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국철도공사 7000호대 디젤 기관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철도공사 7000호대 디젤 기관차는 1986년 아시안 게임과 1988년 하계 올림픽을 대비하여 새마을호 객차를 견인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1986년부터 1987년까지 총 15량이 도입되었으나, 새마을형 디젤 액압 동차의 도입과 7300호대, 7400호대 디젤 기관차의 증산으로 인해 2011년과 2012년에 모든 차량이 퇴역했다. 현재 7001호는 철도기념물로 지정되어 보존되어 있으며, 나머지 차량은 고철로 매각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철도공사의 디젤 기관차 - 한국철도공사 7500호대 디젤 기관차
    한국철도공사 7500호대 디젤 기관차는 1970년대부터 도입된 미국의 EMD GT26CW 모델 기반 디젤 기관차로, 국산화, 여객용 개조, 재생 작업, 재도색 등을 거쳐 일부 차량이 2025년 현재까지 운행 중이며 노후화로 인한 퇴역 및 대체가 진행되고 있다.
  • 한국철도공사의 디젤 기관차 - 한국철도공사 7600호대 디젤 기관차
    한국철도공사 7600호대 디젤 기관차는 노후 디젤 기관차를 대체하기 위해 2014년부터 도입된 GE PowerHaul 기반의 전기식 디젤 기관차로, 대한민국 특대형 디젤 기관차 최초로 양방향 운전실을 갖추고 VVVF 인버터 제어를 통해 연료 효율을 높여 총 25량이 화물 수송에 투입되고 있다.
한국철도공사 7000호대 디젤 기관차
기본 정보
FT36HCW-2 7006 운행 모습
FT36HCW-2 7006호가 무궁화호 열차를 운행하는 모습
별명봉고:(Bongo)
운영 기관철도청 → 한국철도공사
제작 회사현대정공 (당시) → 현대로템
제작 연도1986년 - 1987년
폐차 연도2011년 - 2012년
보존 여부1대
기술 사양
동력 방식디젤
UIC 분류Co'Co'
전기 시스템해당 없음
엔진 형식EMD 16-645E3 (원래 16-645F3B)
동력 출력3700 마력
기관 RPM315~900
견인력3,700 hp → 3,300 hp
제동 장치블렌디드 (Blended)
운행 정보
운전 최고 속도150 km/h
적용된 안전 장치ATS
운영 기관한국철도공사
기관차 종류7000호대
차량 번호7001-7015
최초 운행일1986년 6월
기타
도입 단가1,485,000,000원

2. 역사

1986년 아시안 게임1988년 하계 올림픽을 앞두고 새마을호 객차를 견인하기 위해 현대정공에서 개발한 7000호대 디젤 기관차는 1986년 7월 12일 영업 운행을 시작하였다.[7] 1986년 6월에 7001~7009호가, 1987년 7월에 7010~7015호가 도입되었다. 그러나 새마을형 디젤 액압 동차의 도입과 7300, 7400호대 디젤 기관차의 도입으로 내구 연한이 도래한 7000호대는 2011년부터 순차적으로 퇴역하기 시작했다. 2011년에는 7001~7009호가, 2012년 11월 28일에는 7010~7015호가 퇴역하였다. 7001호는 한국철도공사의 철도기념물로 선정되었고, 나머지 차량은 고철 매각되었다.

2. 1. 개발 배경

1986년 아시안 게임1988년 하계 올림픽을 앞두고, 당시 최고급 열차였던 새마을호의 품격을 높이기 위해 스테인리스 차체를 채용한 유선형 새마을호 객차[5]를 도입하였다.[6] 현대정공은 이 유선형 객차를 견인할 전용 기관차로 7000호대 디젤 기관차를 개발하였고, 1986년 7월 12일부터 영업 운행을 시작하였다.[7] 1987년에는 외관이 약간 변경된 2차 도입분 6량이 추가되어 총 15량이 도입되었다.

2. 2. 도입 및 운행

1986년 아시안 게임1988년 하계 올림픽을 대비하여 당시 최고급 열차였던 새마을호의 개량이 결정되었고, 이를 위해 스테인리스 차체를 채용한 유선형 새마을호 객차[5]가 도입되었다.[6] 현대정공에서 유선형 객차의 전용 견인 기관차로 개발한 것이 바로 이 7000호대 디젤 기관차로, 1986년 7월 12일부터 영업 운행을 개시하였다.[7] 1986년 6월에는 7001~7009호가, 1987년 7월에는 외관이 약간 변경된 2차 도입분 6량(7010~7015호)이 추가로 도입되어 총 15량이 운행되었다.

