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발전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발전차는 철도 차량의 일종으로, 객차 내 서비스 전원 공급을 위해 발전기를 탑재한 차량을 의미한다. 대한민국에서는 난방 및 냉방을 위한 전력 공급이 필요해짐에 따라 도입되었으며, 강철 차체 및 스테인리스 차체 발전차가 운용되었다. 현재는 모든 강철 차체 발전차가 퇴역했으며, 스테인리스 차체 발전차는 무궁화호 등에서 운행 중이다. 또한, 발전차는 일본, 자동차, 항공기, 원자력 발전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각 분야의 특성에 맞게 설계 및 운용된다.

2. 대한민국의 발전차

과거 대한민국에서는 객차 내 전력 수요가 적었다. 수동 출입문, 선풍기 냉방, 난방차난로를 이용한 난방, 백열전구 조명 등을 사용했고, 콘센트는 아예 없었다. 객차 하부 발전기에서 생산된 전력으로 충분했다. 그러나 객차 시설 현대화로 자동 출입문, 에어컨, 히터, 형광등, 콘센트[7] 등이 설치되면서 전력 소비량이 크게 증가했다. 이에 따라 대용량 발전차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발전차는 객차에 전력을 공급하는 차량으로, 디젤 기관을 이용해 전력을 생산하거나 외부 전력을 공급받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대한민국에서는 99000번대 차량 번호를 사용하며, 99200호대는 구형, 99300~99400호대는 옛 통일호 객차, 99500호대는 장대형 새마을호 객차[9]와 일부 무궁화호 객차 전용 스테인리스 차체 발전차이다.

HEP(Head End Power)가 설치된 8200호대 전기 기관차[8]는 발전차 없이 객차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7000호대 디젤 기관차에도 HEP가 있었으나 소음, 연료 낭비, 잦은 고장 등으로 제거되었다.

1990년대 이후 한진중공업, 현대정공, 디자인리미트에서 제작한 스테인리스 차체 발전차가 도입되어 새마을호무궁화호에 전력을 공급했다.

2. 1. 도입 및 운용 현황

현재 운행 중인 발전차는 굵은 글씨로 표시되어 있다.

1990년부터 2002년까지 철도청은 한진중공업, 현대정공, 디자인리미트에서 제작한 스테인리스 차체 발전차를 도입했다. 이 발전차들은 초기에는 새마을호무궁화호 객차에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했다.

차호도입 시기비고
99522호 ~ 99539호1997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311호 ~ 99332호1997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333호 ~ 99341호, 99541호 ~ 99543호1999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현대정공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542호는 유일하게 새마을호 도색으로 운행)
99342호 ~ 99348호2001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디자인리미트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410호 ~ 99420호2002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디자인리미트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2. 1. 1. 강철 차체 발전차

현재는 모든 차량이 퇴역되었다.

