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리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합리화는 행동, 생각 또는 감정에 대한 진정한 동기를 숨기고, 정서적 갈등이나 스트레스에 대처하기 위해 그럴듯한 설명을 제시하는 심리적 방어기제이다. 18세기부터 논의되었으며, 정신분석학에서 무의식적 동기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다. 합리화는 개인의 실수나 부정적인 결과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경향을 보이며, 타인의 탓으로 돌리는 심리 투영과 연관되기도 한다. DSM-IV에서는 합리화를 자기 방어적인 설명으로 정의하며, 개인적, 사회적, 집단적 차원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비판적인 시각에서는 합리화가 뇌의 비효율적인 과정이며, 실수로부터 배우는 것을 방해한다고 주장한다. 인지 부조화 이론과 관련이 있으며, 심리학의 여러 개념과 연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당화 - 증거주의
증거주의는 결론을 지지하는 특정 증거가 있을 때만 결론이 정당화된다는 인식론적 관점이며, 증거 불충분 사례, 신앙에 기반한 믿음, 불확실성 이론, 인지 부조화 등의 비판과 기초주의, 결합주의, 회의주의, 무한주의 등의 무한 후퇴 논증 대응 방식과 관련되어 비증거주의적 지식 및 정당화 이론과의 비교를 통해 특징이 부각된다. - 정당화 - 반성적 평형
반성적 평형은 도덕적 판단, 원칙, 배경 이론 사이의 일관성을 찾는 방법론으로, 롤스는 숙고된 판단에서 시작하여 모순되는 신념을 조정하여 일관된 실천적 지침을 얻을 수 있다고 보았다. - 비형식적 오류 - 체리 피킹
체리 피킹은 유리한 정보만 선택하고 불리한 정보는 무시하는 행위로, 다양한 분야에서 특정 입장을 옹호하거나 반대하는 데 사용되는 오류이다. - 비형식적 오류 - 유도신문
유도신문은 질문의 형태를 통해 특정 답변을 유도하는 심문 기법이며, 법정에서 허용 여부가 제한되고 목격자의 허위 기억을 생성하거나 오정보 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 - 정신분석학 용어 - 에로스 (개념)
에로스는 사랑, 욕망, 갈망을 아우르는 철학적, 심리학적 개념으로 플라톤은 이상적인 아름다움에 대한 갈망으로, 융은 여성적 원리로, 프로이트는 삶의 의지로 해석했으며, 다양한 성적 지향과 젠더 관련 사회적 이슈와도 관련된다. - 정신분석학 용어 - 금기
금기는 특정 행위나 대상에 대한 사회적, 문화적, 종교적 금지를 의미하며, 사회 질서 유지와 공동체 안녕을 위해 다양한 문화권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합리화 | |
---|---|
심리학적 방어 기제 | |
명칭 | 합리화 |
영어 명칭 | Rationalization |
설명 | 받아들일 수 없는 행동이나 감정에 대해 논리적, 사회적으로 용인될 수 있는 이유를 제시하여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하는 방어 기제이다. |
예시 | 시험에 떨어졌을 때 "사실 그 과목은 별로 중요하지 않았다"고 말하는 경우 바람을 피우고 나서 "내 배우자가 나를 무시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하는 경우 |
관련 개념 | 인지 부조화 방어 기제 |
2. 역사
퀸틸리아누스는 고전 수사학에서 행동을 가장 유리한 관점에서 제시하는 것을 ''color''라는 용어로 표현했다.[5] 로렌스 스턴은 18세기에 이 점을 언급하며, 어떤 사람이 자신의 행동을 고려한다면 "강한 성향과 습관에 따라 저지른 행동들이 부드럽고 아첨하는 손길이 부여할 수 있는 모든 가짜 아름다움[color]으로, 일반적으로 치장되고 묘사된다는 것을 곧 알게 될 것이다"라고 주장했다.[6]
2. 1. 정신분석학에서의 합리화
어니스트 존스는 1908년 정신분석학에 "합리화"라는 용어를 도입하여 "동기를 인식하지 못하는 태도나 행동에 대한 이유를 만들어내는 것"[12](비록 거짓이지만) 그럴듯해 보이는 설명"[13]이라고 정의했다. 이 용어(독일어로는 ''Rationalisierung'')는 지그문트 프로이트에 의해 거의 즉시 채택되어 환자들이 자신의 신경증적 증상에 대해 제공하는 설명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다.[14][15]정신분석가들이 무의식적 동기의 의미를 계속 탐구하면서, 오토 페니첼은 다양한 종류의 합리화를 구별했다. 비합리적인 본능적 행동을 합리적이거나 규범적으로 타당하다는 이유로 정당화하는 것과, 그 목적이 알려지지 않은 방어 구조를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논리적인 의미가 있다는 이유로 합리화하는 것이 그것이다.[16]
이후 정신분석가들은 합리화를 성숙으로 가는 발판으로 긍정적으로 보는 관점[17]과 감정을 생각과 분리하여 이성을 약화시키는 파괴적인 관점으로 보는 관점[18]으로 나뉘었다.