그러나 새마을형 디젤 액압 동차의 도입으로 새마을호가 더욱 고급화되면서, 7000호대 디젤 기관차는 새마을호를 견인한다는 도입 목적을 상실하였다. 또한 운전이 더 쉬운 7300, 7400호대 디젤 기관차가 103량 도입되어 디젤 기관차 보유 대수가 증가하면서, 25년이라는 내구 연한을 굳이 연장할 필요성이 없어졌다. 이에 따라 차례로 폐차가 진행되어, 2011년에는 7001호부터 7009호까지, 2012년 11월 28일에는 나머지 6량(7010~7015호)이 차적에서 삭제되어 모든 차량이 퇴역하였다. 이 가운데 7001호는 한국철도공사의 철도기념물로 선정되었고, 7002호~7015호는 고철 매각되었다.

차량별 퇴역 연도 및 비고는 아래 표와 같다.

차량 번호퇴역 연도비고
70012011한국철도문화유산위원회에 의해 보존됨.
70022015년에 매각 및 고철 처리[1]
70031990년 6월 21일 전의역에서 새마을호 열차 사고로 파손되었으나 수리되었다.
2018년에 매각 및 고철 처리
70042015년에 매각 및 고철 처리[1]
70052016년에 매각 및 고철 처리[2]
7006
7007
7008
70092018년에 매각 및 고철 처리
701020122015년에 매각 및 고철 처리[1]
70112012년 11월 28일에 마지막 운행.
2015년에 매각 및 고철 처리[1]
70122018년에 매각 및 고철 처리
70132008년 6월 14일 동대구선에서 무궁화호 열차 사고에 연루되었으나 수리되었다.[3]
2018년에 매각 및 고철 처리
70142015년에 매각 및 고철 처리[1]
70152015년에 매각 및 고철 처리[2]


2. 3. 퇴역

새마을형 디젤 액압 동차(DHC)의 도입으로 새마을호가 더욱 고급화되자, 7000호대 디젤 기관차는 새마을호 견인이라는 도입 목적을 상실하였다. 또한 운전이 더 쉬운 7300, 7400호대 디젤 기관차가 103량 도입되어 디젤 기관차 보유 대수가 증가하면서, 25년이라는 내구 연한을 굳이 연장할 필요성이 없어졌다.

이에 따라 7000호대는 차례로 폐차되었다. 2011년에는 7001호부터 7009호까지 차적에서 제외되었고, 2012년 11월 28일에는 나머지 6량이 차적에서 삭제되어 모든 차량이 퇴역하였다. 이 가운데 7001호는 한국철도공사의 철도기념물로 선정되었다. 7002호~7015호는 고철 매각되었다.

7000호대 디젤 기관차의 퇴역 연도 및 비고는 아래 표와 같다.

차량 번호퇴역 연도비고
70012011한국철도문화유산위원회에 의해 보존됨.
70022015년에 매각 및 고철 처리[1]
70031990년 6월 21일 전의역에서 새마을호 열차 사고로 파손되었으나 수리됨.
2018년에 매각 및 고철 처리
70042015년에 매각 및 고철 처리[1]
70052016년에 매각 및 고철 처리[2]
7006
7007
7008
70092018년에 매각 및 고철 처리
701020122015년에 매각 및 고철 처리[1]
70112012년 11월 28일에 마지막 운행.
2015년에 매각 및 고철 처리[1]
70122018년에 매각 및 고철 처리
70132008년 6월 14일 동대구선에서 무궁화호 열차 사고에 연루되었으나 수리됨.[3]
2018년에 매각 및 고철 처리
70142015년에 매각 및 고철 처리[1]
70152015년에 매각 및 고철 처리[2]


3. 기술적 사양

본 기관차의 모델명은 FT36HCW-2로, 여객 열차만을 견인하도록 고안되었다. 축중은 16.5t으로 다른 특대형 기관차보다 가볍다. 전기적 구성은 6병렬 고정으로 되어 있어 운행 중 회로전이에 의한 충격이 없으나, 초반 가속력이 약해 화물열차 견인에는 거의 투입되지 않았다.[1]

