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합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합착은 치과에서 보철물을 구강 내 구조물에 고정하는 데 사용되는 재료를 의미한다. 합착제는 사용 목적, 성분, 경화 방식에 따라 분류되며, 영구 합착제와 임시 합착제로 나뉜다. 영구 합착제로는 인산 아연 시멘트, 폴리카복실산 아연 시멘트,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 레진 시멘트, 레진 변성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 등이 있으며, 임시 합착제로는 산화 아연-유제놀 시멘트, 산화 아연-비유제놀 시멘트, 레진 임시 시멘트 등이 있다.

2. 분류

치과용 합착제는 사용 목적, 성분, 경화 방식 등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5][6][7]

2. 1. 사용 목적에 따른 분류

치과용 합착제는 다음과 같이 여러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 사용자의 지식 및 사용 경험[5]
  • 전통적인 것: 인산아연, 폴리카복실산 아연, 글래스 아이오노머 (GI)
  • 현대적인 것: 레진 변성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 (RMGIC) 및 레진
  • 세팅 메커니즘의 유형[6]
  • 산-염기 반응: 인산아연, 폴리카복실산 아연, 글래스 아이오노머
  • 중합: 레진 변성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 (RMGIC) 및 레진
  • 수복물의 예상 사용 기간[7]
  • 영구적인 것(장기간): 인산아연, 폴리카복실산 아연, 글래스 아이오노머, 레진 변성 글래스 아이오노머 (RMGIC) 및 레진
  • 임시적인 것(단기간): 유제놀, 비유제놀, 레진 또는 폴리카복실산 기반

2. 2. 성분에 따른 분류

치과용 합착제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그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5][6][7]

분류 기준종류
사용자의 지식 및 사용 경험
세팅 메커니즘의 유형
수복물의 예상 사용 기간


2. 3. 경화 방식에 따른 분류

치과용 합착제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그중 경화 방식에 따른 분류는 다음과 같다.[6]

  • 산-염기 반응: 인산아연, 폴리카복실산 아연, 글래스 아이오노머
  • 중합: 레진 변성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 (RMGIC) 및 레진

3. 영구 합착제

영구 합착제는 치과에서 수복물을 영구적으로 고정하는 데 사용되는 재료이다. 다양한 종류의 영구 합착제가 있으며, 각각의 특성과 용도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한다.


  • 인산 아연 시멘트: 가장 오래된 합착제 중 하나로, 산화 아연산화 마그네슘 분말, 인산 액체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금속 구조 수복물, 포스트 코어, 긴 브릿지 등에 사용되지만, 심미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 폴리카복실산 아연 시멘트: 치아 구조에 화학적으로 결합하는 최초의 시멘트이다. 크라운과 인레이 부착에 주로 사용되며, 스테인리스강과의 결합력이 우수하여 교정용 밴드 부착에도 사용된다.
  •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 (GI): 불소를 방출하여 충치 예방 효과가 있으며, 치아 구조와 물리화학적으로 결합한다. 금속 및 금속-세라믹 수복물, 아말감 수복물 등에 사용되며, 치아색 크라운 접착 시 심미적인 장점이 있다.
  • 레진 시멘트: 중합이 가능한 접착제로, 메타크릴산 및 디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충전재 입자, 개시제 등으로 구성된다. 비금속 수복물, 레진 접착 브릿지, 세라믹 크라운 및 포세린 비니어, 세라믹 및 레진 복합 인레이 및 온레이 등에 사용된다.
  • 자가 중합 레진 시멘트: 혼합 후 자동 중합된다.
  • 광중합 레진 시멘트: 치과용 경화기를 사용하여 중합한다.

치과용 경화기를 사용하여 치과용 시멘트의 경화 반응을 시작하는 모습

  • 이중 중합 레진 시멘트: 화학 촉매와 광활성 페이스트를 함께 사용한다.
  • 레진 변성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 (RMGIC): 금속 및 금속-세라믹 수복물, 금속 및 복합 섬유 포스트에 사용 시 좋은 결과를 보이지만, 유지력과 저항 형태가 좋지 않은 치아에는 부적합하다.