3. DSM 정의
DSM-IV에 따르면, 합리화는 개인이 자신의 생각, 행동 또는 감정에 대한 진정한 동기를 숨김으로써, 안심시키거나 자기 방어적인 잘못된 설명을 상세하게 제시하여 정서적 갈등이나 내적 또는 외적 스트레스 요인에 대처하는 것이다.[7]
4. 과정과 견해
합리화는 본인이 처한 상황을 부정하려던 중에 그 상황에 대한 사실을 본인이 받아들이기에 무리가 안 가도록 단순화하거나 미화해서 해석하는 것이다. 타인의 잘못에도 사실을 받아들이기 충격이라면 타인을 향한 설명 또한 미화시킨다. 본인 잘못을 알고도 의식적으로 그럴듯한 구실을 지어내는 것도 있지만, 그 결과를 받아들였을 때 느껴질지 모르는 상처로부터 자아를 보호하는 무의식 작용이 방어기제의 합리화다. 사건의 사실과 당사자의 행위는 인정해도 부정적 결과는 인정하지 않는 것은 '''최소화'''(Minimisation영어)라고 따로 분류된다.
합리화는 정신적 상처를 안 준다는 장점이 있지만, 특정 사건의 발단을 타인의 탓으로만 돌려버리는 투영이 함께 일어나 상대가 억울해 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합리화를 한 본인이 마음도 여리다면, 본인의 그 합리화가 마주하기 싫은 상황을 모면하려던 핑계였음을 깨닫게 되면 충격을 받을 수 있다는 단점도 있다.
- 타인의 행동에 대한 합리화의 예:
- * '오, 부모님이 말 안 듣는다고 날 몇 대나 때렸어. 그래도 괜찮아 다 날 위해서 때리는 거니까.'
: 부모님이 자신을 지도하려는 마음을 이해하는 것은 옳으나, 자신의 의견을 억압하여 부모님 말이 곧 법이란 식으로 합리화를 하는 경우다. 미숙한 방어기제로서의 합리화가 아닌 상대에 대한 진실된 이해라면 부모님 요구를 의견으로서 양보하는 것이다. 그러나, 부모님이 권력에 의존하는 행위에는 제대로 생각을 해봐야 한다. 그렇지 않고 감정적 상처를 받지 않기 위해 자의적으로 좋게 해석을 하니 합리화가 발생한다. 본인이 부모님 체벌을 통해 말을 잘 들었다고 하여 부모님 말을 무조건 좋게 맹신하는 태도와 체벌을 좋은 것으로만 여기는 태도도 같은 원리의 합리화가 발생한다.
- 본인의 행동에 대한 합리화의 예:
- * '이건 다 네 탓이야.'
: 꼭 상대방의 탓만은 아닐 수 있다. 다른 사람 잘못이 있더라도 나도 그 사건 발생에 영향을 준 인물일 수 있다. 상대방이 그 행동을 안 했다고 해도 내 행동의 영향력이 무시됐을 거라는 보장은 없다.
- 법규 유지에 대한 합리화의 예:
- * '모든 것엔 단점이 있기 마련입니다. 이 법이 잘못됐다고하여 고칠 필요는 없고 여러분들은 따르기만 하면 됩니다.'
