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태원은 서울 용산구에 위치한 지역으로, 고려 시대부터 교통의 요지였으며, 조선 시대에는 한양과 영남 지역을 연결하는 중요한 지점으로 발전했다. 1880년대부터 외국인들이 유입되면서 대사관과 여관이 생겨났고, 한국 전쟁 이후 상업 지구로 변화했다. 현재는 다양한 국적의 외국인들이 거주하며, 세계 각국의 음식과 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서울의 대표적인 관광 명소 중 하나이다. 특히 1976년에 건립된 서울 중앙 성원이 있어 무슬림 공동체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미군 관련 문제, 젠트리피케이션, 코로나19 팬데믹, 2022년 압사 사고 등 사회적인 문제도 겪었다. 이태원은 서울 지하철 6호선 이태원역, 녹사평역, 한강진역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환락가 - 대학로 (서울)
대학로는 종로구 종로5가에서 혜화동 로터리에 이르는 길과 그 주변 지역을 일컫는 지명으로, 과거 성균관과 서울대학교가 위치했던 대학가에서 마로니에 공원 주변 소극장들을 중심으로 공연 문화가 발달한 "한국판 브로드웨이"로 변모하였다. - 대한민국의 환락가 - 홍대 (지역)
홍대(지역)는 홍익대학교를 중심으로 상수동, 서교동 일대에서 시작하여 상권 확장에 따라 동교동, 합정동 등으로 넓어졌으며, 인디 음악, 예술, 다양한 문화 행사, 드라마 촬영 등으로 유명하다. - 서울 용산구의 지리 - 남산 (서울)
남산은 서울특별시 중구에 위치한 높이 262m의 산으로, 조선시대에는 나라의 평안을 기원하는 제사를 지내던 곳이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식민지 지배의 상징적 공간이었으나, 광복 후 남산공원으로 조성되어 현재는 서울 시민들의 휴식처이자 관광 명소로 자리매김했다. - 서울 용산구의 지리 - 노들섬
노들섬은 한강대교 부근에 위치하며, 과거에는 중지도 등으로 불리다가 현재의 이름으로 개칭되었고, 백로가 놀던 돌이라는 뜻을 지니며, 1917년 한강인도교 건설로 섬의 형태를 갖추고 2019년 복합문화공간으로 재탄생하여 다양한 문화 행사와 시설이 운영되고 있다. - 이태원 - 서울중앙성원
서울중앙성원은 대한민국 서울 용산구 이태원에 위치한 한국 최초의 이슬람 사원으로, 한국 전쟁에 참전한 터키 군인들을 통해 한국 무슬림 공동체가 형성된 후 1976년에 완공되었으며, 한국 이슬람교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 이태원 - 이태원역
이태원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역으로, 이태원동에 위치하며, 2001년 3월 9일에 개통되었으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태원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태원 |
한글 표기 | 이태원 |
개정 로마자 표기 | Itaewon |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 It'aewŏn |
위치 정보 | |
국가 | 대한민국 |
특별시 | 서울특별시 |
자치구 | 용산구 |
행정동 | 이태원동 |
지리 정보 | |
사진 | |
![]() | |
기타 정보 |
2. 역사
이태원은 고려 시대(918-1392)부터 여행객들이 말을 구할 수 있는 교통의 요지였다. 조선 시대(1392-1910)에는 수도가 한양(현 서울)으로 옮겨지면서 더욱 중요한 지역이 되었고, 1880년대부터 외국인들이 한국에 들어오기 시작하면서 대사관과 여관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인천을 제외하고 이태원은 수도를 드나드는 외국인과 여행객들에게 가장 중요한 장소 중 하나였다.
"이태원"의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설이 있지만, 널리 알려진 바로는 "이곳이 침략군의 주둔지 또는 전쟁 중 혼혈아들이 모여 살았던 곳이기 때문에 이태원이라고 이름 붙여졌다"는 설이 있다.[33] 그러나 『조선왕조실록』의 『세종실록』에는 이미 이태원, 리태원의 표기가 확인된다.