3. 1. 인산 아연 시멘트

인산 아연은 가장 오래 사용된 합착제 중 하나로, 오늘날에도 영국 치과의사 중 약 3분의 1이 일상적으로 사용한다.[8] 산화 아연산화 마그네슘 분말, 그리고 수성 인산 액체를 혼합하여 사용하며, 차가운 유리판을 사용하면 작업 시간을 늘릴 수 있다.[9]

10년 동안 인산 아연으로 접착된 수복물은 글래스 아이오노머나 레진 변성 글래스 아이오노머보다 실패 위험이 낮았다.[10] 그러나 높은 용해도, 치아 접착력 부족, 낮은 경화 pH로 인한 치수 자극,[11] 낮은 인장 강도, 불투명함으로 인한 심미성 부족과 같은 단점도 있다.

인산 아연은 기계적으로 유지되는 금속 구조 수복물,[25] 조립식 또는 주조 금속 포스트 코어,[26] 긴 스팬 브릿지[1]를 접착하는 데 사용된다.

인산 아연을 사용하여 도자기 크라운을 합착하면 심미성이 감소할 수 있으므로, 크라운 마진을 치은 열구 내에 유지하여 시멘트 접착이 보이지 않도록 해야 한다.[27]

3. 2. 폴리카복실산 아연 시멘트

폴리카복실산 아연은 치아 구조에 화학적으로 결합하는 최초의 시멘트였다.[9] 분말은 일반적으로 인산 아연과 동일하게 산화 아연 및 최대 10%의 산화 마그네슘으로 만들어지지만, 액체는 폴리아크릴산의 수성 공중합체(30-40%)를 사용한다.

작업 시간이 짧아 사용하기 어려울 수 있지만, 주석산을 첨가하거나 차가운 유리판 위에서 혼합하거나, 분말과 액체의 비율을 낮추면 이를 연장할 수 있다. 인산 아연과 비교했을 때, 폴리카복실산 아연은 치아 에나멜과 상아질에 대한 부착력에서 인장 하중 하에서 확실히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다.[12]

이 재료는 주로 크라운과 인레이 부착에 사용된다.[27] 저작력으로 인한 변형 때문에 단경간 브릿지에만 사용할 수 있다.[1] 폴리카복실산 아연은 법랑질 및 상아질과 같은 치아 구조에 부착되지만 금이나 도자기와는 약하거나 전혀 결합하지 않는다. 그러나 폴리카복실산 아연은 도자기 융합 금속(PFM) 크라운에 점점 더 많이 사용되는 비귀금속 합금에 결합한다.[27]

폴리카복실산 아연은 스테인리스강과 잘 결합하며, 이는 교정 밴드 부착에 유용하게 사용된다.[27] 반응하지 않은 산화아연 코어의 높은 농도로 인해 폴리카복실산 아연은 불투명하게 굳는다. 도자기 크라운에 사용되는 경우, 시멘트 접착제가 보이게 되면 수복물의 심미적 특성을 저하시킨다.[27]

3. 3.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 (GI)

글래스 아이오노머(GI) 시멘트는 1978년에 처음 등장한 치과용 시멘트의 한 종류이다. 플루오로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와 폴리아크릴산, 이타콘산 및 물을 포함하는 액체로 구성된다.[9] 또는 산을 동결 건조하여 증류수와 함께 분말에 첨가할 수 있다.

이 시멘트는 장착되면 불소 이온[11]을 방출하여 충치 예방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치아 구조에 물리화학적으로 결합하며 낮은 열팽창 계수를 가지고 있어, 좋은 밀봉과 유지력을 만드는 데 중요하다.[11] 그러나 상당한 수술 후 치아 과민증과 관련이 있다.[13] 초기에는 산성이 매우 강하여 치수 염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14] 경화 반응이 매우 느려 경화하는 데 최대 7일이 걸릴 수 있다.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는 적절한 유지 및 저항 형태를 갖춘 금속 및 금속-세라믹 수복물에 사용할 수 있다.[9] 아말감 응축에 견딜 수 있는 능력 때문에 아말감 수복물에도 적합하며, 수산화칼슘 시멘트에 비해 더 견고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어 라이닝 재료로 널리 사용된다.[27]

글래스 아이오노머는 치아색 크라운을 접착할 때 인산아연 및 폴리카르복실산 아연보다 심미적인 장점을 가지고 있다.[27] 이는 산화아연이 아닌 반응하지 않은 유리 코어가 있기 때문이며, 따라서 더 투명하다.[27]

3. 4. 레진 시멘트

레진 시멘트는 중합이 가능한 접착제의 일종으로, 치과에서 사용된다. 구성 성분은 다음과 같다.