차호도입 시기운행 중단 시기비고
99201호1969년1995년정부보유외환자금(Korean Foreign Excahnge)으로 구입. 도입 초기 당시 관광호 전용 발전차로 운행.
99202호
99203호
99204호1997년
99205호
99206호1975년1999년IBRD 4차 차관으로 구입.[10] 도입 초기 당시 새마을호 전용 발전차로 운행.
99207호
99208호
99209호
99210호2000년
99211호1975년2001년대우중공업에서 제작된 최초의 국산 발전차. 도입 초기 당시 우등 열차 발전차로 운행.
99212호
99213호1977년대한조선공사에서 제작된 발전차. 도입 초기 당시 우등 열차 발전차로 운행.
99214호1979년rowspan="10" | IBRD 6차 차관으로 대우중공업에서 제작된 발전차. 도입 초기 당시 새마을호 전용 발전차로 운행.
99215호
99216호
99217호
99218호2002년
99219호1979년IBRD 6차 차관으로 대우중공업에서 제작된 발전차. 도입 초기 당시 우등 열차 전용 발전차로 운행.
99220호
99221호
99222호
99223호
99224호
99225호2003년
99226호
99227호2004년
99228호
99229호1979년IBRD 6차 차관으로 대한조선공사에서 제작된 발전차. 도입 초기 당시 우등 열차 전용 발전차로 운행.
99230호
99231호
99232호
99233호1979년2005년IBRD 6차 잔여 차관으로 대우중공업에서 제작된 발전차.[11] 도입 초기 당시 우등 열차 전용 발전차로 운행.
99234호
99235호
99236호
99239호1981년rowspan="11" | IBRD 7차 차관으로 대한조선공사에서 제작된 발전차. 도입 초기 당시 우등 열차 발전차로 운행.
99240호
99241호
99242호
99243호1982년
99244호
99245호
99246호1983년IBRD 5차 차관으로 대한조선공사에서 제작된 발전차. 도입 초기 당시 우등 열차 발전차로 운행.
99247호
99248호
99249호1984년2006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대한조선공사에서 제작된 발전차. 도입 초기 당시 우등 열차 발전차로 운행.
99250호
99251호
99252호
99253호1985년rowspan="11" | IBRD 7차 차관으로 대한조선공사에서 제작된 발전차. 도입 초기 당시 우등 열차 발전차로 운행.
99254호
99255호
99256호1985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대한조선공사에서 제작된 발전차. 도입 초기 당시 우등 열차 발전차로 운행.
99257호
99258호
99259호
99260호
99261호
99262호
99263호2007년
99264호
99265호
99266호2008년
99267호1991년2014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에서 제작된 발전차. 도입 초기 당시 새마을호 발전차로 운행.
유일하게 이 차량들은 다른 강철 차제 발전차 중에서 유선형이었다.
99268호
99269호2015년
99270호
99271호
99351호1969년1998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대한조선공사에서 난방차를 개조한 발전차. 개조 초기 당시 통일호 발전차로 운행.
99352호
99353호
99354호
99355호
99356호
99357호
99358호
99359호
99360호
99361호
99362호
99363호
99364호
99371호1986년2008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대한조선공사에서 제작된 발전차. 도입 초기 당시 통일호 발전차로 운행.
99372호2009년
99373호
99374호
99375호
99376호2010년
99377호
99378호
99379호
99380호
99381호1987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대한조선공사에서 제작된 발전차. 도입 초기 당시 통일호 발전차로 운행.
99382호
99383호
99384호
99385호
99386호
99387호
99388호2011년
99389호
99390호1989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대한조선공사에서 제작된 발전차. 도입 초기 당시 통일호 발전차로 운행.
99391호
99392호
99393호
99394호
99395호
99396호
99397호
99398호
99399호1990년2012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된 발전차. 도입 초기 당시 통일호 발전차로 운행.
99400호
99401호
99402호
99403호


2. 1. 2. 스테인리스 차체 발전차

철도청1990년부터 2002년까지 한진중공업, 현대정공, 디자인리미트에서 제작한 스테인리스 차체의 발전차를 도입했다. 이 발전차들은 초기에는 새마을호무궁화호 객차에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했다.