일제강점기에는 일본군 용산기지가 근처에 있었고, 1945년 광복 이후에는 미군 기지가 되면서, 이태원은 미군을 상대로 한 기념품 매매와 음식점, 그리고 매춘업소와 혼혈아의 거리로 번영했다. 현재 한국에는 3만 명의 주한미군이 북한과의 비무장지대 때문에 주둔하고 있으며, 이태원은 미국인들에게 외지이기 때문에 종종 "아메리칸 게토"라고 불린다.
2. 1. 조선시대
이태원이라는 지명은 조선시대의 역원제에서 유래한다. 역(驛)은 파발이나 관리에게 말을 대여해주는 시설이고, 원(院)은 관리와 여행자에게 숙식을 제공하는 시설인데, 과거 이곳에 있었던 원의 이름이 이태원이었다.[35] 이태원의 존재는 고려 공민왕이 고려를 침공한 원나라 홍건적을 피해 피란하는 기록에서 처음 등장한다. 당시 공민왕은 개경에서 안동으로 몽진할 때 사평도로 한강을 건너면서 이태원을 지났다.[36] 조선 효종 때 이곳에 배나무가 많아 이태원(梨泰院)이라고 불렸다는 기록이 있다.《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당시 이태원의 위치를 목멱산(남산) 남쪽으로 기록하고 있고, 《연려실기술》[37]과 《용재총화》[38]에서는 이태원에 고산사(高山寺)라는 절이 있어 그 동쪽에 샘물이 솟아나고 큰 소나무가 골짜기에 가득 심어져 있다고 기록한다. 이러한 정보와 《경조오부도》상의 위치를 근거로 당시 이태원의 위치는 이태원동이 아닌 용산고등학교 부지로 비정된다.[39][40] 이유원의 《임하필기》에도 이태원을 목멱산(남산) 남쪽으로 기록하고 있으나 이태원은 천일정 가는 길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천일정은 지금 용산구 한남대로 12에 유허비가 있다. 또한 이름을 이태원(異胎院)이라 하며, "임진왜란 이후 왜인(倭人)들을 살게 해 준 곳이다. 그 풍속이 지금도 사납고 독하니 왜인의 종자가 남아 있어서일 듯"하다고 기록해 두었다.
이태원은 고려 시대에도 교통의 중심지였지만, 조선시대에는 새로운 수도인 한양과 영남지역을 이어주는 영남로(嶺南路)의 출발지로써 그 기능이 더욱 부각된다. 한양에서 영남 지방으로 가기 위한 사신들이 첫 번째로 묵는 숙소가 되었으며, 이후 서빙고/한강나루, 사평진, 양재, 판교, 용인의 용인로를 거쳐 영남로가 이어진다.
