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해방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방촌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용산구 중심부에 위치한 작은 마을이다. 일제강점기에는 일본군 사격장으로 사용되었고, 해방 후 미군정청의 통제력이 미치지 못하면서 실향민들이 정착하여 판자촌을 이루었다. 현재는 이태원, 경리단길과 인접한 다문화 지역으로, 다양한 국적의 사람들이 거주하며 음식점, 예술 공간 등이 자리 잡고 있다. 108계단, 신흥시장, 해방촌 음악 페스티벌 등이 있으며, 용산구청과 주민들이 함께 진행한 아트 빌리지 프로젝트를 통해 낡은 골목길이 벽화와 예술 작품으로 꾸며지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용산구의 지리 - 남산 (서울)
    남산은 서울특별시 중구에 위치한 높이 262m의 산으로, 조선시대에는 나라의 평안을 기원하는 제사를 지내던 곳이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식민지 지배의 상징적 공간이었으나, 광복 후 남산공원으로 조성되어 현재는 서울 시민들의 휴식처이자 관광 명소로 자리매김했다.
  • 서울 용산구의 지리 - 노들섬
    노들섬은 한강대교 부근에 위치하며, 과거에는 중지도 등으로 불리다가 현재의 이름으로 개칭되었고, 백로가 놀던 돌이라는 뜻을 지니며, 1917년 한강인도교 건설로 섬의 형태를 갖추고 2019년 복합문화공간으로 재탄생하여 다양한 문화 행사와 시설이 운영되고 있다.
  • 난민 - 세계 난민의 날
    세계 난민의 날은 전쟁, 분쟁, 박해로 고향을 떠난 난민과 국내 실향민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매년 6월 20일에 기념하며, 1951년 난민의 지위에 관한 협약 50주년을 기념하는 의미를 담고, 유엔난민기구(UNHCR)는 매년 캠페인을 통해 난민의 권리와 보호를 강조한다.
  • 난민 - 난민의 지위에 관한 협약
    난민의 지위에 관한 협약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난민 문제 해결을 위해 1951년 유엔에서 채택된 국제 조약으로, 난민의 정의, 체약국의 의무, 난민에 대한 대우 등을 규정하며, 1967년 의정서와 지역 협약 등을 통해 보완되었고 대한민국도 가입했으나 낮은 난민 인정률과 사회적 편견 등의 과제가 남아있다.
  • 서울미래유산 - 한강대교
    한강대교는 1917년에 완공된 한강인도교를 전신으로 하며,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전쟁으로 파괴되었으나 1958년에 재건되었고, 1984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2020년에는 서울특별시 등록문화재 제1호로 지정되었다.
  • 서울미래유산 - 남산1호터널
    남산1호터널은 서울특별시 중구와 용산구를 잇는 터널로, 1970년 개통되어 유사시 시민 대피를 위한 목적으로 건설되었으며, 민간 자본으로 건설 후 서울특별시에서 인수, 확장되었고 현재는 혼잡 통행료를 징수하며 특정 조건에 따라 요금 감면 혜택을 제공한다.
해방촌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해방촌
한글 표기해방촌
한자 표기解放村
개정 로마자 표기Haebangchon
위치남산자락
유형지역
국가대한민국
수도서울특별시
지역용산구
지리
좌표북위 37.5737도, 동경 126.9627도
기타

2. 역사

해방촌은 원래 일본군 제20사단이 사용하던 사격장이 있던 곳이었다. 1945년 광복 후 미군정이 이 지역을 인수했으나, 통제는 제한적이었다. 북쪽에서 내려온 월남 실향민과 귀환 동포들이 이 지역에 정착했다. 이곳은 판자촌의 기원이 되었으며, 해방 후 고향을 잃은 사람들이 몰려든 곳이 되었다.[9]

2. 1. 형성 과정

해방촌 지역은 일제강점기 당시 일본군 제20사단의 사격장이 있던 곳이었다. 1945년 광복 후 미군정이 이 지역을 인수했으나, 통제는 제한적이었다. 북쪽에서 내려온 월남 실향민과 귀환 동포들이 이 지역에 정착하였다.[9] 이들은 한때 육군형무소로 사용되다가 지금은 미국 관사로 사용하고 있는 일본군 육군 관사 건물을 차지했다가, 미군정청에 의해 퇴거당한 후 그 위쪽의 사격장에 움막을 짓고 살기 시작하였다.[9] 이곳은 판자촌이 시작된 곳이며, 해방 후 고향을 잃은 사람들이 몰려든 곳이 되었다.