기관차는 원래 3,500마력의 EMD 16-645F3B 엔진으로 구동되었지만, 승객과 고객을 만족시키기 위해 더 효율적인 3,000마력의 EMD 16-645E3 엔진으로 교체되었다. 전면 연결기는 처음에 내부에 위치했으나, 효율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외부 돌출형으로 개조되었다.[1]

3. 1. 모델명 및 엔진

본 기관차의 모델명은 FT36HCW-2로, 여객 열차만을 견인하도록 고안되었다. 축중은 16.5t으로 다른 특대형 기관차보다 가볍다. 부수적으로 사용하는 교류 발전기가 없다는 오해가 있으나, 이는 과거 대한민국 철도청 6300호대 디젤 기관차를 오인한 것이다.[1]

초기에는 발전차 없이 운행하기 위해 엔진과 직결되는 객차 전원 공급 장치(HEP)를 장착하였으나, 후술할 운행 상의 문제점이 발견되면서 철거하였다.[1] 제동장치로는 다른 특대형 디젤전기기관차와 달리 전기지령식 공기제동을 사용한다. 발전제동 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나, 저항기와 견인전동기의 노후화로 인해 사용이 금지되었다.[1]

3. 2. 제동 장치

다른 특대형 디젤전기기관차와 달리 전기지령식 공기제동을 사용한다.[1] 견인 전동기가 노후화되어 발전 제동 사용은 금지되었다.[1]

3. 3. 운전실

차체는 유선형 구조로, 운전실에서는 한 방향만 볼 수 있어 후방 시야 확보가 어려웠다. 이 때문에 퇴행 운전 시 최고 속도는 25km/h로 제한되었다.[1]

3. 4. 객차 전원 공급 장치 (HEP)

초기에는 발전차 없이 운행하기 위해 엔진과 직결되는 객차 전원 공급 장치(HEP)를 장착하였다.[1] 그러나 이 장치는 많은 문제를 일으켰다.[4] HEP 사용 시 기관차 엔진을 893rpm(정차 중에도 6~8단 노치)으로 고정해야 해 운행 대기 시 연료 소모와 매연이 심했고, 정차 시 최대 120dB의 소음으로 민원이 잦았다.[1] 엔진과 연결된 발전기 축의 크랭크축 파손 문제도 빈번하여 1993년부터 HEP 사용이 금지되었고, 1996년에는 완전히 제거되어 납 구조물로 무게 균형을 맞추었다.[1] 이처럼 과도한 소음과 잦은 유지보수가 필요했기에, 한국철도공사는 객차에서 HEP를 제거하고 발전차로 열차 냉난방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을 택했다.[4]

4. 개조

한국철도공사는 7000호대 디젤 기관차의 운행 효율성과 정비 용이성을 높이기 위해 여러 개조 작업을 진행했다.

먼저, 열차 냉난방 전원(HEP) 공급 장치에서 발생하는 과도한 소음과 잦은 유지 보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객차의 HEP를 제거하고 발전차를 사용하여 열차에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변경했다.[1]

또한, 기관차의 엔진을 교체하고, 전면 연결기를 개조했는데, 이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4. 1. 주기관 변경

한국철도공사 7000호대 디젤 기관차는 초기 EMD 16-645F3B 3,700마력급 기관을 사용했으나, 고회전 고출력 기관의 신뢰성 문제와 정비성, 부품 호환성 개선을 위해 3,300마력급 16-645E3 엔진으로 변경하여 여객 운행시 신뢰성과 내구성을 높였다.[1]

이후 3,500마력 EMD 16-645F3B 엔진에서 3,000마력 EMD 16-645E3 엔진으로 교체하여 승객 만족도를 높였다.[1]

4. 2. 전방 연결기 개조

전방 연결기는 초기에는 수납형이었으나, 이후 효율성 문제로 외부 돌출형으로 개조되었다.[1]

4. 3. 차체 하부 스커트 제거

초기에는 유선형 새마을호 객차와 비슷하게 연료통 부분에 스커트가 내려와 있었으나, 정비성 문제와 이후 무궁화호 견인기로도 쓰이면서 1994년 CI 변경에 의한 신도색 작업 직전에 스커트를 잘라내어 정비 효율성을 높였다.[1]

5. 현황

총 15량이 도입되어 모두 퇴역하였다.