이태원이 교통의 요지로 사용된 데에는 여러 이유가 있다. 첫째로 교통 복지의 편리함이다. 숭례문을 지나 이태원을 거쳐 서빙고로 가는 길에는 별다른 하천이 없고, 둔지산이 113m로 야트막하기 때문에 길이 험하지 않고, 도둑을 당할 일도 별로 없다는 것이다.[41] 둘째는 지리적 이점이다. 서빙고나루는 사평리와 동작진 사이에 위치하여 사평리를 통해 기존의 영남로인 용인으로 이동하거나, 아니면 동작진을 통해 과천이나 수원으로도 이동하기 편리하다는 것이다.[42][43] 연산군이 의정부에서 왕십리까지의 지역을 모두 금표(禁標)에 넣었을 때에도 이태원만은 특별히 제외하였을 정도로, 교통요지로서의 이태원은 막중한 것이었다.[44][39]
많은 교통량에 따라 자연스럽게 상권이 형성되었다. 특히 일본국, 유구국 등에서 오는 외국 사신들이 이태원을 거쳤기 때문에 색주가와 시장도 같이 형성되었다.[45] 또한 당시 조선 관청에서 직접 관리했던 역(驛)과는 달리 원(院)은 국가가 관리비만 지불하고 나머지는 모두 민간이 운영하였기 때문에,[46] 이들을 중심으로 이태원 주변에 마을이 형성된 것으로 여겨진다.[39] 이 위치는 현 이태원주공아파트 위치로 비정된다.[35]
교통이 편리하고 마을이 형성되자 남쪽에서 올라온 빈민들이 많이 정착하니, 세종 때에 이들을 구휼하기 위한 진제장(賑濟場)을 설치하기도 한다.[47][48] 이후 임오군란때에 여기서 사회 하층민들이 많이 동조하고,[49] 이를 진압하기 위한 부대가 파견되는 등 하급 군인과 빈민들이 조선 말기까지도 많이 거주했음을 알 수 있다.[50] 또한 여뀌 등의 작물을 재배하는 등 거란과 여진의 풍습이 이태원의 기록에서 특별히 발견되는 사실로부터 귀화한 외국인들을 고려 말기부터 여기에 정착시켰을 것이라는 추측도 존재한다.[51][52][53] 이후 임진왜란때 왜군에 의해 겁탈당한 여승의 자식들이 여기에 살았다 하여 이태원(異胎院)이라 불리기도 하고, 왜란 이후 귀화한 일본인들을 여기에 거주시키는 등 외국인의 후손들이 여기에 많이 거주하였다.[39][54][55] 이러한 인식은 일제강점기에도 계속되었다.[56] 이외에 병자호란때 끌려갔다가 돌아온 환향녀(還鄕女)라 불리며 천시당한 부녀자들도 여기에 모여 정착하였다.[57]
2. 2. 일제강점기
포츠머스 조약, 가쓰라-태프트 밀약으로 인해 조선에 대한 배타적 지배권을 획득한 일본은 1906년부터 용산에 군사기지를 건설하기 시작한다.[9] 이로 인해 이태원은 일제강점기에도 외국인의 후손들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이라는 인식이 계속되었다.[56] 1937년까지 이태원에는 서울에서 가장 큰 묘지가 있었다.[9]2. 3. 해방 이후
미8군이 용산기지에 주둔하면서 이태원은 미군 기지촌으로 변화했다. 1957년부터 미군 병사들에게 휴가가 주어지면서 이태원에 매춘업소가 생겨났고, 1980년대까지 미성년자와 여성들이 납치되어 매춘에 강제로 동원되기도 했다.[10] 이러한 상황은 미군 병사들이 저지르는 범죄에 대한 법적 책임을 묻기 어렵게 만들었다. 주한미군 주둔군 지위 협정(SOFA)은 미군이 저지른 범죄는 미군 법원의 관할 하에 있다고 명시했기 때문이다. 1967년부터 1987년까지 미군이 저지른 범죄는 3만 9,542건에 달했지만, 대부분 처벌받지 않았다.[10]한국 전쟁 이후 이태원은 상업 지구로 발전했다. 2013년에는 미군 1만 7천 명이 남서울로 기지를 이전하면서 젠트리피케이션이 진행되었다.[10] 이태원은 LGBT 운동의 중심지가 되었고, 한국인뿐 아니라 외국인에게도 개방적인 곳으로 여겨지게 되었다.[10][11]
3. 지리
이태원은 주소상으로 이태원1동과 이태원2동을 포함하지만, 일반적으로는 해밀턴호텔 주변 지역을 가리킨다. 1997년 관광특구로 지정되었으며,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이태원역, 녹사평역, 한강진역이 이 지역을 지난다. 한국 최초의 모스크인 서울중앙성원도 이태원에 위치한다.