: 기존 체제를 유지하고픈 욕구를 현상에 대한 이면 얘기만으로 합리화하는 경우다.
- * '내가 처음엔 그 법에 반발했지만 반발하고 나서의 결과를 알기 때문에 그 반발이 잘못됐음을 안다.'
: 본인이 그 행위의 부정적 결과, 혹은 긍정적 결과를 경험했다고 해서 지향하려던 내용이 그 자체로 틀린 것, 옳은 것이라고 확답할 수는 없다. 모든 것엔 장단점이 있는데 국민과 국가 각각은 이해, 양보, 타협할 생각을 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서로는 자아와 타인의 의견에 방어하기만 하는 존재로 전락하고 말 것이다.
4. 1. 합리화 극복
스스로가 부정 없이 성숙하고 타인을 이해하려고 노력하면 합리화가 줄어든다.물론, 상대에 대한 이해는 강요받아서는 안 된다. 타인이나 세상에 억압을 받은 만큼 합리화할 구실을 찾아내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람은 타인의 합리화 방어기제를 자각했을 때 타인을 무조건 잘 대해줘선 안 된다. 그보다는 타인과 대화해서 공감하려 노력하고 배려를 하여 조화롭게 이끄는 것이 중요하다.
5. 예시
합리화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 타인의 행동에 대한 합리화:
합리화에 대한 설명을 위해 극단적인 예시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다.
:'''"오, 부모님이 말 안 듣는다고 날 몇 대나 때렸어. 그래도 괜찮아. 다 날 위해서 때리는 거니까"'''
:부모님이 자신을 지도하려는 마음을 이해하는 것은 옳으나, 자신의 의견을 억압하여 부모님 말이 곧 법이라는 식으로 합리화하는 경우이다. 미숙한 방어기제로서의 합리화가 아닌 상대에 대한 진실된 이해라면 부모님의 요구를 의견으로서 양보하는 것이다. 그러나 부모님이 권력에 의존하는 행위에는 제대로 생각을 해봐야 한다. 그렇지 않고 감정적 상처를 받지 않기 위해 자의적으로 좋게 해석을 하니 합리화가 발생한다. 본인이 부모님 체벌을 통해 말을 잘 들었다고 하여 부모님 말을 무조건 좋게 맹신하는 태도와 체벌을 좋은 것으로만 여기는 태도도 같은 원리의 합리화가 발생한다.
- 본인의 행동에 대한 합리화:
다른 사람과 본인이 연류돼 있는 사건에서 간단한 예시는 다음과 같다.
:'''"이건 다 네 탓이야"'''
:꼭 그게 상대 탓일까? 다른 사람 잘못이 있더라도 나도 그 사건 발생에 영향을 준 인물 아닐까? 그 사람이 그 행동을 안 했다고 내 행동의 영향력이 무시됐을 거라는 보장이 있을까?
- 법규 유지에 대한 합리화:
:'''"모든 것엔 단점이 있기 마련입니다. 이 법이 잘못됐다고 하여 고칠 필요는 없고 여러분들은 따르기만 하면 됩니다."'''
:여태까지 있던 체제를 유지하고픈 욕구를 현상에 대한 이면 얘기만으로 합리화를 한다.
:'''"내가 처음엔 그 법에 반발했지만 반발하고 나서의 결과를 알기 때문에 그 반발이 잘못됐음을 안다."'''
:본인이 그 행위의 부정적 결과, 혹은 긍정적 결과를 경험했다고 해서 지향하려던 내용이 그 자체로 틀린 것, 옳은 것이라고 확답 가능할까? 이는 잘못된 법규 합리화의 예시에서 첫 번째 논리 하나만 인용해도 알 수 있다. 모든 것엔 장단점이 있는데 국민과 국가 각각은 이해, 양보, 타협할 생각을 해야 한다. 그렇지 않는 서로는 자아와 타인의 의견에 방어하기만 하는 존재로 전락하고 말 것이다.
- 실망을 인정하지 않기 위한 합리화: "나는 지원했던 직업을 얻지 못했지만, 사실 처음부터 원하지 않았다."
