[2]
뉴스
제2캠퍼스 관련 보도기사 2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16-10-17
[3]
뉴스
(알고보자) 대교협조차 헷갈리는 대학 분교와 캠퍼스 구별법
http://www.veritas-a[...]
베리타스 알파
2015-05-19
[4]
뉴스
한 지붕 두 가족, 멀티캠퍼스를 돌아보다(1)
http://hiupress.hong[...]
홍대신문
2017-03-14
[5]
뉴스
가톨릭대,성심여대 통합 본격화-빠르면 95학년도부터
https://news.joins.c[...]
중앙일보
1993-10-20
[6]
뉴스
강릉.원주대 통합 확정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06-11-06
[7]
뉴스
강원대-삼척대, "통합된다"
http://news.unn.net/[...]
한국대학신문
2005-11-23
[8]
뉴스
전남대.여수대 통합 완료, '새 출발'
http://www.kyosu.net[...]
교수신문
2006-03-01
[9]
뉴스
<알고보자> 홍익대 세종캠, 분교 아닌 '제2캠'
http://www.veritas-a[...]
베리타스 알파
2017-03-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