"이태원"이라는 이름의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표기 또한 이태원, 리태원 등 조금씩 다르게 나타나지만, 널리 알려진 속설로는 "이곳이 침략군의 주둔지였거나 전쟁 중 혼혈아들이 모여 살았던 곳이기 때문에 이태원이라고 이름 붙여졌다"는 설이 있다.[33] 그러나 『조선왕조실록』의 『세종실록』에는 이미 이태원, 리태원이라는 표기가 확인된다.
3. 1. 행정구역
구분 | 면적 | 인구 | 세대수 |
---|---|---|---|
이태원1동 | 0.61km2 | 8,493명 | 4,332세대 |
이태원2동 | 0.82km2 | 11,265명 | 5,203세대 |
3. 2. 주변 지역

서울의 국제적인 지역인 이태원은 한국에서 흔히 접하기 어려운 다양한 외국 요리를 맛볼 수 있는 곳으로 유명하다. 영국, 독일, 프랑스, 인도, 이탈리아, 동남아시아, 포르투갈, 스페인, 터키, 멕시코, 미국, 캐나다 등 다양한 국가의 요리를 즐길 수 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이태원은 "국제 지역" 또는 서구 국가의 차이나타운과 비슷한 "서구 도시"로 불리기도 한다.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재즈 클럽인 올댓재즈[13][14]와 가장 오래된 영어 중고 서점인 이태원 북스[15]도 이태원에 있다.
이태원은 홍대, 인사동, 서울타워와 함께 서울의 대표적인 관광 명소 중 하나이다.[16] 이태원에는 게이빌리지인 호모힐이 있다.[17] 한국에서 동성애가 금기시되는 경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곳에서는 사람들이 비교적 자유롭게 자신을 표현할 수 있다.[18] 또한, 이태원은 무슬림 공동체가 활성화된 지역으로, 1976년에 건립된 서울 중앙 성원이 있다.

이태원은 오랫동안 위조 상품으로 유명했지만, 현재는 대부분 사라졌다.[19] 대신 한국에서 국제 시장을 겨냥해 생산된 정품이나 수입품을 구할 수 있다. 이태원은 맞춤 셔츠와 정장을 제작하는 곳으로도 유명하다.
이태원에는 다국적 기업이 밀집한 경리단길이 있다. 경리단길은 이태원초등학교 학군의 중심부에 있으며, 길가에는 다양한 외국 식당들이 자리 잡고 있다.[20]
4. 문화
이태원은 다양한 국적과 인종의 외국인들이 모이는 곳으로, 세계 각국의 음식을 맛볼 수 있는 등 이국적인 분위기로 유명하다. 해밀턴호텔 주변 지역은 미국 군인과 외국인 관광객이 많이 찾는 곳으로, 1997년 관광특구로 지정되었다.[58] 서울중앙성원이 이태원에 있다. '이태원'이라는 지명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지만, 조선왕조실록의 세종실록』에도 이미 이태원, 리태원이라는 표기가 확인된다.[33]
박진영(J.Y. Park)과 유세윤의 힙합 듀오 UV가 2011년 4월에 '이태원 프리덤'이라는 곡을 발표했고, 2013년 걸그룹 크레용팝이 커버했다. 두 뮤직비디오 모두 이태원에서 촬영되었다. 2020년 방영된 드라마 《이태원 클라쓰》는 이태원을 배경으로 한다.
4. 1. 다양성
이태원 거리는 세계의 축약이다. 국적과 인종이 다른 다양한 외국인들이 모인다. 세계 각국의 음식들을 맛볼 수 있고, 이국적인 분위기의 이슬람 사원도 볼 수 있다. 내국인들도 많이 찾는다.[58] 1997년 관광특구로 지정된 이태원에는 한국 최초의 모스크인 서울중앙성원이 있다.4. 2. 음식
이태원 거리는 세계 여러 나라의 다양한 사람들이 모이는 곳으로, 세계 각국의 음식들을 맛볼 수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58] 특히 한국에서는 흔히 맛보기 어려운 영국, 독일, 프랑스, 인도, 이탈리아, 동남아시아, 포르투갈, 스페인, 터키, 멕시코, 미국, 캐나다 등 다양한 나라의 음식점이 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이태원은 "국제 지역" 또는 서구 국가의 차이나타운과 비슷한 "서구 도시"로 알려져 있다.이태원에는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재즈 클럽인 올댓재즈[13][14]와 가장 오래된 영어 중고 서점인 이태원 북스가 있다.[15]
이태원의 경리단길에는 여러 나라의 음식점들이 많이 있다.[20] 경리단길은 이태원초등학교 학군의 중심부에 위치해 있다.