- 비교를 통한 합리화:
- "최소한 [발생한 일]은 [더 나쁜 결과]만큼 심각하지 않다."
- 비난에 대한 응답: "최소한 나는 [비난받는 행위보다 더 나쁜 행위]는 하지 않았다."
- 허위 선택의 형태: "[원치 않는 행위]를 하는 것이 [더 나쁜 행위]를 하는 것보다 훨씬 낫다."
- 개인에 대한 다른 개인 또는 집단의 부당하거나 학대적인 행동에 대한 응답: "그들이 나를 이렇게 대하는 것을 보니 내가 뭔가 잘못했음에 틀림없다."
존 반자(John Banja)는 의료 분야에서 실수를 "은폐"하기 위해 과도한 양의 합리화가 사용된다고 말한다.[8] 흔히 사용되는 변명은 다음과 같다.
- "왜 오류를 공개해야 하는가? 어차피 환자는 죽을 운명이었다."
- "가족에게 오류에 대해 말하면 그들을 더 기분 나쁘게 만들 뿐이다."
- "그것은 환자의 잘못이었다. 그가 그렇게 (병들지 않거나 등) 않았다면, 이 오류는 그렇게 많은 해를 끼치지 않았을 것이다."
- "음, 우리는 최선을 다했다. 이런 일은 일어나는 법이다."
- "우리가 오류가 해를 끼쳤다는 것을 완전히, 절대적으로 확신하지 못한다면, 말할 필요가 없다."
- "어차피 그들은 죽었고, 누구를 탓할 필요가 없다."
5. 1. 개인적 차원
부정하려던 상황에 대한 사실을 본인이 받아들이기에 무리가 안 가도록 단순화하거나 미화해서 해석을 하는 것이다. 타인의 잘못에도 사실을 받아들이기 충격이라면 타인을 향한 설명 또한 미화시킨다.[8]본인 잘못을 알고도 의식적으로 그럴듯한 구실을 지어내는 것도 있지만, 그 결과를 받아들였을 때 느껴질지 모르는 상처로부터 자아를 보호하는 무의식 작용이 방어기제의 합리화다. 사건의 사실과 당사자의 행위는 인정해도 부정적 결과는 인정하지 않는 것은 '''최소화'''(Minimisation영어)라고 따로 분류된다.
합리화는 정신적 상처를 안 준다는 장점이 있지만, 특정 사건의 발단을 타인의 탓으로만 돌려버리는 투영도 함께 일어나므로 상대가 억울해 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합리화를 한 본인이 마음도 여리다면, 본인의 그 합리화가 마주하기 싫은 상황을 모면하려던 핑계였음을 깨닫게 되면 충격을 받을 수 있다는 단점도 있다.
스스로가 부정이 없이 성숙하고 타인을 이해하려고 노력을 하면 합리화가 준다. 물론, 상대에 대한 이해는 강요받아서는 안 된다. 타인이나 세상에 억압을 받은 만큼 합리화 할 구실을 찾아내게 때문이다. 그래서, 사람은 타인의 합리화 방어기제를 자각했을 때 타인을 무조건 잘 대해줘선 안 된다. 그 보다는 타인과 대화해서 공감하려 노력하고 배려를 하여 조화롭게 이끄는 것이 중요하다.
- '''타인의 행동에 대한 합리화'''
극단적인 예시로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오, 부모님이 말 안 듣는다고 날 몇 대나 때렸어. 그래도 괜찮아 다 날 위해서 때리는 거니까'''
:부모님이 자신을 지도하려는 마음을 이해하는 것까지는 옳으나 자신의 의견을 억압하여 부모말이 곧 법이란 식으로 합리화를 하는 경우다. 미숙한 방어기제로서의 합리화가 아닌 상대에 대한 진실된 이해라면 부모님 요구를 의견으로서 양보하는 것이다. 그러나, 부모님이 권력에 의존하는 행위에는 제대로 생각을 해봐야 한다. 그렇지 않고 감정적 상처를 받지 않기 위해 자의적으로 좋게 해석을 하니 합리화가 발생한다. 본인이 부모님 체벌을 통해 말을 잘 들었다고 하여 부모님 말을 무조건 좋게 맹신하는 태도와 체벌을 좋은 것으로만 여기는 태도도 같은 원리의 합리화가 발생한다. 그 합리화를 다른 사람에게 전파시키면 본인의 부정적 행동에 핑계거리를 만드는 방법을 알려줄 뿐이며 실제적으로 합리적인 사고력을 키우기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
- '''본인의 행동에 대한 합리화'''
다른 사람과 본인이 연류돼 있는 사건에서 간단한 예시는 다음과 같다.