  • 메타크릴산 및 디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예: 비스페놀 A-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Bis-GMA),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UDMA),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TEGMA))
  • 충전재 입자 (예: 석영, 융합된 실리카,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및 붕규산염)
  • 화학적 또는 광 활성화될 수 있는 개시제[15]


레진 시멘트는 다양한 색상으로 제조되어 심미적인 요구를 충족시키며,[1] 64~97MPa 범위의 높은 굴곡 강도를 가진다.[11] 또한 덴틴에 대한 높은 결합 강도를 보이지만, 메타크릴레이트 성분은 경화 시 중합 수축을 겪는다.[25] 레진 시멘트는 결합 과정이 여러 단계이고 청소가 어렵기 때문에 기존 시멘트에 비해 기술적으로 민감하다.[1]

레진 시멘트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사용된다.

  • 비금속 수복물, 레진 접착 브릿지, 세라믹 크라운 및 포세린 비니어, 세라믹 및 레진 복합 인레이 및 온레이[24]
  • 유지 및 저항 형태가 손상된 금속 또는 금속-세라믹 수복물[31]
  • 근관 치료를 받은 치아에 포스트를 시멘트하는 경우[31]


자가 접착 시멘트는 치아 구조에 접착하기 위한 중간 단계가 필요 없어[24] 사용이 간편하고 효율적이며, 이중 중합형으로 상아질에 접착될 때 가장 효과적이다.[24] 모든 세라믹 크라운, 자기 치아 내/온레이 시멘트 고정에 적합하며,[24] 세라믹 인레이에 사용 시 허용 가능한 임상 결과를 보였다.[32][33] 또한 금속 세라믹 크라운의 시멘트로 사용될 때 높은 생존율을 보여 실행 가능한 대안으로 평가받는다.[34][25]

3. 4. 1. 자가 중합 레진 시멘트

자가 중합 레진 시멘트는 구성 요소를 혼합한 후 자동으로 중합되며, 방사선 불투과성이 낮다.

3. 4. 2. 광중합 레진 시멘트

광중합 레진 시멘트는 광개시제를 포함하고 있어 광중합이 필요하며, 두꺼운 보철물에는 부적합하다. 영구적인 수복물 합착에 레진 기반 합착제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 산화 아연 비유지놀 시멘트 사용을 나타내는 증거가 있다. 비유지놀 재료는 산화 아연 입자와 반응하기 위해 긴 사슬 지방족 산 또는 아릴 치환 부티르산을 사용한다.[1] 유지놀은 라디칼 소거제(다른 페놀 화합물과 유사)이므로 레진 중합을 억제하여 레진 폴리머와 호환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2][23]

레진 시멘트로 최종 합착하기 전, 경화된 복합 레진 코어에 유지놀 함유 시멘트를 적용하면 크라운 유지력이 유의하게 감소한다.[24] 또한 경화된 레진 복합 코어에서 임시 시멘트를 불완전하게 제거하면 최종 수복물의 합착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24]

3. 4. 3. 이중 중합 레진 시멘트

이중 중합 레진 시멘트는 화학 촉매와 광활성 페이스트를 함께 사용하는 방식으로, 두꺼운 보철물에 사용하기 적합하다. 그러나 변색의 가능성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1]

3. 5. 레진 변성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 (RMGIC)

레진 변성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RMGIC)는 금속 및 금속-세라믹 수복물, 금속 및 복합 섬유 포스트에 사용했을 때 좋은 결과를 보였다.[29][24] 그러나 유지력과 저항 형태가 좋지 않은 치아에는 적절한 유지력을 제공하지 못한다.[1]

흡습성 팽창 가능성 때문에, 에칭에 민감한 모든 세라믹 수복물 및 포스트에는 사용이 권장되지 않는다.[30]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와 유사하게, RMGIC는 유지력이 있는 형태로 요독증 치아에 금속 코핑을 시멘트화할 때 높은 유지력을 제공한다.[28]