4. 3. 엔터테인먼트
서울의 국제적인 지역으로 알려진 이태원은 한국에서 흔히 접할 수 없는 요리를 제공하는 곳으로 유명하다. 영국, 독일, 프랑스, 인도, 이탈리아, 동남아시아, 포르투갈, 스페인, 터키, 멕시코, 미국 및 캐나다 요리 등이 이에 속한다. 본질적으로 이태원은 "국제 지역" 또는 때로는 서구 국가의 많은 차이나타운을 연상시키는 "서구 도시"로 알려져 있다.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활동 중인 재즈 클럽인 올댓재즈가 이태원에 위치해 있다.[13][14] 가장 오래된 영어 중고 서점인 이태원 북스도 이곳에 있다.[15]이태원은 홍대, 인사동, 서울타워와 같은 지역 및 관광 명소와 함께 서울에서 가장 인기 있는 관광지 중 하나이다.[16] 이태원에는 호모힐로 알려진 지역이 있으며 서울의 게이빌리지이다.[17] 한국에서 동성애에 대한 금기시되는 성격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이 지역에서 자신을 공개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18]
2020년 방영된 드라마 《이태원 클라쓰》는 이태원을 배경으로 한다.
5. 관광
이태원 거리는 다양한 국적과 인종의 사람들이 모이는 곳으로, 세계 각국의 음식들을 맛볼 수 있으며 이슬람 사원인 서울중앙성원도 볼 수 있어 내국인들도 많이 찾는다.[58]
5. 1. 관광 특구
서울의 국제적인 지역으로 알려진 이태원은 한국에서 흔히 접할 수 없는 요리를 제공하는 곳으로 유명하다. 영국, 독일, 프랑스, 인도, 이탈리아, 동남아시아, 포르투갈, 스페인, 터키, 멕시코, 미국 및 캐나다 요리 등이 이에 속한다. 이태원은 "국제 지역" 또는 서구 국가의 차이나타운을 연상시키는 "서구 도시"로 알려져 있다.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재즈 클럽인 올댓재즈[13][14]와 가장 오래된 영어 중고 서점인 이태원 북스도 이곳에 있다.[15]이태원은 홍대, 인사동, 서울타워와 같은 지역 및 관광 명소와 함께 서울에서 가장 인기 있는 관광지 중 하나이다.[16] 1997년 관광특구로 지정되었다.
이태원에는 호모힐로 알려진 지역이 있으며 서울의 게이빌리지이다.[17] 한국에서 동성애에 대한 금기시되는 성격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이 지역에서 자신을 공개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18]
이태원은 또한 강력한 무슬림 공동체를 가진 지역으로 1976년에 지어진 서울중앙성원이 있다.
이태원은 오랫동안 고품질 위조 상품의 중심지로 알려져 왔지만, 그러한 제품들은 대부분 사라졌다.[19] 한국에서 국제 시장을 위해 생산되는 일부 정품과 일부 정품 수입품도 구할 수 있다. 이태원은 맞춤형 셔츠와 정장을 생산하는 의류 제작자로 유명하다.