:'''이건 다 네 탓이야'''
:꼭 그게 상대 탓일까? 다른 사람 잘못이 있더라도 나도 그 사건 발생에 영향을 준 인물 아닐까? 그 사람이 그 행동을 안 했다고 내 행동의 영향력이 무시됐을거라는 보장이 있을까?
- '''법규 유지에 대한 합리화'''
:'''모든 것엔 단점이 있기 마련입니다. 이 법이 잘못됐다고하여 고칠 필요는 없고 여러분들은 따르기만하면 됩니다.'''
:여태까지 있던 체제를 유지하고픈 욕구를 현상에 대한 이면 얘기만으로 합리화를 한다.
:'''내가 처음엔 그 법에 반발했지만 반발하고 나서의 결과를 알기 때문에 그 반발이 잘못됐음을 안다.'''
:본인이 그 행위의 부정적 결과, 혹은 긍정적 결과를 경험했다고 해서 지향하려던 내용이 그 자체로 틀린 것, 옳은 것이라고 확답 가능할까? 이는 잘못된 법규 합리화의 예시에서 첫번째 논리 하나만 인용해도 알 수 있다. 모든 것엔 장단점이 있는데 국민과 국가 각각은 이해, 양보, 타협할 생각을 해야한다. 그렇지 않는 서로는 자아와 타인의 의견에 방어하기만 하는 존재로 전락하고 말 것이다.
- 합리화는 실망을 인정하지 않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는 지원했던 직업을 얻지 못했지만, 사실 처음부터 원하지 않았다."
비난을 회피하기 위한 극심한 합리화는 인신 공격이나 DARVO의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다. 일부 합리화는 비교의 형태로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이는 어떤 행위의 부정적인 영향을 덜 인식하게 하거나, 행위를 정당화하거나, 유죄를 면하기 위해 사용된다.
- "최소한 [발생한 일]은 [더 나쁜 결과]만큼 심각하지 않다."
- 비난에 대한 응답: "최소한 나는 [비난받는 행위보다 더 나쁜 행위]는 하지 않았다."
- 허위 선택의 형태: "[원치 않는 행위]를 하는 것이 [더 나쁜 행위]를 하는 것보다 훨씬 낫다."
- 개인에 대한 다른 개인 또는 집단의 부당하거나 학대적인 행동에 대한 응답: "그들이 나를 이렇게 대하는 것을 보니 내가 뭔가 잘못했음에 틀림없다."
존 반자(John Banja)는 의료 분야에서 실수를 "은폐"하기 위해 과도한 양의 합리화가 사용된다고 말한다.[8] 흔히 사용되는 변명은 다음과 같다.
- "왜 오류를 공개해야 하는가? 어차피 환자는 죽을 운명이었다."
- "가족에게 오류에 대해 말하면 그들을 더 기분 나쁘게 만들 뿐이다."
- "그것은 환자의 잘못이었다. 그가 그렇게 (병들지 않거나 등) 않았다면, 이 오류는 그렇게 많은 해를 끼치지 않았을 것이다."
- "음, 우리는 최선을 다했다. 이런 일은 일어나는 법이다."
- "우리가 오류가 해를 끼쳤다는 것을 완전히, 절대적으로 확신하지 못한다면, 말할 필요가 없다."
- "어차피 그들은 죽었고, 누구를 탓할 필요가 없다."