차호도입 시기운행 중단 시기비고
99501호1990년1995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새마을호 발전차로 운행.
99502호1990년1995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새마을호 발전차로 운행.
99503호1991년2004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새마을호 발전차로 운행.
99504호1991년2004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새마을호 발전차로 운행.
99505호1991년2004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새마을호 발전차로 운행.
99506호1991년2004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새마을호 발전차로 운행.
99507호1991년2004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새마을호 발전차로 운행.
99508호1991년2004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새마을호 발전차로 운행.
99509호1991년2004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새마을호 발전차로 운행.
99510호1991년2004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새마을호 발전차로 운행.
99511호1991년2004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새마을호 발전차로 운행.
99512호1991년2004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새마을호 발전차로 운행.
99513호1993년2006년철도청 리스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새마을호 발전차로 운행.
99514호1993년2006년철도청 리스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새마을호 발전차로 운행.
99515호1993년2006년철도청 리스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새마을호 발전차로 운행.
99272호1995년2009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273호1995년2009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274호1995년2009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275호1995년2009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276호1995년2009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277호1995년2024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278호1995년2024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279호1995년2024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280호1995년2024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281호1995년2024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282호1995년2024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283호1995년2024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284호1995년2024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516호1996년2024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517호1996년2024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518호1996년2024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519호1996년2024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520호1996년2023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521호1996년2024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285호1996년2022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286호1996년2022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287호1996년2024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288호1996년2024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289호1996년2022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290호1996년2024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291호1996년2022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292호1996년2024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293호1996년2024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294호1996년2022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295호1996년2024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296호1996년2024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297호1996년2022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298호1996년2024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299호1996년2024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300호1996년2024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301호1996년2022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302호1996년2024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303호1996년2024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304호1996년2022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305호1996년2024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306호1996년2024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307호1996년2024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308호1996년2024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309호1996년2022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310호1996년2024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522호1997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523호1997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524호1997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525호1997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526호1997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527호1997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528호1997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529호1997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530호1997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531호1997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532호1997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533호1997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534호1997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535호1997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536호1997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537호1997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538호1997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539호1997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540호1997년2023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311호1997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312호1997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313호1997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314호1997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315호1997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316호1997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317호1997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318호1997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319호1997년2022년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320호1997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321호1997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322호1997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323호1997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324호1997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325호1997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326호1997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327호1997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328호1997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329호1997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330호1997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331호1997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332호1997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333호1999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현대정공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542호는 유일하게 새마을호 도색으로 운행.
99334호1999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현대정공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542호는 유일하게 새마을호 도색으로 운행.
99335호1999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현대정공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542호는 유일하게 새마을호 도색으로 운행.
99336호1999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현대정공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542호는 유일하게 새마을호 도색으로 운행.
99337호1999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현대정공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542호는 유일하게 새마을호 도색으로 운행.
99338호1999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현대정공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542호는 유일하게 새마을호 도색으로 운행.
99339호1999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현대정공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542호는 유일하게 새마을호 도색으로 운행.
99340호1999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현대정공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542호는 유일하게 새마을호 도색으로 운행.
99341호1999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현대정공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542호는 유일하게 새마을호 도색으로 운행.
99541호1999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현대정공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542호는 유일하게 새마을호 도색으로 운행.
99542호1999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현대정공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542호는 유일하게 새마을호 도색으로 운행.
99543호1999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현대정공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542호는 유일하게 새마을호 도색으로 운행.
99342호2001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디자인리미트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343호2001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디자인리미트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344호2001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디자인리미트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345호2001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디자인리미트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346호2001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디자인리미트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347호2001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디자인리미트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348호2001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디자인리미트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410호2002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디자인리미트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411호2002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디자인리미트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412호2002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디자인리미트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413호2002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디자인리미트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414호2002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디자인리미트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415호2002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디자인리미트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416호2002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디자인리미트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417호2002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디자인리미트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418호2002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디자인리미트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419호2002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디자인리미트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420호2002년운행 중철도청 내부자금으로 디자인리미트에서 제작. 초기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2. 2. 보존 현황

현재 별도로 보존되고 있는 발전차는 없다. 특히 구형 발전차는 영주역 구내 영주기관차사무소에서 1량(99206호)이 발전차 교육장으로 쓰이고 있었으나[12], 2011년 8월에 폐차되어 현재 잔존량이 없다.

3. 외국의 발전차

일본에서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목적으로 발전차가 활용되고 있다.