이태원에는 다국적 기업이 많은 경리단길이 있다. 이곳은 이태원초등학교 학군의 중심부에 위치해 있으며, 거리에는 많은 국제적인 레스토랑이 있다.[20]
박진영(JYP)과 유세윤의 힙합 듀오 UV는 2011년 4월 "이태원 프리덤"이라는 노래를 발표했다.[25] 이 노래 제목은 한국의 전통적인 문화와는 달리, 보다 개방적인 분위기로 여겨지는 이태원에 대한 일반적인 한국인의 인식을 암시한다.[26] 이 노래와 뮤직비디오의 인기는 2013년 걸그룹 크레용팝의 패러디 커버곡과 뮤직비디오를 만들어냈다. 두 뮤직비디오 모두 이태원에서 부분적으로 촬영되었다.[27]
2020년 넷플릭스 한국 드라마 ''이태원 클라쓰''는 이태원을 배경으로 한다.[28] 이 드라마는 다양하고 포용적인 출연진과 외국인, 전과자, LGBT에 대한 편견과 차별, 그리고 재벌 기업의 비행 등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점으로 찬사를 받았다.[29] ''타임''은 ''이태원 클라쓰''를 "넷플릭스에서 시청할 수 있는 최고의 한국 드라마 10선" 목록에 포함시켰고, ''포브스''는 이 드라마를 "2020년 최고의 한국 드라마 13선" 목록에 포함시켰다.[30] 이태원을 방문하는 관광객들은 드라마에 나온 유명한 음식인 순두부찌개와 매운 돼지고기 볶음 등을 맛볼 수 있는, 현재 서울밤으로 이름이 바뀐 원래의 단밤 술집을 방문할 수 있다.[31]
5. 2. 쇼핑
이태원은 한때 위조 상품 판매로 유명했지만, 현재는 이러한 위조 상품은 대부분 사라졌다.[19] 대신, 국제 시장을 겨냥한 정품이나 수입품을 구할 수 있다. 특히, 이태원은 맞춤형 셔츠와 정장을 제작하는 곳으로 잘 알려져 있다.
6. 사회 문제
이태원은 다양한 사회 문제를 안고 있다.
미8군 용산기지 주둔으로 인해 이태원은 많은 한국인들에게 위험한 곳으로 여겨졌다. 미군 병사들의 휴가와 함께 매춘업소가 생겨났고, SOFA 협정으로 인해 미군 범죄에 대한 법적 처벌이 어려웠다.[9]
한국 전쟁 이후 상업 지구로 발전하면서 젠트리피케이션이 진행되었고, 미군 기지 이전 후에는 LGBT 운동의 중심지가 되기도 했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에는 주요 감염원이 되면서 동성애자들이 낙인찍히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했다.[21]
2022년 10월 29일, 할로윈 축제에서 압사 사고가 발생하여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34]
6. 1. 미군 관련 문제
미8군 용산기지 주둔으로 인해 이태원 지역은 많은 한국인들에게 위험한 곳으로 여겨졌다. 1957년부터 미군 병사들에게 휴가가 주어지면서 이태원에 매춘업소가 생겨났고, 1980년대까지 미성년자와 여성들이 납치되어 매춘에 강제로 동원되기도 했다. 한국 정부는 미군 당국에 제공된 일부 장소를 병사들을 위한 공식적인 "위안 시설"로 지정하기도 했다.[9]미군과 한국 정부 간의 주둔군 지위 협정(SOFA)으로 인해, 미군 병사들이 저지르는 잦은 학대에 대해 법적 책임을 온전히 묻기 어려웠다. SOFA는 미군이 저지른 모든 범죄는 미군 법원의 관할 하에 있다고 명시했기 때문이다. 당시 국회 보고서에는 1967년부터 1987년까지 살인, 강간, 절도, 방화, 밀수 등 미군이 저지른 3만 9,542건의 범죄가 기록되어 있으며, 이들 대부분은 처벌받지 않았다.[9]
6. 2. 젠트리피케이션
한국 전쟁(1950-1953) 이후 20년 만에 이태원은 상업 지구가 되었다. 이 지역은 점차 젠트리피케이션이 진행되었고, 2013년에는 미군 1만 7천 명이 남서울로 기지를 이전했다. 이태원은 LGBT 운동의 중심지가 되기도 했고, 한국인뿐 아니라 외국인에게도 개방적인 곳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이태원에 현대적인 상업 건물들이 들어섰지만, 좁은 골목길이라는 특징은 여전히 남아있다.[10][11][12]6. 3. 코로나19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이태원은 130건이 넘는 확진 사례와 관련된 주요 감염원이 되었다. 2020년 5월 2일, 코로나바이러스 확진 판정을 받은 한 남성이 이태원 지역의 여러 업소를 방문했다는 보건 당국의 발표 이후, 한국 언론은 이 지역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이 사건으로 인해 동성애자들이 낙인찍히는 현상이 발생했다.[21]