5. 2. 사회적 차원
사람은 본인이 처한 상황을 부정하려던 중에 그 상황에 대한 사실을 받아들이기에 무리가 안 가도록 단순화하거나 미화해서 해석을 하기도 한다. 타인의 잘못에도 사실을 받아들이기 충격이라면 타인을 향한 설명 또한 미화시키기도 한다.본인 잘못을 알고도 의식적으로 그럴듯한 구실을 지어내는 것도 있지만, 그 결과를 받아들였을 때 느껴질지 모르는 상처로부터 자아를 보호하는 무의식 작용이 방어기제의 합리화다. 사건의 사실과 당사자의 행위는 인정해도 부정적 결과는 인정하지 않는 것은 '''최소화'''(Minimisation영어)라고 따로 분류된다.
합리화는 발동하고 있는 본인에겐 정신적 상처를 안 준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특정 사건의 발단을 타인의 탓으로만 돌려버리는 투영도 함께 일어나므로 상대가 억울해 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합리화를 한 본인이 마음도 여리다면, 본인의 그 합리화가 마주하기 싫은 상황을 모면하려던 핑계였음을 깨닫게 되면 충격을 받을 수 있다는 단점도 있다.
스스로가 부정이 없이 성숙하고 타인을 이해하려고 노력을 하면 합리화가 준다. 물론, 상대에 대한 이해는 강요받아서는 안 된다. 타인이나 세상에 억압을 받은 만큼 합리화 할 구실을 찾아내게 때문이다. 그래서, 사람은 타인의 합리화 방어기제를 자각했을 때 타인을 무조건 잘 대해줘선 안된다. 그 보다는 타인과 대화해서 공감하려 노력하고 배려를 하여 조화롭게 이끄는 것이 중요하다.
- 타인의 행동에 대한 합리화
합리화의 확실한 설명을 위해서 본 단락은 좀 극단적인 예시로 설명을 한다.
'''"오, 부모님이 말 안 듣는다고 날 몇 대나 때렸어. 그래도 괜찮아 다 날 위해서 때리는 거니까"'''
해석 : 부모님이 자신을 지도하려는 마음을 이해하는 것까지는 옳으나 자신의 의견을 억압하여 부모말이 곧 법이란 식으로 합리화를 하는 경우다. 미숙한 방어기제로서의 합리화가 아닌 상대에 대한 진실된 이해라면 부모님 요구를 의견으로서 양보하는 것이다. 그러나, 부모님이 권력에 의존하는 행위에는 제대로 생각을 해봐야 한다. 그렇지 않고 감정적 상처를 받지 않기 위해 자의적으로 좋게 해석을 하니 합리화가 발생한다. 본인이 부모님 체벌을 통해 말을 잘 들었다고 하여 부모님 말을 무조건 좋게 맹신하는 태도와 체벌을 좋은 것으로만 여기는 태도도 같은 원리의 합리화가 발생한다. 그 합리화를 다른 사람에게 전파시키면 본인의 부정적 행동에 핑계거리를 만드는 방법을 알려줄 뿐이며 실제적으로 합리적인 사고력을 키우기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
- 본인의 행동에 대한 합리화
간단 예시 (다른 사람과 본인이 연류돼 있는 사건에서)
'''"이건 다 네 탓이야"'''
해석 : 꼭 그게 상대 탓일까? 다른 사람 잘못이 있더라도 나도 그 사건 발생에 영향을 준 인물 아닐까? 그 사람이 그 행동을 안 했다고 내 행동의 영향력이 무시됐을거라는 보장이 있을까?
- 법규 유지에 대한 합리화
'''"모든 것엔 단점이 있기 마련입니다. 이 법이 잘못됐다고하여 고칠 필요는 없고 여러분들은 따르기만하면 됩니다."'''
해석 : 여태까지 있던 체제를 유지하고픈 욕구를 현상에 대한 이면 얘기만으로 합리화를 한다.
'''"내가 처음엔 그 법에 반발했지만 반발하고 나서의 결과를 알기 때문에 그 반발이 잘못됐음을 안다."'''