  • 자동차: 재해 등으로 발전 및 송전 설비가 작동하지 않거나, 영화, TV, 사진 등의 촬영(주로 조명용) 또는 이벤트 등에서 임시로 대전력을 공급해야 할 때 사용된다. 발전기 구동에는 전용 엔진 또는 파워 테이크 오프를 사용한다. 2010년대부터는 태양 전지 솔라 패널을 장착한 태양광 발전 전원차나 수소 탱크를 탑재한 연료 전지 트럭 전원차도 등장하고 있다.
  • 소방차: 조명 전원차는 야간 재해 발생 시 조명 작업을 수행하고, 주간에는 터널이나 지하 상가 등에서 재해가 발생했을 때 소방 기기 및 긴급하게 전력을 필요로 하는 시설에 전력 공급을 수행한다.[1]
  • 항공기: 비행장에서 주기 중인 항공기에어컨, 조명 등 서비스용 및 메인 엔진 시동용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배치되어 있다. 항공기(주로 여객기)는 엔진을 끄면 탑재된 발전기도 멈춰 전력을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1] 공항 전원차에는 발전기를 장착한 차량과 지상 전원(육전)을 중계하는 차량 두 종류가 있으며, 후자는 GPU (ground power unit)라고 불린다.
  • 원자력 발전소: 2011년에 발생한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사고에서는, 원자력 발전소의 전원 상실이 사고 확산의 방아쇠가 된 것으로부터, 긴급 시 사용을 위한 전원차 개발이 요구되었다.[1] 2012년, IHI의 자회사 IHI 제트 서비스는, 롤스로이스제 항공 제트 엔진을 동력원으로 한 국내 최대인 3600kW급 이동 전원차를 개발하여 도쿄 전력에 납품했다.[1]
  • 철도: 철도 차량의 종류 중 하나로, 객차에 속한다. 발전차는 운전 장치 외에 에어컨, 조명, 식당차주방 등 서비스용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4] 기관차에 견인되는 객차는 증기 기관차수증기를 이용한 증기 난방이 일반적이었다. 동력 근대화 계획에 따라 전기 기관차디젤 기관차에 증기 발생 장치를 싣거나, 난방차를 연결하여 난방용 증기를 객차에 보냈다. 하지만 냉방 장치는 큰 전력을 필요로 하여, 별도의 발전 세트가 필요하게 되었다. 1950년대에는 151계 전동차에서 고정 편성 개념이 도입되었고, 모든 차량에 에어컨이 설치되었다. 객차에서는 집전 장치가 없어 차축 발전기로는 전력 공급이 불안정했다. 유럽의 '''집중 전원 방식'''과 카시36형 식당차의 전기 레인지 시험을 참고하여, 서비스 전원 공급 차량이 설계·제조되었다. 20계 객차에서는 짐칸 열차 역할(신문 수송)을 위해 '''마니20형'''이 제작되었고, 이후 차체 길이를 늘린 '''카니21형'''이 표준형으로 대량 생산되었다. 1972년 호쿠리쿠 터널 화재 사고로 분산 전원 방식의 위험성이 지적되어, 여객용 차량과는 별도로 발전기를 탑재하는 사업용차 운용이 결정되었다.

3. 1. 일본

ANA의 항공 전원차 (이스즈 엘프)


태양광 발전 전원차 (히노 레인저)


일본에서 발전차는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자동차: 재해 등으로 발전송전 설비가 작동하지 않거나, 영화, TV, 사진 등의 로케이션 촬영 (주로 조명용) 또는 이벤트 등에서 임시로 대전력을 공급해야 할 때 사용된다. 발전기 구동에는 전용 엔진 또는 파워 테이크 오프를 사용한다. 2010년대부터는 태양 전지 솔라 패널을 장착한 태양광 발전 전원차나 수소 탱크를 탑재한 연료 전지 트럭 전원차도 등장하고 있다.
  • 소방차: 조명 전원차는 야간 재해 발생 시 조명 작업을 수행하고, 주간에는 터널이나 지하 상가 등에서 재해가 발생했을 때 소방 기기 및 긴급하게 전력을 필요로 하는 시설에 전력 공급을 수행한다.[1]
  • 항공기: 비행장에서 주기 중인 항공기에어컨, 조명 등 서비스용 및 메인 엔진 시동용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배치되어 있다. 항공기(주로 여객기)는 엔진을 끄면 탑재된 발전기도 멈춰 전력을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1] 공항 전원차에는 발전기를 장착한 차량과 지상 전원(육전)을 중계하는 차량 두 종류가 있으며, 후자는 GPU (ground power unit)라고 불린다.
  • 원자력 발전소: 2011년에 발생한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사고에서는, 원자력 발전소의 전원 상실이 사고 확산의 방아쇠가 된 것으로부터, 긴급 시 사용을 위한 전원차 개발이 요구되었다.[1] 2012년, IHI의 자회사 IHI 제트 서비스는, 롤스로이스제 항공 제트 엔진을 동력원으로 한 국내 최대인 3600kW급 이동 전원차를 개발하여 도쿄 전력에 납품했다.[1]
  • 철도: 철도 차량의 종류 중 하나로, 객차에 속한다. 발전차는 운전 장치 외에 에어컨, 조명, 식당차주방 등 서비스용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4] 기관차에 견인되는 객차는 증기 기관차수증기를 이용한 '''증기 난방'''이 일반적이었다. 동력 근대화 계획에 따라 전기 기관차디젤 기관차에 증기 발생 장치를 싣거나, 난방차를 연결하여 난방용 증기를 객차에 보냈다. 하지만 냉방 장치는 큰 전력을 필요로 하여, 별도의 발전 세트가 필요하게 되었다. 1950년대에는 151계 전동차에서 고정 편성 개념이 도입되었고, 모든 차량에 에어컨이 설치되었다. 객차에서는 집전 장치가 없어 차축 발전기로는 전력 공급이 불안정했다. 유럽의 '''집중 전원 방식'''과 카시36형 식당차의 전기 레인지 시험을 참고하여, 서비스 전원 공급 차량이 설계·제조되었다. 20계 객차에서는 짐칸 열차 역할(신문 수송)을 위해 '''마니20형'''이 제작되었고, 이후 차체 길이를 늘린 '''카니21형'''이 표준형으로 대량 생산되었다. 1972년 호쿠리쿠 터널 화재 사고로 분산 전원 방식의 위험성이 지적되어, 여객용 차량과는 별도로 발전기를 탑재하는 사업용차 운용이 결정되었다.