6. 4. 2022년 압사 사고
2022년 10월 29일, 이태원 할로윈 축제에서 압사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158명이 사망하고 196명이 부상을 당했으며,[34] 사망자 중 26명은 외국인이었다.[22][23] 이 사고는 2년 만에 팬데믹 제한이 해제되면서 전국 각지와 외국에서 온 방문객들이 몰린 것이 원인으로 추정된다. 행사 전 호텔과 이벤트 예약이 많았던 것으로 보아 대규모 인파가 예상되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24]7. 교통
이태원 지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을 이용할 수 있다.[1]
7. 1. 지하철
서울 지하철 6호선 이태원역, 녹사평역, 한강진역을 통해 이태원 지역으로 갈 수 있다.참조
[1]
웹사이트
At Least 151 Killed as Halloween Crowd Surge Turns Deadly in South Korea
https://www.nytimes.[...]
2022-10-29
[2]
서적
Here's Why Itaewon Is a Model Neighborhood for Diversity
https://theculturetr[...]
2018-02-19
[3]
서적
Migration and Diversity in Asian Contexts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4]
웹사이트
What we know about the deadly Halloween disaster in Seoul
https://edition.cnn.[...]
2022-10-30
[5]
웹사이트
At Least 151 Killed as Halloween Crowd Surge Turns Deadly in South Korea
https://www.nytimes.[...]
2022-10-29
[6]
백과사전
이태원(梨泰院)
http://encykorea.aks[...]
[7]
서적
Korea: The Impossible Country: South Korea's Amazing Rise from the Ashes: The Inside Story of an Economic, Political and Cultural Phenomenon
https://books.google[...]
Tuttle Publishing
[8]
웹사이트
Itaewon
https://folkency.nfm[...]
2022-01-03
[9]
웹사이트
Itaewon's Complex History and What's to Come
https://www.pinpoint[...]
2022-08-11
[10]
웹사이트
Seoul's Nightlife District Was Built for Tragedy
https://www.curbed.c[...]
2022-11-04
[11]
웹사이트
Itaewon, the Site of Seoul's Recent Catastrophe - The city's multicultural history illuminates South Korea's agony, modernity, and future.
https://inkstickmedi[...]
2022-11-08
[12]
잡지
Tim Shorrock
https://newrepublic.[...]
[13]
뉴스
All That Jazz
https://www.timeout.[...]
2017-08-16
[14]
웹사이트
한국 재즈의 성지 '올 댓 재즈' 올가을 관객들과 다시 만난다
https://www.chosun.c[...]
2022-08-30
[15]
웹사이트
From used cookbooks to Virginia Woolf, Seoul's independent English bookstores have you covered
https://koreajoongan[...]
2024-02-10
[16]
웹사이트
Seoul's best 100
https://books.google[...]
2010-02-02
[17]
웹사이트
Itaewon
https://www.theseoul[...]
[18]
웹사이트
Gay Seoul
https://www.gaytrave[...]
[19]
웹사이트
Listen to Monica Kim Discuss How Korea's Counterfeit Culture Shaped Her Style
https://www.vogue.co[...]