해석 : 본인이 그 행위의 부정적 결과, 혹은 긍정적 결과를 경험했다고 해서 지향하려던 내용이 그 자체로 틀린 것, 옳은 것이라고 확답 가능할까? 이는 잘못된 법규 합리화의 예시에서 첫번째 논리 하나만 인용해도 알 수 있다. 모든 것엔 장단점이 있는데 국민과 국가 각각은 이해, 양보, 타협할 생각을 해야한다. 그렇지 않는 서로는 자아와 타인의 의견에 방어하기만 하는 존재로 전락하고 말 것이다.
- 집단적 합리화는 집단 내 선호와 반대편에 대한 악마화를 기반으로 공격 행위에 대해 정기적으로 구성된다.[9] 프리츠 펄스는 "우리 군은 불쌍한 가족을 돌보고, 적은 그들을 강간한다"라고 말했다.[9]
5. 3. 한국 사회에서의 예시
- 타인의 행동에 대한 합리화
극단적인 예시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오, 부모님이 말 안 듣는다고 날 몇 대나 때렸어. 그래도 괜찮아. 다 날 위해서 때리는 거니까'''[1]
: 부모님이 자신을 지도하려는 마음을 이해하는 것은 옳지만, 자신의 의견을 억압하여 부모님 말이 곧 법이라는 식으로 합리화하는 경우이다.[1] 미숙한 방어기제로서의 합리화가 아닌 상대에 대한 진실된 이해라면 부모님 요구를 의견으로서 양보하는 것이다. 그러나 부모님이 권력에 의존하는 행위에는 제대로 생각을 해봐야 한다. 그렇지 않고 감정적 상처를 받지 않기 위해 자의적으로 좋게 해석을 하니 합리화가 발생한다.[1] 본인이 부모님 체벌을 통해 말을 잘 들었다고 하여 부모님 말을 무조건 좋게 맹신하는 태도와 체벌을 좋은 것으로만 여기는 태도도 같은 원리의 합리화가 발생한다.[1]
- 본인의 행동에 대한 합리화
간단한 예시는 다음과 같다.
'''이건 다 네 탓이야'''[1]
: 꼭 상대방의 탓일까? 다른 사람 잘못이 있더라도 나도 그 사건 발생에 영향을 준 인물 아닐까? 그 사람이 그 행동을 안 했다고 내 행동의 영향력이 무시됐을 거라는 보장이 있을까?[1]
- 법규 유지에 대한 합리화
'''모든 것엔 단점이 있기 마련입니다. 이 법이 잘못됐다고 하여 고칠 필요는 없고 여러분들은 따르기만 하면 됩니다.'''[1]
: 여태까지 있던 체제를 유지하고픈 욕구를 현상에 대한 이면 얘기만으로 합리화를 한다.[1]
'''내가 처음엔 그 법에 반발했지만, 반발하고 나서의 결과를 알기 때문에 그 반발이 잘못됐음을 안다.'''[1]
: 본인이 그 행위의 부정적 결과, 혹은 긍정적 결과를 경험했다고 해서 지향하려던 내용이 그 자체로 틀린 것, 옳은 것이라고 확답할 수 있을까? 이는 잘못된 법규 합리화의 예시에서 첫 번째 논리 하나만 인용해도 알 수 있다. 모든 것엔 장단점이 있는데 국민과 국가 각각은 이해, 양보, 타협할 생각을 해야 한다. 그렇지 않은 서로는 자아와 타인의 의견에 방어하기만 하는 존재로 전락하고 말 것이다.[1]
6. 비판
본인이 처한 상황을 부정하려던 중에 그 상황에 대한 사실을 본인이 받아들이기에 무리가 안 가도록 단순화하거나 미화해서 해석을 하는 것이 합리화이다. 타인의 잘못에도 사실을 받아들이기 충격이라면 타인을 향한 설명 또한 미화시킨다. 본인 잘못을 알고도 의식적으로 그럴듯한 구실을 지어내는 것도 있지만, 그 결과를 받아들였을 때 느껴질지 모르는 상처로부터 자아를 보호하는 무의식 작용이 방어기제의 합리화다. 사건의 사실과 당사자의 행위는 인정해도 부정적 결과는 인정하지 않는 것으로 그것은 '''최소화'''(Minimisation영어)라고 따로 분류된다.