4. 임시 합착제

정향유의 주요 성분인 유제놀(4-알릴-2-메톡시 페놀)은 산화 아연과 혼합될 때 킬레이션 반응을 일으킨다. 산화 아연 유제놀과 모든 유제놀이 반응하여 경화가 완료되면 확산될 수 있는 유제놀은 남지 않는다. 상아세관 액이 유제놀 방출을 촉진하고 치수로 침투하면서 치유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여겨진다.[21]

산화 아연 유제놀은 임시 접착제로 사용될 때 두 가지 페이스트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가 많다. 산화 아연이 함유된 페이스트에는 광물성 또는 식물성 오일이 포함되는 경우가 많으며, 유제놀이 함유된 페이스트에는 충전재가 첨가된다.[1]

산화 아연 유제놀은 액체 (유제놀)와 혼합해야 하는 분말 (산화 아연) 형태로도 제공될 수 있다. 산화 아연 분말에는 가속제로 최대 8%의 다른 아연 염(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또는 숙시네이트)이 포함될 수 있다. 유제놀을 함유한 액체에는 가속제로 최대 2%의 아세트산이 첨가될 수 있다.[1]

4. 1. 산화 아연-유제놀 시멘트

산화 아연 유제놀은 밀봉 능력이 우수하여 임시 수복물 접착에 사용되지만, 물리적 특성이 떨어진다.[1] 유제놀은 특정 레진 기반 복합체의 중합을 억제하여 수복물을 오염시킬 수 있고, 간접 접착 수복물에 사용하기 전에는 총 에칭 및 자가 에칭 접착 시스템 모두의 상아질 접착 강도를 감소시키므로 주의해서 사용해야 한다.[35][36]

4. 2. 산화 아연-비유제놀 시멘트

유제놀 대신 긴 사슬 지방족 산 또는 아릴 치환 부티르산을 사용한다.[1] 유제놀은 페놀 화합물과 같이 라디칼 소거제이므로 레진 중합을 억제하여 레진 폴리머와 호환되지 않는다.[22][23] 따라서 영구적인 수복물 합착에 레진 기반 합착제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 산화 아연 비유제놀 시멘트 사용을 권장한다.

레진 시멘트로 최종 합착 전, 경화된 복합 레진 코어에 유제놀 함유 시멘트를 적용하면 크라운 유지력이 유의하게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24] 또한 경화된 레진 복합 코어에서 임시 시멘트를 불완전하게 제거하면 최종 수복물의 합착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24]

4. 3. 레진 임시 시멘트

레진 시멘트를 사용하여 최종 합착을 진행하기 전에, 이미 굳어진 복합 레진 코어에 유지놀이 함유된 시멘트를 사용하면 크라운의 유지력이 크게 감소할 수 있다.[24] 또한, 굳어진 레진 복합 코어에서 임시 시멘트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으면 최종 수복물의 합착 품질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24]

5. 임상 적용

레진 기반 합착제를 사용하여 영구적인 수복물을 합착할 때에는 산화 아연 비유지놀 시멘트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1] 유지놀은 페놀 화합물과 같이 라디칼 소거제이므로 레진 중합을 억제하여 레진 폴리머와 호환되지 않는다.[22][23]

레진 시멘트로 최종 합착하기 전에 경화된 복합 레진 코어에 유지놀 함유 시멘트를 사용하면 크라운 유지력이 크게 감소한다.[24] 또한 경화된 레진 복합 코어에서 임시 시멘트를 불완전하게 제거하면 최종 수복물의 합착 품질에 영향을 줄 수 있다.[24] 시멘트는 영구적(확정적)이거나 임시적일 수 있다.

6. 요약

산화 아연 유제놀은 밀봉 능력이 우수하여 임시 수복물 접착에 사용되지만, 물리적 특성은 떨어진다.[1] 유제놀 함유 시멘트는 유제놀이 최종 충전 재료로 사용되는 특정 레진 기반 복합체의 중합을 억제하여 수복물을 오염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서 사용해야 한다.[35] 또한 간접 접착 수복물 전에 사용하면 총 에칭 및 자가 에칭 접착 시스템 모두의 상아질 접착 강도를 감소시킨다.[36]

다른 보고서에 따르면, 유제놀이 없는 임시 시멘트와 유제놀 함유 임시 시멘트를 먼저 적용한 경우 자가 접착 레진 시멘트의 상아질 접착 강도에는 차이가 없다.[37] 그러나 이후 간행물에서는 유제놀 함유 임시 시멘트를 사용할 경우 접착제의 상아질 접착 강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임시 시멘트 사용 시 시멘트에 유제놀 포함 여부에 관계없이 최종 접착제의 접착을 방해하는 상아질 오염은 불가피하다.[7]

수복물에 사용할 접착제 선택은 사용 가능한 재료에 대한 기본 지식, 시술될 수복물 종류, 환자 요구 사항, 시술자 전문 지식 및 경험을 바탕으로 해야 한다.