2. 2. 108계단

108 하늘계단은 108개의 계단으로 이루어진 가파른 언덕이다. 일제강점기에 신사로 가는 길을 쉽게 만들기 위해 건설되었다.[4] 1945년 광복 후, 신사는 철거되었지만 계단은 남아 있었다. 이 계단은 TV 드라마 발리에서 생긴 일의 촬영지로 사용되었다.[4]

3. 지리

해방촌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용산구 중심부에 위치한 작은 마을이다. 서울 지하철 6호선 녹사평역이 가까워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하다. 용산2가 우편번호 지역의 대부분과 용산1가의 일부를 포함한다.[2] 남산이 내려다보이고, N서울타워 남쪽에 위치해 있다.

4. 문화

해방촌은 이태원, 경리단길과 가까운 서울의 다문화 지역이다. 2013년 통계에 따르면 용산2동 주민 12,648명 중 1,065명이 외국인이다.[2] 신흥로 일대에는 여러 나라의 음식점, 스튜디오, 예술 공간들이 늘어서 있다. 최근에는 주택가와 가까운 좁은 도로에도 새로운 상점들이 생겨나고 있다. 해방촌은 주거 공간과 상업 공간이 융합되어 있으며, 오랫동안 건물 1층은 주차장이나 상업 공간으로 사용되어 왔다. 2018년에는 미네르바 스쿨즈가 해방촌에 캠퍼스를 열어 9월부터 12월까지 약 200명의 유학생들이 이 지역에 거주하게 되었다.

4. 1. 아트 빌리지

최근 용산구청과 주민들이 아트 빌리지 프로젝트를 완료했다. 그 결과, 낡은 골목길들이 벽화와 예술 작품으로 꾸며졌다.

4. 2. 신흥시장

옛 모습 그대로다. 신흥시장이 있다. 약 25년 전에는 시장이 북적였지만, 요즘에는 세네 곳만 남았다.[4]

4. 3. 해방촌 음악 페스티벌

2006년부터 용산 지역에서 개최되는 대한민국 서울의 대표적인 독립 음악 페스티벌이다. 랜스 리건-다이얼(Lance Reegan-Diehl)과 DEELEEBOB 뮤직, 제임스 게이너(James Gaynor)가 설립하였다.[5][6][7] 한국과 전 세계 각지의 음악 팬들이 프로 및 아마추어 아티스트들의 라이브 공연과 오픈 마이크 세션을 위해 모인다. HBC 페스티벌은 5월 음악 페스티벌과 가을 음악 페스티벌로 연 2회 개최된다.[5]

참조

[1] 간행물 해방촌의 새 얼굴 (New Face of Haebangchon) http://navercast.nav[...] Naver 2015-10-18
[2] 뉴스 해방촌, 또 하나의 코즈모폴리스 http://h21.hani.co.k[...] Hankyoreh21 2015-10-25
[3] 뉴스 과거, 현재 공존...해방촌 변화의 바람 http://www.ktv.go.kr[...] KTV 국민방송 2015-10-18
[4] 웹사이트 서울의 과거이자 미래, 해방촌 http://www.seoulstor[...] 2015-10-30
[5] 웹사이트 서울 Korea Times https://www.koreatim[...] 2016-01-03
[6] 웹사이트 서울 HBC Festival Site http://www.hbcfest.c[...] 2016-01-03
[7] 웹사이트 서울 Korea Guitar1 - Lance Reegan-Diehl Talks HBC Fest https://letsrock1.ca[...] 2023-06-29
[8] 간행물 서울 용산의 해방촌 http://www.cerik.re.[...] The Construction Business Journal 2004-11
[9] 서적 서울을 거닐며 사라져가는 역사를 만나다 알마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