2018-08-27
[20]
웹사이트
Soul food of Seoul: Seoul Dining, A Delicious Epicurean Journey
https://books.google[...]
2014-09-18
[21]
잡지
How South Korea's Nightclub Outbreak Is Shining an Unwelcome Spotlight on the LGBTQ Community
https://time.com/583[...]
2022-11-06
[22]
웹사이트
153 dead, 103 injured amid Itaewon Halloween crowd surge: officials
https://www.koreaher[...]
2022-10-30
[23]
웹사이트
Crush in Korea's Itaewon claims almost 150 lives
https://koreajoongan[...]
2022-10-30
[24]
뉴스
What we know about the deadly Halloween disaster in Seoul
https://www.cnn.com/[...]
2022-10-30
[25]
웹사이트
[New Releases] UV
http://koreajoongang[...]
2011-09-26
[26]
웹사이트
The Cultural Identity of Itaewon
https://web.archive.[...]
Yonsei University
2011
[27]
웹사이트
Crayon Pop takes to the streets for parody MV of 'Itaewon Freedom'
https://www.allkpop.[...]
[28]
웹사이트
Park Seo-joon to show perfect sync with original webcomic in 'Itaewon Class'
http://www.koreahera[...]
2020-02-07
[29]
웹사이트
Social taboos unveiled in hit South Korean drama Itaewon Class {{!}} The Straits Times
https://www.straitst[...]
2022-11-02
[30]
웹사이트
The 13 Best Korean Dramas Of 2020
https://www.forbes.c[...]
2022-11-02
[31]
웹사이트
Seoul Nightlife Guide: Itaewon, Hongdae, Gangnam, Euljiro & More {{!}} Wander Seoul
https://www.wanderse[...]
2024-05-22
[32]
웹사이트
共同通信ニュース用語解説 「梨泰院」の解説
https://kotobank.jp/[...]
[33]
뉴스
【オピニオン】龍山基地
http://japan.donga.c[...]
東亜日報
2003-02-25
[34]
웹사이트
韓国 梨泰院転倒事故から1週間 警察対応めぐる不手際相次ぐ {{!}} NHK
https://web.archive.[...]
[35]
서적
동명연혁고 V
서울시사편찬위원회
1980
[36]
간행물
고려사 권 39 세기 공민왕 10년 11월조
[37]
간행물
목멱산 남쪽 이태원의 들에는 고산사의 동쪽에 솟아나는 샘물이 있으며 큰 소나무가 골에 가득하여 성 안의 부녀자들이 빨래하러 많이 간다
연려실기술
[38]
간행물
목멱산 남쪽 이태원의 들에는 높은 산에서 샘물이 솟아나고 절 동쪽에는 큰 소나무가 골에 가득 차 빨래하는 성중 부녀자들은 많이 이 곳으로 간다
용재총화
[39]
서적
이태원의 역사적 전개
서울역사박물관
[40]
웹인용
용산구문화관광
https://www.yongsan.[...]
2020-11-14
[41]
서적
서울의 고개
예서문화사
2000
[42]
서적
백호전서
[43]
서적
조선왕조실록
세종 8년 병오, 5월 15일
[44]
서적
조선왕조실록
연산군 10년, 10월 10일
[45]
서적
2000
[46]
서적
한국사: 근세전기편
을유문화사
1962
[47]
서적
조선왕조실록
세종18년 8월 5일
[48]
서적
조선왕조실록
성종 4년 12월 28일
[49]
서적
함께 보는 근현대사
서해문집
2004
[50]
서적
서울 정도 육백년 2
서울신문사
1994
[51]
논문
이태원 상업가로 매력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서울대
2000
[52]
서적
용재총화
[53]
서적
성소부부고
[54]
서적
임하필기
[55]
서적
동국여지비고
[56]
서적
향토자료 경성오백년
1926
[57]
서적
용산 속의 전쟁사와 군사문화
용산문화원
[58]
웹인용
이태원 거리
https://korean.visit[...]
2022-05-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