차호시리얼[8][9]도입 시기운행 중단 시기비고
70018606011986년 7월2011년 12월 12일철도문화재심의위원회에서 철도기념물로 지정하였으며 현재 부산철도차량정비단에서 강서구 송정동 부지로 이동, 2021년 4월쯤 재도색하여 보존 중이다. 초기에는 상태가 많이 나빴다.
70028606022015년 고철 매각되었다.[10]
70038606031990년 6월 21일 서울부산새마을호 1열차를 끌고 경부선 전의역을 진입하던 중 전철기 고장으로 정차 중이던 수원제천행 화물열차와 충돌해 대파되었으나 수리 후 운행을 재개하였다.[11] 2018년 고철 매각되었다.[12]
70048608012015년 고철 매각되었다.[10]
70058608021991년 10월 20일 경상남도 양산시 원동면 화계리 포교 인근에서 무궁화호 #82로 경부선 상행 운행 중 15톤 트럭의 적재함이 교각을 들이받아 레일이 흔들리면서 탈선되었다. 수리 후 운행을 재개하였다. 2016년 고철 매각되었다.[13]
70068608032016년 고철 매각되었다.[13]
70078609012016년 고철 매각되었다.[13]
70088611012016년 고철 매각되었다.[13]
70098611022016년 개봉한 영화 부산행에서 잠시 등장한 바 있으며 2018년 고철 매각되었다.[12]
70108710011987년 7월2012년 11월 9일2015년 고철 매각되었다.[10]
70118710022012년 11월 28일2015년 고철 매각되었다.[10]
70128710032012년 10월 25일영화 부산행에서 잠시 등장한 바 있으며 2018년 고철 매각되었다.[12]
70138710042012년 10월 30일2008년 6월 14일 동대구무궁화호 견인 도중 대구선 철도건널목에서 탱크로리 트럭과 충돌하는 사고로 전면부가 파손되었으나 같은 해 운행을 재개하였다.[14] 2018년 고철 매각되었다.[12]
70148711052012년 11월 5일2015년 고철 매각되었다.[10]
70158711062012년 11월 9일2016년 고철 매각되었다.[13]


6. 등장 작품

EBS서울특별시가 제작한 애니메이션 '띠띠뽀 띠띠뽀'의 주인공 '띠띠뽀'의 모델이 되었지만, 차축 배치가 B'o-B'o로 되어 있고, 운전실 창문이 1개이며, 실제 차량에는 없는 운전실 상부의 조명이 설치되어 있는 등 실제 차량과 다른 부분이 몇 군데 보인다.[2]

참조

[1] 웹사이트 온비드 공매공고 매각 l 부산철도차량정비단 경량철등 각종 고철 133,530KG(폐디젤기관차5량) http://www.onbid.co.[...]
[2] 웹사이트 온비드 공매공고 매각 l 부산철도차량정비단 헌디젤기관차(고철) 매각 http://www.onbid.co.[...]
[3] 뉴스 YTN 2008-06-14
[4] 서적 한국철도차량 100년사 철도차량기술검정단 1999
[5] 문서 무궁화호 객차
[6] 뉴스 새마을호 최신 모델로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86-02-11
[7] 뉴스 최첨단 기술이 탄생시킨 유선형 새마을호 드디어 7월12일 운행개시!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6-07-14
[8]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7-08-03
[9] 웹인용 Korean National Locomotives https://www.thediese[...] 2018-06-05
[10] 웹인용 부산철도차량정비단 경량철등 각종 고철 133,530KG(폐디젤기관차5량) http://www.onbid.co.[...] 2016-07-03
[11] 뉴스 새마을호, 화물열차와 추돌해 50여명 사상 https://imnews.imbc.[...] 문화방송 1990-06-21
[12] 웹인용 한국철도공사 부산철도차량정비단 헌 디젤기관차(고철매각용 14량) 1,048,895 http://www.onbid.co.[...] 2018-07-03
[13] 웹인용 부산철도차량정비단 헌디젤기관차(고철) 매각 http://www.onbid.co.[...] 2016-07-03
[14] 뉴스 대구선 열차-화물차 충돌, 운행 1시간 중단 http://www.ytn.co.kr[...] YTN 2008-06-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