합리화는 발동하고 있는 본인에겐 정신적 상처를 안 준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특정 사건의 발단을 타인의 탓으로만 돌려버리는 투영도 함께 일어나므로 상대가 억울해 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합리화를 한 본인이 마음도 여리다면, 본인의 그 합리화가 마주하기 싫은 상황을 모면하려던 핑계였음을 깨닫게 되면 충격을 받을 수 있다는 단점도 있다.
스스로가 부정이 없이 성숙하고 타인을 이해하려고 노력을 하면 합리화가 준다. 물론, 상대에 대한 이해는 강요받아서는 안 된다. 타인이나 세상에 억압을 받은 만큼 합리화할 구실을 찾아내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람은 타인의 합리화 방어기제를 자각했을 때 타인을 무조건 잘 대해줘선 안 된다. 그보다는 타인과 대화해서 공감하려 노력하고 배려를 하여 조화롭게 이끄는 것이 중요하다.
일부 과학자들은 뇌가 비합리적인 결정을 합리화하도록 배선되어 있다는 개념에 대해 비판하며, 어차피 내려졌을 결정의 합리화와 같이 결정 개선에 기여하지 않는 정신적 과정에 더 많은 영양분을 소비하는 것은 진화적으로 선택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 과학자들은 합리화가 실수로부터 더 많이 배우기보다는 덜 배우게 한다고 주장하며, 합리화가 사회적 조작 수단으로 진화했다는 가설을 비판한다. 만약 합리적인 주장이 기만적이라면 그 주장에 반응하는 개체를 번식시켜 진화에 의해 선택될 수 없게 만들고 비효율적으로 만들 기회가 없을 것이라고 지적한다.[11]
7. 인지 부조화
레온 페스팅거는 1957년 자신의 일관되지 않은 생각을 인지함으로써 사람들에게 발생하는 불편함을 강조했다.[1] 합리화는 그러한 불일치를 설명함으로써 이러한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이전에 금연했던 사람이 흡연을 다시 시작한 후 흡연이 해롭다는 증거가 이전 생각보다 적다고 판단하는 경우와 같다.[2]
8. 관련 개념
참조
[1]
웹사이트
Rationalization
https://dictionary.a[...]
[2]
웹사이트
Rationalization
https://dictionary.c[...]
[3]
웹사이트
Defense Mechanisms – Rationalization
http://psychology.ab[...]
About.com: Psychology
2008-02-24
[4]
웹사이트
Defenses
http://www.psychpage[...]
www.psychpage.com
2008-03-11
[5]
서적
Juvenal: The Sixteen Satires
Harmondsworth
1982
[6]
서적
Tristram Shandy
Harmondsworth
1976
[7]
서적
DSM-IV-TR :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http://dsm.psychiatr[...]
AMERICAN PSYCHIATRIC PRESS INC (DC)
2000
[8]
서적
Medical Errors and Medical Narcissism
Jones and Bartlett
[9]
서적
Gestalt Theory Verbatim
Bantam
1971
[10]
서적
Celebrity and Power
1997
[11]
서적
How the Body Shapes the Way We Think. A New View of Intelligence
2006
[12]
서적
On Flirtation
London
1994
[13]
서적
Freud's Wizard
London
2006
[14]
서적
Case Histories II
London
1991
[15]
논문
Psychoanalytische Bemerkungen über einen autobiographisch beschriebenen Fall von Paranoia (Dementia Paranoides)
1911
[16]
서적
The Psychoanalytic Theory of Neurosis
London
1946
[17]
서적
Introduction to Psychoanalysis: Contemporary Theory and Practice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1995
[18]
서적
Narcissism: A New Theory
https://books.google[...]
Karnac Books
1993
[19]
웹사이트
Understanding Rationalization: Making Excuses as an Effective Manipulation Tactic
http://counsellingre[...]
[20]
서적
カプラン臨床精神医学テキスト DSM-5診断基準の臨床への展開
メディカルサイエンスインターナショナル
2016-05-31
[21]
웹사이트
Definition of rationalization
http://depression.ab[...]
2011-09-25
[22]
웹사이트
Fallacy § Rationalization
[23]
서적
자아와 방어 기제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