3. 1. 1. 자동차



자동차는 주로 재해 등으로 발전송전 설비가 작동하지 않거나, 영화, TV, 사진 등의 로케이션 촬영 (주로 조명용) 또는 이벤트 등에서 임시로 대전력을 공급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되는 발전기를 탑재한 차량이다.

발전기 구동에는 전용 엔진 또는 파워 테이크 오프를 사용하는 특수 용도 자동차가 해당된다. 예를 들어 경트럭 적재함에 휴대형 가솔린 발전기를 놓은 정도(고정된 발전기나 커플러, 케이블 등을 갖추지 않음)는 전원차라고 부를 수 없다.

2010년대부터는 원동기 대신 태양 전지 솔라 패널을 장착한 태양광 발전 전원차나 수소 탱크를 탑재한 연료 전지 트럭 전원차도 등장하고 있다. 또한 전기 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 연료 전지 자동차에서는 가정의 송전 계통이 단절되었을 때 Vehicle to Home (V2H) 기기를 통해 차량에서 전력 공급이 가능한 차종이 판매되고 있다.

소방 차량으로는 조명 전원차가 있다. 야간 재해 발생 시 조명 작업을 수행하고, 주간에는 터널이나 지하 상가 등에서 재해가 발생했을 때 소방 기기 및 긴급하게 전력을 필요로 하는 시설에 전력 공급을 수행한다.[1]

3. 1. 2. 항공기

비행장에서 볼 수 있는 '''항공 전원차'''는 주기 중인 항공기에어컨, 조명 등 서비스용 및 메인 엔진 시동용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배치되어 있다. 항공기(주로 여객기)는 엔진을 끄면 탑재된 발전기도 멈춰 전력을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1]

공항 전원차에는 발전기를 장착한 차량과 지상 전원(육전)을 중계하는 차량 두 종류가 있으며, 후자는 GPU (ground power unit)라고 불린다. 현재의 중형기 이상에는 APU가 장착되어 있어, 단시간 회항 등에서는 전원차가 필요하지 않다.

APU가 없는 소형기는 지상 작업 중에도 엔진을 계속 가동해야 한다.[2] 전원 공급은 1기라도 가능하므로, 쌍발기의 경우 한쪽 엔진을 정지하기도 한다.[2]

3. 1. 3. 원자력 발전소

2011년에 발생한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사고에서는, 원자력 발전소의 전원 상실이 사고 확산의 방아쇠가 된 것으로부터, 긴급 시 사용을 위한 전원차 개발이 요구되었다.[1] 2012년, IHI의 자회사 IHI 제트 서비스는, 롤스로이스제 항공 제트 엔진을 동력원으로 한 국내 최대인 3600kW급 이동 전원차를 개발하여 도쿄 전력에 납품했다.[1] 도쿄 전력에서는, 원자력 발전소의 백업 전원으로서 가시와자키-가리와 원자력 발전소 및 후쿠시마 제2 원자력 발전소에 배치하고 있다.[1]