참조

[1] 논문 Practical clinical considerations of luting cements: A review 2014-02
[2] 논문 Clinical and technical considerations of luting agents for fixed prosthodontics 2012
[3] 서적 Non-Metallic Biomaterials for Tooth Repair and Replacement
[4] 논문 Longevity of posterior composite restorations: not only a matter of materials 2012-01
[5] 논문 Contemporary evaluation of dental cements 1999-03
[6] 서적 Acid-base cements, their biomedical and industrial applic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논문 A review of luting agents 2012
[8] 논문 The effect of variability in the powder/liquid ratio on the strength of zinc phosphate cement 2011
[9] 논문 A practical guide to the use of luting cement https://www.dentalac[...] 2008-06
[10] 논문 Self-adhesive resin cement versus zinc phosphate luting material: a prospective clinical trial begun 2003 2009-05
[11] 논문 Mechan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contemporary dental luting agents 2003-02
[12] 논문 An evaluation of a carboxylate adhesive cement
[13] 웹사이트 UTCAT2686, Found CAT view, CRITICALLY APPRAISED TOPICs https://cats.uthscsa[...] 2018-01-18
[14] 논문 Acidity of glass ionomer cements during setting and its relation to pulp sensitivity
[15] 서적 Applied Dental Materials Blackwell Publishing 2008
[16] 간행물 Reducing the confusion about resin cements
[17] 논문 Influence of resin cement polymerization shrinkage on stresses in porcelain crowns 2013-10
[18] 서적 A practical clinical guide to resin cements 2014-10-13
[19] 서적 Craig's restorative dental materials Elsevier/Mosby
[20] 논문 Effect of eugenol and non-eugenol containing temporary cement on permanent cement retention and microhardness of cured composite resin 2003-12
[21] 논문 Effect of eugenol-containing temporary cements on bond strength of composite to dentin 1998-03
[22] 논문 Essential oil phenyl propanoids. Useful as .OH scavengers? 1992
[23] 논문 The influence of various cavity bases on the micro-hardness of composites 1982-10
[24] 논문 Effects of temporary cementation on permanent cement retention to composite resin cores 1992-06
[25] 논문 Metal-ceramic crowns cemented with two luting agents: short-term results of a prospective clinical study 2012-06
[26] 논문 Comparison of two luting agents used for the retention of cast dowel and cores 2005-09
[27] 서적 Applied dental materials. Blackwell Pub 2008
[28] 논문 Retentiveness of metal coping luted to teeth of uremic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using five different luting cements 2014-05
[29] 논문 In vitro study of fracture incidence and compressive fracture load of all-ceramic crowns cemented with resin-modified glass ionomer and other luting agents 1998-12
[30] 서적 An atlas of glass-ionomer cements : a clinician's guide Martin Dunitz 2003
[31] 논문 Cements for use in esthetic dentistry 2007-04
[32] 논문 Critical appraisal. Self-adhesive resin cements--part II 2012-08
[33] 논문 Two-year clinical evaluation of a self-adhesive luting agent for ceramic inlays 2010-04
[34] 논문 Longevity of metal-ceramic crowns cemented with self-adhesive resin cement: a prospective clinical study 2017-04
[35] 논문 [The modification of the polymerization of composite materials by eugenol-containing temporary fillings] 1992
[36] 논문 The influence of temporary cements on dental adhesive systems for luting cementation 2011-03
[37] 논문 Bonding effectiveness of a self-adhesive resin-based luting cement to dentin after provisional cement contamination 2011-12
[38] 논문 A clinically focused discussion of luting materials 2011-06
[39] 논문 Conventional and contemporary luting cements: an overview 2010-06
[40] 서적 임상치과재료학 군자출판사 2011
[41] 서적 치과재료학 대한나래출판사 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