3. 1. 4. 철도

철도 차량의 종류 중 하나로, 객차에 속한다. 발전차는 운전 장치 외에 에어컨, 조명, 식당차주방 등 서비스용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4]

기관차에 견인되는 객차는 증기 기관차수증기를 이용한 '''증기 난방'''이 일반적이었다. 동력 근대화 계획에 따라 전기 기관차디젤 기관차에 증기 발생 장치를 싣거나, 난방차를 연결하여 난방용 증기를 객차에 보냈다. 도카이도 본선 도쿄 근교 구간 등에서는 전기 난방 방식도 사용되었다.

하지만 냉방 장치는 큰 전력을 필요로 하여, 별도의 발전 세트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전에는 차축의 회전을 이용한 차축 발전기와 납 축전지가 있었지만, 발전 능력이 낮고 축전지도 소형 대용량 탑재가 어려웠다. 메이지 시대에는 축전지를 탑재한 '''축전차'''도 존재했다.

식당차·1등전망차 등에는 차축 구동 냉방 장치나 증기식 냉방 장치도 있었지만, 운행 조건에 의존하고 보수가 어려워 전력식 냉방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1950년대에는 151계 전동차에서 고정 편성 개념이 도입되었고, 모든 차량에 에어컨이 설치되었다. 객차에서는 집전 장치가 없어 차축 발전기로는 전력 공급이 불안정했다.

유럽의 '''집중 전원 방식'''과 카시36형 식당차의 전기 레인지 시험을 참고하여, 서비스 전원 공급 차량이 설계·제조되었다.

20계 객차에서는 짐칸 열차 역할(신문 수송)을 위해 '''마니20형'''이 제작되었고, 이후 차체 길이를 늘린 '''카니21형'''이 표준형으로 대량 생산되었다.

20계 객차는 산요 본선 비전철화 구간 때문에 디젤 엔진발전 세트를 채용했다. 직류 전철화 구간용으로 팬터그래프와 전동 발전기를 갖춘 '''카니22형'''도 있었지만, 축중 문제로 운용선구가 제한되어 카니21형과 공통 운용되었다.

다층 구조 열차 운용 시에는 '''간이 전원차'''인 '''마야20형'''이 구형 객차에서 개조되었다.

20계 객차는 침대 전용 열차 외에는 수익률 악화와 전원차 확보 비용 증가를 초래했다. 12계 객차에서는 소형 디젤 발전 세트를 편성 끝 완급차에 설치한 '''분산 전원 방식'''이 채용되었고, 14계 객차에도 적용되었다.

1972년 호쿠리쿠 터널 화재 사고로 분산 전원 방식의 위험성이 지적되어, 여객용 차량과는 별도로 발전기를 탑재하는 사업용차 운용이 결정되었다.

침대 전용 열차는 집중 전원 방식으로 돌아갔고, 24계 객차가 새로 제작되었다. 14계 객차는 디젤 발전기 방화 공사가 이루어졌다.

24계 객차에서는 '''마야24형'''이 직무차로 분류되었고, 짐칸 합조차인 '''카니24형'''도 제작되었다. 20계 카니22형을 개조한 '''카니25형'''도 있었다.

정지형 인버터를 사용한 '''스하25형'''은 "로비카"로 사용되었다.

어전 열차용 '''460호 헌상차'''도 이 범주에 포함된다. (해당 항목 참조)

발전차는 디젤 발전 세트 및 변전 설비로 인해 차량 중량이 무거운 경우가 많다. 24계 객차까지는 신문 수송을 위한 짐칸이 설치된 차량이 많았다. E26계 객차의 '''카하후 E26형 차량'''은 1층에 디젤 발전기를 설치한 라운지 카로, 일반차로 취급되었다.

전원차는 비전철화 구간에 전차가 진입할 때 서비스 전원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증기 기관차디젤 기관차로 견인하는 경우 외에, 전차 단독 주행을 위해 전동차에 동력용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차는 실현되지 못했다.[4]

"쿠사츠" 초기에는 80계 전차가 증기 기관차에 견인되었고, 오하유니 71형 객차가 축전지를 실었다.[5] 엘 특급 "아리아케"에서는 485계와 JR 큐슈 783계 전차 "하이퍼 살롱"이 호히 본선 진입 시 요8000형 개조 차량이나 12계 객차 완급차를 사용했다.

485계 조이풀 트레인 "리조트 익스프레스 유"에는 마니50형 (마니50 2186)이 스이군선 등 비전철화 구간 진입 시 사용되었다. 마니50 2186은 도큐 전철에 양도되어 이즈 급행 2100계 전차 "THE ROYAL EXPRESS ~HOKKAIDO CRUISE TRAIN~"의 전원차로 사용되고 있다.[6] 485계 "실피드"와 JR 동일본 E655계 전차는 전차에 디젤 발전기를 탑재했다.

151계 전차가 간몬 터널을 넘어 가고시마 본선하카타역까지 진입할 때, 421계 전차 변압기를 탑재한 사야420형이 전원차로 사용되었다.[5]

미쓰이 화학 전용 철도는 방폭 대책으로 전기 기관차에 축전지를 탑재한 전원차를 연결한다.

기하81계는 서비스 전원 공급을 위해 선두차와 식당차에 디젤 발전 세트를 탑재했다. 기하82계는 선두차 운전석 후부 차체 하부에 발전 세트를 설치했다. 기하183계 0번대는 "기하184형"이 전원 장치를 탑재했다.

국철 분할 민영화 전 기하185계는 기관 직결식 냉방 장치로 변경하여 전원 차량이 불필요해졌다.

급행형 차량에서는 기하58계 냉방화를 위해 기하65형이 제조되었다.

4. 기타

과거에는 여객 열차에 많은 전력이 필요하지 않아, 차체 하부에 발전기를 부착하여 전력을 공급하였다. 그러나 출입문 자동 원격 제어, 냉난방, 조명, 콘센트[7] 설치 등 객차 시설이 현대화되면서 소형 발전기만으로는 전력 공급이 어려워졌다.

무궁화호 스테인리스 차체 발전차

4. 1. HEP (Head End Power)

HEP(Head End Power)가 설치된 기관차는 발전차가 필요없다. HEP는 전차선에서 직접 공급받은 전기를 객차에 공급하는 장치로, 대한민국의 8200호대 전기 기관차[8]에 설치되어 있다. 8100호대 전기 기관차에는 HEP가 없지만 27핀 점퍼선은 존재한다. 7000호대 디젤 기관차에도 장착되었으나 지나친 소음, 연료 낭비, 잦은 엔진 고장 등으로 제거되었다.

과거에는 여객 열차 내에 많은 전력이 필요하지 않아, 차체 하부에 발전기를 붙여 전력을 해결했다. 그러나 지금은 출입문 자동 원격 제어, 냉방, 난방, 조명, 콘센트[7] 설치 등으로 객차 시설이 현대화되면서 소형 발전기만으로는 전력 공급이 어려워졌다.

4. 2. 사진


참조

[1] 웹사이트 平成25年車両一覧 http://www.kawasho11[...] 川口市消防局 2019-09-12
[2] 웹사이트 羽田航空機衝突事故 海保機の機長“ナンバーワンで許可認識” {{!}} NHK https://www3.nhk.or.[...] 2024-12-25
[3] 웹사이트 国内最大となる車載型の3,600kW移動電源車を東京電力に納入 https://www.ihi.co.j[...] IHI 2012-09-26
[4] 서적 幻の国鉄車両「幻のガスタービン車への挑戦」 JTBパブリッシング
[5] 서적 客車の迷宮 교통新聞社
[6] 간행물 "THE ROYAL EXPRESS ~HOKKAIDO CRUISE TRAIN~"2020年および2021年の運行について http://www.the-royal[...] 東急、北海道旅客鉄道 2021-05-05
[7] 문서
[8] 문서
[9] 문서
[10] 문서
[11] 문서
[12] 블로그 전망형 발전차 http://blog.naver.co[...]
[13]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